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완벽함이 아닌 진전을 향해: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1번 심화 분석"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영어 독해 21번 지문은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를 다룹니다. 지문은 "완벽함을 추구하다가 오히려 선한 결과를 망치지 말라"는 메시지와 함께, 작은 변화라도 만들어내는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합니다. 특히, "helping move the needle forward"라는 밑줄 친 표현은 단순한 행위를 넘어 현실적인 상황에서 가능한 최선을 다하는 태도를 상징합니다.

이 지문은 학생들에게 완벽함을 고집하기보다는 유연한 태도로 현실적인 성과를 만들어가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교훈을 제공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어법, 청크, 함축적 의미를 명확히 정리하며, 지문에 내포된 오류와 페이크까지 심층적으로 다룰 것입니다. 이를 통해 문제 풀이와 독해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유사 유형의 문제 해결력을 강화하는 데 목표를 둡니다.

함축적 의미를 추론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tip은 함축적 의미를 포함하는 문장을 먼저 읽고 그 문장의 전후 관계에서 먼저 단서를 찾아야 합니다. 이번 문제는 밑줄 친 부분이 마지막 문장에 있어 “아래에서 위로” 독해하면서 정답을 찾기 위한 clue를 찾는 것이 시간을 줄이는 방법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문장 8의 해설부터 보시고 이후의 과정을 따라오시기 바랍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함축적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1. 밑줄 친 helping move the needle forward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Everyone’s heard the expression don’t let the perfect become the enemy of the good. If you want to get over an obstacle so that your idea can become the solution‑based policy you’ve long dreamed of, you can’t have an all‑or‑nothing mentality. You have to be willing to alter your idea and let others influence its outcome. You have to be okay with the outcome being a little different, even a little less, than you wanted. Say you’re pushing for a clean water act. Even if what emerges isn’t as well‑unded as you wished, or doesn’t match how you originally conceived the bill, you’ll have still succeeded in ensuring that kids in troubled areas have access to clean water. That’s what counts, that they will be safer because of your idea and your effort. Is it perfect? No. Is there more work to be done? Absolutely. But in almost every case, helping move the needle forward is vastly better than not helping at all.

① spending time and money on celebrating perfection
② suggesting cost‑saving strategies for a good cause
③ making a difference as best as the situation allows
④ checking your resources before altering the original goal
⑤ collecting donations to help the education of poor children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Everyone’s heard the expression don’t let the perfect become the enemy of the good.

주요 단어 정리

  • expression: 표현, 격언 (동의어: saying, phrase / 반의어: silence, omission)
  • perfect: 완벽한 것 (동의어: flawless, ideal / 반의어: flawed, imperfect)
  • enemy: 적, 방해물 (동의어: adversary, obstacle / 반의어: friend, supporter)
  • good: 좋은 것 (동의어: benefit, advantage / 반의어: harm, disadvantag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ryone’s heard(→has heard)/ [the expression,/ [(+“)don’t let/ the perfect/ [become the enemy/ of the good(+”)]]].
  • 모두가 들었습니다(→들어본 적 있습니다)/ [그 표현을/ [(+“)하지(두지) 말라는/ 완벽한 것을/ [적이 되도록/ 좋은 것의(+”)]]].

어법 설명

  • 의미상 현재완료[have + pp] 시제의 사용 필요성
  • 이 문장에서 “heard”는 문맥적 의미상 “들어본 적 있다”는 의미로, has heard”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직접화법 & 동격 표현 미사용의 오류
  • 문맥상, “the expression“과 ”[don’t let/ the perfect/ [become the enemy/ of the good]]“은 동격 관계로, 이런 경우, 인용 부호 ““와 comma(,)나 동격의 전치사 ”of“, 동격의 접속사 ”or“를 사용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따라서, ”[the expression,/ [don’t let/ the perfect/ [become the enemy/ of the good]]]와 같이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사역동사 "let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don’t let/ the perfect/ [become the enemy/ of the good(+”)]]”에서 “let”은 “~하게 하다”라는 의미로, 뒤에 목적어(the perfect)와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become)”을 취합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밑줄 친 부분과의 관련성
  • “모든 사람이 들어본 적 있는 표현 – 완벽한 것이 좋은(선한) 것의 적이 되게 하지 말라”. 밑줄 친 부분과 직접 관련성이 있으나 이후 이어지는 문장 2 ~ 문장 4의 진술은 문제 해결과 직접 관련이 없는 아이디어 변경에 대한 유연성과 다른 사람의 의견에 대한 수용성의 내용으로 연결됩니다. 즉, 문제의 해결은 문장 5와 문장 6에서 해결되는 것입니다. “아래에서 위로” 해석했기에 파악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문장 2

