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영어 지문(36번 문제)은 인간의 정착 생활과 분업의 발전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지문의 모든 문장을 세부적으로 분석하며, 각 단락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여 적절한 순서를 찾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주요 어휘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독해 실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특히, 제시된 단락을 논리적 흐름에 맞게 배열하는 이 문제는 지문의 주제를 파악하고 각 단락 간의 연결성을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본 분석에는 실전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론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가급적 끝까지 해설 내용을 정독하시어 단락 하나를 읽지 않고도 정답을 추론하는 과정을 반복 학습하셔서 꼭 독자만의 방법으로 만드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이 전체적인 글의 이해와 문제 풀이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6.

In the Old Stone Age, small bands of 20 to 60 people wandered from place to place in search of food. Once people began farming, they could settle down near their farms.

(A) While some workers grew crops, others built new houses and made tools. Village dwellers also learned to work together to do a task faster.

(B) For example, toolmakers could share the work of making stone axes and knives. By working together, they could make more tools in the same amount of time.

(C) As a result, towns and villages grew larger. Living in communities allowed people to organize themselves more efficiently. They could divide up the work of producing food and other things they needed.

* dweller: 거주자orts have made adaptations for children.
* prevail: 널리 퍼지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문

In the Old Stone Age, small bands of 20 to 60 people wandered from place to place in search of food. Once people began farming, they could settle down near their farms.

주요 단어 정리

  • Old Stone Age: 구석기 시대
  • band: 무리, 집단 (동의어: group, pack / 반의어: individual, loner)
  • wander: 돌아다니다, 방랑하다 (동의어: roam, travel / 반의어: settle, stay)
  • from place to place: 이곳저곳으로
  • in search of~: ~을 찾아서 (동의어: seeking, looking for / 반의어: ignoring)
  • farming: 농업, 농사짓기
  • settle down: 정착하다 (동의어: reside, establish / 반의어: move, migrate)
  • farm: 농장, 농업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e Old Stone Age,/
  • 구석기 시대에는,/
  • [small bands/ <of 20 to 60 people>]/ wandered/ <from place to place>/ in search of food.
  • [작은 무리들이/ <20명에서 60명의>]/ 돌아다녔습니다/ <이곳저곳으로>/ 음식을 찾아서.
  • [Once people began/ farming],/
  • [일단 사람들이 시작했을 때/ 농사를],/
  • they could settle down/ near their farms.
  • 그들은 정착할 수 있었습니다/ 그들의 농장 근처에.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once + 주어 + 동사”
  • [Once people began/ farming]”에서 사용된 어법. “일단 ~한다면(~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제시문의 핵심 내용 & 단락의 연결 추론 1
  • 제시문은 구석기 시대의 정착이 농업과 연계되어 시작되었음을 진술. 다음에 이어질 이야기는 “농업”에 대한 진술이나, “정착지”에 대한 진술 정도가 올 것으로 예측되기에 “brief scanning” 하면, 단락 (C)의 첫 부분 “그 결과로(정착의 결과로) 읍과 마을들이(정착지들이) 커졌다는 진술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따라서, 단락 (C)로 이동하여 독해하도록 합니다.

단락 (A)

While some workers grew crops, others built new houses and made tools. Village dwellers also learned to work together to do a task faster.

주요 단어 정리

  • crop: 농작물 (동의어: harvest, produce / 반의어: weeds)
  • build: 짓다, 건설하다 (동의어: construct, erect / 반의어: demolish, destroy)
  • tool: 도구 (동의어: implement, instrument / 반의어: hands)
  • villager: 마을 주민 (동의어: dweller, resident / 반의어: outsider, transient)
  • task: 과제, 일 (동의어: job, duty / 반의어: rest, leisu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ile some workers grew/ crops],/
  • [일부 작압자들이 키웠던 반면에/ 농작물을],/
  • others <built/ new houses>/ and/ <made/ tools>.
  • 다른 사람들은 <지었습니다/ 새로운 집들을>/ 그리고/ <만들었습니다/ 도구들을>.
  • Village dwellers also learned/ <to work/ together>/ <to do/ a task/ faster>.
  • 마을 거주자들은 또한 배웠습니다/ <일하는 것을/ 함께>/ <하기 위해서/ 일을/ 더 빨리>.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while + 주어 + 동사”
  • [While some workers grew/ crops]”에서 사용된 어법. “~이긴 하지만/~인 반면에”의 의미를 전달. 혹은 시간의 부사절인 “~하는 동안”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built/ new houses>”와 “<made/ tool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learned/ <to work/ together>”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learned”의 목적어 역할.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do/ a task/ faster>”에서 사용된 용법.
  • 단락 (C)의 핵심 내용 & 단락의 연결 추론 3
  • 단락 (A)는 “기초적인 분업과 그 분업화된 일의 세부 분업”에 대한 진술이며, 이중 “tool-making”의 세부적인 분업의 예를 진술하는 단락 (B)로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단락 (B)

For example, toolmakers could share the work of making stone axes and knives. By working together, they could make more tools in the same amount of time.

