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모든 창작물이 현실화되기 전 창작자의 마음속에서 먼저 완성된다는 주제를 다룹니다. 이 과정은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다듬고,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는 인간이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는 방식과 유사합니다.

본 지문은 단순히 창작 과정의 중요성을 넘어, 미래를 설계하고 실현하는 인간의 본질적 과정을 비유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독해뿐만 아니라 사고력과 창의력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100% 다 그렇지는 않지만,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본 지문은 빈칸이 마지막 문장에 있어 마지막 문장부터 독해하고 “아래에서 위로” 독해하면서 빈칸에 대한 clue를 찾으며 독해하도록 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4.

Everything in the world around us was finished in the mind of its creator before it was started. The houses we live in, the cars we drive, and our clothing ⸻ all of these began with an idea. Each idea was then studied, refined and perfected before the first nail was driven or the first piece of cloth was cut. Long before the idea was turned into a physical reality, the mind had clearly pictured the finished product. The human being designs his or her own future through much the same process. We begin with an idea about how the future will be. Over a period of time we refine and perfect the vision. Before long, our every thought, decision and activity are all working in harmony to bring into existence what we _____________. [3점]

* refine: 다듬다

① didn’t even have the potential to accomplish
② have mentally concluded about the future
③ haven’t been able to picture in our mind
④ considered careless and irresponsible
⑤ have observed in some professionals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Everything in the world around us was finished in the mind of its creator before it was started.

주요 단어 정리

  • everything: 모든 것 (동의어: all things / 반의어: nothing)
  • around: 주변의, 주위의 (동의어: nearby, surrounding / 반의어: distant, far away)
  • finished: 완료된 (동의어: completed, done / 반의어: unfinished, incomplete)
  • creator: 창작자, 제작자 (동의어: inventor, designer / 반의어: destroyer)
  • before: ~하기 전에 (동의어: prior to, earlier than / 반의어: after, later tha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rything/ <in the world/ around us>]/ was finished/ <in the mind/ of its creator>/
  • [모든 것은/ <세상에 있는/ 우리 주위의>]/ 완성되었습니다/ <마음속에서/ 창작자의>/
  • [before it was started].
  • [그것이 시작되기 전에].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Everything”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was finished”.
  • 수동태:[be + pp]
  • "was finished"와 “was started”는 각각 "완성되었다"와 “시작되었다”라는 의미로, 수동태.
  • 시간의 부사절 “before + 주어 + 동사”
  • [before it was started]”에서 사용된 어법. “~하기 전에”의 의미를 전달.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모든 것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창작자의 마음(생각)속에서 완성되었다는 내용으로 주제문에 해당됩니다.

문장 2

The houses we live in, the cars we drive, and our clothing ⸻ all of these began with an idea.

주요 단어 정리

  • live in~: ~에서 살다
  • drive: 운전하다 (동의어: operate, control / 반의어: walk, ride)
  • clothing: 의복, 옷 (동의어: apparel, attire / 반의어: nudity)
  • begin with~: ~에서 시작하다 (동의어: start from, originate from / 반의어: end with, finish with)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houses/ (which or that) we live/ in],/ [the cars/ (which or that) we drive],/ and/ [our clothing]/
  • [집들과/ 그 안에서 우리가 사는],/ [차들과/ 우리가 운전하는],/ 그리고/ [우리의 옷들은]/
  •  —/ <all/ of these> began/ with an idea.
  • 즉/ <모든 것은/ 이러한 것들의> 시작되었습니다/ 하나의 아이디어와 함께.

어법 설명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houses(which or that) we livein]”과 “[the cars(which or that) we drive]”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각각의 “선행사, “The houses”와 “the car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각각 “그 안에서 우리가 사는 집들(The houses/ in which/ we live)”과 “우리가 운전하는 자동차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부연 설명의 문장 부호 dash(—)
  • 부연 설명의 의미로 보면 주객이 전도된 형태.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아이디어가 머릿(마음)속에서 구체화 된 후 완성품이 된다는 이 글의 핵심 내용.

