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어법 문제, 그 이상의 질문을 던지다"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29번 문제는 동물 캐릭터의 인간화를 다룬 글을 바탕으로 어법적 오류를 찾는 유형입니다. 이 글은 동물 캐릭터의 매력과 인간적 특성을 강조하는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지만, 어법적으로 다수의 오류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순히 어법 문제를 푸는 데 그치지 않고, 지문 작성 과정에서의 논리적 완성도를 고민하며 어법 오류를 분석해보는 것이 이번 분석의 핵심입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직독 직해로도 알려진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의미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어법 문제를 해결하는 Tip은 “대명사의 수를 묻는 문제를 제외하고 어법이 포함된 문장만 확인하라는 것”입니다. 어법은 대부분의 경우, 해당 문장의 해석을 통해서 대부분 해결되며 어떤 경우는 어법적 형태로 확인해야 하는 부분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어법적 형태에 대한 지식도 요구되므로 유사한 문제의 해설 내용을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도 이 유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좋은 훈련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The most noticeable human characteristic projected onto animals is ①that they can talk in human language. Physically, animal cartoon characters and toys ②made after animals are also most often deformed in such a way as to resemble humans. This is achieved by ③showing them with humanlike facial features and deformed front legs to resemble human hands. In more recent animated movies the trend has been to show the animals in a more “natural” way. However, they still use their front legs ④like human hands (for example, lions can pick up and lift small objects with one paw), and they still talk with an appropriate facial expression. A general strategy that is used to make the animal characters more emotionally appealing, both to children and adults, ⑤are to give them enlarged and deformed childlike features.

* deform: 변형하다 ** paw: (동물의) 발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 most noticeable human characteristic projected onto animals is ① that they can talk in human language.

주요 단어 정리

  • noticeable: 눈에 띄는, 주목할 만한 (동의어: conspicuous, prominent / 반의어: insignificant, unnoticeable)
  • characteristic: 특징, 특성 (동의어: trait, feature / 반의어: anomaly)
  • project: 투영하다, 나타내다 (동의어: cast, display / 반의어: obscure, conceal)
  • human language: 인간의 언어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most noticeable human characteristic/ (that are) projected/ onto animals]/ is [that they can talk/ in human language].
  • [가장 눈에 띄는 인간의 특성은/ 투영된/ 동물들 위에]/ 입니다/ [그들이(인간들이)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 인간 언어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most noticeable human characteristic”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e most noticeable human characteristic(that are) projectedonto animals]“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e most noticeable human characteristic“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이 경우, ”which are“는 사용 못함(선행사에 최상급, 서수가 포함된 경우).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동물들 위에 투영된 가장 눈에 띄는 인간의 특성“의 의미를 전달.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어법적 적절성 검토
  • "is [that they can talk/ in human language]"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따라서, “① that”은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인간의 가장 큰 특성 = 언어의 사용”

문장 2

Physically, animal cartoon characters and toys ②made after animals are also most often deformed in such a way as to resemble humans.

주요 단어 정리

  • physically: 신체적으로, 물리적으로 (동의어: bodily, tangibly / 반의어: mentally, abstractly)
  • made after~: ~을 본떠 만들어진
  • deform: 변형하다 (동의어: distort, warp / 반의어: restore, normalize)
  • such A as B: B와 같은 그러한 A
  • resemble: 닮다 (동의어: look like, be similar to / 반의어: differ, contras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hysically,/ [<animal cartoon characters and toys>/ (which or that are) made/ after animals]/ are also most often deformed/ [in such a way/ as to resemble(→resembling) humans].
  • 신체적으로,/ [<동물 만화 캐릭터들과 장난감들은>/ 만들어진/ 동물들을 본떠]/ 또한 가장 자주 변형됩니다/ [그러한 방식으로/ 인간을 닮은 것 같은].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animal cartoon characters and toys>”로 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복수 형태인, ”are also most often deformed“.
  •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어법적 적설성 검토
  • "[<animal cartoon characters and toys>/ (which or that are) madeafter animals]“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animal cartoon characters and toy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동물들을 본떠 만들어진 동물 만화 캐릭터들과 장난감들“의 의미를 전달. 따라서, ”② made“는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수동태[be + pp]
  • are also most often deformed”에서 사용된 어법. "또한 가장 자주 변형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어법적 오류
  • "such a way/ as to resemble(→resembling) humans“에서 as“는 전치사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to resemble“은 동명사인, ”resembling“으로 변경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인간을 닮은 것 같은 그러한 방식으로"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동물 만화 캐릭터들과 장난감들의 인간을 닮은 방식으로의 신체적 변형”

문장 3

This is achieved by ③showing them with humanlike facial features and deformed front legs to resemble human hands.

주요 단어 정리

  • achieve: 이루다, 달성하다 (동의어: accomplish, attain / 반의어: fail, lose)
  • humanlike: 인간 같은 (동의어: humanoid, anthropomorphic / 반의어: nonhuman)
  • feature: 특징, 얼굴 생김새 (동의어: aspect, attribute / 반의어: normalcy)
  • resemble: 닮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achieved/ [by showing/ [them/ [<with humanlike facial features and deformed front legs>/ <to resemble/ human hands>]]].
  • 이것은 이루어집니다/ [보여주는 것에 의해서(보여줌으로써)/ [그것들을(동물 만화 캐릭터들과 장난감들을)/ [<인간 같은 얼굴의 특징들과 변형된 앞다리들을 가진>/ <닮은/ 인간 손들을>]]].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is achieved”에서 사용된 어법. "이루어진다(성취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어법적 적절성 검토
  • "by showing[them/~]“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by“의 목적어 역할. ”보여주는 것에 의하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다만, ”보여줌으로써“로 의역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따라서, ”③ showing“은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with humanlike facial features and deformed front legs>/ <to resemble/ human hands>”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humanlike facial features and deformed front legs”를 수식.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동물 만화 캐릭터들과 장난감들을 인간처럼 보이게 하는 구체적 방법”

문장 4

In more recent animated movies the trend has been to show the animals in a more “natural” way.

