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문장별 분석 및 문제 풀이 전략

이번 글에서는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을 문장별로 철저히 분석하여 문제의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지문은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기술적 소양(technological literacy)의 중요성을 다루며,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기술을 사용하는 방식과 기기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의 차이를 설명합니다.

이 글을 통해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문장 간의 논리적 연결을 명확히 파악하고, 글의 흐름에서 벗어난 문장을 찾는 문제 풀이 전략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제 유형 및 해결 전략

"전체 흐름과 관계없는 문장 찾기" 유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1. 문장을 순차적으로 독해하며 글의 중심 주제를 파악합니다.
2. 각 문장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고 논리적 연결성을 확인합니다.
3. 주제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문장을 찾아 제거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Today’s “digital natives” have grown up immersed in digital technologies and possess the technical aptitude to utilize the powers of their devices fully. ① But although they know which apps to use or which websites to visit, they do not necessarily understand the workings behind the touch screen. ② People need technological literacy if they are to understand machines’ mechanics and uses. ③ In much the same way as factory workers a hundred years ago needed to understand the basic structures of engines, we need to understand the elemental principles behind our devices. ④ The lifespan of devices depends on the quality of software operating them as well as the structure of hardware. ⑤ This empowers us to deploy software and hardware to their fullest utility, maximizing our powers to achieve and create.

* deploy: 사용하다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Today’s “digital natives” have grown up immersed in digital technologies and possess the technical aptitude to utilize the powers of their devices fully.

🔹 주요 단어 정리

  • digital natives: 디지털 네이티브, 디지털 환경에서 자란 세대
  • grow up: 자라다, 성장하다
  • immerse: 몰입시키다, 깊이 빠져들게 하다 (동의어: engage, involve / 반의어: detach, disconnect)
  • technical aptitude: 기술적 능력 (동의어: skill, proficiency / 반의어: incompetence, inability)
  • possess: 소유하다, 가지고 있다
  • utilize: 활용하다, 이용하다 (동의어: employ, make use of / 반의어: neglect, ignore)
  • power: 힘, (여기서는) 기능(function)
  • device: 장치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day’s “digital natives”/ [have grown up/ [immersed/ in digital technologies]]/ and/ [possess/ [the technical aptitude/ [to utilize/ <the powers/ of their devices>/ fully]]].
  • 오늘날의 "디지털 네이티브"는/ [성장해 왔습니다/ [몰입되먼서(몰입된 채로)/ 디지털 기술에]]/ 그래서/ [가지고 있습니다/ [기술적 능력을/ [이용하는/ <힘들을(기능들을)/ 그들의 기기들의>/ 완전히]]].

🔹 어법 설명

  • 현재완료[have(has) + pp] 시제
  • have grown up”에서 사용된 어법.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상태의 계속을 나타냄.
  • 분사구문
  • [immersedin digital technologies]”는 “[while they were immerse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Today’s “digital natives”)”가 생략되고 동사 “were”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have grown up/~]”와 “[posses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또한 두 동사구는 인과 관계and”는 “그래서“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the technical aptitude/ [to utilize/ <the powers/ of their devices>/ fully]]”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technical aptitude”를 수식.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디지털 네이티브들은 디지털 환경에서 성장하여 기기의 기능을 잘 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내용. 디지털 네이티브의 특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문장 2

① But although they know which apps to use or which websites to visit, they do not necessarily understand the workings behind the touch screen.

🔹 주요 단어 정리

  • although~: 비록 ~일지라도 (동의어: even though, though / 반의어: because, since)
  • necessarily: 반드시 (동의어: inevitably, automatically / 반의어: optionally, contingently)
  • workings: 작동 원리 (동의어: mechanics, operation / 반의어: surface, appearanc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although they know/ [which apps to use]/ or/ [which websites to visit]],/
  • 하지만/ [비록 그들이 알고 있을지라/ [어떤 앱들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또는/ [어떤 웹사이트들을 방문해야 하는지를]],/
  • they do not necessarily understand/ <the workings/ behind the touch screen>.
  • 그들은 반드시 이해하는 것은 아닙니다/ <작동 원리들을/ 터치스크린 뒤의>.

