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문제 분석

✅ "문장 배열 문제"를 풀 때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번 37번 문제에서는 "문학 작품을 온전히 읽는 것과 발췌문을 활용하는 것"의 장단점을 논의하며,

✅ 제시문의 문제 제기 → 해결책 제시 → 해결책의 단점 → 추가적인 문제점을 지적하는 흐름을 따릅니다.

✅ 본 분석을 통해 지문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정답을 도출하는 방법을 익혀보겠습니다.

🔷 순서 배열 문제(문장 삽입 포함)는 접속부사(구), 접속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와 지시 대명사, 반복되는 의미 등에 특히 유의하여 문장의 흐름을 파악해야 합니다. 다만, 이런 간단한 방법으로 순서 추론이 되지 않는 경우, “key words”를 파악하여 단락 간의 논리적 연결을 파악하도록 합니다.

🔷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및 어법 설명은 위에 설명한 과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7.

There is no doubt that the length of some literary works is overwhelming. Reading or translating a work in class, hour after hour, week after week, can be such a boring experience that many students never want to open a foreign language book again.

(A) Moreover, there are some literary features that cannot be adequately illustrated by a short excerpt: the development of plot or character, for instance, with the gradual involvement of the reader that this implies; or the unfolding of a complex theme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contrasting views.

(B) Extracts provide one type of solution. The advantages are obvious: reading a series of passages from different works produces more variety in the classroom, so that the teacher has a greater chance of avoiding monotony, while still giving learners a taste at least of an author’s special flavour.

(C) On the other hand, a student who is only exposed to ‘bite­sized chunks’ will never have the satisfaction of knowing the overall pattern of a book, which is after all the satisfaction most of us seek when we read something in our own language.

* excerpt: 발췌 ** juxtaposition: 병치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제시문

There is no doubt that the length of some literary works is overwhelming. Reading or translating a work in class, hour after hour, week after week, can be such a boring experience that many students never want to open a foreign language book again.

🔹 주요 단어 정리

  • there is no doubt that~: ~라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 (동의어: it is certain that, it is clear that~)
  • literary work: 문학 작품
  • overwhelming: 압도적인 (동의어: overpowering, daunting / 반의어: manageable, moderate)
  • translate: 번역하다
  • hour after hour, week after week: (반복되는 의미) 몇 시간 동안, 몇 주 동안
  • such A that B: 너무 A해서 B하다 (결과의 강조)
  • never want to 부정사: 결코 ~하기를 원하지 않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 is no doubt/ [that <the length/ of some literary works>/ is overwhelming].
  •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길이가/ 일부 문학 작품들의>/ 압도적이라는데].
  • [<Reading or translating/ a work>/ in class],/
  • [<독서하거나 번역하는 것은/ 한 작품을>/ 수업에서(수업 시간에)],/
  • [<hour after hour>,/ (+or) <week after week>],/
  • [<몇 시간 동안>,/ (+또는) <몇 주 동안>],/
  • can be such a boring experience/ [that many students never want to open/ a foreign language book/ again].
  • 너무 지루한 경험이 될 수 있어서/ [많은 학생들이 결코 열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외국어 책을/ 다시는].

🔹 어법 설명

  •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re is no doubt[that~]"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doubt“을 설명합니다. 직역된 의미는 ‘~라는 의심이 없습니다”이나 “~라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로 의역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Reading or translating/ a work>“에서 사용된 어법. 주어 역할. ”작품을 읽거나 번역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병렬 구조 – 접속사 삽입 필요
  • [<hour after hour>,/ (+or) <week after week>]”는 두 개의 부사구 “<hour after hour>”와 “<week after week>”이 병렬 연결된 구조문맥적 의미상 “or”로 연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such + (a/an) +형용사 + 명사 + that + 주어 + 동사
  • such a boring experience/ [that many students never want to open/~]”에서 사용된 어법. “너무 –한 명사여서 ~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 제시문의 핵심 내용
  • 일부 문학 작품들의 길이는 매우 길어서 부담스럽다. 학생들이 긴 문학 작품을 수업에서 읽거나 번역하는 과정이 너무 지루해서, 외국어 책을 다시는 읽고 싶어 하지 않는다.
  • 💡 🔍 순서 추론 1
  • 학생들이 긴 작품을 읽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점이 강조됨.

