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영어 지문(35번 문제)은 이야기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어떻게 이야기의 초점과 독자의 감정적 반응을 바꾸는지 설명하는 흥미로운 주제를 다룹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지문에 포함된 모든 문장을 철저히 분석하여 주제와 흐름에서 벗어나는 문장을 찾는 데 필요한 논리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특히,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을 찾는 이 문제는 지문을 이해하고 각 문장이 전반적인 맥락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을 잘 활용하여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고 기대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Whose story it is affects what the story is. Change the main character, and the focus of the story must also change. If we look at the events through another character’s eyes, we will interpret them differently. ① We’ll place our sympathies with someone new. ② When the conflict arises that is the heart of the story, we will be praying for a different outcome. ③ Consider, for example, how the tale of Cinderella would shift if told from the viewpoint of an evil stepsister. ④ We know Cinderella’s kingdom does not exist, but we willingly go there anyway. ⑤ Gone with the Wind is Scarlett O’Hara’s story, but what if we were shown the same events from the viewpoint of Rhett Butler or Melanie Wilkes?

* sympathy: 공감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hose story it is affects what the story is.

주요 단어 정리

  • whose: 누구의 (동의어: belonging to whom / 반의어: none’s)
  • affect: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influence, impact / 반의어: ignore, neglec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ose story/ it is]/ affects/ [what/ the story is(→how/ the story unfolds)].
  • [누구의 이야기인지가/ 그것이]/ 영향을 미칩니다/ [무엇인가에/ 그 이야기가(→어떻게/ 그 이야기가 전개되는지)].

어법 설명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ose storyit is]”와 “[whatthe story is(→howthe story unfolds)]”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다만, 이 문장 다음에 진술되는 내용을 근거로 보면, “whatthe story is”는 “howthe story unfolds(어떻게 이야기가 전개되는지)”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다시 말해, 이야기의 정체나 본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 그 이야기의 전개 방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문장 2

Change the main character, and the focus of the story must also change.

주요 단어 정리

  • character: 등장인물 (동의어: role, persona / 반의어: nonentity)
  • focus: 초점 (동의어: emphasis, center / 반의어: distraction, periphery)
  • must+동사원형: 반드시 ~하다, ~임에 틀림이 없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hange/ the main character,/ and/ <the focus/ of the story>/ must also change.
  • 주요 인물을 바꾸세요/ 그러면/ <초점이/ 그 이야기의>/ 또한 반드시 변화합니다.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and - “~하세요 / ~해라” “그러면 –합니다” 
  • Change/ the main character,/ and/~”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이야기의 주인공이 바뀌면 이야기의 초점(전개 방향)이 바뀐다는 내용

문장 3

If we look at the events through another character’s eyes, we will interpret them differently.

주요 단어 정리

  • look at~: ~을 보다
  • event: 사건 (동의어: occurrence, happening / 반의어: inactivity, stagnation)
  • interpret: 해석하다 (동의어: analyze, decode / 반의어: misunderstand, confu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we look at/ the events/ through another character’s eyes],/
  • [우리가 사건들을 바라본다면/ 다른 등장인물의 눈을 통해서(시각으로)],/
  • we will interpret/ them/ differently.
  • 우리는 해석할 것입니다/ 그것들을(사건들을)/ 다르게.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we look at/~]”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주인공이 바뀌면 사건에 대한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는 내용으로 이전 내용과의 연결이 자연스럽습니다.

문장 4

(①) We’ll place our sympathies with someone new.

주요 단어 정리

  • place: 두다, 위치시키다 (동의어: situate, assign / 반의어: remove, displace)
  • sympathy: 공감 (동의어: compassion, understanding / 반의어: apathy, indiffere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ll place/ our sympathies/ with someone new.
  • 우리는 둘 것입니다/ 우리의 공감을(공감할 갓입니다)/ 새로운 누군가에게.

어법 설명

  • 부정대명사 + 형용사
  • “~one“의 부정대명사는 형용사가 후치 수식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사건에 대한 해석이 달라졌으므로) 따라서 공감의 대상도 바뀐다는 의미로 이전의 내용과의 연결이 자연스럽습니다.

문장 5

(②) When the conflict arises that is the heart of the story, we will be praying for a different outcome.

주요 단어 정리

  • conflict: 갈등 (동의어: clash, struggle / 반의어: agreement, harmony)
  • arise: 발생하다 (동의어: occur, emerge / 반의어: disappear, subside)
  • heart: 핵심, 중시
  • pray for~: ~을 위해 기도하다, ~을 바라다
  • outcome: 결과 (동의어: result, consequence / 반의어: cause, inpu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he conflict arises/ that is <the heart/ of the story>],/
  • [갈등이 발생할 때/ 핵심인/ 이야기의],/
  • we will be praying/ for a different outcome.
  • 우리는 기도하고(바라고) 있게 될 것입니다/ 다른 결과를 위해서(다른 결과를).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the conflict arises/~”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미래 진행 시제 ‘will be + V-ing“
  • will be praying”에서 사용된 어법. “~하고 있게 돌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4의 핵심 내용
  • (공감의 대상이 바뀌었으므로) 다른 결과를 바라고 있게 된다는 의미 역시 이전의 내용과의 연결이 자연스럽습니다.

