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0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수용적인 태도가 만들어내는 긍정의 힘"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0번 지문은 "원치 않는 일을 해야만 할 때 수용적인 태도를 갖추는 것"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현대인들이 흔히 경험하는 "해야 하지만 하기 싫은 일"을 대하는 두 가지 태도를 제시하며, 수용적인 태도가 자신과 주변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특히 이 글은 혐오와 수용이라는 대조적 태도를 논리적으로 비교하며, "증오로 일을 하는 것"과 "수용적으로 일을 하는 것"의 차이를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득력 있게 구성되었습니다. 또한, 결국 수용적인 태도를 통해 얻어지는 긍정적인 변화를 강조하며, 더 나아가 원치 않는 상황을 "삶의 교훈"으로 여기는 시각의 중요성을 전달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와 청크(chunk) 분석을 통해 지문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문법적 요소와 어법의 주요 포인트를 짚어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독자는 지문의 핵심 메시지와 시험에서 정답을 도출하는 과정 모두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장하는 바를 찾는 것은 항상 “글의 주장”이 뭔지를 기억하고 찾으려는 습관, 논리적으로 글을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하면서 실질적인 문해력을 높여야 쉽게 체득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more people have to do unwanted things the more chances are that they create unpleasant environment for themselves and others. If you hate the thing you do but have to do it nonetheless, you have choice between hating the thing and accepting that it needs to be done. Either way you will do it. Doing it from place of hatred will develop hatred towards the self and others around you; doing it from the place of acceptance will create compassion towards the self and allow for opportunities to find a more suitable way of accomplishing the task. If you decide to accept the fact that your task has to be done, start from recognising that your situation is a gift from life; this will help you to see it as a lesson in acceptance.
② 상대방의 무리한 요구는 최대한 분명하게 거절해야 한다.
③ 주어진 과업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에 일을 시작해야 한다.
④ 효율적으로 일을 처리하기 위해 좋아하는 일부터 해야 한다.
⑤ 원치 않는 일을 해야만 할 때 수용적인 태도를 갖춰야 한다.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 more people have to do unwanted things the more chances are that they create unpleasant environment for themselves and others.
주요 단어 정리
- unwanted: 원치 않는 (동의어: undesirable, unrequested / 반의어: desired, requested)
- chance: 가능성, 기회 (동의어: likelihood, opportunity / 반의어: impossibility)
- unpleasant: 불쾌한 (동의어: disagreeable, uncomfortable / 반의어: pleasant, agreeable)
- environment: 환경 (동의어: surroundings, atmosphere / 반의어: isol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more/ people have to do/ unwanted things],/
- [더 많이/ 사람들이 해야 할수록/ 원치 않는 일들을],/
- [the more chances are [that they create/ [unpleasant environment/ <for themselves and others>]]].
- [더 높은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들이 만들어낼/ [불쾌한 환경을/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위한>]]].
어법 설명
- The 비교급 A, the 비교급 B
- "[The more/ people have to do/ unwanted things],/ [the more chances are [that they create/ [unpleasant environment/ <for themselves and others>]]]"애서 사용된 어법. "A하면 할수록, B하다"의 상관구문으로, 원인과 결과를 나타냅니다.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more chances are [that they create/ [unpleasant environment/ <for themselves and others>]]]"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할“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the more chances“을 설명합니다.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을 제외하면, “모든 접속사+완전한 문장”의 관계가 있습니다. “that 절” 이후에 목적어까지 갖춘 완전한 문장이 왔다는 것에 유의하세요.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재귀 대명사 ”themselves“
- ”문장의 주어 =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의 관계인 경우.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는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함.
- 문장 1의 핵심 내용 및 지문의 주장 추론 1
- 원치 않는 일을 더 많이 할수록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불쾌한 환경을 더 만들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으로 주장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보기를 확인하면, “⑤ 원치 않는 일을 해야만 할 때 수용적인 태도를 갖춰야 한다.“ 가장 가깝습니다. 다만, ”수용적인 태도“에 대한 진술을 아직 확인하지 못하였으므로, 조금 더 독해하여 그에 대한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문장 2
If you hate the thing you do but have to do it nonetheless, you have choice between hating the thing and accepting that it needs to be done.
