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익숙함이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비밀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영어 41번과 42번 문제는 익숙한 구조와 기억력 간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체스, 음악, 발레와 같은 사례를 통해 전문가들이 익숙한 패턴에서 얻는 이점과 그 기억력 효과를 설명합니다. 이 분석에서는 문장별 청크 해석, 어법 설명, 어휘 적합성 판단을 통해 정확한 답을 도출하는 과정을 제공합니다. 영어 독해력뿐 아니라 학습 효율을 높이기 위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이번 유형의 문제 해결 Tip은 “위에서 아래로” 독해를 하면서 글의 핵심 주장이나 내용을 찾고 그 내용에서 벗어나는 어휘를 찾음과 동시에 핵심 주장이나 내용을 통해 글에 가장 어울리는 제목을 찾는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 및 어법 설명과 함께 제공되는 문제를 푸는 Tip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독해력에 기반을 둔 단서 찾기가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Chess masters shown a chess board in the middle of a game for 5 seconds with 20 to 30 pieces still in play can immediately reproduce the position of the pieces from memory. Beginners, of course, are able to place only a few. Now take the same pieces and place them on the board randomly and the (a) difference is much reduced. The expert’s advantage is only for familiar patterns — those previously stored in memory. Faced with unfamiliar patterns, even when it involves the same familiar domain, the expert’s advantage (b) disappears.
The beneficial effects of familiar structure on memory have been observed for many types of expertise, including music. People with musical training can reproduce short sequences of musical notation more accurately than those with no musical training when notes follow (c) unusual sequences, but the advantage is much reduced when the notes are ordered randomly. Expertise also improves memory for sequences of (d) movements. Experienced ballet dancers are able to repeat longer sequences of steps than less experienced dancers, and they can repeat a sequence of steps making up a routine better than steps ordered randomly. In each case, memory range is (e) increased by the ability to recognize familiar sequences and patterns.
* expertise: 전문 지식 ** sequence: 연속, 순서 *** musical notation: 악보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① How Can We Build Good Routines?
② Familiar Structures Help Us Remember
③ Intelligence Does Not Guarantee Expertise
④ Does Playing Chess Improve Your Memory?
⑤ Creative Art Performance Starts from Practice
42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Chess masters shown a chess board in the middle of a game for 5 seconds with 20 to 30 pieces still in play can immediately reproduce the position of the pieces from memory.
주요 단어 정리
- chess master: 체스 대가
- chess board: 체스판
- in the middle of~: ~의 중간에, ~의 도중에
- piece: (장기의) 말
- in play: 게임(진행) 중인
- immediately: 즉시
- reproduce: 재현하다 (동의어: replicate, duplicate / 반의어: distort)
- position: 위치
- memory: 기억 (동의어: recollection / 반의어: forgetfuln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hess masters/ (who or that are) shown/ a chess board/ <in the middle/ of a game>/ for 5 seconds/ <with 20 to 30 pieces/ still/ in play>]/
- [체스 대가들은/ 보여짐을 당한(본)/ 체스판을/ <도중에/ 게임의(게임 도중에)>/ 5초 동안/ <20~30개의 말들을 가진/ 아직/ 게임 중인>]/
- can immediately reproduce/ <the position/ of the pieces>/ from memory.
- 즉시 재현할 수 있습니다/ <위치를/ 말들의>/ 기억으로부터.
어법 설명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Chess masters/ (who or that are) shown/ a chess board/ <in the middle/ of a game>/ for 5 seconds/ <with 20 to 30 pieces/ still/ in play>]“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Chess master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o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여전히 게임 중인 이삼십 개의 말(들)을 가진 체스판을 게임 도중에 5초 동안 보여짐을 당한(본) 체스 대가들“의 의미를 전달. 한국어로 번역 시 ”보여짐을 당한“의 의미가 어색하여 ”본“으로 의역합니다.
