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기대가 인상을 넘어 행동에 영향을 미치다"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9번 지문은 사람들의 선입견이 강연자와의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사람들은 특정 특성을 가진 사람이 다른 관련 특성도 가질 것이라고 잘못 추정하며, 이러한 선입견이 형성되는 과정을 실험적으로 분석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이 글은 학생들에게 논리적인 문맥 흐름을 파악하는 훈련뿐만 아니라, 선입견이 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줍니다.

문장 삽입 문제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문맥적 연결성과 대조적 표현의 이해입니다. 본 분석에서는 각 문장의 주요 단어, 청크별 의미 해석, 그리고 어법을 철저히 설명하며, 글의 논리적 흐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9.

It was also found that those students who expected the lecturer to be warm tended to interact with him more.

People commonly make the mistaken assumption that because a person has one type of characteristic, then they automatically have other characteristics which go with it. ( ① ) In one study, university students were given descriptions of a guest lecturer before he spoke to the group. ( ② ) Half the students received a description containing the word ‘warm’, the other half were told the speaker was ‘cold’. ( ③ ) The guest lecturer then led a discussion, after which the students were asked to give their impressions of him. ( ④ ) As expected,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between the impressions formed by the students, depending upon their original information of the lecturer. ( ⑤ ) This shows that different expectations not only affect the impressions we form but also our behaviour and the relationship which is formed. [3점]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문

It was also found that those students who expected the lecturer to be warm tended to interact with him more.

주요 단어 정리

  • find: 발견하다 (동의어: discover, identify / 반의어: lose, overlook)
  • expect: 기대(예상)하다 (동의어: anticipate, assume / 반의어: doubt, question)
  • lecturer: 강연자
  • warm: 따듯한
  • interact: 상호작용하다 (동의어: communicate, engage / 반의어: ignore, isolate)
  • tend to 부정사: ~하는 경향이 있다 (동의어: incline, be likely to / 반의어: resist, avoi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was also found/
  • 그것이 또한 발견되었습니다/
  • [that [those students/ who expected/ the lecturer/ <to be warm>]/ tended to interact/ with him/ more].
  • [[그러한 학생들이/ 예상했던/ 강연자를/ <따듯할 것이라고>(강연자를 따듯할 것이라고 기대했던 학생들이)]/ 상호작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그와/ 더 많이].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용법
  • It was also found[that~]”에서 ”It“는 가주어, ”that 절”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문장 구조로 "‘It(가주어)’와 “that 절(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hat 절”을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수동태[be + pp]
  • was also found”에서 사용된 어법. "또한 발견되었다"의 의미로 수동태.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ose studentswho expected/ the lecturer/ <to be warm>]”에서 “who”는 선행사, “those students”를 수식하여, “그 강연자를 따듯할 것이라고 예상했던 그러한 학생들”의 의미를 전달. 이는 단적으로 한국어와 영어의 기본적인 수식 구조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한국어는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위치하지만, 영어는 반대로 뒤에 위치합니다. 또한, 한국어는 수식어에 주어와 목적어를 포함하는 경우, 주어와 목적어를 먼저 해석하고 나머지는 영어의 어순과 정반대로 해석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본 분석서에 사용된 <>나 []안에 있는 내용들도 역순의 어순으로 해석해야 함을 표현한 것에 불과합니다.
  • 제시문의 핵심 내용 & 문장 삽입 위치 추론 1
  • 제시문은 “사람에 대한 기대의 그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영향”을 진술합니다. 동사구 “was also found로부터 또 다른 발견 사항이 있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독해력과 문해력을 갖춘 독자의 경우, “실전에서 시간을 줄이기 위해 간단하게 scanning”하는 방법을 활용하면, 실험의 결과(또 다른 발견 사항)를 요약하는 진술은 문장 5 뿐입니다. 따라서, 제시문은 문장 5 다음인 ⑤에 위치해야 합니다. 실전에서는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독해력과 문해력을 갖추지 못한 독자들은 문장 1부터 설명된 내용을 따라오시면, 시간은 줄이지 못하더라도 어렵지 않게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본 분석서는 지문 내에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므로, 문장 1부터 상세하게 분석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1

People commonly make the mistaken assumption that because a person has one type of characteristic, then they automatically have other characteristics which go with it.