🔍 단락 (A)

Moreover, there are some literary features that cannot be adequately illustrated by a short excerpt: the development of plot or character, for instance, with the gradual involvement of the reader that this implies; or the unfolding of a complex theme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contrasting views.

🔹 주요 단어 정리

  • moreover: 더욱이, 게다가 (추가 정보 연결)
  • literary feature: 문학적 특징
  • adequately: 적절하게, 충분히 (동의어: sufficiently, appropriately / 반의어: inadequately, insufficiently)
  • illustrate: 설명하다, 예시를 들다 (동의어: explain, demonstrate / 반의어: obscure, confuse)
  • excerpt: 발췌문
  • development of plot: 줄거리의 전개
  • gradual involvement: 점진적인 몰입
  • imply: 암시하다 (동의어: suggest, indicate / 반의어: state explicitly)
  • unfolding: 전개 (동의어: progression, evolution)
  • juxtaposition: 병치, 나란히 배치하는 것
  • contrasting view: 대조적인 관점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oreover,/
  • 더욱이,/
  • there are/ [some literary features/ that cannot be adequately illustrated/ by a short excerpt]/
  • 존재합니다/ [몇 가지 문학적 특징들이/ 적절하게 설명될 수 없는/ 짧은 발췌문에 의해서는]/
  • :/ [[the development/ <of plot or character>],/ for instance,/ [with <the gradual involvement/ of the reader>/ that this implies]]/
  • 다시 말해서/ [[전개나,/ <줄거리나 등장인물의>]/ 예를 들어,/ [<점진적인 몰입과 함께/ 독자의>/ 이것이 암시하는]]/
  • ;/ or/ [<the unfolding/ of a complex theme>/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contrasting views>].
  • 또는/ [<전개같은/ 복잡한 주제의>/ <병치를 통한/ 대조적인 관점들의>].

🔹 어법 설명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some literary features/ that cannot be adequately illustratedby a short excerpt]”에서 “that”은 선행사, “some literary feature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짧은 발췌문에 의해서는 적절하게 성명될 수 없는 몇 가지 문학적 특징들”의 의미를 전달.
  • ✅ 수동태[조동사 + not + be + pp]
  • cannot be adequately illustrated”에서 사용된 어법. "적절하게 설명될 수 없다"의 의미로 수동태.
  • ✅ 접속부사구 "for instanc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gradual involvement/ of the reader>/ that this implies”에서 ”that”은 선행사, “<the gradual involvement/ of the reader>”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이것이 암시하는 독자의 점진적인 몰입”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 병렬 구조 – semicolon(;) 제거 필요
  • • "[[the development/ <of plot or character>],/~]"와 "[<the unfolding/ of a complex theme>/~]"는 "or"로 병렬로 연결된 구조아무 역할도 하지 못하는 semicolon(;)은 제거하는 것이 어법상 바람직합니다.
  • ✅ 단락 (A)의 핵심 내용
  • 짧은 발췌문으로는 줄거리 전개나 등장인물의 발전 같은 문학적 요소를 적절히 설명할 수 없으며, 이야기의 복잡한 주제는 대조적인 관점을 병치하면서 전개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 💡 🔍 순서 추론 2
  • 단락 (A)의 경우, 이미 앞서 발췌문에 대한 부정적 진술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단락 (B)로 이동하여 분석 후 독해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단락 (B)

Extracts provide one type of solution. The advantages are obvious: reading a series of passages from different works produces more variety in the classroom, so that the teacher has a greater chance of avoiding monotony, while still giving learners a taste at least of an author’s special flavour.