- 어순 배열의 어색함 & 자연스럽게 변경할 필요성
- ”a chess board/ <in the middle/ of a game>/ for 5 seconds/ <with 20 to 30 pieces/ still/ in play>“에서 ”a chess board“와 ”<with 20 to 30 pieces/ still/ in play>“는 의미상, 현재 문장처럼 분리하면 상당히 어색합니다. 이런 경우, ”[a chess board/ <with 20 to 30 pieces/ still/ in play>]”로 일단 명사구로 표현하고 시간의 표현(for 5 seconds)이든 방법의 부사구(in the middle/ of a game)이든 연결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예를 들어, “[a chess board/ <with 20 to 30 pieces/ still/ in play>]/ <in the middle/ of a game>/ for 5 seconds”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게임 도중에 잠깐 본 체스 게임을 기억으로부터 복기가 가능한 체스 대가의 놀라운 능력”. 이 문장이 암시하는 것이 경험에 의한 통찰력인지, 기억력인지는 아직 불명확합니다. 따라서, 문장을 더 독해하여 지문이 설명하거나 주장하는 바가 무엇인지 파악해 보도록 합니다.
문장 2
Beginners, of course, are able to place only a few.
주요 단어 정리
- beginner: 초보자 (동의어: novice, rookie / 반의어: expert)
- of course: 물론 (동의어: naturally, obviously)
- place: 놓다, 배치하다 (동의어: arrange / 반의어: displace)
- a few: 몇 개, (여기서는 의미상) 몇 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eginners,/ of course,/ are able to place/ only a few.
- 초보자들도,/ 물론/ 놓을 수는 있습니다/ 단지 몇 개만은(몇 수만은).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문장 2의 “Chess Masters”에 상대되는 개념의 “Beginners”를 등장시켜, 극단적 대조를 보입니다. 역시 아직은 문장 1에 진술한 내용이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한 부분을 찾을 수 없으므로 더 독해해야 합니다.
문장 3
Now take the same pieces and place them on the board randomly and the (a) difference is much reduced.
주요 단어 정리
- place: 두다, 배치하다
- randomly: 무작위로 (동의어: arbitrarily, haphazardly / 반의어: systematically)
- much: 많이, 상당히, 크게
- reduce: 줄이다 (동의어: decrease, diminish / 반의어: increa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w/ [take/ the same pieces]/ and/ [place/ them/ on the board/ randomly]/
- 이제/ [가져가세요/ 동일한 체스 말들을]/ 그리고/ [배치하세요/ 그것들을/ 체스판 위에/ 무작위로]/
- and/ the (a) difference is much reduced.
- 그러면/ 그 (a) 차이는 상당히(크게) 줄어듭니다.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병렬 구조
- “[take/ the same pieces]/ and/ [place/ them/ on the board/ randomly]”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명령문, and~
- "~하세요, 그러면 -합니다"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 “is much reduced”에서 사용된 어법. "상당히(크게) 줄어들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제목의 추론 1
- 문장 3은 “무작위로 말을 배치했을 때의 체스 대가와 초보자의 복기 능력의 차이가 줄어들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 부분을 염두에 두고 보기를 확인해 봅니다. “② Familiar Structures Help Us Remember(익숙한 구조들이 우리를 기억하도록 돕는다)”이 가장 부합하지만, 아직도 구체적이거나 결정적인 단서가 없으므로 구체적이고 결정적인 단서를 확인하기 위해서 한 문장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⑤ Creative Art Performance Starts from Practice”의 경우, “practice(연습)”은 현재의 내용과 부합하나 “Creative Art Performance(창의적인 예술의 성과들)”이 주제에서 벗어납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a)
- 상식적 논리로는 (a)는 문맥상 적절하지만, 이에 대한 판단 역시 지문 전체의 맥락으로 판단해야 할 성격이 강합니다. 아직은 유보하고 이후의 문장에서 적합성 여부의 판단을 하도록 합시다.