문장 6

(③) Consider, for example, how the tale of Cinderella would shift if told from the viewpoint of an evil stepsister.

주요 단어 정리

  • consider: 고려하다 (동의어: think about, reflect on / 반의어: disregard, neglect)
  • tale: 이야기
  • shift: 바뀌다 (동의어: change, alter / 반의어: remain, persist)
  • tell: 진술하다, 말하다
  • viewpoint: 관점 (동의어: perspective, stance / 반의어: ignorance, indifference)
  • evil: 사악한
  • stepsister: 의붓자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nsider,/ for example,/ [how/ <the tale/ of Cinderella>/ would shift]/
  • 고려해 보세요,/ 예를 들어,/ [어떻게/ <이야기가/ 신데렐라의>/ 바뀔지를]/
  • [if told/ <from the viewpoint/ of an evil stepsister>].
  • [진술된다면(이야기된다면)/ <관점으로부터/ 사악한 의붓자매의>].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Consider,/~”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the taleof Cinderella>/ would shift]”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분사구문
  • [if told/ <from the viewpoint/ of an evil stepsister>]”는 “[if it is told/ ~]”의 종속절에서 주어 “it(=<the tale/ of Cinderella>)”가 생략되고 동사 “is”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문장 3~5의 내용에 대한 예를 진술합니다. 따라서 이전의 내용과 연결이 자연스럽습니다.

문장 7

(④) We know Cinderella’s kingdom does not exist, but we willingly go there anyway.

주요 단어 정리

  • exist: 존재하다 (동의어: be, occur / 반의어: vanish, disappear)
  • willingly: 기꺼이 (동의어: readily, voluntarily / 반의어: reluctantly, unwillingly)
  • anyway: 어쨌든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know/ [(that) Cinderella’s kingdom does not exist],/
  • 우리는 압니다/ [신데렐라의 왕국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 but/ we willingly go/ there/ anyway.
  • 하지만/ 우리는 기꺼이 갑니다/ 거기에/ 어쨌든.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know[(that) Cinderella’s kingdom does not exist]"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know"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문장 7신데렐라의 이야기에 대해 믿지 않지만, 사람들이 계속해서 읽는다는 중의적인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는 이전까지의 내용과 연결되지 않기에, 실전에서는 정답을 ④번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다만, 이 분석서는 지문 내에 포함된 모든 문장에 대한 어법적, 의미적 분석을 하여 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이하 문장에 대해서도 분석 후 해설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8

(⑤) Gone with the Wind is Scarlett O’Hara’s story, but what if we were shown the same events from the viewpoint of Rhett Butler or Melanie Wilkes?

주요 단어 정리

  • Gone with the Wind: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what if~: ~라면 어떨가요?
  • viewpoint: 관점 (동의어: perspective, stance / 반의어: ignorance, indifference)
  • event: 사건 (동의어: occurrence, happening / 반의어: inactivity, stagn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Gone with the Wind is Scarlett O’Hara’s story,/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스칼렛 오하라의 이야기입니다,/
  • but/ [what if we were shown/ the same events/ [from the viewpoint/ <of Rhett Butler or Melanie Wilkes>]]?
  • 하지만/ [우리가 보여짐을 당한다면(보게 된다면) 어떨까요/ 같은 사건들을/ [관점으로부터/ <렛 버틀러나 멜라니 윌크스의>]]?

어법 설명

  • 가정법적 질문[what if+주어+과거형 동사+~]
  • [what if we were shown/~]”에서 사용된 어법. ‘~라면 어떨까요?“의 의미를 전달.
  • 4형식 문형의 수동태[be + pp]
  • were shown“에서 사용된 어법. ”보여짐을 당하다(보게 된다)“의 으미로 수동태.
  • 문장 8의 핵심 내용
  • 문장 8은 문장 6의 신데렐라 이외의 또다른 예로 제시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주인공이 바뀌는 경우를 가정하여 문장 1~문장 6까지의 내용과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흐름

  • 이 지문은 이야기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이야기의 전개와 독자의 감정적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합니다. 이야기에 등장하는 주인공이나 사건을 다르게 보면 초점, 해석, 공감, 결과의 방향성 등이 달라진다는 점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관계 없는 문장

  • 문장 7은 신데렐라 왕국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독자들이 인식하면서도 여전히 그 이야기에 몰입하여 "신데렐라의 성에 간다"는 행위를 표현합니다.
  • 이는 이야기의 관점 변화가 초점, 공감, 해석, 결과 등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나머지 문장들과는 다릅니다. 문장 7은 이야기의 허구성을 받아들이고 독자들이 몰입하는 행위 자체를 설명하며, 지문의 핵심 주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습니다.

정답 도출

  • 따라서, 정답은 ④번입니다.

결론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을 통해 관점 변화가 이야기 전개와 독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지문 분석 결과, 문장 7이 지문의 주요 흐름과 주제에서 벗어나는 문장임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는 관점 변화와 이야기 전개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문장들과 연결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영어 독해 문제를 풀 때, 주제 흐름과 연결되지 않는 문장을 찾는 것은 중요한 스킬입니다. 이를 연습하기 위해 문법적, 어휘적 분석과 논리적 흐름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앞으로도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독해 실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를 바랍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글의 흐름에서 벗어난 문장에 대한 추론 방법을 분석 내용에 포함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찾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