🔹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although[ though / even if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although they know/~]”에서 사용된 어법.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which apps to use]“와 ”[which websites to visit]“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which apps they should use]“와 ”[which websites they should visit]“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어떤 앱들을 사용해야 하는지“”어떤 웹사이트들을 방문해야 하는지“의 의미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디지털 네이티브들은 앱이나 웹사이트 사용법은 잘 알지만, 기기의 작동 원리를 반드시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문장 1이 디지털 네이티브의 특성을 언급했다면, 문장 2는 디지털 네이티브의 한계에 대한 내용으로 연결이 자연스럽습니다.

📌 문장 3

② People need technological literacy if they are to understand machines’ mechanics and uses.

🔹 주요 단어 정리

  • technological literacy: 기술적 소양 (동의어: digital literacy, tech competency)
  • mechanics: 기계의 작동 원리 (동의어: operation, functioning)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eople need/ technological literacy/
  • 사람들은 필요로 합니다/ 기술적 소양을/
  • [if they are to understand/ [machines’ <mechanics and uses>]].
  • [만약 그들이 이해해야 하는 경우/ [기계의 <작동 원리와 사용법들을>]].

🔹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they are to understand/~]”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be +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하나 여기서는 “~해야 한다(의무)”의 의미.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이나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be to 부정사와 같은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기기의 작동 원리와 사용법을 이해하려면 기술적 소양이 필요하다. 문장 2의 “<the workings/ behind the touch screen>”의 표현이 “[machines’ <mechanics and uses>]”로 바뀌어 표현되었을 뿐 같은 조건을 이해해야 하는 경우 필요한 것에 대한 언급으로 역시 문장 2에서 문장 3으로의 연결은 자연스럽습니다. 다만, 문장 2까지는 “digital natives“에 대한 진술이었다가 갑자기 주어를 ”people“로 연결하여 주어의 일관성 측면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Digital natives“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문장 4

③ In much the same way as factory workers a hundred years ago needed to understand the basic structures of engines, we need to understand the elemental principles behind our devices.

🔹 주요 단어 정리

  • in much the same way as~: ~와 같은 매우 비슷한 방식으로
  • factory worker: 공장 노동자
  • need to 부정사: ~해야 하다, ~할 필요가 있다
  • basic structure: 기본적인 구조
  • elemental: 기본적인 (동의어: fundamental, essential / 반의어: secondary, advanced)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much the same way/ [as <factory workers/ a hundred years ago>/ needed to understand/ <the basic structures/ of engines>]],/
  • [매우 비슷한 방식으로/ [<공장 노동자들이/ 100년 전의>/ 이해해야 했던 것같이/ <기본적인 구조들을/ 엔진들의>]],/
  • we need to understand/ <the elemental principles/ behind our devices>.
  • 우리는 이해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원리들을/ 우리 기기들 뒤에 있는>.

🔹 어법 설명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factory workers/ a hundred years ago>/ needed to understand/~]”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 문장 4의 핵심 내용
  • 과거의 공장 노동자들이 엔진의 기본 구조를 이해해야 했듯이, 현대인은 기기의 기본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문장 3에서 언급한 기본적인 원리에 대한 인지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언급하고 있어 역시 문장간 논리적 연결은 자연스럽습니다.

📌 문장 5

④ The lifespan of devices depends on the quality of software operating them as well as the structure of hardware.

🔹 주요 단어 정리

  • lifespan: 수명
  • depend on~: ~에 달려 있다
  • quality: 품질
  • operate: 작동시키다
  • as well as~: ~뿐만 아니라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lifespan/ of devices>/ depends/ [on the quality/ [of software/ (which or that is) operating/ them]]/ [as well as the structure/ of hardware].
  • <수명은/ 기기들의>/ 달려 있습니다/ [품질에/ [소프트웨어의/ 작동시키고 있는/ 그것들을(기기들을)]/ [구조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의].

🔹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lifespan”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depends“.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software/ (which or that is) operating/ them“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softwar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i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그것들을(기기들을) 작동시키고 있는 소츠트웨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기기의 수명은 소프트웨어 품질과 하드웨어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는 내용. 이 문장은 ”기술적 소양(technological literacy)“과 관련된 논의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기기의 수명“에 관한 진술이므로 흐름에서 벗어난 문장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 후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6으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문장 6

⑤ This empowers us to deploy software and hardware to their fullest utility, maximizing our powers to achieve and create.