If you want to get over an obstacle so that your idea can become the solution‑based policy you’ve long dreamed of, you can’t have an all‑or‑nothing mentality.

주요 단어 정리

  • get over: 극복하다 (동의어: overcome, conquer / 반의어: succumb to, give up)
  • obstacle: 장애물 (동의어: barrier, hurdle / 반의어: aid, support)
  • solution-based policy: 해결책 기반의 정책
  • all-or-nothing mentality: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사고방식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you want/ <to get over/ an obstacle>/ [so that your idea can become/ [the solution‑based policy/ (which or that) you’ve long dreamed/ of]]],/
  • [만약 당신이 원한다면/ <장애물을 극복하기를>/ [당신의 아이디어가 될 수 있도록/ [해결책 기반의 정책이/ 당신이 오랫동안 꿈꿔왔던]]],/
  • you can’t have(→shouldn't have)/ an all‑or‑nothing mentality.
  • 당신은 가질 수 없습니다(→가져서는 안 됩니다)/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사고방식을.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 want/~]”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want/ <to get over/ an obstacle>”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want”의 목적어 역할.
  • so that + 주어 + 동사“ 용법
  • [so that your idea can become[the solution‑based policy/~]”에서 사용된 어법. “~하도록 (하기 위하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solution‑based policy/ (which or that) you’ve long dreamedof]"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solution‑based policy”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것에 대해 당신이 오랫동안 꿈꿔 왔던 해결책 기반의 정책”의 의미를 전달. 이렇게 해석해야 하는 이유는 “[the solution‑based policy/ of which/ you’ve long dreamed]”로 표현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의미상 조동사구의 변경 필요성
  • 문장 2의 “조건절”의 의미와 “주절”의 의미의 상관관계로 볼 때, 그리고 문장 3과의 의미적 관계성으로 볼 때, can’t have(가질 수 없다)”는 shouldn’t have(가져서는 안 된다)”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밑줄 친 부분과의 관련성
  • 당신의 아이디어가 해결책 기반의 정책이 되기 위해서는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모 아니면 도라는; 극단적인) 사고방식을 가져서는 안 된다는 의미. 이 문장은 문장 3의 내용과 연결되며, 역시, 문제의 해답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는 문장입니다.

문장 3

You have to be willing to alter your idea and let others influence its outcome.

주요 단어 정리

  • be willing to 부정사: 기꺼이 ~하다 (동의어: be inclined to 부정사 / 반의어: be unwilling to 부정사, be reluctant to 부정사)
  • alter: 바꾸다, 수정하다 (동의어: modify, change / 반의어: maintain, preserve)
  • let: 하게 하다
  • influence: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affect, shape / 반의어: neglect, ignore)
  • outcome: 결과 (동의어: result, consequence / 반의어: cause, origi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have to be willing to alter/ your idea]/ and/ [let/ others/ <influence/ its outcome>].
  • 당신은 [기꺼이 바꿔야만 합니다/ 당신의 아이디어를]/ 그리고/ [하게 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영향을 미치도록/ 그것의 결과에>].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have to be willing to alter/ your idea]”와 “[let/ others/ <influence/ its outcom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5형식 문형 "사역동사(let)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let/ others/ <influence/ its outcome>]”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밑줄 친 부분과의 관련성
  • 무언가를 추진할 시 고집을 부리지 말고 수용적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 이 문장은 문장 4에서 이미 말한 바와 같이 앞서 나온 문장들과 관련되며, 이 문장만 보면, 문제의 해답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는 문장입니다.