주요 단어 정리

  • commonly: 일반적으로 (동의어: generally, typically / 반의어: rarely, uncommonly)
  • mistaken: 잘못된 (동의어: incorrect, false / 반의어: correct, accurate)
  • assumption: 가정, 추정 (동의어: presumption, supposition / 반의어: certainty, fact)
  • make the mistaken assumption: 잘못된 가정을 하다
  • one type of~: 한 가지 유형의~
  • characteristic: 성격, 특성
  • automatically: 자동적으로 (동의어: instinctively, unconsciously / 반의어: deliberately, manually)
  • go with~: ~와 어울리다, ~와 잘 맞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eople commonly make/ [the mistaken assumption/ [that,/ [because a person has/ one type of characteristic],/ then(→so)/ they automatically have/ [other characteristics/ which go/ with it]]].
  •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만듭니다(합니다)/ [잘못된 가정을/ [[사람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가지 유형의 성격을],/ 그러면(→그래서)/ 그가 자동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성격들을/ 어울리는/ 그것과(한 가지 유형의 성격과)]]].

어법 설명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mistaken assumption/ [that,/~]]"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the mistaken assumption“을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삽입의 원칙 오류
  • [because a person hasone type of characteristic]”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이 “because 절”은 “동격절의 접속사 that”과 “that 절의 문장” 사이에 삽입된 구조입니다. 영어에서는 구나 절을 삽입하는 경우 comma(,)로 앞뒤를 분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따라서 “접속사 that” 뒤에 comma(,)가 삽입되어야 합니다. 모의고사는 공적인 문서이기에 어법적으로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 부정확한 의미를 전달하는 부사 then과 수정의 필요성
  • 부사 “then”은 주로 “if 절”과 사용하여, ~한다면, 그러면“의 의미로 사용합니다. 이 문장의 경우는 ‘~하기 때문에, 그래서”의 의미가 더 바람직합니다. “then“을 ”so“로 변경하든지, 없애든지 해야 보다 정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 [other characteristics/ which gowith it]”에서 “which"는 선행사, “other characteristics”를 수식하여, “그것(한 가지 유형의 성격)과 어울리는 다른 성격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문장 삽입 위치 추론 2
  • “사람의 성격을 단정하는 경향과 그 성격과 어울리는 다른 성격들을 가지고 있다는 추정의 경향성”을 진술합니다. 우리가 근거로 찾는 것은 “또 다른 발견 사항"이므로 계속 독해합니다.

문장 2

(①) In one study, university students were given descriptions of a guest lecturer before he spoke to the group.

주요 단어 정리

  • study: 연구 (동의어: research, investigation / 반의어: assumption, guesswork)
  • description: 묘사, 설명 (동의어: portrayal, depiction / 반의어: concealment, distortion)
  • guest lecturer: 초청 강연자
  • speak to~: ~에게 이야기하다 (동의어: talk to, address / 반의어: igno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one study,/ university students were given/ <descriptions/ of a guest lecturer>/
  • 한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받았습니다/ <설명들을/ 한 초정 강연자에 대한>/
  • [before he spoke/ to the group].
  • [그가 말하기 전에/ 그 무리에게(대학생들에게)].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were given”에서 사용된 어법. "받았다"의 의미로 수동태.
  • 시간의 부사절 “before + 주어 + 동사”
  • [before he spoketo the group]”에서 사용된 어법. “~하기 전에”의 의미를 전달.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문장 삽입 위치 추론 3
  • “선입견에 대한 실험” 내용. “descriptions“로 보아, 한 강연자에 대한 여러 가지 설명들임을 인지해야 합니다. 그렇지만, 우리가 근거로 찾는 것은 “또 다른 발견 사항"이므로 계속 독해합니다.

