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과일 과잉 섭취의 위험성: 뇌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
과일은 일반적으로 건강에 유익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에서는 과일 과잉 섭취, 특히 당 함량이 높은 과일이 뇌의 인지적 기능과 대사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이 글은 여러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일 섭취와 뇌의 해마 및 대뇌 피질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과일이 항상 "건강한 선택"은 아니라는 연구자들의 관점을 통해, 우리는 과일 섭취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at consequences of eating too many grapes and other sweet fruit could there possibly be for our brains? A few large studies have helped to shed some light. In one, higher fruit intake in older, cognitively healthy adults was linked with less volume in the hippocampus. This finding was unusual, since people who eat more fruit usually display the benefits associated with a healthy diet. In this study, however, the researchers isolated various components of the subjects’ diets and found that fruit didn’t seem to be doing their memory centers any favors. Another study from the Mayo Clinic saw a similar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fruit intake and volume of the cortex, the large outer layer of the brain. Researchers in the latter study noted that excessive consumption of high‑sugar fruit (such as mangoes, bananas, and pineapples) may cause metabolic and cognitive problems as much as processed carbs do.
* hippocampus: (대뇌 측두엽의) 해마 ** carb: 탄수화물 식품
① benefits of eating whole fruit on the brain health
② universal preference for sweet fruit among children
③ types of brain exercises enhancing long‑erm memory
④ nutritional differences between fruit and processed carbs
⑤ negative effect of fruit overconsumption on the cognitive brain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3 모의고사 2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hat consequences of eating too many grapes and other sweet fruit could there possibly be for our brains?
주요 단어 정리
- consequence: 결과, 영향 (동의어: result, outcome / 반의어: cause, reason)
- grape: 포도
- sweet: 달콤한 (동의어: sugary, saccharine / 반의어: bitter, sour)
- possibly: 아마도, 가능성 있게 (동의어: perhaps, potentially / 반의어: certainly, definite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t consequences/ [of eating/ <too many grapes and other sweet fruit>]]/ could there possibly be/ for our brains?
- [어떤 결과들이/ [먹는 것의/ <너무 많은 포도(들)와 다른 단 과일을>]]/ 아마도 있을 수 있나요/ 우리의 뇌(들)에게?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of eating/ <too many grapes and other sweet fruit>]“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of“의 목적어 역할. ”너무 많은 포도(들)와 다른 단 과일을 먹는 것의“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의문문의 모호성과 더 명확한 표현
- 이 의문문이 전달하려는 내용은 ”우리가 너무 많은 포도(들)와 다른 단 과일을 먹는나면, 우리 뇌에 어떤 결과가 있을 수 있나요?“의 의미로, ”[If we eat/ <too much grape(s) and other sweet fruits>],/ what could be the consequences/ for our brains?“로 변경하면 더 명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주제 추론 1
- 이 문장의 의미로부터 이 글의 주제가 ”과일의 지나친 섭취가 뇌에 미치는 영향“으로 ”일반적으로 과일은 몸에 좋은 것“이라는 통념에서 벗어나 지나친 과일 섭취가 좋지 않다는 논리가 전개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일단 보기를 확인하면, ”⑤ negative effect of fruit over-consumption on the cognitive brain(→on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brain)(인지적 뇌에 대한(→뇌의 인지적 기능상의) 과일 과잉섭취의 부정적인 영향) “뿐입니다. 다만, 이는 문장 1의 뉘앙스로 추정한 내용이기에, 독해하면서 구체적인 근거를 찾아야 합니다. 아울러, 보기에서도 표현의 오류가 있어 보입니다. 이 또한 독해하면서 어떤 내용인지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2
A few large studies have helped to shed some light.
주요 단어 정리
- large: 큰, 대규모의 (동의어: big, extensive / 반의어: small, limited)
- study: 연구 (동의어: research, investigation / 반의어: neglect, inaction)
- shed light (on)~: ~에 대해 밝히다, 설명하다 (동의어: clarify, illuminate / 반의어: obscure, complic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few large studies have helped/ <to shed some light>.
- 몇몇 대규모 연구들이 도와줬습니다/ <어느 정도 설명하는 것을>.
어법 설명
- 현재완료(have + p.p.) 시제
-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연구의 결과를 나타냄.
- help + (to) 부정사
- “have helped/ <to shed some light>”에서 사용된 어법. “help”는 3형식 문형에서 목적어로 “to 부정사”나 “동사원형(원형 부정사)”을 목적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to 부정사”나 “동사원형(원형 부정사)”은 “~하는 것”으로 명사처럼 해석합니다.
주제 추론 2
- 문장 2에서 “무엇을 조명하는지(설명하는지)“가 진술되지 않아 아무런 의미가 없는 문장이 되었습니다. 근거가 없으므로 다음 문장을 독해하도록 합니다. 일반적인 경우, ”shed light on~“의 형태로 사용하여 무엇을 조명하는가를 설명합니다.
