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기술의 발전과 인간의 분리: 현대 직업 세계가 직면한 도전"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기술 발전으로 인해 현대 직업 세계가 직면한 문제를 다룹니다. "The divorce of the hands from the head"라는 비유는 신체적 노동과 정신적 노동의 분리를 지적하며, 기술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인간 정신과 신체가 받는 스트레스를 강조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글이 담고 있는 핵심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문제 풀이 전략을 익히세요.
함축적인 의미를 추론하는 Tip은 함축적 의미를 포함하는 부분을 먼저 독해하고 - 이 지문은 문장 7 - 그 부분의 지문과의 연관성을 찾아야 합니다. 대부분 비유적 표현으로 되어 있어 이해하기는 다소 어렵더라도 먼저 함축적 의미부를 반드시 읽고 시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독해하는 방향을 - 예를 들어,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Key가 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한국어와 영어 표현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1. 밑줄 친 The divorce of the hands from the head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If we adopt technology, we need to pay its costs. Thousands of traditional livelihoods have been pushed aside by progress, and the lifestyles around those jobs removed. Hundreds of millions of humans today work at jobs they hate, producing things they have no love for. Sometimes these jobs cause physical pain, disability, or chronic disease. Technology creates many new jobs that are certainly dangerous. At the same time, mass education and media train humans to avoid low-tech physical work, to seek jobs working in the digital world. The divorce of the hands from the head puts a stress on the human mind. Indeed, the sedentary nature of the best-paying jobs is a health risk ─ for body and mind.
* chronic: 만성의 ** sedentary: 주로 앉아서 하는
② endless competition in the labor market
③ not getting along well with our coworkers
④ working without any realistic goals for our career
⑤ our increasing use of high technology in the workplace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7
The divorce of the hands from the head puts a stress on the human mind.
주요 단어 정리
- divorce: 분리, 이혼 (동의어: separation, disconnection / 반의어: union, connection)
- stress: 압박, 스트레스 (동의어: tension, strain / 반의어: relief, relaxation)
- put a stress: 스트레스를 가하다(초래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divorce/ of the hands>/ from the head]/
- [<분리가/ 손의>/ 머리로부터의]/
- <puts/ a stress>/ on the human mind.
- <가합니다(초래합니다)/ 스트레스를>/ 인간의 정신에.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divorce”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puts“.
- 함축적 의미 추론 1
- 처음부터 비유적인 표현이 등장했습니다. 문장 7의 ”the head“와 ”the hands“가 의미하는 바를 찾으면서 문장 7의 앞에 두 개의 문장, 뒤에 문장을 먼저 독해하고 clue가 없다면 문장 1부터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6
At the same time, mass education and media train humans to avoid low-tech physical work, to seek jobs working in the digital world.
주요 단어 정리
- at the same time: 동시에
- mass education: 대중 교육
- train: 훈련하다, 가르치다 (동의어: educate, teach / 반의어: neglect, ignore)
- avoid: 피하다 (동의어: evade, escape / 반의어: confront, face)
- low-tech physical work: 저기술 육체 노동
- seek: 추구하다 (동의어: pursue, search for / 반의어: avoid, reject)
- digital world: 디지털 세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t the same time,/
- 동시에,/
- <mass education and media>/ train/ humans/ [[to avoid/ low-tech physical work],/ (+and)/ [to seek/ [jobs/ (which or that are) working(→for working)/ in the digital world]]].
- <대중 교육과 미디어가>/ 훈련합니다/ 인간을/ [[피하도록/ 저기술 육체노동을],/ (+그리고)/ [추구하도록/ [일자리를/ 일하는(→일하기 위한))/ 디지털 세계에서]]].
어법 설명
- 5형식 문형 "train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병렬 구조 오류
- ”train/ humans/ [[to avoid/ low-tech physical work],/ (+and)/ [to seek/ [jobs/ (which or that are) working(→for working)/ in the digital world]]]“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train”은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다만, 문맥상 및 형태상 목적격 보어인 “to 부정사”가 병렬 연결된 구조입니다. 따라서, “and”를 추가하는 것이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의미상 오류
- "[jobs/ (which or that are) working(→for working)/ in the digital world]“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job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디지털 세계에서 일하고 있는 직업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다만, 현재의 형태에선, 선행사인, ”jobs“가 일을 하고 있다는 의미가 되어 의미상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working“을 ”for working(일하기 위한)“의 의미로 변경해야 의미상 적절합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2
- 문장 6의 내용으로부터 문장 7의 ”the hands“는 ”low-tech physical work“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the head“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the hands“의 반의어인 ”high=tech mental work“정도로 추정됩니다. 즉, 문장 7을 재구성하면, ”고기술 일로부터 저기술 육제 노동의 분리가 인간의 정신에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는 의미로 추정된다는 것입니다. 보기를 확인하면, ”⑤ our increasing use of high technology in the workplace(직장에서 늘어나고 있는 우리의 고기술의 사용)“이 가장 가깝습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문장 5를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5
Technology creates many new jobs that are certainly dangerous.