문장 3

(②) Half the students received a description containing the word ‘warm’, the other half were told the speaker was ‘cold’.

주요 단어 정리

  • half: 절반의
  • contain: 포함하다 (동의어: include, encompass / 반의어: exclude, omit)
  • warm: 따뜻한 (동의어: kind, friendly / 반의어: cold, distant)
  • cold: 차가운 (동의어: unfriendly, aloof / 반의어: warm, welcoming)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alf the students received/ [a description/ (which or that was) containing/ <the word/ ‘warm’>],/
  • 절반의 학생들은 절반은 받았습니다/ [설명을/ 포함하고 있는/ <단어를/ '따뜻한'이라는>],/
  • the other half were told/ [(that) the speaker was ‘cold’].
  • 나머지 절반은 들었습니다/ [그 강연자가 '차갑다'고].

어법 설명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a description/ (which or that was) containing/ <the word/ ‘warm’>]“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a description“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따듯한’이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설명“. 이렇게 묶인 표현의 해석을 통해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 차이를 이해하세요.
  • 수동태[be + pp]
  • were told”에서 사용된 어법. "들었다"의 의미로 수동태.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were told[(that) the speaker was ‘cold’]"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구, "were tol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문장 삽입 위치 추론 4
  • “강연자에 대한 두 가지 서로 다른 셜명“ 문장 2의 ”descriptions“가 왜 복수인지가 드러났습니다만, 우리가 근거로 찾는 것은 "또 다른 발견 사항"이므로 계속 독해합니다.

문장 4

(③) The guest lecturer then led a discussion, after which the students were asked to give their impressions of him.

주요 단어 정리

  • lead: 이끌다 (동의어: guide, facilitate / 반의어: follow, ignore)
  • discussion: 토론 (동의어: debate, dialogue / 반의어: silence)
  • impression: 인상 (동의어: perception, opinion / 반의어: disregard, indiffere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guest lecturer then led/ a discussion/
  • 초청 강연자는 이끌었습니다/ 한 토론을/
  • , after which/ the students were asked/ [to give/ <their impressions/ of him>].
  • 그리고 그것(그 토론) 이후에/ 학생들은 요청 받았습니다/ [주도록(제공하도록)/ <인상을/ 그에 대한>].

어법 설명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 after whichthe students were asked/~”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나 일부(a discussion)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and after it)”로 해석합니다.
  • 수동태[be + pp]
  • were asked”에서 사용된 어법. "요청받았다"의 의미로 수동태.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were asked[to give/ <their impressions/ of him>]”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were asked”를 수식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문장 삽입 위치 추론 4
  • “실험의 내용 – 강연자에 대한 사전 정보를 준 뒤 토론을 하게 한 후 그 사람에 대한 (첫)인상에 대한 요구”. 우리가 근거로 찾는 것은 “또 다른 발견 사항이므로 계속 독해합니다.

문장 5

(④) As expected,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between the impressions formed by the students, depending upon their original information of the lecturer.

주요 단어 정리

  • as expected: 예상대로 (동의어: as predicted, unsurprisingly / 반의어: unexpectedly)
  • difference: 차이 (동의어: variation, disparity / 반의어: similarity, sameness)
  • form: 형성하다 (동의어: create, establish / 반의어: dissolve, disband)
  • depending on~: (전치사구) ~에 따라서
  • original: 원래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expected],/
  • [예상되었던 것처럼(예상대로)],/
  •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between the impressions/ (which or that were) formed/ by the students],/ <depending upon their original information/ of the lecturer>.
  • 큰 차이들이 있었습니다/ [인상들 사이에/ 형성된/ 그 학생들에 의해서],/ <원래의 정보에 따라서/ 그 강연자에 대한>

