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영어 지문(35번 문제)은 카페인과 같은 경미한 각성제가 기억력과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며, 지문의 논리적 흐름에서 벗어난 문장을 찾는 문제입니다.

지문은 각성제가 기억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지만, 과도한 섭취 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또한, 복용량과 사용 상황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도 강조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을 잘 활용하여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고 기대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Who hasn’t used a cup of coffee to help themselves stay awake while studying? Mild stimulants commonly found in tea, coffee, or sodas possibly make you more attentive and, thus, better able to remember. ① However, you should know that stimulants are as likely to have negative effects on memory as they are to be beneficial. ② Even if they could improve performance at some level, the ideal doses are currently unknown. ③ If you are wide awake and well­rested, mild stimulation from caffeine can do little to further improve your memory performance. ④ In contrast,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drinking tea is healthier than drinking coffee. ⑤ Indeed, if you have too much of a stimulant, you will become nervous, find it difficult to sleep, and your memory performance will suffer. 

*stimulant 자극제 **dose 복용량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ho hasn’t used a cup of coffee to help themselves stay awake while studying?

주요 단어 정리

  • Who hasn’t~: ~하지 않은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의문문 형태의 강조 표현)
  • use: 사용하다 (동의어: utilize, employ / 반의어: neglect, abandon)
  • a cup of coffee: 커피 한 잔
  • help: 돕다, 도움을 주다 (동의어: assist, aid / 반의어: hinder, obstruct)
  • stay awake: 깨어 있다 (동의어: remain alert / 반의어: fall asleep)
  • while~: ~하는 동안 (동의어: during, as / 반의어: after, before)
  • study: 공부하다 (동의어: learn, review / 반의어: neglect, igno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o hasn’t used/ a cup of coffee/ [to help/ themselves/ stay awake/ [while studying]]?
  • 누가 사용해 본 적이 없을까요/ 커피 한 잔을/ [돕기 위해/ 자신들을/ 깨어 있도록/ [공부하는 동안]]?

어법 설명

  • 수사 의문문
  • "Who hasn’t~?"는 반어적 표현으로 "모두가 ~하지 않았겠는가?"라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 현재완료[have(has) + pp] 시제
  • hasn’t used”에서 사용된 어법. 과거에서 현재 사이에 “~한 적 없다”의 의미로 경험을 나타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hasn’t useda cup of coffee/ [to help/~]”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hasn’t used”를 수식.
  • 재귀대명사 "themselves"
  • ”문장의 주어 = 목적어(to 부정사 help의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의 관계인 경우.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는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함.
  • 5형식 문형 "사역동사(help)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helpthemselvesstay awake”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분사구문
  • [while studying]”은 “[while they study/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가 생략되고 동사 “study”가 “study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핵심 내용 
  • 커피가 공부 중 깨어 있는 데 도움을 주는 보편적인 도구임을 진술하며, 주제에 자연스럽게 진입합니다.

문장 2

Mild stimulants commonly found in tea, coffee, or sodas possibly make you more attentive and, thus, better able to remember.

주요 단어 정리

  • mild: 가벼운, 경미한, 순한 (동의어: light, gentle / 반의어: strong, intense)
  • stimulant: 자극제, 각성제
  • commonly: 흔히, 보통 (동의어: usually, frequently / 반의어: rarely, uncommonly)
  • attentive: 주의 깊은, 집중하는 (동의어: focused, alert / 반의어: distracted, inattentive)
  • thus: 그러므로, 따라서 (동의어: therefore, hence / 반의어: however, although)
  • remember: 기억하다 (동의어: recall, recollect / 반의어: forget, overlook)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ild stimulants/ (which or that are) commonly found/ <in tea, coffee, or sodas>]/ possibly make/ you/ <more attentive/ and,/ thus(→and thus),/ better able to remember>.
  • [순한 각성제들은/ 흔히 발견되는/ <차, 커피, 혹은 탄산음료에서>]/ 아마도 만듭니다/ 당신을/ <더 집중하게/ 그리고,/ 따라서(그렇게 하여)/ 더 잘 기억할 수 있게>.