주요 단어 정리

  • recent: 최근의 (동의어: current, modern / 반의어: old, past)
  • animated movie: 애니메이션 영화
  • trend: 경향, 추세 (동의어: tendency, inclination / 반의어: anomaly, exception)
  • natural: 자연스러운 (동의어: realistic, unaltered / 반의어: artificial, contriv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more recent animated movies,/ the trend has been to show/ the animals/ in a more “natural” way.
  • 더 최근의 애니메이션 영화에서는,/ 그 경향은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 동물들을/ 더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시제 "has been"
  • "has been to show"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 be + to 부정사
  • "has been to show"에서 사용된 어법.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하나 여기서는, “가능”의 의미.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아울러,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이나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be to 부정사와 같은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보다 현대적인 모방 방식 - 자연스러워짐”

문장 5

However, they still use their front legs ④like human hands (for example, lions can pick up and lift small objects with one paw), and they still talk with an appropriate facial expression.

주요 단어 정리

  • still: 여전히, 계속해서 (동의어: continually, yet / 반의어: no longer)
  • pick up: 집다
  • lift: 들어올리다
  • object: 물건, 물체
  • paw: (동물의) 앞발
  • appropriate: 적절한 (동의어: suitable, proper / 반의어: inappropriate, unsuitable)
  • facial expression: 얼굴 표정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 그러나,/
  • they still use/ their front legs/ like human hands/ (for example,/ lions can pick up and lift/ small objects/ with one paw),/ and/ they still talk/ with an appropriate facial expression.
  • 그것들은(동물 만화 캐릭터들) 여전히 사용합니다/ 그들의 앞발들를/ 인간의 손처럼/ (예를 들어,/ 사자들이 집어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 작은 물체들을/ 한 발로),/ 그리고/ 그것들은(동물 만화 캐릭터들은) 여전히 말합니다/ 적절한 얼굴 표정들을 가지고(지으며).

어법 설명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전치사 "like" & 어법적 적절성 검토
  • "like human hands"는 "앞다리를 인간 손(들)처럼"의 의미로 적절합니다. 따라서, “④ like”는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앞서 이미 네 개의 항목이 어법적으로 적절하므로, 실전에서는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보다 현대적인 모방 방식의 한계 – 인간의 행동과 비슷”

문장 6

A general strategy that is used to make the animal characters more emotionally appealing, both to children and adults, ⑤are to give them enlarged and deformed childlike features.

주요 단어 정리

  • strategy: 전략 (동의어: tactic, plan / 반의어: improvisation)
  • emotionally: 감정적으로, 정서적으로
  • appealing: 매력적인 (동의어: attractive, engaging / 반의어: unappealing, off-putting)
  • enlarged: 확대된
  • deformed: 변형된
  • childlike: 아이 같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general strategy/ that is used/ <to make/ the animal characters/ more emotionally appealing>,/ <both to children and adults>]/
  • [일반적인 전략은/ 사용되는/ <만들기 위해서/ 동물 캐릭터들을/ 더 정서적으로 매력적으로>,/ <아이들과 성인들 둘 다에게>]/
  • are(→is) to give/ them/ [<enlarged and deformed> childlike features].
  • 주기 위한 것입니다/ 그들에게/ [<확대되고 변형된> 아이 같은 특징들을].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어법적 적절성 검토
  • 이 문장의 주어는 ”A general strategy”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is to give“여야 하나, ”are to give“로 복수. 따라서, 어법적으로 부적절합니다. are to give“는 is to give“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general strategythat is used/ <to make/ the animal characters/ more emotionally appealing>,/ <both to children and adults>]”에서 “that”은 선행사, “A general strategy”을 수식하여, “아이들과 성인들 둘 다에세 더 정서적으로 매력적인 동물 캐릭터들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전략”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 "is used"에서 사용된 어법. "사용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ake/ the animal characters/ more emotionally appealing>"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구 "is used"를 수식.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to make/ the animal characters/ more emotionally appealing>”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be + to 부정사
  • "are(→is) to give"에서 사용된 어법.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아울러,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이나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be to 부정사와 같은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아이들과 성인들 모두에게 매력적인 동물 만화 캐릭터를 만들기 위한 전략”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동물 캐릭터의 인간화는 감정적 매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이는 신체적 특징의 변형과 인간적 행동을 모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어법상 틀린 부분

  • 지문 내 밑줄 친 어법 요소를 분석한 결과, 문장 6의 ⑤ are가 주어 "A general strategy"와 수의 일치를 이루지 못했으므로 is로 수정해야 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 “⑤ are → is”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어법 문제의 본질, 글의 완성도를 높이는 기회"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동물 캐릭터의 인간화라는 흥미로운 주제를 통해 어법 문제를 제시했지만, 어법적으로 다수의 오류를 포함하여 문장의 논리적 일관성과 완성도를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이러한 지문을 분석하면서 어법 문제의 해결에 그치지 않고, 어법 오류가 글의 신뢰성과 전달력에 미치는 영향을 고민할 수 있습니다.

결국, 어법 문제는 단순한 시험 유형을 넘어 문장 구조와 글의 완성도를 개선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