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40번 문제 분석: 심리적 판단과 사회적 증거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영어 40번 지문은 "사회적 증거"와 인간의 판단 방식에 대한 심리학적 주제를 다룹니다. 이 문제는 빈칸 추론을 통해 지문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고, 문맥에 적합한 어휘를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특히, 어법과 의미 해석을 통해 정확한 답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였습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제 풀이의 근거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 help decide what’s risky and what’s safe, who’s trustworthy and who’s not, we look for social evidence. From an evolutionary view, following the group is almost always positive for our prospects of survival. “If everyone’s doing it, it must be a sensible thing to do,” explains famous psychologist and best selling writer of Influence, Robert Cialdini. While we can frequently see this today in product reviews, even subtler cues within the environment can signal trustworthiness. Consider this: when you visit a local restaurant, are they busy? Is there a line outside or is it easy to find a seat? It is a hassle to wait, but a line can be a powerful cue that the food’s tasty, and these seats are in demand. More often than not, it’s good to adopt the practices of those around you.
* subtle: 미묘한 ** hassle: 성가신 일
We tend to feel safe and secure in ___(A)___ when we decide how to act, particularly when faced with ___(B)___ conditions.
(A) (B)
① numbers ···· uncertain
② numbers ···· unrealistic
③ experiences ···· unrealistic
④ rules ···· uncertain
⑤ rules ···· unpleasant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요약문
We tend to feel safe and secure in ___(A)___ when we decide how to act, particularly when faced with ___(B)___ conditions.
주요 단어 정리
- tend to 부정사: ~하는 경향이 있다 (동의어: be inclined to 부정사)
- secure: 안심하는, 안전한
- decide: 결정하다
- act: 행동하다
- particularly: 특히
- face: 직면하다
- condition: 상황, 조건, 상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tend to feel/ <safe and secure>/ in ___(A)___/
- 우리는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전하고 안심되게>/ __(A)___ 안에서/
- [when we decide/ [how to act]]/,
- [우리가 결정할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 particularly/ [when faced/ with ___(B)___ conditions].
- 특히,/ [직면될 때(직면할 때)/ ___(B)___한 상황들과].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we decid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how to act]“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how we should act]“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어떻게 그녀의 우리가 행동해야 하는지“의 의미.
- 분사구문
- “[when faced/ with ___(B)___ conditions]”는 “[when we are faced/ with ___(B)___ conditions]”의 종속절에서 주어 “we”가 생략되고 동사 “are”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 빈칸, (A)의 추론
- 빈칸 (A) 만을 단독으로 추론할 수는 없으며, 조건에 해당하는 빈칸 (B)를 먼저 찾고 그 후에 빈칸 (A)를 추론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맞습니다.
- 빈칸, (B)의 추론
- 요약문에서 특히 “우리가 ___(B)___한 상황에 직면할 때, 우리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때, 우리가 ___(A)___ 안에서 안전하고 안심되게 느낀다”라고 진술하고 있으므로 빈칸 (B)와 빈칸 (A)에 들어갈 말의 clue를 찾으면서 문장 1부터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1
To help decide what’s risky and what’s safe, who’s trustworthy and who’s not, we look for social evidence.
주요 단어 정리
- risky: 위험한 (동의어: dangerous / 반의어: safe)
- trustworthy: 신뢰할 수 있는 (동의어: reliable / 반의어: untrustworthy)
- evidence: 증거 (동의어: proof, indic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help/ [decide/ [what’s risky/ and/ what’s safe],/ (+and)/ [who’s trustworthy/ and/ who’s not (trustworthy)]]],/
- [돕기 위햐여/ [결정하는 것을/ [무엇이 위험한지/ 그리고/ 무엇이 안전한지를],/ (+그리고)/ [누가 신뢰할 만한지/ 그리고/ 누가 그렇지 않은지를]]],/
- we look for/ social evidence.
- 우리는 찾습니다/ 사회적 증거를.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help/ [decide/~]]”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전체를 수식.