어법 설명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Mild stimulants(which or that are) commonly found/ <in tea, coffee, or sodas>]“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most thing“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차, 커피 혹은 탐산 음료에서 발견되는 순한 각성제들은“의 의미를 전달.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Mild stimulant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make“.
  • 의미상 ”and thus“로의 변경 필요성
  • and,/ thus“는 ”그리고, 따라서“의 의미로 문맥상 어색하며, ”그렇게 하여(and thus)“로 변경하여 표현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make/ you/ <more attentive/ and,/ thus(→and thus),/ better able to remember>”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또한 형용사구가 “and thus”로 병렬 연결된 구조.
  • 핵심 내용
  • 차, 커피 등에서 발견되는 경미한 자극제가 집중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설명합니다. 문장 1의 커피가 학습에 도움에 주는 보편적 도구에서 ‘각성제의 긍정적 효과’로의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문장 3

① However, you should know that stimulants are as likely to have negative effects on memory as they are to be beneficial.

주요 단어 정리

  • however: 그러나, 하지만 (동의어: but, nevertheless / 반의어: moreover, furthermore)
  • should: ~해야 한다 (동의어: ought to, must / 반의어: can, may)
  • stimulant: 각성제, 자극제
  • likely: 가능성이 있는 (동의어: probable, possible / 반의어: unlikely, doubtful)
  • b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높다
  • negative: 부정적인 (동의어: harmful, adverse / 반의어: positive, beneficial)
  • effect: 영향, 효과 (동의어: impact, result / 반의어: cause, origin)
  • memory: 기억(력)
  • beneficial: 유익한, 긍정적인 (동의어: helpful, advantageous / 반의어: harmful, detriment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you should know/ [that stimulants are as likely to have/ negative effects/ on memory/ [as they are to be beneficial]].
  • 그러나,/ 당신은 알아야 합니다/ [자극제들이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부정적인 영향을/ 기억력 상에/ [그것들이 유익한 것인 만큼]].

어법 설명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hould know[that stimulants are as likely to have/ negative effects/ on memory/ [as they are to be beneficial]]"에서 "that"은 동사구, "should know"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동등 비교 구문 “as +형용사/부사 + as + 비교 대상”
  • “as likely to have/ negative effects/ on memory/ [as they are to be beneficial]”에서 사용된 어법. “비교 대상만큼 그만큼 ~한/~하게”나 “비교 대상보다 그만큼 ~한/~하게”로 해석.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they are to be beneficial]”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 be +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이나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be to 부정사와 같은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핵심 내용 & 흐름과 관계없는 문장 추론 1
  • 자극제가 기억력에 긍정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효과도 가질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문장 2의 ‘각성제’에 대한 언급에서 ‘각성제의 부정적인 효과’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문장 4

② Even if they could improve performance at some level, the ideal doses are currently unknown.

주요 단어 정리

  • even if~: 비록 ~일지라도 (동의어: although, though / 반의어: unless, if not)
  • improve: 개선하다, 향상시키다 (동의어: enhance, boost / 반의어: worsen, degrade)
  • performance: 수행, 성과 (동의어: execution, achievement / 반의어: failure, inefficiency)
  • ideal: 이상적인, 최적의 (동의어: optimal, perfect / 반의어: imperfect, unsuitable)
  • dose: 복용량 (동의어: dosage, portion / 반의어: overdose)
  • unknown: 알려지지 않은 (동의어: unidentified, undiscovered / 반의어: known, identifi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n if they could improve/ performance/ at some level],/
  • [비록 그것들이 향상시킬 수 있을지라도/ 성과를/ 어느 정도 수준에서],/
  • the ideal doses are currently unknown.
  • 이상적인 복용량은 현재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even if[ though / although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Even if they could improve/~]”에서 사용된 어법.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핵심 내용 & 흐름과 관계없는 문장 추론 2
  • 자극제가 일부 효과가 있더라도, 이상적인 복용량이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문장 4는 자극제의 효과와 복용량에 대해 언급하며, 지문의 주제 흐름(자극제가 기억력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효과)에 포함됩니다.