문장 4
The expert’s advantage is only for familiar patterns — those previously stored in memory.
주요 단어 정리
- advantage: 이점, 우위, 유리한 점 (동의어: benefit, edge / 반의어: disadvantage)
- be for~: ~에 대한 것이다, ~을 위한 것이다
- familiar: 익숙한 (동의어: well-known, recognizable / 반의어: unfamiliar)
- previously: 이전에
- store: 저장하다 (동의어: save, keep / 반의어: discar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expert’s advantage is only for familiar patterns/
- 전문가의 유리한 점은 오직 익숙한 패턴에 대한 것입니다/
- —/ [those/ (which or that were) previously stored/ in memory].
- 즉/ [(그)것들인/ 이전에 저장된/ 기억 속에].
어법 설명
- 부연 설명의 문장 부호 dash(—)
- 이 문장에서 문장 부호인 dash(—)는 “familiar patterns”를 부연 설명하는 역할을 하며, “즉, 다시 말해서”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ose/ (which or that were) previously stored/ in memory]“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ose“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 (which or that we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기억 속에 저장된 것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제목의 추론 2
- 문장 4의 내용으로부터 ”patterns“가 ”structures“를 대체하는 표현임을 알 수 있고, ”익숙한 패턴이 기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주제로 한 글임을 알 수 있으므로, “② Familiar Structures Help Us Remember(익숙한 구조들이 우리를 기억하도록 돕는다)”를 정답으로 선택하고 더 이상 제목에 대해선 신경 쓰지 않도록 합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a)
- 마찬가지로 “익숙한 패턴”이 “chess masters”의 유일한 유리한 점으로 기술하고 있으므로 “무작위로 배치한 상황”은 익숙한 상황이 아니므로 “(a) difference”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5
Faced with unfamiliar patterns, even when it involves the same familiar domain, the expert’s advantage (b) disappears.
주요 단어 정리
- face: 직면하다
- unfamiliar: 익숙하지 않은 (동의어: unknown, strange / 반의어: familiar)
- domain: 영역, 분야 (동의어: field, area)
- disappear: 사라지다 (동의어: vanish, fade / 반의어: appear, emerg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aced/ with unfamiliar patterns],/
- [직면되얶을(직면했을) 때/ 익숙하지 않은 패턴에],/
- even/ [when it involves(→they involve)/ the same familiar domain],/
- 심지어/ [그것이 포함할 때(→그것들이 포함할 때) 조차도/ 동일한 익숙한 영역을],/
- the expert’s advantage (b) disappears.
- 전문가의 유리한 점은 (b) 사라집니다.
어법 설명
- 독립 분사구문
- "[Faced/ with unfamiliar patterns]"는 "[when they are faced/ with unfamiliar patterns]"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en”과, 주어 “they(=the experts)”이 생략되고 “are”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이나 이 주절의 주어는 “the expert’s advantage”로 문장의 주어가와 일치하지 않으나 문맥상 누구나 알 수 있는 사람으로 보아 생략한 “독립 분사구문”정도로 이해해야 합니다.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it involves(→they involv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대명사 사용의 오류
- "[when it involves(→they involve)/ the same familiar domain]"에서 대명사 "it"는 문맥상 "unfamiliar patterns"를 대신합니다. 따라서, "it involves"는 "they involve"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b)
- 이미 문장 4에서 언급한 “페턴”이 사라진 경우(=유리한 점이 사라진 경우)에 해당하므로 “(b) disappears”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6
The beneficial effects of familiar structure on memory have been observed for many types of expertise, including music.주요 단어 정리
- beneficial: 유리한 (동의어: helpful, advantageous / 반의어: harmful, detrimental)
- observe: 관찰하다 (동의어: notice, perceive / 반의어: overlook)
- many types of~: 많은 유형의(형태의)~
- including~: ~을 포함한(포함하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beneficial effects/ of familiar structure>/ on memory]/ have been observed/ <for many types of expertise,/ including music>.
