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곰과의 만남,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타다!"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19번 문제는 독해에서 자주 등장하는 심경 변화 문제를 다룹니다. 이 지문은 화자의 여행 중 경험을 통해 감정의 변화 과정을 탐구하는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문장별 분석과 어법 설명을 통해 독해력을 향상시키고, 심경 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 내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잘 활용하여 새로운 어휘 학습 및 반드시 숙지해야 할 어법 등 독해를 위해 필요한 모든 부분을 꾸준히 학습하셔서 영어 능력 향상의 기회를 놓치지 않길 바랍니다.

문제 해결 Tip은 "첫 번째 심경 변화의 단서 찾기", "보기 중 대조적 감정 변화인지 확인하기", 그리고 "표현의 숨겨진 의미 파악"입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심경 변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19. 다음 글에 드러난 ‘I’의 심경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On a two-week trip in the Rocky Mountains, I saw a grizzly bear in its native habitat. At first, I felt joy as I watched the bear walk across the land. He stopped every once in a while to turn his head about, sniffing deeply. He was following the scent of something, and slowly I began to realize that this giant animal was smelling me! I froze. This was no longer a wonderful experience; it was now an issue of survival. The bear’s motivation was to find meat to eat, and I was clearly on his menu.

* scent: 냄새

① sad → angry     ② delighted → scared ③ satisfied → jealous 

④ worried → relieved     ⑤ frustrated → excited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On a two-week trip in the Rocky Mountains, I saw a grizzly bear in its native habitat.

주요 단어 정리

  • two-week trip: 2주간의 여행
  • Rocky Mountains: 로키 산맥
  • grizzly bear: 회색곰
  • native habitat: 원래 서식지 (동의어: natural environment / 반의어: unnatural habita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 a two-week trip/ in the Rocky Mountains>,/
  • <2주간의 여행 중에/ 로키 산맥에서의>,/
  • I saw/ a grizzly bear/ in its native habitat.
  • 저는 보았습니다/ 회색곰을/ 그것의 원래 서식지에서.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2

At first, I felt joy as I watched the bear walk across the land.

주요 단어 정리

  • at first: 처음에는 (동의어: initially / 반의어: later)
  • joy: 기쁨 (동의어: delight, happiness / 반의어: sadness)
  • walk across: 가로질러 걷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t first,/ I felt/ joy/
  • 처음에는,/ 저는 느꼈습니다/ 기쁨을/
  • [as I watched/ the bear/ <walk/ across the land>].
  • [제가 봤을 때/ 그 곰을/ <걸어가는/ 대지를 가로질러>].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I watche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함에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
  • 5형식 문형 "지각동사(watch)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ing)"
  • watched/ the bear/ <walk/ across the land>”에서 사용된 어법. 지각동사 “see / watch / hear / listen to / feel”은 “동사원형이나 동사+ing(현재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나 현재분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I”의 첫 번째 감정 추론 1
  • 명시적으로 “I”의 첫 번째 감정이 “I felt/ joy”에서 표현되어 있으므로, 보기를 확인하면, “② delighted → scared”뿐입니다. 왜냐하면, 첫 번째 감정을 표현하는 어휘 중에 동의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②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3

He stopped every once in a while to turn his head about, sniffing deeply.

주요 단어 정리

  • every once in a while: 가끔 (동의어: occasionally, sometimes / 반의어: always)
  • turn about: 이리저리 돌리다
  • sniff deeply: 깊이 냄새를 맡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e stopped/ every once in a while/
  • 그는 멈췄습니다/ 가끔씩/
  • <to turn/ his head/ about>,/
  • <돌리기 위해서/ 그의 머리를/ 이리저리>,/
  • [sniffing/ deeply].
  • [냄새를 맡으면서/ 깊게].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turn/ his head/ about>”에서 사용된 용법.
  • 분사구문
  • [sniffing/ deeply]”는 “[while he sniffed/ deeply]”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he(=the grizzly)”가 생략되고 동사 “sniffed”가 “sniff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문장 4

He was following the scent of something, and slowly I began to realize that this giant animal was smelling me!