주요 단어 정리
- hate: 싫어하다, 미워하다 (동의어: dislike, loathe / 반의어: love, like)
- nonetheless: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의어: nevertheless, however / 반의어: therefore, consequently)
- choice: 선택 (동의어: option, decision / 반의어: obligation, compulsion)
- between A and B: A와 B 사이의
- accept: 받아들이다 (동의어: embrace, agree / 반의어: reject, oppose)
- need to 부정사: ~해야 하다, ~할 필요가 있다
- be done: 행해지다, 완료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you [hate/ [the thing/ (which or that) you do]]/ but/ [have to do/ it/ nonetheless]],/
- [만약 당신이 [싫어한다면/ [그 일을/ 당신이 하는]]/ 그러나/ [해야만 한다면/ 그것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 you have/ [choice/ [between [hating/ the thing]/ and/ [accepting/ [that it needs to be done]]]].
- 당신은 갖게 됩니다/ [선택을/ [[미워하는 것과/ 그 일을]/ [받아들이는 것 사이의/ [그것이 행해져야 한다고]]]].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if 절”의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hate/ [the thing/ (which or that) you do]]”와 “[have to do/ it/ nonetheles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thing/ (which or that) you do]”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thing”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당신이 하는 일”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병렬 구조
- "[hating/ the thing]“와 ”[accepting/ [that it needs to be done]]“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between“의 목적어 역할. 각각, ”그 일을 싫어하는 것“과 ”그것이 행해져야 한다고 받아들이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accepting/ [that it needs to be done]"에서 "that"은 동명사, "accepting"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수동태[be + pp]
- “needs to be done”에서 사용된 어법. "행해지다/완료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그러면서, “to be done”는 “needs”의 목적어로 사용된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 문장 2의 핵심 내용 및 지문의 주장 추론 2
- 하기 싫어하지만 해야만 하는 일을 하게 되면, 그것을 싫어할지 그것을 받아들일지에 대한 선택권을 갖게 된다는 것. ”[accepting/ [that it needs to be done]]“로부터 문장 1에서 찾고 있던 근거가 처음으로 확인되었으나 아직 받아들이라는 확정적인 언급이 없으므로 한 문장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3
Either way you will do it.
주요 단어 정리
- either way: 어느 쪽이든, 어쨌든 (동의어: in any case, no matter what / 반의어: neither wa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ither way,/ you will do/ it.
- 어느 쪽이든,/ 당신은 하게 될 것입니다/ 그것을.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및 지문의 주장 추론 3
- 문장 3의 경우 이 문장 단독으로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고 문장 2와 연동해서 그 뉘앙스를 봐야 합니다. 싫어하든 받아들이든 어쨌든 해야 한다는 의미로, ”그럴 거면 받아들여라.“는 뉘앙스가 강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세 해설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부터 분석 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4
Doing it from place of hatred will develop hatred towards the self and others around you; doing it from the place of acceptance will create compassion towards the self and allow for opportunities to find a more suitable way of accomplishing the task.
주요 단어 정리
- hatred: 증오, 미움 (동의어: hostility, loathing / 반의어: love, affection)
- develop: 발전시키다
- towards~: ~을 향한, ~에 대한
- acceptance: 수용, 받아들임 (동의어: approval, acknowledgment / 반의어: rejection, denial)
- compassion: 동정, 연민 (동의어: empathy, sympathy / 반의어: indifference, apathy)
- suitable: 적합한, 알맞은 (동의어: appropriate, fitting / 반의어: unsuitable, inappropriate)
- accomplish: 이루다, 완수하다 (동의어: achieve, fulfill / 반의어: fail, neglec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Doing/ it/ <from place/ of hatred>]/ will develop/ [hatred/ [towards <the self> and <others/ around you>]]/
- [하는 것이/ 그것을/ <자리에서/ 증오의>]/ 발전시킬 것입니다/ [증오를/ [<자신에 대한>/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대한/ 당신 주변의>]]/
- ;/ [doing/ it/ <from the place/ of acceptance>]/ [will create/ <compassion/ towards the self>]/ and/ [(will) allow for(→allow)/ [opportunities/ [to find/ [a more suitable way/ <of accomplishing/ the task>]]]].