🔹 주요 단어 정리

  • empower: 권한을 주다, 가능하게 하다 (동의어: enable, authorize / 반의어: restrict, inhibit)
  • deploy: 사용하다, 배치하다 (동의어: utilize, implement / 반의어: withhold, conserve)
  • fullest utility: 최대한의 활용 (동의어: optimal use, maximum efficiency)
  • maximize: 극대화하다 (동의어: increase, enhance / 반의어: minimize, reduce)
  • achieve: 성취하다 (동의어: accomplish, attain / 반의어: fail, los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empowers/ us/ [to deploy/ <software and hardware>/ to their fullest utility],/
  • 이는 가능하게 합니다/ 우리에게/ [사용하도록/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최대한의 활용하여(활용하도록)],/
  • [maximizing/ [our powers/ <to achieve and create>]].
  • [극대화하면서/ [우리의 능력을/ <성취하고 창조하는>]].

🔹 어법 설명

  • 5형식 문형 "empower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This empowers/ us/ [to deploy/~]“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empower”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분사구문
  • [maximizing/~]”은 “[while it maximizes/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this)”가 생략되고 동사 “maximizes”가 “maximiz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our powers/ <to achieve and creat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our powers”를 수식.
  • 문장 6의 핵심 내용
  • 기기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성취와 창조가 가능해진다. 즉, ”기술적 소양(technological literacy)“이 가져다주는 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문장 4까지 앞서 진술한 내용에 대한 타당성을 진술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파악

  • 이 지문은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기술적 소양(technological literacy) 부족 문제를 다루며, 기기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는 글입니다.

📌 문장 간 논리적 연결

  • 문장 1: 디지털 네이티브는 디지털 환경에서 자랐으며, 기술적 능력이 뛰어나다.
  • 문장 2: 그러나 그들은 단순히 기기를 사용하는 법은 알지만, 작동 원리를 이해하지 못한다.
  • 문장 3: 기기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려면 기술적 소양이 필요하다.
  • 문장 4: 과거 공장 노동자들이 엔진의 원리를 이해해야 했듯이, 우리도 기기의 기본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 문장 5: (❌) 기기의 수명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따라 달라진다.
  • 문장 6: 기기의 원리를 이해하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 관계없는 문장 찾기

  • ❌ 문장 5(The lifespan of devices depends on the quality of software operating them as well as the structure of hardware.)
  • 이 문장은 기술적 소양(technological literacy)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 이전 문장과 이후 문장 모두 "기기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문장 5는 "기기의 수명"에 관한 내용으로 논점이 벗어나 있습니다.
  • 따라서, 문장 5를 제외하면 나머지 문장들은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 정답 제시

  • 따라서, ④번 문장이 주제에서 벗어난 문장에 해당합니다.

결론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문제 해설

글의 논리적 흐름을 분석하여 관계없는 문장을 찾는 유형입니다. 디지털 네이티브의 기술적 능력과 기술적 소양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글에서, "기기의 수명"을 다루는 문장 5는 논리적 흐름에서 벗어나므로 정답이 됩니다.

📌 논리적 연결성과 지문의 구조적 문제

이 지문은 전체적으로 논리적 전개가 잘 되어 있지만, 보완할 부분이 있습니다.

1. 주어의 일관성 부족

문장 1~2에서는 "디지털 네이티브"를 주어로 사용하다가, 문장 3에서 갑자기 "People"*로 바뀝니다. "People" 대신 "Digital natives"로 유지하는 것이 문장 간의 논리적 연결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학습 및 실전 적용 전략

문장 간 논리적 연결성을 확인하며 독해하는 습관을 기릅시다.

주어진 문장이 주제와 직접 관련이 있는지 끊임없이 질문해 보세요.

정답을 선택한 후, 해당 문장을 제거해도 문장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세요.

이와 같은 논리적 접근 방식을 연습하면 "관계없는 문장 찾기" 유형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문제 풀이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독해 실력을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글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고, 빈칸 추론 및 연결 문제의 해법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독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