문장 5

③ If you are wide awake and well-rested, mild stimulation from caffeine can do little to further improve your memory performance.

주요 단어 정리

  • wide awake: 완전히 깨어 있는 (동의어: fully alert / 반의어: half-asleep)
  • well-rested: 잘 쉬고 난, 충분히 휴식한
  • stimulation: 자극, 흥분 (동의어: activation, excitation / 반의어: suppression, dullness)
  • do little: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다
  • further: 더욱(한층) 더 (동의어: additionally, more / 반의어: l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you are wide awake and well-rested],/
  • [만약 당신이 완전히 깨어 있고 충분히 휴식한 상태라면],/
  • <mild stimulation/ from caffeine>/ can do little/ <to further improve/ your memory performance>.
  • <순한 각성은/ 카페인으로부터의>/ 거의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더욱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 당신의 기억력 성과를>.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 are wide awake and well-rested]”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라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부정의 little(명사의 부정)
  • can do little”에서 사용된 어법. 한국어에는 명사를 부정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부정을 동사로 옮기고, “nearly(거의)”과 “anything(어떤 것도)”를 추가하여, 즉, “can’t nearly do/ anything”으로 해석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further improve/ your memory performance>”에서 사용된 용법.
  • 핵심 내용 & 흐름과 관계없는 문장 추론 3
  • 이미 깨어 있고 충분히 휴식을 취한 상태에서는 카페인의 자극이 기억력 향상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내용입니다. 계속해서, 각성제의 부정적인 영향을 이어집니다. 한 문장만 더 읽어보도록 합니다.

문장 6

④ In contrast,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drinking tea is healthier than drinking coffee.

주요 단어 정리

  • in contrast: 대조적으로, 반대로 (동의어: conversely, on the other hand / 반의어: similarly, likewise)
  • study: 연구, 조사 (동의어: research, investigation / 반의어: assumption, speculation)
  • healthier: 더 건강에 좋은 (동의어: more beneficial, fitter / 반의어: unhealthier, wor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contrast,/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drinking/ tea> is healthier/ <than drinking/ coffee>].
  • 그에 반하여,/ 많은 연구가 보여주었습니다/ [<마시는 것이/ 차를> 더 건강에 좋다는 것을/ <마시는 것보다/ 커피를>].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In contrast"
  • 문장 내에서 "그에 반하여 / 대조적으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접속부사는 이전에 진술된 각성제의 부정적 효과라는 내용과 문장 6의 나머지 내용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현재완료[have(has) + pp] 시제
  • have shown”에서 사용된 어법. 과거에서 현재 사이에 “했다”의 의미로 결과를 나타냅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have shown[that~]"에서 "that"은 동사, "have shown"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drinking/ tea>“와 ”<than drinking/ coffee>“에서 사용된 어법. 각각 ”that 절“의 주어와 비교의 전치사 ”than“의 목적어 역할. ”차를 마시는 것“과 ”커피를 마시는 것보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핵심 내용
  • 차를 마시는 것이 커피를 마시는 것보다 더 건강하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며, 지문의 주제와 다소 동떨어진 정보를 제공합니다. 문장 6은 차와 커피의 건강 비교를 다루며, 이는 지문의 중심 주제인 자극제가 기억력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효과와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7을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문장 7

⑤ Indeed, if you have too much of a stimulant, you will become nervous, find it difficult to sleep, and your memory performance will suffer.