🔹 주요 단어 정리

  • extract: 발췌, 발췌문 (동의어: excerpt, passage)
  • provide: 제공하다
  • one type of~: ~의 한가지 유형, 한가지 유형의~
  • solution: 해결책 (동의어: remedy, answer / 반의어: problem, issue)
  • advantage: 장점
  • obvious: 명백한 (동의어: clear, apparent / 반의어: unclear, ambiguous)
  • a series of~: 일련의~, 여러~
  • paragraph: 구절, 지문
  • variety: 다양성 (동의어: diversity, assortment / 반의어: uniformity, sameness)
  • chance: 기회
  • avoid: 피하다
  • monotony: 단조로움 (동의어: repetitiveness, dullness / 반의어: excitement, diversity)
  • taste: 맛보기, 맛, 취향
  • flavour: (문맥상) 개성, 특유의 느낌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xtracts provide/ <one type/ of solution>.
  • 발췌문들은 제공합니다/ 하나의 유형을/ 해결책의.
  • The advantages are obvious/
  • 그 장점들은 명백합니다:/
  • :/ [reading/ <a series of passages/ from different works>]/ produces/ more variety/ in the classroom,/
  • 즉/ [읽는 것은/ <일련의(여러) 구절들을/ 서로 다른 작품으로부터 온(에서 발췌한)>]/ 만들어냅니다/ 더 많은 다양성을/ 교실에서,/
  • [so that the teacher has/ [a greater chance/ <of avoiding/ monotony>]],/
  • [교사가 갖도록/ [더 큰 기회를/ <피하는/ 단조로움을>]],/
  • [while still giving/ learners/ <a taste,/ at least,/ of an author’s special flavour>].
  • [여전히 주면서(제공하면서)/ 학습자들에게/ <맛보기를,/ 적어도,/ 작가의 특별한 개성에 대한>].

🔹 어법 설명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수의 일치
  • "[reading/ <a series of passages/ from different works>]“에서 사용된 어법. 주어 역할로 단수 취급합니다.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produces“. ”서로 다른 작품들로부터 온 일련의(여러) 구절들을 읽은 것은“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so that + 주어 + 동사“ 용법
  • [so that the teacher has/~]”에서 사용된 어법. “~하도록 (하기 위하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a greater chance/ <of avoiding/ monotony>]”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는 “단조로움을 피하는 것과 관련된 더 큰 기회”의역하여 “단조로움을 피하는 더 큰 기회”로 번역이 되는 것입니다.
  • ✅ 분사구문
  • [while still giving/~]”은 “[while it still gives/ ~]”의 종속절에서 주어 “it(=[reading/ <a series of passages/ from different works>])”가 생략되고 동사 “gives”가 “giv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삽입 구조 – comma(,)로 분리 필요
  • “<a taste,at least,of an author’s special flavour>”에서 at least”는 전치사구, “of an author’s special flavour”로 수식을 받는 명사 “a taste” 사이에 삽입된 구조로, comma(,)로 앞뒤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단락 (A)의 핵심 내용
  • 발췌문을 활용하는 것이 한 가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발췌문을 사용하면 교실 내에서 다양성을 제공하며, 학생들에게 작가의 스타일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 💡 🔍 순서 추론 3
  • (B) 단락은 발췌문 사용의 장점을 설명하며 제시문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연결됩니다. 다음 문장에서는 발췌문의 단점이 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미 해석한 단락 (A)는 발췌문은 단점을 포함하지만, 접속부사 “Moreover”로 보아, 이미 앞서 다른 단점이 제시되었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아직 단락 (C)에 대한 분석과 해석이 남아있지만 (C)를 읽지 않아도 (B) - (C) - (A) 순서임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③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해설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단락 (C)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단락 (C)

On the other hand, a student who is only exposed to ‘bite­sized chunks’ will never have the satisfaction of knowing the overall pattern of a book, which is after all the satisfaction most of us seek when we read something in our own language.