- [<유리한 효과들은/ 익숙한 구조의>/ 기억에 대한]/ 관찰되어 왔습니다/ <여러 유형의 전문 지식에 대해서/ 음악을 포함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beneficial effects”로 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복수 형태인, ”have been observed“.
- 현재완료 수동태[have been + pp]
- "have been observed"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된 사실을 나타내어 ”관찰되어 왔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여러 분야에서 관찰된 익숙한 구조의 기억(력)에 대한 유리한 효과“
문장 7
People with musical training can reproduce short sequences of musical notation more accurately than those with no musical training when notes follow (c) unusual sequences, but the advantage is much reduced when the notes are ordered randomly.
주요 단어 정리
- musical training: 음악 훈련
- reproduce: 재현하다 (동의어: replicate, replicate / 반의어: distort)
- sequence: 순서
- sequences of~: 일련의~
- musical notation: 악보
- accurately: 정확하게 (동의어: precisely, exactly / 반의어: inaccurately)
- unusual: 특이한, 드문 (동의어: unique, uncommon / 반의어: usual, common)
- randomly: 무작위로 (동의어: arbitrarily, haphazardly / 반의어: systematically)
- order: 배열하다, 정리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eople/ with musical training>/ can reproduce/ <short sequences of musical notation>/ more accurately/
- <사람들은/ 음악 훈련을 가진(받은)>/ 재현할 수 있습니다/ <짧은 순서들을/ 악보의(짧은 일련의 악보를)>/ 더 정확하게/
- <than those/ with no musical training>/
- <사람들보다/ 흠악 훈련을 가지지 않은(받지 않은)>
- [when notes follow/ (c) unusual(→usual) sequences],/
- [음표들이 따를 때/ (c) 특이한(→평범한) 순서를],/
- but/ the advantage is much reduced/
- 그러나/ 유리한 점은 상당히(크게) 줄어듭니다/
- [when the notes are ordered(→arranged)/ randomly].
- [그 음표들이 정돈될(→배열될) 때/ 무작위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notes follow/~]”와 “[when the notes are ordered(→arrange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 “is much reduced”에서 사용된 어법, “상당히(크게) 줄어들다”의 의미로 수동태.
- 어휘의 적절성 판단 (c)
- 음악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보다 더 정확하게 기억하려면, “페턴(익숙함)”이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c) unusual”은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usual”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③번을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해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이후 문장에 대해서도 분석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뉘앙스상 부적절한 어휘(order)의 변경 필요성
- 이 문장과 문장 8에서 “order(정돈하다)”는 문맥상, “배열하다(arrange)”의 의미로 격이 맞지 않게 사용된 경우입니다. 따라서, “arrange“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문장 7은 ”음악 분야의 익숙함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의 예“
문장 8
Expertise also improves memory for sequences of (d) movements. Experienced ballet dancers are able to repeat longer sequences of steps than less experienced dancers, and they can repeat a sequence of steps making up a routine better than steps ordered randomly.
주요 단어 정리
- expertise: 전문 지식, 전문성 (동의어: skill, proficiency / 반의어: inexperience)
- movement: 움직임, 동작 (동의어: motion, action)
- experienced: 숙련된 (동의어: skilled, proficient / 반의어: inexperienced, novice)
- be able to 부정사: ~할 수 있다
- make up: 구성하다
- routine: 루틴, 판에 박힌 동작 (동의어: pattern, sequence)
- randomly: 무작위로 (동의어: arbitrarily, haphazardly / 반의어: systematic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xpertise also improves/ [memory/ <for sequences of (d) movements>]./
- 전문성은 또한 향상시킵니다/ [기억을/ <일련의 동작들에 대한>]./
- Experienced ballet dancers are able to repeat/ <longer sequences of steps>/ <than less experienced dancers>,/
- 숙련된 발레 무용수들은 반복할 수 있습니다/ <더 긴 일련의 동작들을>/ <덜 숙련된 무용수들보다>,/
- and/ they can repeat/ <a sequence of steps>/
- 그리고/ 그들은 반복할 수 있습니다/ <일련의 스탭들을>/
- [making up/ a routine/ better]/
- [구성하면서/ 판에 박힌 동작을/ 더 잘]/
- [than steps/ (which or that are) ordered(→arranged)/ randomly].