문장 3

Each idea was then studied, refined and perfected before the first nail was driven or the first piece of cloth was cut.

주요 단어 정리

  • studied: 연구되다, 검토되다 (동의어: examined, analyzed / 반의어: ignored, neglected)
  • refined: 다듬다, 개선하다 (동의어: polished, improved / 반의어: worsen, coarsen)
  • perfected: 완성되다 (동의어: completed, finalized / 반의어: flawed, imperfect)
  • nail: 못
  • drive: (주로 수동태로 못을) 박다 
  • cloth: 천, 직물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ach idea <was then studied, refined and perfected>/
  • 각각의 아이디어는 <그런 다음 연구되고, 다듬어지고 완성되었습니다>/
  • [before [the first nail was driven]/ or/ [<the first piece/ of cloth>/ was cut]].
  • [[첫 번째 못이 박히기 전에]/ 혹은/ [<첫 조각이/ 천의>/ 잘리기 전에(재단이 되기 전에)]].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was then studied, refined and perfected>”, “was driven” 및 “was cut”에서 사용된 어법. "그런 다음 연구되고, 다듬어지고 완성되었다", “박히다” 및 “잘렸다(재단되었다)의 의미로 수동태.
  • 시간의 부사절 “before + 주어 + 동사”
  • [before [the first nail was driven]or[<the first pieceof cloth>/ was cut]]”에서 사용된 어법. “~하기 전에”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before 절”의 두 개의 문장을 or로 연결
  • [the first nail was driven]”와 “[<the first pieceof cloth>/ was cut]”를 or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구체적인 행위가 실행되기 전에 각각의 아이디어가 이미 마음속에서 구체화 된다는 의미로 이후 문장의 내용 전개를 위한 뒷받침.

문장 4

Long before the idea was turned into a physical reality, the mind had clearly pictured the finished product.

주요 단어 정리

  • long before~: ~하기 오래전에
  • turn into~: ~로 바뀌다, 변환되다 (동의어: transform, convert / 반의어: remain, stay)
  • physical reality: 물리적 현실
  • picture: 마음에 그리다 (동의어: envision, imagine / 반의어: disregard, neglect)
  • finished product: 완성된 제품(완성품)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Long before the idea was turned/ into a physical reality],/
  • [그 아이디어가 바뀌기 오래전에/ 물리적 현실로],/
  • the mind had clearly pictured/ the finished product.
  • 생각은 명확히 마음에 그렸습니다/ 완성된 제품을.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long before + 주어 + 동사”
  • [Long before the idea was turnedinto a physical reality]”에서 사용된 어법. “~하기 오래전에”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 was turned”에서 사용된 어법. "바뀌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실물이 나오기 전 머리에 이미 그 제품에 대한 구상이 완료된다는 의미입니다. 이후 문장과 연계하면, 어떤 것이 현실이 되기 전에 이미 그에 대한 비전을 갖는다는 말이 됩니다.

문장 5

The human being designs his or her own future through much the same process.

주요 단어 정리

  • design: 설계하다, 계획하다 (동의어: plan, devise / 반의어: destroy, neglect)
  • through~: ~을 통해 (동의어: via, by means of / 반의어: without, apart from)
  • process: 과정 (동의어: procedure, system / 반의어: chaos, randomn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human being designs/ his or her own future/ through much the same process.
  • 인간은 설계합니다/ 그 사람 자신의 미래를/ 매우 유사한 과정을 통해.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빈칸의 추론 4
  • 문장 6의 “The human being designs/ his or her own future”가 문장 6의 “an idea/ about [how the future will be]”와 문장 7의 “the vision”로 이어집니다.

문장 6

We begin with an idea about how the future will be.

주요 단어 정리

  • begin with~: ~을 가지고(~으로) 시작하다
  • idea: 생각, 개념 (동의어: notion, concept / 반의어: doubt, disbelief)
  • how: 어떻게, 어떠한 방식으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begin/ [with an idea/ about [how the future will be]].
  • 우리는 시작합니다/ [생각을 가지고/ [어떻게 미래가 될지]에 대한].