주요 단어 정리

  • follow: 따라가다 (동의어: trail, track / 반의어: lead)
  • scent: 냄새 (동의어: smell, odor / 반의어: none)
  • begin to 부정사: ~하기 시작하다
  • realize: 깨닫다 (동의어: recognize, perceive / 반의어: misunderstan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e was following/ <the scent/ of something>,/
  • 그는 따라가고 있었습니다/ <냄새를/ 무언가의>,/
  • and/ slowly/ I began to realize/ [that this giant animal was smelling/ me]!.
  • 그리고/ 천천히/ 저는 깨닫기 시작했습니다/ [이 거대한 동물이 냄새맡고 있었다는 것을/ 저를]!.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began to realize”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began”의 목적어 역할.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began to realize[that~]"에서 "that"은 동사구, "began to realiz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I”의 두 번째 감정의 추론 1
  • 문장 4에는 명시적인 감정은 진술되지 않았지만, 록키 산맥을 여행 중에 grizzly가 나의 냄새를 맡고 있다는 사실 만으로도 오싹한 공포감이 생길 것이므로 “scared”기 추론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I”의 감정에서 답은 선택하지 않은 사람도 여기에서 ②번이 정답임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도 답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심각한 시간 낭비입니다. 

문장 5

I froze.

주요 단어 정리

  • freeze: 얼어붙다, 꼼짝 못하다 (동의어: stop, become motionless / 반의어: move, reac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 froze.
  • 저는 얼어붙었습니다.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I”의 두 번째 감정 추론 2
  • “왜 얼어붙었나?”를 생각하면, 답이 나오지요?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답을 선택하세요.

문장 6

This was no longer a wonderful experience; it was now an issue of survival.

주요 단어 정리

  • no longer: 더 이상 ~이 아닌 (동의어: not anymore / 반의어: still)
  • wonderful: 멋진 (동의어: amazing, delightful / 반의어: terrible, awful)
  • issue of survival: 생존 문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was no longer a wonderful experience;/
  • 이것은 더 이상 멋진 경험이 아니었습니다;/
  • it was now <an issue/ of survival>.
  • 그것은 이제 <문제였습니다/ 생존의>.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I”의 두 번째 감정 추론 3
  •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답을 선택하세요.

문장 7

The bear’s motivation was to find meat to eat, and I was clearly on his menu.

주요 단어 정리

  • motivation: 동기 (동의어: reason, incentive / 반의어: deterrent)
  • menu: 메뉴(판), 먹잇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bear’s motivation was to find/ <meat/ to eat>,/
  • 그 곰의 동기는 찾는 것이었습니다/ <고기를/ 먹을>,/
  • and/ I was/ clearly/ on his menu.
  • 그리고/ 저는 있었습니다/ 분명히/ 그의 메뉴판 위에(분명히 그의 먹잇감이었습니다).

어법 설명

  • be +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명사적 용법.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이나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be to 부정사와 같은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
  • “<meat/ to eat>”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meat”를 수식.
  • “I”의 두 번째 감정 추론 4
  • 끝까지 명시적인 표현으로 진술하지는 않았습니다. 비유적이거나 암시적인 표현을 얼마나 빨리 간파하느냐에 따라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내용 요약

  • 지문은 화자인 "I"가 여행 중 만난 곰과의 경험을 통해 심경이 변화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 처음에는 곰을 보며 “기쁨(delight)”을 느꼈습니다.
  • 그러나 곰이 자신의 냄새를 맡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공포(scare)”로 바뀌었습니다.

정답 선택 근거

  • ① sad → angry: 슬픔이나 분노는 해당되지 않음.
  • ② delighted → scared: 처음의 기쁨에서 나중에 공포로 변한 과정을 정확히 반영.
  • ③ satisfied → jealous: 만족감이나 질투와 관련된 내용이 없음.
  • ④ worried → relieved: 걱정이나 안도감과 관련된 내용이 없음.
  • ⑤ frustrated → excited: 좌절이나 흥분과 관련된 내용이 없음.

정답 제시

  • 따라서 “② delighted → scared”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감정 변화의 흐름을 읽는 것이 곧 독해의 핵심이다."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19번 문제는 심경 변화라는 핵심 주제를 통해 영어 독해의 중요한 기술을 배우게 합니다. 청크 분석과 어법 설명을 활용해 지문 구조와 세부 내용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 과정을 정리하면 독해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실전에서 감정 변화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푸는 방법을 익히는 데 이 자료가 유익한 학습 도구가 되길 바랍니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글의 구조와 어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심경 변화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을 더욱 정교화할 수 있습니다. 독해와 문법이 결합된 이러한 분석은 영어 실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 내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및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문제 해결 Tip을 포함한 상세한 어법 설명이 지문의 내용은 물론 혹시나 있을 오류까지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