- 다시 말해서/ [하는 것은/ 그것을/ <자리에서/ 수용의>]/ [만들어 낼 것입니다/ <연민을/ 자신에 대한>]/ 그리고/ [가능하게 할(→허용할) 것입니다/ [기회들을/ [찾기 위한/ [더 적절한 방법을/ <완수하기 위한/ 그 일을>]]]].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Doing/ it/ <from place/ of hatred>]“와 ”[doing/ it/ <from the place/ of acceptance>]“에서 사용된 용법. 각각 문장의 주어 역할. ”증오의 자리에서 그것을 하는 것“과 ”수용의 자리에서 그것을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will create/ <compassion/ towards the self>]”와 “[(will) allow for(→allow)/ [opportunities/ [to find/ [a more suitable way/ <of accomplishing/ the task>]]]]”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allow(허용하다)”와 “allow for(가능하게 하다)”의 구분 필요
- “allow for”는 “~을 고려하다/~을 참작하다”의 기본적인 의미에서 “~을 가능하게 하다”로 의미가 확장된 것입니다. “허용하다”의 의미로 사용되는 “allow”와는 구분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문장의 “allow for”는 의미상 “allow”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opportunities/ [to find/ [a more suitable way/ <of accomplishing/ the task>]]]”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opportunities”를 수식.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of accomplishing/ the task>”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는 “그 일을 완수하는 것과 관련된”를 의역하여 “그 일을 완수하는”로 번역이 되는 것입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문장 4는 증오를 가지고 일을 하는 경우와 수용적으로 일을 하는 경우의 장단점을 설명합니다. 결국, 수용적으로 일을 하라는 근거를 한번 더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문장 5
If you decide to accept the fact that your task has to be done, start from recognising that your situation is a gift from life; this will help you to see it as a lesson in acceptance.
주요 단어 정리
- decide: 결정하다 (동의어: determine, choose / 반의어: hesitate, waver)
- accept: 받아들이다 (동의어: embrace, agree / 반의어: reject, deny)
- recognise: 인식하다 (동의어: acknowledge, realize / 반의어: overlook, ignore)
- gift: 선물 (동의어: present, offering / 반의어: curse, burden)
- lesson: 교훈 (동의어: teaching, moral / 반의어: mistake, oversigh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you decide/ [to accept/ [the fact/ [that your task has to be done]]]],/
- [만약 당신이 결정한다면/ [받아들이는 것을(받아들이기로)/ [그 사실을/ [당신의 일이 행해져야 한다는]]]],/
- start/ [from recognising/ [that your situation is <a gift/ from life>]]/
- 시작하세요/ [인식하는 것으로부터/ [당신의 상황이 <선물이라고/ 삶으로부터의>]]/
- ;(→and)/ this will help/ you/ [to see/ it/ <as a lesson/ in(→of) acceptance>].
- 즉(→그러면)/ [이것이 도울 것입니다/ 당신이/ [보는 것을/ 그것을/ <교훈으로/ 수용에서의(하는)(→수용의)>]].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 decide/~]”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decide/ [to accept/~]”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decide”의 목적어 역할. 다만, “받아들이기로 결정하다”로 의역.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fact/ [that your task has to be done]"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the fact“을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수동태[조동사 + be + pp]
- “has to be done”에서 사용된 어법. "행해져야 한다/이루여져야 한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부호 semicolon(;)의 오용
- 문장 부호는 문장 성분을 부연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
- start/ [from recognising/ [that your situation is <a gift/ from life>]]/ ;(→and)/ this will help/ you/~”에서 문맥상, semicolon(;)은 “명령문, and~(~하세요, 그러면 ~할 것입니다)”의 의미로 “semicolon(‘)은 ”and“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5형식 문형 "사역동사(help)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to 부정사)"
- “help/ you/ [to see/~]”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전치사+명사 = 형용사“의 의미상 혼선
- ”in acceptance“는 ”수용하는“ 또는 "수용에서의" 정도의 의미로, 문맥상, ”수용의“이나 ”수용이라는“ 정도의 의미가 필요하며, 이럴 경우, 전치사, ”in“은 전치사, ”of“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문장 6
Great things take time to build.
