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상황에 따른 학습 전략: 성공적인 학습의 비결"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학습자가 상황에 따라 유연한 학습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합니다. 고정된 방식 대신, 각 상황에 적합한 접근법을 통해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글은 숙련된 학습자가 어떻게 학습의 유연성을 통해 성과를 높이는지 설명하며, 실제 시험 대비와 학습법 개선에 영감을 줍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이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en students are starting their college life, they may approach every course, test, or learning task the same way, using what we like to call “the rubber-stamp approach.” Think about it this way: Would you wear a tuxedo to a baseball game? A colorful dress to a funeral? A bathing suit to religious services? Probably not. You know there’s appropriate dress for different occasions and settings. Skillful learners know that “putting on the same clothes” won’t work for every class. They are flexible learners. They have different strategies and know when to use them. They know that you study for multiple-choice tests differently than you study for essay tests. And they not only know what to do, but they also know how to do it.
② 선다형 시험과 논술 시험은 평가의 형태와 목적이 다르다.
③ 문화마다 특정 행사와 상황에 맞는 복장 규정이 있다.
④ 학습의 양보다는 학습의 질이 학업 성과를 좌우한다.
⑤ 학습 목표가 명확할수록 성취 수준이 높아진다.문장별 분석
문제 풀이와 정답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hen students are starting their college life, they may approach every course, test, or learning task the same way, using what we like to call “the rubber-stamp approach.”
주요 단어 정리
- college life: 대학 생활
- approach: 접근하다 (동의어: tackle, address / 반의어: avoid, ignore)
- course: 과정
- task: 과제 (동의어: assignment, duty / 반의어: leisure, pastime)
- (in) the same way: 동일한 방식으로
- like to 부정사: ~하기를 좋아하다
- rubber-stamp: 고무도장, 획일적인 (비유적 표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students are starting/ their college life],/
- [학생들이 시작할 때/ 그들의 대학 생활을],/
- they may approach/ <every course, test, or learning task>/ the same way,/
- 그들이 접근할지도 모릅니다/ <모든 강좌, 시험, 혹은 학습 과제를>/ 동일한 방식으로,/
- [using/ [what we like to call/ “the rubber-stamp approach”]].
- [사용하면서/ [우리가 부르기 좋아하는 것인/ "고무도장 접근법(획일적인 접근법)"이라고]].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students are starting/~]”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 “[using/ [what we like to call/ “the rubber-stamp approach”]]”은 “[while they us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students)”가 생략되고 동사 “use”가 “u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we like to call/ ~]”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그들이 부르기를 좋아하는 것“의 의미.
- 요지 추론 1
- 문장 1은 ”신입생들의 대학 생활의 모든 면에 대한 획일적인 태도“를 진술하며, 내포된 의미는 이에 대한 비판입니다. 다소 이르지만, 보기를 확인하면, ”① 숙련된 학습자는 상황에 맞는 학습 전략을 사용할 줄 안다.“이 가장 가깝습니다. ”상황에 맞는 학습 전략“은 ”they may approach/ <every course, test, or learning task>/ the same way“로부터 간접 추론이 가능하나 숙련된 학습자가 직접 진술되지 않았으므로 더 독해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2
Think about it this way: Would you wear a tuxedo to a baseball game? A colorful dress to a funeral? A bathing suit to religious services?
주요 단어 정리
- (in) this way: 이런 식으로
- wear: 입다. 입고 가다
- tuxedo: 턱시도 (정장)
- colorful: 화려한 (동의어: bright, vibrant / 반의어: dull, plain)
- funeral: 장례식
- bathing suit: 수영복
- religious: 종교적인 (동의어: spiritual, sacred / 반의어: secular, worldly)
- religious service: 종교 행사, 예배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nk/ about it/ this way/
- 생각해 보세요/ 그것에 대해/ 이런 식으로/
- :/ Would you wear/ a tuxedo/ to a baseball game?/
- 다시 말해/ 당신은 입고 가겠습니까/ 턱시도를/ 야구 경기에?/
- (Would you wear)/ A colorful dress/ to a funeral?/
- 화려한 드레스를/ 장례식에?/
- (Would you wear)/ A bathing suit/ to religious services?