문장 4

You have to be okay with the outcome being a little different, even a little less, than you wanted.

주요 단어 정리

  • be okay with~: ~에 괜찮다
  • outcome: 결과 (동의어: result, consequence / 반의어: cause, origin)
  • different: 다른 (동의어: distinct, altered / 반의어: same, identical)
  • less: 더 적은 (동의어: reduced, diminished / 반의어: more, greate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have to be okay/ [with the outcome/ (which or that is) being <a little different,/ even a little less>],/ [than you wanted].
  • 당신은 괜찮아야 합니다/ [결과에/ <약간 달라지고 있는,/ 심지어 약간 더 안 좋아지고 있는>]./ [당신이 원했던 것보다].

어법 설명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the outcome/ (which or that is) being <a little different,/ even a little less>“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the outcom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약간 다르게 심지어 약간 더 안 좋아지고 있는 결과“의 의미를 전달
  • 비교의 부사절 “than + 주어 + 동사”
  • [than you wanted]”에서 사용된 어법. “당신이 원했던 것보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밑줄 친 부분과의 관련성
  • 추진한 일의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괜찮아야 한다는 의미. 이 문장은 문장 5의 “Say”로 보아 내용으로는 앞서 나온 문장들과 관련되며, 이 문장만 보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하기에 알 수 있는 부분이지만, 결국, 문장 6의 결론과 연결되어 완벽하지는 않지만 조금이라도 상황이 개선될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문장 5

Say you’re pushing for a clean water act.

주요 단어 정리

  • say: 가정합시다 (동의어: suppose, imagine)
  • push for~: ~을 추진하다 (동의어: advocate for, promote / 반의어: oppose, block)
  • clean water act: 깨끗한 물 법안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ay/ you’re pushing for/ a clean water act.
  • 가정합시다/ 당신이 추진하고 있습니다/ 깨끗한 물 법안을.

어법 설명

  • 명령형 동사 say
  • Say”는 여기서 “가정하다” 또는 “예를 듭시다”라는 의미로 사용된 명령형 표현입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밑줄 친 부분과의 관련성
  • 문장 6의 내용을 도출하는 가정에 해당.

문장 6

Even if what emerges isn’t as well-funded as you wished, or doesn’t match how you originally conceived the bill, you’ll have still succeeded in ensuring that kids in troubled areas have access to clean water.

주요 단어 정리

  • emerge: 나타나다, 나오다 (동의어: appear, arise / 반의어: disappear, vanish)
  • funded: 자금이 지원된 (동의어: financed, sponsored / 반의어: unsupported)
  • conceive: 구상하다, 상상하다 (동의어: imagine, devise / 반의어: ignore, neglect)
  • ensure: 보장하다 (동의어: guarantee, secure / 반의어: neglect, endanger)
  • have access to~: ~에 접근하다, ~을 이용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n if [what emerges(→the result or the law)]/ [isn’t as well-funded/ [as you wished]],/ or/ [doesn’t match/ [how you originally conceived/ the bill]]],/
  • [비록 [나타난(나온) 것이(→그 결과가 혹은 그 법이)]/ [그만큼 잘 지원받지 못하더라도/ [당신이 바랐던 만큼]],/ 혹은/ [일치하지 않더라도/ [어떻게 당신이 처음에 구상했던지와/ 그 법안을(당신이 처음에 구상했던 방법과)/ 그 밥안을]]],/
  • you’ll have still succeeded/ [in ensuring/ [that <kids/ in troubled areas>/ have access to/ clean water]].
  • 당신은 여전히 성공해 있을 것입니다/ [보장하는 데 있어서/ [<아이들이 / 문제가 되는 지역의>/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깨끗한 물을]].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even if[ though / although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Even if [what emerges(→the result or the law)][isn’t~]]”에서 사용된 어법.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모호한 의미의 표현의 변경 필요성
  • [what emerges]”는 문맥상 the law”나 “the result”를 의미합니다. 간략성의 원칙으로 보면 “[what emerges]”는 the law”나 “the result”로 변경되는 것이 적절합니다. 최소한 문장 5와의 내용의 연결과 보다 명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서 "what emerges/ as the result"로 표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병렬 구조 – “Even if 절”의 두 개의 동사구를 or로 연결
  • [isn’t as well-funded/ [as you wished]]”와 “[doesn’t match[how you originally conceived/ the bill]]”를 or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you wished]”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you originally conceived/ the bill]”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당신이 처음에 어떻게 그 법안을 구상했는지”나 “당신이 처음에 그 법안을 구상했던 방밥”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미래완료(will have + pp) 시제
  • you’ll have still succeeded”에서 사용된 어법. “여전히 성공해 있을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in ensuring/~]“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in“의 목적어 역할. ”~을 보장하는 것에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다만, ”~을 보장하는데 있어서“로 의역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ensuring[that <kidsin troubled areas>/ have access to/ clean water]"에서 "that"은 동명사, "ensuring"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밑줄 친 부분의 함축적 의미 추론 3
  • 문장 6 역시 보기 ⑤번에 해당하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고, 오히려, 보기 ③번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므로, 실전에서는 정답을 ③번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내 포함된 모든 분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문장 5부터 “아래에서 위로” 계속해서 분석하여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7