어법 설명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the future will b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빈칸의 추론 3
  • 문장 6의 “an idea/ about [how the future will be]”가 문장 7의 “the vision”으로 이어집니다.

문장 7

Over a period of time we refine and perfect the vision.

주요 단어 정리

  • a period of time: 일정 기간
  • refine: 다듬다, 개선하다 (동의어: polish, enhance / 반의어: degrade, coarsen)
  • perfect: 완성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ver <a period/ of time>],/ we refine and perfect/ the vision.
  • [<일정 기간>에 걸쳐서],/ 우리는 다듬고 완성합니다/ 그 비전을.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빈칸의 추론 2
  • “우리가 일정 시간 동안 비전을 다듬고 완성한다.“는 의미로, 문장 8과 연계하면, ”the vision“의 대체 표현이 ”what we _____________“임을 알 수 있습니다. 보기를 확인하면, ”② (what we) have mentally concluded/ about the future(미래에 대해서 정신적으로 결론을 내렸던 것“이 ”the vision“의 의미와 가장 가깝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②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다만, 이 분석서는 지문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어법적으로 또한 의미적으로 분석하여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아래에서 위로“ 독해하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8

Before long, our every thought, decision and activity are all working in harmony to bring into existence what we __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before long: 머지않아 (동의어: soon, shortly / 반의어: eventually, later)
  • decision: (의사) 결정
  • activity: 활동
  • work: 작용하다, 작동하다
  • harmony: 조화 (동의어: concord, agreement / 반의어: discord, conflict)
  • in harmony: 조화 속에서, 조화롭게
  • existence: 존재, 현실
  • bring into existence: 실현하다, 존재하게 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efore long,/ <our every thought, decision and activity>/ are all working/ in harmony/ [<to bring/ into existence>/ [what we _____________]].
  • 머지않아,/ <우리의 모든 생각, 결정, 및 활동은>/ 모두 작동하고 있을 겁니다/ 조화 속에서(조화롭게)/ [<가져오기 위헤서/ 존재 속으로(존재하도록 하기 위해서)>/ [우리가 _____________한 것]].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 "[<to bringinto existence>/ [what we _____________]]"에서 사용된 어법. “우리가 ~한 것을 실현시키기 위해서"의 의미로 동작의 목적을 나타냅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we _____________]”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우리가 ~하는 것“의 의미.
  • 빈칸의 추론 1
  • ”우리가 ~한 것을 존재하도록 하기 위해서“ 무리의 모든 생각과, 결정과 활동이 조화롭게 모두 작동하고 있을 것이다.”라고 진술하고 있으므로 그 대상을 찾아 “아래에서 위로” 독해하도록 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모든 창작물과 인간의 미래는 현실로 실현되기 전에 창작자의 마음속에서 먼저 완성되며, 이는 철저한 계획과 조화로운 노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근거 문장 제시

  • 문장 7: "우리는 일정 시간 동안 비전을 다듬고 완성한다(refine and perfect the vision)."
  • 문장 6: "미래가 어떻게 될지에 대한 아이디어(an idea about how the future will be)"가 시작점임을 명시합니다.
  • 문장 4: "아이디어가 물리적 현실로 변환되기 전에 마음속에서 완성품을 그렸다(pictured the finished product)."

정답 제시

  • 따라서, 빈칸에는 "우리가 정신적으로 미래에 대해 결론 내린 것(what we have mentally concluded about the future)"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합니다.
  • 정답: ② have mentally concluded about the future

결론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창조 과정의 역동성과 인간의 창의적 사고를 강조합니다.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완성품을 상상하며, 이를 현실로 실현하는 과정은 단순한 행위가 아닌 철저한 계획과 조화로운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우리의 미래를 설계하는 데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학생들은 이 글을 통해 창의적 사고와 구체적 행동의 중요성을 깨닫고,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실질적인 단계를 배울 수 있습니다.

본 분석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논리적 접근법과 문장 구조 분석을 통해 독해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학생들이 실전에서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