- 수영복을/ 종교 행사들에?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Think/~”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가정법의 would+동사원형 & 공손한 표현
- “Would you wear/~”는 가정법 표현으로, “if you could(당신이 그럴 수 있다면)”이 생략되어 현제 사실의 반대를 가정한 경우로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한 공손한 표현임도 내포합니다.
- 병렬 구조
- “a tuxedo/ to a baseball game”, “A colorful dress/ to a funeral”, 및 “A bathing suit/ to religious services”는 같은 문형이 반복되며 병렬적으로 나열되어 비교를 강조합니다. 또한, “(Would you wear)”가 생략된 형태로도 볼 수 있습니다.
- 요지 추론 2
- 문장 2는 “상황에 맞지 않은 복장”을 제시하여, 문장 1의 “같은 방식으로의 대학 생활에 대한 획일적인 접근법”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현재 확인하려는 것은 “숙련된 학습자”에 대한 근거이므로 계속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3
Probably not. You know there’s appropriate dress for different occasions and settings.
주요 단어 정리
- appropriate: 적절한 (동의어: suitable, proper / 반의어: inappropriate, unsuitable)
- occasion: 경우, 행사 (동의어: event, circumstance / 반의어: permanence, constancy)
- setting: 환경, 상황 (동의어: environment, context / 반의어: isolation, disconnec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robably/ not./
- 아마도/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 You know/ [(that) there’s appropriate dress/ <for different occasions and settings>].
- 당신은 알고 있습니다/ [적절한 복장이 있다는 것을/ <다양한 경우들과 상황들을 위한(에 적합한)>].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know/ [(that)~]"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know"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요지 추론 3
- 문장 3는 이미 앞서 진술한 내용(상황에 알맞은 복장)을 알고 있다고 진술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문장 4에서 직접 언급하는 “숙련된 학습자”를 암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문장 4
Skillful learners know that “putting on the same clothes” won’t work for every class.
주요 단어 정리
- skillful: 능숙한, 숙련된 (동의어: adept, proficient / 반의어: unskilled, clumsy)
- learner: 학습자
- work: 효과가 있다 (동의어: function, succeed / 반의어: fail, malfunc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killful learners know/ [that “putting on/ the same clothes”/ won’t work/ for every class].
- 숙련된 학습자들은 압니다/ [“입는 것이/ 같은 옷을”/ 효과가 없다는 것을/ 모든 수업에 대해].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know/ [that~]"에서 "that"은 동사, "know"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putting on/ the same clothes”에서 사용된 용법. 주어 역할. ”같은 옷을 입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that 절“의 주어 역할.
- 요지 추론 4과 중의적 표현
- 문장 4는 문장 1부터 찾고 있던 ”숙련된 학습자(Skillful learners)“의 직접 진술이 있기에, 일단 실전에서는 정답을 ①번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다만, 이 문장에서 “putting on/ the same clothes”는 “the same approaches”를 의미합니다. 이를 감안하여 “that 절”을 재구성하면, “[that “the same approaches”/ won’t work/ for every class(동일한 접근방식들이 모든 수업에 효과가 없을 것이란 것)]”으로 정확한 의미를 전달합니다. 그런데, 원래 문장인 “[that “putting on/ the same clothes”/ won’t work/ for every class]”를 다시 검토해보면, “that 절”의 주어 "putting on/ the same clothes”와 동사 “won’t work”과 전치사구 “for every class”의 관계성으로 볼 때 상당히 어색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주절의 주어가 이미 “Skillful learenrs”로 표현된 만큼 이미 재구성한 문장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최소한 올바른 문맥을 위해서, “won’t work”을 “won’t be appropriate(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for every class”를 “for every occasion(모든 경우를 위한)”로 변경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문장 5
They are flexible learners. They have different strategies and know when to use them.
주요 단어 정리
- flexible: 유연한 (동의어: adaptable, versatile / 반의어: rigid, inflexible)
- strategy: 전략 (동의어: plan, tactic / 반의어: improvisation, randomn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are flexible learners.
- 그들은/ 유연한 학습자들입니다.