주요 단어 정리

  • indeed: 사실상, 정말로 (동의어: in fact, truly / 반의어: questionably, doubtfully)
  • have: 먹다, 섭취하다
  • too much: 지나치게 많은 양 (동의어: excessive amount / 반의어: moderate amount, minimal amount)
  • nervous: 긴장한, 초조한 (동의어: anxious, tense / 반의어: calm, relaxed)
  • suffer: 더 나빠지다다, 약화되다 (동의어: become worse, be weakened / 반의어: become strong)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deed,/ [if you have/ <too much/ of a stimulant>],/
  • 사실상,/ [만약 당신이 섭취한다면/ <너무 많은 양을/ 각성제의],/
  • [you [will become nervous],/ (+and) [(will) find/ it/ difficult/ to sleep]],/ and/ [your memory performance will suffer].
  • [당신은 [긴장하게 될 겁니다],/ (+그리고)/ [여길 겁니다/ 그것을/ 힘들게/ 잠자는 것을]],/ 그리고/ [당신의 기억력은 나빠질 것입니다].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 have/~]”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1 – comma(,)를 없애고 and 추가 필요
  • [will become nervous]”와 “[(will) findit/ difficult/ to sleep]”가 병렬 연결된 구조로 사이에 있는 comma(,)를 없애고 and”를 추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병렬 구조 2 – 두 개의 문장을 and로 병렬 연결
  • [you [will become nervous],/ (+and[(will) findit/ difficult/ to sleep]]”와 “[your memory performance will suffer]”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5형식 기본 문형 "find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findit/ difficult”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It(가목적어) ~ to 부정사(진목적어) 용법
  • findit/ difficult/ to sleep”에서 ”it“는 가목적어, ”to sleep”은 진목적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목적어)’와 ‘to 부정사(진목적어)“ 구조는 목적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핵심 내용
  • 과도한 자극제 섭취는 긴장, 수면 문제, 그리고 기억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자극제(특히 카페인)는 적절히 사용하면 기억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과도한 섭취는 긴장, 수면 장애, 그리고 기억력 저하와 같은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복용량과 상태에 따라 자극제의 효과는 다르게 나타나므로 신중한 사용이 필요합니다.

핵심 주제 및 흐름 파악

  • 지문은 자극제(특히 카페인)가 기억력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설명하며, 적절한 사용이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 문장 1~3: 자극제가 주는 긍정적 효과(집중력, 기억력 향상)와 부정적 효과(기억력 저하)를 다룹니다.
  • 문장 4: 자극제의 효과와 복용량의 관계를 언급하며, 이는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 논의와 연결됩니다.
  • 문장 5: 이미 깨어 있는 상태에서는 카페인의 효과가 거의 없음을 설명하며, 부정적 효과 논의를 이어갑니다.
  • 문장 6: 차와 커피의 건강 효과 비교를 언급하며, 이는 기억력이 아닌 건강에 초점을 둡니다.
  • 문장 7: 과도한 자극제 섭취로 인한 부작용(긴장, 수면 문제, 기억력 저하)을 설명하며 부정적 효과 논의를 마무리합니다.

관련 없는 문장 추론

  • 문장 6은 차와 커피의 건강 효과를 비교하며, 지문 전체의 주제(자극제와 기억력)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 앞뒤 문장에서는 자극제의 효과와 관련된 내용(기억력, 집중력)만 논의하고 있습니다.
  • 문장 6의 건강 비교는 지문에서 논의된 "기억력" 주제와 이탈되어 있어, 전체 흐름과 관계없는 문장으로 판단됩니다.

정답 도출

  • 따라서, 정답은 ④번입니다.

결론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은 각성제와 기억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을 논의합니다.

그러나 문장 6은 "차와 커피의 건강 비교"를 다루며, 지문의 핵심 주제(각성제와 기억력)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아 흐름에서 벗어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번입니다.

이번 분석은 문장의 역할과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며, 수험생이 독해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글의 흐름에서 벗어난 문장에 대한 추론 방법을 분석 내용에 포함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찾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