주요 단어 정리
- create: 창출하다 (동의어: generate, produce / 반의어: destroy, eliminate)
- dangerous: 위험한 (동의어: hazardous, risky / 반의어: safe, secu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echnology creates/ [many new jobs/ that are certainly dangerous].
- 기술이 창출합니다/ [많은 새로운 일자리를/ 분명히 위험한].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many new jobs/ that are certainly dangerous]”에서 “that”은 선행사 “jobs”를 수식하며, "위험한 일자리"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3
- 문장 6의 핵심 내용은 “고기술(high-tecn technology)”을 “Technology”로 변경하여 “확실히 위험한 새로운 직업”을 창출하고 있다고 진술하여 문장 7과 문장 6의 내용과 연계하면, “인간 정신에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를 “dangerous(위험한)”으로 바꾸어 표현하는 것으로 추론됩니다. 아직 추론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문장 8을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8
Indeed, the sedentary nature of the best-paying jobs is a health risk ─ for body and mind.
주요 단어 정리
- indeed: 실제로, 진정, 참으로
- sedentary: 앉아서 하는, 정적인 (동의어: inactive, stationary / 반의어: active, dynamic)
- nature: 본성, 특성
- best-paying job: 가장 보수를 많이 주는(보수가 높은) 직업
- health risk: 건강 위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deed,/
- 실제로,/
- <the sedentary nature/ of the best-paying jobs>/ is a health risk/
- <정적인 특성이/ 가장 보수를 많이 주는(보수가 높은) 직업들의>/ 건강 위험입니다/
- ─/ <for body and mind>.
- 다시 말해/ <신체와 정신에 대해>.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sedentary nature”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함축적 의미 추론 4 & 모호한 비유 표현의 수정 필요성
- 문장 8에서도 ”the nest-paying jobs“는 ”high-tech jobs“의 대체 표현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한 근거는, ”문장 6의 "jobs working in the digital world"는 기술 기반(high-tech) 직업을 지칭하며, 이는 "고임금 직업"과 연결된다는 점“과 ”문장 8의 "sedentary nature"의 특성은 주로 디지털 기술과 연관된 직업을 암시한다는 점“, ”문장 5와 6에서 기술 발전이 디지털 직업과 고임금 직업을 연결한다는 맥락이 드러난다는 점“입니다. 다만, 이렇게 되면, 문장 7의 비유적 표현, ”[<The divorce/ of the hands>/ from the head]“는 ”[The shift/ <from the hands/ to the head>](손으로부터 머리로의 전환)“로 표현했어야 문맥상 적절합니다. 즉, 비유적 표현 자체의 방향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시험에서는 이를 넘어 비유의 의도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의 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문장 1로 돌아가서 지문의 나머지 부분을 분석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1
If we adopt technology, we need to pay its costs.
주요 단어 정리
- adopt: 채택하다, 받아들이다 (동의어: embrace, accept / 반의어: reject, abandon)
- need to 부정사: ~해야 한다
- cost: 비용, 대가 (동의어: price, expense / 반의어: benefit, gai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we adopt/ technology],/
- [만약 우리가 채택한다면/ 기술을],/
- we need to pay/ its costs.
- 우리는 지불해야 합니다/ 그것의 대가를.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we adopt/ technology]”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 ~한다면"의 의미를 전달.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 “need to pay”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need”의 목적어 역할.
문장 2
Thousands of traditional livelihoods have been pushed aside by progress, and the lifestyles around those jobs removed.
주요 단어 정리
- thousands of~: 수천 개의~
- traditional: 전통적인
- livelihood: 생계, 생업 (동의어: occupation, sustenance / 반의어: idleness, unemployment)
- push aside: 밀어내다, 배제하다 (동의어: displace, replace / 반의어: retain, preserve)
- progress: 진보, 발전 (동의어: advancement, improvement / 반의어: stagnation, regression)
- remove: 제거하다, 없애다 (동의어: eliminate, erase / 반의어: retain, resto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ousands of traditional livelihoods/ have been pushed aside/ by progress,/
- 수천 개의 전통적인 생계가/ 밀려났습니다/ 진보에 의해,/
- and/ <the lifestyles/ around those jobs>/ removed(→were removed).