- [스탭들보다/ 정돈된(→배열된)/ 무작위로].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making up/ a routine/ better]”은 “[while they make up/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experienced ballet dancers)”가 생략되고 동사 “make up”이 “making up”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steps/ (which or that are) ordered(→arranged)/ randomly“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step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무작위로 배열된 스탭들“의 의미를 전달.
- 어휘의 적절성 판단 (d)
- 문맥상 ”(d) movements“는 적절합니다.
- 문장 8의 핵심 내용
- 문장 8은 ”댄스 분야의 익숙함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의 예“
문장 9
In each case, memory range is (e) increased by the ability to recognize familiar sequences and patterns.
주요 단어 정리
- range: 범위 (동의어: scope, extent)
- increase: 증가하다 (동의어: expand, grow / 반의어: decrease, reduce)
- recognize: 인식하다, 알아보다 (동의어: identify, discern / 반의어: overlook, igno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each case,/
- 각각의 경우에,/
- memory range is (e) increased/ [by the ability/ [to recognize/ <familiar sequences and patterns]>]].
- 기억의 범위가 (e) 증가됩니다/ [능력에 의해/ [인식하는(알아보는)/ <익숙한 순서들과 패턴들을>]].
어법 설명
- 수동태[be +pp]
- "is increased"는 “증가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the ability/ [to recognize/ <familiar sequences and patterns]>]”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ability”를 수식.
- 어휘의 적절성 판단 (e)
- 문맥상 ”(e) increased“는 적절합니다.
- 문장 9의 핵심 내용
- 문장 9은 ”익숙함을 인식하는 능력 역시 기억의 범위를 증가시킨다는 것“
문제 풀이와 정답
41번 문제 – 글의 제목 추론
- 문장 4: "The expert’s advantage is only for familiar patterns..."
- 전문가의 이점은 익숙한 패턴에 국한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문장 6: "The beneficial effects of familiar structure on memory have been observed..."
- 익숙한 구조가 기억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을 언급합니다.
- 문장 9: "Memory range is increased by the ability to recognize familiar sequences and patterns."
- 익숙한 패턴과 구조가 기억력을 증대시킨다는 글의 핵심 결론을 전달합니다.
- 정답: ② Familiar Structures Help Us Remember
42번 문제 – 어휘의 적절성 판단
- (a) difference:
- 체스 대가와 초보자 간 차이를 설명하며 적절합니다.
- (b) disappears:
- 익숙하지 않은 패턴 앞에서 전문가의 이점이 사라진다는 점을 명확히 설명하며 적절합니다.
- (c) unusual:
- 음악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특이한 순서"를 더 잘 기억한다는 내용은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 "익숙한 순서(usual sequences)"여야 전문가의 이점이 발휘되므로, 부적절합니다.
- (d) movements:
- 발레 동작과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며 적절합니다.
- (e) increased:
- 익숙함을 인식하는 능력이 기억의 범위를 증가시킨다는 맥락에서 적절합니다.
결론
익숙함이 주는 기억력의 놀라운 힘
2023년 3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은 익숙한 패턴과 구조는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체스 대가, 음악 훈련을 받은 사람들, 그리고 숙련된 발레 무용수들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전문가들이 익숙한 패턴에서 더 뛰어난 기억력을 발휘하는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지문 분석은 영어 독해와 문제 풀이를 넘어, 학습의 본질과 기억력의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자료입니다. 익숙함을 활용한 학습 전략이 여러분의 학습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여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하는데 항상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