🔹 주요 단어 정리

  • on the other hand: 반면에 (대조 연결)
  • bite-sized chunk: 한 입 크기의 덩어리, (문맥상) 짧은 발췌문
  • be exposed to: ~에 노출되다
  • overall pattern: 전체적인 구조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 the other hand,/
  • 반면에,/
  • [a student/ who is only exposed/ to ‘bite­sized chunks’]/
  • [학생은/ 오로지 노출된/ ‘한 입 크기의 덩어리들’에만(짧은 발췌문들’에만)]/
  • will never have/ [the satisfaction/ [of knowing/ <the overall pattern/ of a book>]]/
  • 결코 가지지 못할 것입니다/ [만족감을/ [아는/ <전체적인 구조를/ 한 권의 책의>]],/
  • , which is,/ after all,/ [the satisfaction/ (which or that) <most/ of us> seek]/ [when we read/ something/ in our own language].
  • 그리고 그것은,/ 결국,/ [만족감입니다/ <대부분이/ 우리의(우리 대부분이)> 추구하는]/ [우리가 읽을 때/ 무언가를/ 우리 자신의 언어로(모국어로)].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구 "on the other hand"
  • 문장 내에서 "반면에"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a studentwho is only exposedto ‘bite­sized chunks’]”에서 “who”는 선행사, “a student”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오로지 ‘한 입 크기의 덩어리들’에만(짧은 발췌문들’에만) 노출된 학생”의 의미를 전달.
  • ✅ 수동태[be + pp]
  • is only exposed”에서 사용된 어법. "오로지 노출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the satisfaction/ [of knowing/ <the overall pattern/ of a book>]]”에서 사용된 어법. 단락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책의 전반적인 구조를 아는 만족감”로 의역이 되는 것입니다.
  •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삽입 구조 comma(,)로 분리
  • , which is,after all,[the satisfaction/~]”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나 일부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and it)”로 해석합니다. 이 때, “that”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만, 관계절의 동사(is)와 보어인 “[the satisfaction/~]” 사이에 부사구 “after all”이 삽입된 구조comma(,)로 앞뒤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satisfaction/ (which or that) <mostof us> seek]”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satisfaction”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우리들 대부분이 추구하는 만족감”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we rea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단락 (C)의 핵심 내용
  • (C) 단락은 발췌문만 읽는 것의 단점을 지적함.
  • 💡 🔍 순서 추론 4
  • 단락 (A) 단락에서는 Moreover와 함께 발췌문에 의해 설명될 수 없는 문학적 특성들(또 다른 발췌문의 단점) 긴 작품이 필요한 이유를 강조하므로, (C) → (A)로 연결되어야 적절합니다. 따라서, 최종 순서는 (B) - (C) - (A)로 ③번이 가장 적절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 짧은 발췌문(excerpt)만으로는 문학 작품의 전체적인 구조와 깊은 의미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으며, 작품의 줄거리 전개와 등장인물의 발전 같은 문학적 요소를 적절히 전달하기 어렵다.
  • 👉 즉, 발췌문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작품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지만, 책 전체의 흐름과 문학적 깊이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 문제 풀이 과정

  • 📍 1단계: 제시문 분석 → 문제 제기
  • 제시문에서는 긴 문학 작품이 학생들에게 부담이 되며, 지루함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 즉, "긴 작품을 다 읽는 것이 어려우므로,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문제를 제기하는 구조입니다.
  • 📍 2단계: (B) 단락 분석 → 해결책 제시
  • (B) 단락에서는 발췌문(excerpt)을 활용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작품을 접하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 👉 제시문의 문제점을 해결할 방법을 제시하는 내용이므로, 제시문 다음에는 (B) 단락이 와야 합니다.
  • 📍 3단계: (C) 단락 분석 → 해결책의 단점 지적
  • (C) 단락에서는 발췌문만 읽으면 책 전체의 구조를 이해하는 만족감을 느낄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적합니다.
  • 👉 (B)에서 제시한 해결책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므로, (B) 다음에는 (C) 단락이 와야 합니다.
  • 📍 4단계: (A) 단락 분석 → 추가적인 문제점 강조
  • (A) 단락에서는 줄거리 전개나 등장인물의 발전 같은 문학적 요소를 짧은 발췌문으로는 온전히 전달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 (C)에서 발췌문의 한계를 언급한 후, (A)에서 추가적인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흐름입니다.
  • 📍 5단계: 최종 정리 및 정답 선택
  • 📌 제시문 → (B) - (C) - (A) 순서가 가장 논리적입니다.

📌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③번 (B) - (C) - (A)”가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 37번 문제의 핵심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긴 문학 작품을 읽는 것이 학생들에게 부담이 된다.

② 해결책으로 발췌문(excerpts) 을 활용할 수 있다.

③ 하지만 발췌문만 읽으면 책 전체의 구조를 이해하기 어렵다.

④ 게다가 줄거리 전개나 등장인물의 발전 같은 문학적 요소는 짧은 발췌문으로 온전히 전달되지 않는다.

✅ 따라서, 정답은 ③번 (B) - (C) - (A) 입니다.

✅ 문장 배열 문제를 해결할 때는 접속사, 대명사, 반복되는 개념, 논리적 흐름을 고려하여 차근히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앞으로도 이러한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문제 풀이 전략을 익히세요! 😊

📌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한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생략된 모든 부분까지도 고려하여 설명하는 상세한 어법(분법) 설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법과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