어법 설명

  • 독립 분사구문
  • [As expected]”은 “[As it was expected]”의 종속절에서 주어 “it(=the result of the experiment)”가 생략되고 동사 “was”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문장의 주어와 달라서, 주엉어인 "it"를 표시해아 하나 문맥상 명확하여 생략하고 관용적으로 표현되기 시작한 독립 분사구문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e impressions/ (which or that were) formedby the students“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e impression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e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학생들에 의해서 형성된 인상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문장 삽입 위치 추론 1
  • “첫 번째 실험의 결과 - 사전 정보에 따른 인상의 차이”. 즉, 우리가 근거로 찾는 것인 “실험으로부터 얻은 또 다른 발견 사항이므로 제시문은 이 다음인 ⑤에 위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독해력과 문해력이 갖춰지지 않은 독자들도 이 부분을 근거로 정답을 선택해야 합니다.

문장 6

(⑤) This shows that different expectations not only affect the impressions we form but also our behaviour and the relationship which is formed.

주요 단어 정리

  • expectation: 기대 (동의어: anticipation, assumption / 반의어: surprise)
  • affect: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influence, alter / 반의어: ignore, neglect)
  • relationship: 관계 (동의어: connection, association / 반의어: disconnection, isol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shows/
  • 이것은 보여줍니다/
  • [that different expectations [not only affect/ [the impressions/ (which or that) we form]]/ [but also (affect)/ [our behaviour]/ and/ [the relationship/ which is formed]]].
  • [서로 다른 기대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인상들에/ 우리가 형성하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우리의 행동]/ 및 [관계에도/ 형성되는]]].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hows[that~]"에서 "that"은 동사, "shows"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등위 상관 접속사 not only ~ but also로 연결
  • [not only affect[the impressions/ (which or that) we form]]”와 “[but also (affect)[our behaviour]and[the relationship/ which is formed]]”를 등위 상관 접속사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이 경우, but also 뒤에 “affect”가 생략된 경우에 해당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impressions/ (which or that) we form]”에서 “선행사, “the impression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이 생략된 구조. “우리가 형성하는 인상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 수동태[be + pp]
  • [the relationship/ which is formed]”에서 “which"는 선행사, “the relationship”를 수식하여, “형성되는 관계”의 의미를 전달. 또한, “is formed”는 “형성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5의 핵심 내용
  • “기대감이 영향을 주는 것 – 첫인상 & 관계”.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강연자에 대한 사전 정보는 학생들이 형성하는 인상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그와의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적절한 위치 판단

  • 문장 흐름 분석
  • 문장 1~3: 사람들의 잘못된 추정 경향(문장 1) → 강연자에 대한 실험 설정(문장 2, 3).
  • 문장 5: 실험 결과 – "사전 정보가 인상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
  • 문장 6: 연구 결과의 확장 – "기대는 행동과 관계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 제시문의 역할
  • 동사구 "was also found"는 추가 발견 사항을 암시하며, 문장 5의 결과(인상 차이)를 행동(상호작용)으로 확장합니다.
  • 따라서 제시문은 문장 5의 보충 설명으로, 문장 5 뒤(⑤번)에 위치해야 자연스럽습니다.

정답 도출

  • 따라서, 주어진 문장은 문장 5 뒤(⑤번)에 배치되어야 합니다.

결론

"선입견의 영향은 행동까지 미친다"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39번 지문은 강연자에 대한 사전 정보가 학생들의 인상 형성뿐 아니라 행동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 결과를 보여줍니다.

문장 삽입 문제를 통해 학습자는 제시문이 논리적 흐름에서 어떻게 확장적 역할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으며, 실전에서도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과 어법 설명은 지문의 이해도를 높이고, 학습자가 영어 문장 구조와 논리적 연결을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더 많은 실전 분석과 팁은 다른 게시글에서 확인해 보세요!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지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이 글을 통해 영어 독해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방법을 익히셨기를 바랍니다. 더 많은 모의고사 지문 분석과 문제 풀이 비법은 다른 게시글에서 확인해 보세요!

앞으로도 이러한 체계적 분석을 통해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에 자신감을 높이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