- help + (to) 부정사
- “help”는 3형식 문형에서 목적어로 “to 부정사”나 “동사원형(원형부정사)”을 목적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to 부정사”나 “동사원형(원형부정사)”는 “~하는 것”으로 명사처럼 해석합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총 네 곳
- “what’s risky”, “what’s safe”, “who’s trustworthy”, 및 “who’s not (trustworthy)”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병렬 구조 1 – 두 개의 간접의문문을 and로 연결
- “[what’s risky/ and/ what’s safe]”와 "[who’s trustworthy/ and/ who’s not (trustworthy)]"에서 사용된 어법. 대조적 의미의 두 개의 간접의문문을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병렬 구조 2 – 병렬 연결의 원칙에 따라 접속사 추가 필요
- “[what’s risky/ and/ what’s safe],/ (+and)/ [who’s trustworthy/ and/ who’s not (trustworthy)]”는 두 개의 “대조적 의미의 간접의문문을 병렬 연결한 의미의 덩어리들”이 병렬 연결한 구조이지만, 접속사 “(+and)”를 comma(,)로 연결한 비문의 형태. 따라서, 어법상 (+and)를 추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1
-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판단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사회적 증거”입니다. 이 문장에서 간접 의문문이 전달하는 내용은 무언가 확실하지 않아 결정해야 하는 상황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빈칸 (B)에 들어갈 말을 찾기 위해 보기를 확인하면, “uncertain”이 가장 가깝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번과 ④번으로 압축됩니다. 계속해서 다른 단서를 찾기 위해, 문장 2를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2
From an evolutionary view, following the group is almost always positive for our prospects of survival.
주요 단어 정리
- evolutionary: 진화론적 (관련 표현: evolutionary theory)
- view: 관점 (동의어: viewpoint, point of view)
- follow: 따르다
- positive: 긍정적인
- prospect: 가능성, 전망 (동의어: possibility, likelihood / 반의어: impossibility)
- survival: 생존 (동의어: existence, endurance / 반의어: extinc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rom an evolutionary view,/
- 진화론적 관점에서,/
- <following/ the group>/ is almost always positive/ <for our prospects/ of survival>.
- <따르는 것이/ 집단을>/ 거의 항상 긍정적입니다/ <우리의 가능성을 위해서/ 생존에 대한(우리의 생존 가능성을 위해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following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2
- 문장 2의 핵심 내용은 “집단을 따른 것이 생존을 위해서 바람직하다.”입니다. “집단을 따르는 것이 안전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므로, 빈칸 (A)에 들어갈 말을 보기에서 찾아보면, 집단이 의미하는 바가 “다수”도 가능하고 “규칙”도 가능하기에 이 문장만으로는 빈칸 (B)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문장 3을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3
“If everyone’s doing it, it must be a sensible thing to do,” explains famous psychologist and best-selling writer of Influence, Robert Cialdini.
주요 단어 정리
- must be~: ~임에 틀림이 없다
- sensible: 합리적인, 이치에 맞는 (동의어: reasonable, rational / 반의어: irrational)
- psychologist: 심리학자 (관련 표현: therapist, psychiatrist)
- best-selling: 가장 잘 팔리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everyone’s doing/ it(→something)],/
- “[만약 모두가 하고 있다면/ 그것을(→무언가를)],/
- it <must be a sensible thing/ to do>,”/
- 그것은(모든 사람이 하는 무언가는) <합리적인 일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해야 할>,”라고/
- explains/ [[<famous psychologist> and/ <best-selling writer/ of Influence(→the writer/ of best-selling Influence)>],/ Robert Cialdini].
- 설명합니다/ [[<유명한 심리학자>이자 <가장 잘 팔라는 작가인/ Influence의(→가장 잘 팔리는 책 ‘Influence’의 작가인)>]/ 로버트 치알디니가].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everyone’s doing/ it(→something)]”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대명사 사용의 오류
- 대명사는 앞에 나온 명사를 대신합니다. 문장 1부터 문장 2까지 it로 대신할 수 있는 명사가 없으므로 문맥상 “it”는 “something”으로 변경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 sensible thing/ to do”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a sensible thing”을 수식.