That’s what counts, that they will be safer because of your idea and your effort.

주요 단어 정리

  • count: 중요하다 (동의어: matter, be significant / 반의어: be insignificant, be trivial)
  • safer: 더 안전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at’s(→It’s) [what counts],/ [that they will be safer/ <because of(→thanks to) your idea and your effort>].
  • 그것이 [중요한 것입니다],/ [그들이 더 안전해질 것이/ <당신의 아이디어와 노력 때문에(→덕택에)>].

어법 설명

  • 가주어의 오류
  • That’s(→It’s) [what counts],/ [that~]”는 의미상 및 형태상, “It(가주아) ~ that 절(진주어)” 용법이어야 어법상, 및 의미상 적절합니다. 영어에서 가주어는 “It”외에는 사용해선 안 됩니다. 따라서, "That's"는 "It's"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counts]”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중요한 것“의 의미.
  • 의미상 전치사구의 변경 필요성
  • 이 문장의 전후 문맥상, because of~(~ 때문에)“보다는 thanks to~(~덕택에)“가 더 자연스럽습니다.
  • 밑줄 친 부분의 함축적 의미 추론 2
  • 보기 ⑤번에 해당하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고, 오히려, 보기 ③번을 뒷받침하는 내용입니다. 한 문장만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8

Is it perfect? No. Is there more work to be done? Absolutely. But in almost every case, helping move the needle forward is vastly better than not helping at all.