주요 단어 정리

  • toolmaker: 도구 제작자
  • share: 나누다, 분담하다 (동의어: divide, allocate / 반의어: monopolize, withhold)
  • axe: 도끼
  • knife: 칼 (동의어: blade, dagger / 반의어: sheath, cover)
  • amount: 양 (동의어: quantity, measure / 반의어: deficit, lack)
  • the same amount of~: 같은 양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toolmakers could share/ [the work/ [of making/ <stone axes and knives>]].
  • 예를 들어,/ 도구 제작자들은 분담할 수 있었습니다/ [그 작업을/ [만드는/ <돌도끼들과 칼들을>]].
  • <By working/ together>,/ they could make/ more tools/ <in the same amount/ of time>.
  • <일하는 것에 의해서(일함으로써)/ 함께>,/ 그들은 만들 수 있었습니다/ 더 많은 도구들을/ <같은 양 내에서/ 시간의(같은 양의 시간 내에)>.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the work/ [of making/ <stone axes and knives>]]”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는 “돌도끼들과 칼들을 만드는 것과 관련된 일”을 의역하여 “돌도끼들과 칼들을 만드는 일”로 번역이 되는 것입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working/ together>“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By“의 목적어 역할. ”함께 일하는 것에 의해사(일함으로써)“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단락 (C)

As a result, towns and villages grew larger. Living in communities allowed people to organize themselves more efficiently. They could divide up the work of producing food and other things they needed.

주요 단어 정리

  • as a result: 결과적으로 (동의어: consequently, therefore / 반의어: nevertheless, despite that)
  • town: 도시 (동의어: city, settlement / 반의어: countryside)
  • community: 공동체 (동의어: society, collective / 반의어: individualism, isolation)
  • organize: 조직하다, 체계화하다 (동의어: arrange, systematize / 반의어: disorganize, scatter)
  • efficiently: 효율적으로 (동의어: effectively, productively / 반의어: inefficiently, wastefu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a result,/ <towns and villages>/ grew larger.
  • 결과적으로,/ <마을과 도시들이>/ 더 커졌습니다.
  • <Living/ in communities>/ allowed/ people/ <to organize/ themselves/ more efficiently>.
  • <사는 것이/ 공동체 내에서>/ 허용했습니다/ 사람들에게/ <조직하도록/ 그들 자신을 더/ 효율적으로>.
  • They could divide up/ [[the work/ <of producing/ food>]/ and/ [other things/ (which or that) they needed]].
  • 그들은 나눌 수 있었습니다/ [[작업을/ <생산하는/ 음식을>]/ 그리고/ [다른 것들(일들)을/ 그들이 필요로 했던]].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as a result"
  • 문장 내에서 "결과적으로/그 결과"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5형식 문형 "allow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allowed/ people/ <to organizethemselves/ more efficiently>“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allow”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재귀 대명사 ”themselves“
  • ”people/ <to organizethemselves/ more efficiently>“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의 의미상 주어 = 목적격 보어의 목적어“인 관계인 경우.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함.
  • 병렬 구조 – 두 개의 명사구를 and로 연결
  • [the work/ <of producing/ food>]”와 “[other things/ (which or that) they needed]”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the work/ <of producing/ food>]”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는 “식령을 생산하는 것과 관련된 일”를 의역하여 “식량을 생산하는 일”로 번역이 되는 것입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other things/ (which or that) they needed]”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other thing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들이 필요로 했던 다른 것들(일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단락 (C)의 핵심 내용 & 단락의 연결 추론 2
  • 단락 (C)는 정착지의 성상이 일의 분할(주업인 농사와 필요했던 다른 일들)로 이어졌음을 진술합니다. 단락 (C)의 마지막 부분, 농업과 다른 일들을 “key words”로  역시 “brief scanning” 하면, 단락 (A)의 첫 부분이 농업과 다른 직업의 분할을 진술합니다. 따라서, 단락 (B)를 정독하지 않아도 (C) - (A) - (B)의 어순임을 알 수 있으므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지문으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에 포함된 모든 문장에 대한 상세한 분석과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단락 (A)로 이동하여 분석과 설명을 이어가도록 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지문은 인간의 정착 생활로 인해 공동체가 발전하고, 이를 기반으로 분업이 이루어진 과정을 설명합니다. 이 과정에서 정착 생활의 결과(단락 C), 분업의 구체적 사례(단락 A), 세부적인 분업의 사례(단락 B)가 순차적으로 연결됩니다.

순서 분석

  • 제시문: 구석기 시대에서 농업이 시작되며 사람들이 정착하기 시작함.
  • 단락 (C): 정착의 결과로 마을과 도시가 커지며 공동체 생활이 시작되고, 효율적 조직화를 통해 분업이 이루어짐.
  • 단락 (A): 공동체 생활 속에서 농사와 주택 건설, 도구 제작 등 기본적인 분업이 이루어짐.
  • 단락 (B): 도구 제작이라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분업 사례를 설명.

정답 도출

  • 따라서, 정답은 ④번 (C) - (A) - (B)입니다.

결론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 분석을 통해 정착 생활이 공동체의 발전과 분업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단락 (C)는 정착의 결과와 공동체 생활의 효율성을 설명하며, 단락 (A)는 농사와 건축 등 기본적인 분업을, 단락 (B)는 도구 제작의 세부적인 분업 사례를 제시합니다. 따라서, 순서는 (C) - (A) - (B)로 연결됩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분석은 영어 독해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문제 풀이의 자신감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본 분석 내용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문장 순서배열 문제 유형에 대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찾아내고 추론하는 방법은 물론 또한 시간까지 줄이면서 추론하는 방법을 훈련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