- 도치 구문
- “explains/ [[<famous psychologist> and/ <best-selling writer/ of Influence(→the writer/ of best-selling Influence)>],/ Robert Cialdini]”는 도치 구문입니다.
- 흔히 사용되지만 공적 문서에서는 지양해야 할 표현
- “best-selling writer/ of Influence”는 그대로 직역하는 경우, “가장 잘 팔리고 있는 작가/ influence의”의 의미가 되어, 작가가 팔리고 있는 의미가 됩니다.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인 문서에서는 “the writer/ of the best-selling Influence(작가인/ 가장 잘 팔리는 Influence의)”로 어법에 맞게 진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3
- 문장 3의 핵심 내용은 “Influence라는 책과 그 저자에 대한 소개”로 책의 내용이 모든 사람이 선택한 것 = 합리적인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다수가 선택한 것 = 합리적인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하므로, 빈칸 (A)에 ”numbers(수들)“이 적절함을 추론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부터 계속해서 분석하고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4
While we can frequently see this today in product reviews, even subtler cues within the environment can signal trustworthiness.
주요 단어 정리
- frequently: 자주 (동의어: often / 반의어: rarely)
- product review: 상품 평
- environment: (주변) 환경
- subtle: 미묘한
- cue: 신호, 단서 (동의어: hint, indication)
- signal: ~의 신호를 보내다
- trustworthiness: 신뢰성 (관련 표현: credibility, dependabil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ile we can frequently see/ this/ today/ in product reviews],/
- [우리가 자주 볼 수 있긴 하지만/ 이것을(모든 사람이 선택한 것이 합리적인 것이라는 것을)/ 오늘날/ 상품 평(들)에서],/
- <even subtler cues/ within the environment>/ can signal/ trustworthiness.
- <훨씬 더 미묘한 단서들조차도/ 주변 환경 내의>/ 신호를 보낼 수 있습니다/ 신뢰성의.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while + 주어 + 동사”
- “[While we can frequently see/~]”에서 사용된 어법. “~이긴 하지만/~인 반면에”의 의미를 전달.
- 비교급 강조 부사
- ”even subtler“에서 사용한 어법.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4
- 문장 4 역시, 상품 평들을 통해 “모든 사람이(다수가) 선택한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따라서, 빈칸 (A)에 “numbers”가 적절하다는 또다른 단서 역할을 합니다.
문장 5
Consider this: when you visit a local restaurant, are they busy? Is there a line outside or is it easy to find a seat?
주요 단어 정리
- consider: (깊이) 생각하다, 고려하다
- local: 지역의 (동의어: regional, nearby / 반의어: distant)
- busy: 바쁜, 혼잡한 (동의어: crowded, bustling / 반의어: empty)
- line: 줄 (동의어: queu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nsider/ this/
- 생각해 보세요/ 이렇게(다음과 같이)/
- :/ [when you visit/ a local restaurant],/
- 다시 말해/ [당신이 방문할 때/ 한 지역 식당을],/
- are they busy?/
- 사람들이 바쁜가요?/
- Is there a line/ outside/ or/ is it easy/ <to find/ a seat>?
- 줄이 있나요/ 바깥에/ 아니면/ 그것이 쉬운가요/ <찾는 것이/ 좌석을>?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Consider/~”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you visit/~]”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일반적인 사람을 표현하는 “they”
- “are they busy?”에서 “they”를 사람들로 해석하는 이유는 “They say~(사람들이 말합니다)”처럼 일반적인 사람들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대명사로 사용했다면 대신할 수 있는 앞에 사용된 명사가 없기에 오류에 해당하고, “people there”로 표현하든지, 앞에 사용된 명사인 “a restaurant”를 대신하는 “it”를 사용하여, 표현을 아예 바꾸어서, “is it crowded/ with people?”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s it easy/ <to find/ a seat>”에서 ”it“는 가주어, ”to find~”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5
- 문장 5 역시, “다수가 선택한 것 = 합리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한 지역 식당을 예로 설명한 것에 불과합니다. 그런 면에서 빈칸 (A)에 “numbers”가 적합하다는 또 다른 단서가 되는 것입니다.