- They [have/ different strategies]/ and/ [know/ [when to use/ them]].
- 그들은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전략들을]/ 그리고/ [압니다/ [언제 사용해야 할지를/ 그것들을]].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have/ different strategies]”와 “[know/ [when to use/ them]]”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when to use/ them]“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when they should use/ them]“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언제 그것들을(전략들을) 사용해야 하는지“의 의미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문장 5는 문장 4의 ”숙련된 학습자“의 특성을 보충 설명합니다.
문장 6
They know that you study for multiple-choice tests differently than you study for essay tests.
주요 단어 정리
- multiple-choice test: 객관식 시험
- essay test: 논술 시험
- differently: 다르게 (동의어: uniquely, distinctively / 반의어: similarly, identic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know/ [that you study/ for multiple-choice tests/ differently/ [than(→from when) you study/ for essay tests]].
- 그들은 압니다/ [당신이 공부한다는 것을/ 객관식 시험을 위해/ 다르게/ [당신이 공부하는 것보다(→공부할 때와는)/ 논술 시험을 위해]].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know/ [that~]"에서 "that"은 동사, "know"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적절하지 않은 비교 구문의 사용과 의미상 수정 필요성
- “differently/ [than(→from when) you study/ for essay tests]”에서 이 앞에 비교급이 사용되지 않았고, “differently”의 사용으로 “[from when you study/ for essay tests]”으로 표현을 변경하는 것이 형태상 및 의미상 더 적절합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문장 6는 문장 4부터 언급된 ”숙련된 학습자“의 특성을 보충 설명합니다.
문장 7
And they not only know what to do, but they also know how to do it.
주요 단어 정리
- not only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도
- how: 어떻게 (동의어: in what way, by what mean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they not only know/ [what to do],/ but they also know/ [how to do/ it].
- 그리고/ 그들은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또한/ 그들은 압니다/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하는 방법을)/ 그것을].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문장을 등위 상관 접속사로 연결
- “they not only know/ [what to do],/ but they also know/ [how to do/ it]”는 등위 상관 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로 두 개의 문장을 연결한 구조.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두 곳
- ”[what to do]“와 ”[how to do/ it]“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각각, ”[what they should do]“와 ”[how they should do/ it]“으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각각, ”무엇을 해야 하는지“과 ”어떻게 그것을 해야 하는지(그것을 할 수 있는 방법)“의 의미.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문장 7도 문장 4부터 언급된 ”숙련된 학습자“의 특성을 보충 설명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본문은 학습자가 상황에 맞는 유연한 학습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특히 "숙련된 학습자"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학습자가 각각의 상황에 적합한 접근법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답안 선택
- ① 숙련된 학습자는 상황에 맞는 학습 전략을 사용할 줄 안다.
- 본문의 핵심 주장과 일치.
- ② 선다형 시험과 논술 시험은 평가의 형태와 목적이 다르다.
- 평가의 형태는 언급되었으나, 요지는 아님.
- ③ 문화마다 특정 행사와 상황에 맞는 복장 규정이 있다.
- 복장 규정은 비유로 사용된 것이며, 요지와 무관.
- ④ 학습의 양보다는 학습의 질이 학업 성과를 좌우한다.
- 학습의 질과 양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음.
- ⑤ 학습 목표가 명확할수록 성취 수준이 높아진다.
- 학습 목표에 대한 내용은 본문에 언급되지 않음.
정답 제시
- 따라서, ”① 숙련된 학습자는 상황에 맞는 학습 전략을 사용할 줄 안다.“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유연성이 학습의 열쇠다"
2023년 3월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모든 학습 상황에 동일한 접근법을 적용하는 오류를 지적하며, 상황에 맞는 학습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숙련된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 방법을 유연하게 조정하여 각 상황에 맞는 최적의 결과를 도출합니다. 이러한 유연한 학습 전략은 학업뿐만 아니라 삶의 다른 영역에서도 성공을 이끄는 중요한 자질입니다.
학생들은 이 지문을 통해 "상황에 따른 맞춤 학습의 중요성"을 깨닫고, 실질적인 학습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요지 찾기 문제의 학습을 통해 논리적으로 요지를 찾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