주요 단어 정리
- take: (필)요하다, 걸리다
- take time: 시간을 요하다(시간이 필요하다) (동의어: require time, need time / 반의어: save time, shorten time)
- build: 쌓다, 구축하다 (동의어: construct, create / 반의어: destroy, dismant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Great things take/ <time/ to build>.
- 위대한 것들은 필요합니다/ <시간을/ 구축하기 위한>.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time/ to build>”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ime”을 수식.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지문의 핵심 주장은 "원치 않는 일을 해야 할 때 수용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이 자신과 주변 모두를 위한 더 나은 결과를 만든다"는 점입니다.
흐름 분석
- 문장 1에서 "unwanted things"와 그것이 "unpleasant environment"를 만든다는 내용을 통해, 원치 않는 일을 해야 할 때 부정적인 결과를 피하려는 필요성이 드러납니다.
- 문장 2와 문장 3에서는 "어쨌든 해야 할 일이라면 미워하거나 받아들이는 선택지가 있으며, 둘 중 하나는 수용적인 태도를 가지라는 의미를 함축적으로 전달"합니다.
- 문장 4는 "미워하면서 일을 하는 경우와 수용적으로 일을 하는 경우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수용적인 태도가 긍정적 결과를 낳는다는 점을 명확히 합니다.
- 문장 5에서는 "수용적인 태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상황을 삶의 선물로 인식하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 문장 6에서 "위대한 성과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인내와 수용적인 태도의 중요성을 보충합니다.
정답 분석
- ① 창의력을 기르려면 익숙한 환경에서 벗어나야 한다.
- → 창의력이나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 대한 언급은 지문에서 전혀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 ② 상대방의 무리한 요구는 최대한 분명하게 거절해야 한다.
- → 상대방의 요구를 거절하는 내용이 아니라, 원치 않는 일을 해야 할 때의 태도에 대해 다룹니다.
- ③ 주어진 과업을 정확하게 파악한 후에 일을 시작해야 한다.
- → 주어진 과업의 정확한 파악에 대한 언급은 없으며, "원치 않는 일을 해야 할 때의 태도"를 중심으로 논의합니다.
- ④ 효율적으로 일을 처리하기 위해 좋아하는 일부터 해야 한다.
- → "좋아하는 일"에 대한 내용은 지문에서 다루고 있지 않으며, "원치 않는 일"과 "수용적인 태도"가 중심 주제입니다.
- ⑤ 원치 않는 일을 해야만 할 때 수용적인 태도를 갖춰야 한다.
- → 지문의 핵심 주장과 가장 부합합니다. 문장 2~5에서 반복적으로 "수용적인 태도"의 중요성과 그 긍정적 결과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⑤번입니다.
결론
"받아들이는 자세가 삶의 방향을 바꾼다"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0번 지문은 우리가 종종 마주하는 "원치 않는 상황"을 대하는 태도가 얼마나 중요한지 일깨워줍니다. 단순히 혐오의 자리에서 벗어나는 것을 넘어, 상황을 "삶의 선물"로 바라보며 받아들이는 자세가 자신과 주변 모두를 위한 긍정적인 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글은 인내심과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강조하며, 이는 단순히 시험 문제 풀이를 넘어 독자가 삶에서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분석 과정에서 문장별 어법과 논리적 연결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영어 독해뿐만 아니라 더 큰 맥락에서의 사고력을 키우는 데도 기여합니다.
따라서, 이 글을 통해 독자들은 단순히 영어 독해 문제를 푸는 기술뿐 아니라, 삶을 바라보는 태도와 사고의 전환을 배울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수용적인 태도"가 만드는 긍정의 변화를 오늘부터 실천해 보세요!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한 의미 해석, 문제를 해결하는 tip을 포함한 상세한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 내 오류를 포함해 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기대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