주요 단어 정리

  • perfect: 완벽한
  • be done: 행해지다, 완료되다
  • move: 이동시키다
  • forward: 앞으로, 전방으로
  • vastly: 대단히, 매우 (동의어: greatly, significantly / 반의어: slightly, bare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s it perfect?/ No./
  • 그것이 완벽한가요?/ 아니요./
  • Is there/ <more work/ to be done>?/ Absolutely./
  • 있나요/ <더 많은 일이/ 행해져야(완료되어야) 할>?/ 당연히요./
  • But/ in almost every case,/ [helping/ <move/ the needle/ forward>]/ is vastly(→much) better/ [than <not helping/ at all>].
  • 하지만/ 거의 모든 경우에,/ [돕는 것이 <이동시키는 것을/ 바늘을/ 앞으로>(진전을 이루는 것을 돕는 것이)]/ 대단히(→훨씬) 더 낫습니다/ [<돕지 않는 것>보다/ 전혀>].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수동 부정사
  • “<more work/ to be don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more work”를 수식하여 “행해져야(완료되어야) 할 더 많은 일”로 해삭됩니다. 그러면서. “to be done”은 수동 부정사입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1 & 수의 일치
  • "[helping/ <move/ the needle/ forward>]“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의 주어 역할. ”바늘을 앞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돕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단수 취급하므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가 사용되었습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아울러, ”[than <not helpingat all>]“에서도 비교의 전치사, ”than“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로, ”돕지 않은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help + (to) 부정사
  • [helping/ <move/ the needle/ forward>]”에서 사용된 어법. “help”는 3형식 문형에서 목적어로 “to 부정사”나 “동사원형(원형 부정사)”을 목적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to 부정사”나 “동사원형(원형 부정사)”은 “~하는 것”으로 명사처럼 해석합니다.
  • 비교급 강조 부사의 오류
  • vastly(→much) better“에서 사용한 어법.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따라서, “vastly”는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 중 하나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밑줄 친 부분의 함축적 의미 추론 1
  • 밑줄 친 부분인, “[helping/ <move/ the needle/ forward>]”는 “바늘(아주 작인 일)”을 앞으로 이동시키는 것들 돕는 것“이라는 글자 그대로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무언가가 진전되도록 돕다”라는 의미입니다. 문장 8의 앞 부분의 진술과 연동하면, 완벽하지 않더라도, 또 아직 다 완료가 되지 않았더라도, 무언가를 도와야 한다는 의미라고 봐야 합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보기를 확인하면, “③ making a difference as best as the situation allows(상황이 허락하는 한 최선을 다해 변화시키기)”이 가장 가까습니다. 만약, 문장 8 이전의 진술에서, “the education of poor children(가난한 아이들에 대한 교육)”의 특정 상황에 대한 내용으로 주제가 좁혀진다면 보기 ⑤번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 됩니다. 따라서, “아래에서 위로” 독해하면서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밑줄 친 "helping move the needle forward"는 무언가를 "조금씩이라도 진전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완벽함을 고집하지 않고, 현실적인 상황에서 가능한 최선의 결과를 만들어내는 태도가 지문의 핵심 메시지입니다.

정답 분석

  • ① spending time and money on celebrating perfection
  • "완벽함을 축하하기 위해 시간과 돈을 쓰는 것"은 지문의 내용과 무관합니다.
  • ② suggesting cost-saving strategies for a good cause
  • "좋은 목적을 위해 비용 절감 전략을 제안한다"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③ making a difference as best as the situation allows
  • "상황이 허락하는 한 최선을 다해 변화를 만들다"는 밑줄 친 표현의 맥락적 의미와 일치합니다.
  • 완벽하지 않아도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선의 결과를 추구해야 한다는 지문의 메시지를 반영합니다.
  • ④ checking your resources before altering the original goal
  • "자원을 점검하고 원래 목표를 변경한다"는 내용은 지문에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⑤ collecting donations to help the education of poor children
  • "가난한 아이들의 교육을 돕기 위해 기부금을 모으는 것"은 특정 사례로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③ making a difference as best as the situation allows”가 가장 적절합니다.

해설 요약

  • 지문은 완벽함보다는 상황에 맞는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는 것을 강조하며, 작은 변화라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helping move the needle forward"는 상황이 허락하는 최선의 노력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을 상징합니다.

결론

"진전은 작은 변화에서 시작된다: 함축적 의미 추론의 핵심"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helping move the needle forward"라는 표현을 통해, 현실적인 상황에서 가능한 최선의 변화가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는 “완벽함(perfection)”을 고집하기보다는, 유연성과 실질적인 진전을 위한 노력을 강조합니다.

문제 풀이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함축적 표현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지문 전후의 논리적 연결을 추적하는 것입니다. 특히, 본 지문은 결론부(문장 8)에 밑줄 친 부분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아래에서 위로 독해" 전략이 효과적임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지문은 몇 가지 페이크와 논리적 혼선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난한 아이들의 교육"이나 "자원을 점검하는 일"과 같은 보기는 지문의 맥락과 동떨어져 있으며, 학생들의 혼란을 유도하기 위해 배치된 페이크입니다. 이런 오답을 피하기 위해서는, 핵심 문장에서 지문 전체의 메시지로 확장되는 논리 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making a difference as best as the situation allows"는 지문의 주제와 가장 부합하며, "helping move the needle forward"의 함축적 의미를 잘 반영합니다. 이 지문을 통해 학생들은 현실적인 사고와 유연성을 갖춘 태도가 어떤 상황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을 배울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및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팁까지도 포함하는 상세한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드렸기를 기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