- 그리고/ <생활방식들이/ 그 일자리 주변의>/ 없앴습니다(→없어졌습니다).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수동태 [have + been + pp]
- “have been pushed aside”는 현재완료 수동태로 과거에서 현재까지 영향을 끼친 결과를 나타냅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문장을 and로 연결
- “Thousands of traditional livelihoods/ have been pushed aside/ by progress”와 “<the lifestyles/ around those jobs>/ removed(→were removed)”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능동태의 오류 – 의미상 수동태
- 동사 “remove”는 타동사로 “removed”는 “were removed”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능동으로 표현하고 싶은 경우, “disappeared”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문장 3
Hundreds of millions of humans today work at jobs they hate, producing things they have no love for.
주요 단어 정리
- hundreds of millions of~: 수억 명의~
- hate: 싫어하다 (동의어: despise, detest / 반의어: like, love)
- produce: 생산하다 (동의어: create, generate / 반의어: destroy, consum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undreds of millions of humans/ today/ work/ [at jobs/ (which or that) they hate],/
- 수억 명의 사람들이/ 오늘날/ 일합니다/ [직업(직장)에서/ 그들이 싫어하는],/
- [producing/ [things/ (which or that)/ they have no/ love/ for]].
- [생산하면서/ [물건들을(것들을)/ 그것들에 대해/ 그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어떠한 애정도]].
어법 설명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1
- “[at jobs/ (which or that) they hate]”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은 “선행사, “jobs”를 수식하여, “그들이 싫어하는 직업(직장)(들)에서”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분사구문
- “[producing/ [things/ (which or that)/ they have no/ love/ for]]”은 “[while they produc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Hundreds of millions of humans)”가 생략되고 동사 “produce”가 “produc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2
- “[things/ (which or that)/ they have no/ love/ for]”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은 “선행사, “things”를 수식하여, “그들이 그것들에 대해 어떠한 애정도 가지고 있지 않은 물건들을(것들을)”의 의미를 전달.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주어진 표현을 “[things/ for which/ they have no/ love(=don’t have/ any love)]”와 같이 재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문장 4
Sometimes these jobs cause physical pain, disability, or chronic disease.
주요 단어 정리
- cause: 초래하다, 유발하다 (동의어: result in, trigger / 반의어: prevent, avoid)
- physical pain: 신체적 고통
- disability: 장애 (동의어: impairment, handicap / 반의어: ability, capability)
- chronic: 만성의 (동의어: persistent, constant / 반의어: acute, temporary)
- disease: 질병, 질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metimes,/ these jobs cause/ <physical pain, disability, or chronic disease>.
- 때로는,/ 이러한 직업들이 초래합니다/ <신체적 고통, 장애, 또는 만성 질환을>.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physical pain, disability, or chronic disease”는 병렬 구조로 나열되었습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손과 머리의 분리"는 기술 발전으로 인한 육체 노동의 감소와 디지털 중심 직업의 증가가 인간의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를 초래함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핵심 비유 분석
- 문장 7의 "The divorce of the hands from the head"는 비유적으로 "신체적 노동(손)"과 "정신적 노동(머리)"의 분리를 나타내며, 이는 현대 사회에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의 신체적 활동이 줄어들고, 주로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직업(정신적 노동)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뜻합니다. 이로 인해 인간의 정신적 스트레스와 건강 문제를 초래하고 있음을 지적합니다.
보기 검토 및 답안 선택
- ① ignorance of modern technology (현대 기술에 대한 무지)
- 기술 채택과 관련된 내용은 있으나, 핵심은 "기술에 대한 무지"가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 ② endless competition in the labor market (노동 시장에서의 끝없는 경쟁)
- 경쟁에 대한 언급은 없으므로 오답입니다.
- ③ not getting along well with our coworkers (직장에서 동료들과의 불화)
- 동료와의 관계에 대한 내용은 없으므로 오답입니다.
- ④ working without any realistic goals for our career (현실적인 목표 없이 일하는 것)
- 직업에 대한 불만족은 언급되었지만, 구체적으로 "목표 없는 일"에 대한 내용은 없으므로 오답입니다.
- ⑤ our increasing use of high technology in the workplace (직장에서 늘어나는 고기술의 사용)
- "고기술의 사용 증가"와 "신체적 노동의 감소 및 정신적 스트레스"가 지문의 핵심 내용과 일치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⑤번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기술과 인간의 균형: 미래를 위한 과제"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현대 직업 세계에서 기술 사용의 증가가 가져오는 영향을 비판적으로 조망하며, 신체적 노동과 정신적 노동의 균형을 재고할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분석을 통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명확히 이해하고, 비유적 표현의 함축적 의미를 파악하는 연습으로 독해력을 강화하세요.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또한, 시험 대비뿐만 아니라, 영어 독해 실력을 키울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