문장 6
It is a hassle to wait, but a line can be a powerful cue that the food’s tasty, and these seats are in demand.
주요 단어 정리
- hassle: 귀찮은 일 (동의어: inconvenience, bother)
- tasty: 맛있는 (동의어: delicious, flavorful / 반의어: bland)
- demand: 수요
- be in demand: 수요가 있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is a hassle/ to wait,/
- 그것은 귀찮은 일입니다/ 기다리는 것은,/
- but/ a line can be/ [a powerful cue/ [that [the food’s tasty],/ and/ [these seats are in demand]]]./
- 그러나/ 줄이 될 수 있습니다/ [강력한 단서가/ [[음식이 맛있다는]./그리고/ [이러한 좌석들은 수요가 있다는]]].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is a hassle/ to wait”에서 ”It“는 가주어, ”to wait”는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a powerful cue/ [that [the food’s tasty],/ and/ [these seats are in demand]]]"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a powerful cue“을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병렬 구조 – that 절 내의 두 개의 문장을 and로 연결
- “[the food’s tasty]”와 “[these seats are in demand]”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문장 내의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6
- 문장 6 역시, “다수의 선택(줄 서는 것) = 좋은 선택”일 수 있는 것을 부연 설명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그런 면에서 빈칸 (A)에 “numbers”가 적합하다는 단서 역할에 불과합니다.
문장 7
More often than not, it’s good to adopt the practices of those around you.
주요 단어 정리
- more often than not: 대개
- adopt: 채택하다 (동의어: embrace, take up / 반의어: reject)
- practice: 관행, 관습, 행동 (동의어: habit, behavio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ore often than not,/
- 대개,/
- it’s good/ [to adopt/ [the practices/ <of those/ around you>]].
- 그것이 좋습니다/ [채택하는 것이/ [관행(습관적 행동)들을/ <사람들의/ 당신 주변에 있는>]].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s good/ [to adopt/~]"에서 ”it“는 가주어, ”to adopt~”는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7
- 문장 7 역시, “다수의 선택을 따르는 것이 좋다”는 의미로 빈칸 (A)에 “numbers”가 적합하다는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빈칸 추론
- 빈칸 (B) 추론
- 문장 1의 분석
- *"we look for social evidence"*는 사람들이 "위험한지/안전한지, 신뢰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결정할 때 사회적 증거를 활용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이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판단을 내리기 위해 사회적 증거를 사용하는 사례로 해석됩니다.
- 따라서 빈칸 (B)에는 "uncertain"이 적합합니다.
- 빈칸 (A) 추론
- 문장 2의 분석
- "following the group is almost always positive for our prospects of survival"에서 "집단을 따르는 것"이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긍정적 요소임을 설명합니다.
- 이는 집단(다수)이 안전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빈칸 (A)에 "numbers"가 적합합니다.
- 문장 7의 분석
- "it’s good to adopt the practices of those around you"는 주변 사람들(다수)의 관습이나 행동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합니다.
- 이는 빈칸 (A)와 일치하는 추가 단서를 제공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① numbers ······· uncertain“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결론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영어 40번 문제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회적 증거를 활용한 판단 과정을 설명하며, 빈칸 (A)와 (B)에 적합한 단어를 추론하는 문제였습니다.
분석 결과, 빈칸 (A)는 "numbers"로, 다수의 의견이 안전함을 상징하며, 빈칸 (B)는 "uncertain"으로,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판단 과정을 의미합니다.
정답은 ① numbers ···· uncertain이며, 이 문제는 사회적 심리학의 핵심 개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학생들에게 추론 능력을 요구하는 대표적인 빈칸 추론 문제로 평가됩니다.
이러한 빈칸 추론 문제는 독해력뿐만 아니라 어법과 논리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다양한 시험 유형에서 반복적으로 출제됩니다. 따라서 철저한 분석 훈련이 필요합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및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그리고 문제의 답을 추론하는 과정까지 포함된 상세한 어법 설명은 지문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드렸기를 기대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