문장 3
In one, higher fruit intake in older, cognitively healthy adults was linked with less volume in the hippocampus.
주요 단어 정리
- intake: 섭취 (동의어: consumption, ingestion / 반의어: output, expenditure)
- cognitive: 인지적인 (동의어: mental, intellectual / 반의어: physical, unthinking)
- link: 연결하다, 연관 짓다 (동의어: connect, associate / 반의어: separate, disconnect)
- volume: 부피, 용적 (동의어: capacity, size / 반의어: void, emptiness)
- hippocampus: 해마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one,/ <higher fruit intake/ in older, cognitively healthy adults>/ was linked/ <with less volume/ in the hippocampus>.
- 하나의 연구에서,/ <더 높은 과일 섭취가/ 더 나이 든 인지적으로 건강한 성인들에게서의>/ 연관되었습니다/ <더 적은 부피와/ 해마에서의>.
어법 설명
- 부정 대명사 ”one“
- "In one"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에서 사용된 명사 중 불특정한 대상을 지시할 때 사용. 이 문장에서는 ”one“은, ”a study“를 대신하여 사용됨.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higher fruit intake”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was linked“.
- 수동태[be + pp]
- “was linked”에서 사용된 어법. "연관되었다"의 의미로 수동태.
- 주제 추론 3
- 문장 3에서 “과일 과잉 섭취”를 “더 높은 과일 섭취”로 표현하긴 했지만 “<less volume/ in the hippocampus>”의 문제와 연관되어 있음을 직접 진술하여 보기 ⑤번이 답이라는 것을 뒷받침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부터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4
This finding was unusual, since people who eat more fruit usually display the benefits associated with a healthy diet.
주요 단어 정리
- finding: 발견, 연구 결과 (동의어: discovery, result / 반의어: assumption, guess)
- unusual: 특이한, 이례적인 (동의어: uncommon, abnormal / 반의어: usual, typical)
- display: 보여주다, 나타내다 (동의어: show, exhibit / 반의어: hide, conceal)
- benefit: 이점
- associate: 관련 짓다 (동의어: link, relate / 반의어: separate, disconnect)
- healthy: 건강에 좋은
- diet: 식단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finding was unusual,/
- 이 연구 결과는 이례적이었습니다,/
- [since [people/ who eat/ more fruit]/ usually display/ [the benefits/ (which or that are) associated/ with a healthy diet]].
- [왜냐하면,/ [사람들이/ 먹는/ 더 많은 과일을]/ 보통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이점들을/ 관련된/ 건강에 좋은 식단과]].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since + 주어 + 동사”
- “[since [people/ who eat/ more fruit]/ usually display/~]”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people/ who eat/ more fruit]”에서 “who”는 선행사, “people”을 수식하여, “더 많은 과일을 먹는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e benefits/ (which or that are) associated/ with a healthy diet]“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e benefit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건강에 좋은 식단과 관련된 이점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문장 3의 연구 결과의 이례적인 점 강조.
문장 5
In this study, however, the researchers isolated various components of the subjects’ diets and found that fruit didn’t seem to be doing their memory centers any favors.
주요 단어 정리
- researcher: 연구원
- isolate: 분리하다, 격리하다 (동의어: separate, detach / 반의어: integrate, combine)
- isolate A of B: B로부터 A를 분리하다
- various: 다양한
- component: 구성 요소 (동의어: element, part / 반의어: whole, entirety)
- seem to 부정사: ~하는 것처럼 보이다 (동의어: appear, look / 반의어: be, exist)
- memory: 기억(력)
- favor: 호의, 이익 (동의어: benefit, advantage / 반의어: harm, disadvantag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is study,/ however,/ the researchers [isolated/ various components/ of the subjects’ diets]/ and/ [found/ [that fruit didn’t seem to be doing/ their memory centers/ any favors]].
- 이 연구에서는,/ 그러나,/ 연구자들은 [분리했습니다/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연구 대상자들의 식단에서]/ 그리고/ [발견했습니다/ [과일이 해주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다는 것을/ 그들의 기억 센터들에 / 어떠한 호의도]].
어법 설명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isolated/ various components/ of the subjects’ diets]”와 “[found/ [that fruit didn’t seem to be doing/ their memory centers/ any favor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found/ [that fruit didn’t seem to be doing/ their memory centers/ any favors]"에서 "that"은 동사, "foun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문장 5는 실험의 구체적 내용을 진술하며, 과일이 기억 센터에 하는 역할이 없다는 결과를 설명합니다. 이 문장으로부터 보기의 “the cognitive brain”의 표현이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brain”으로 변경되어야 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합니다.
문장 6
Another study from the Mayo Clinic saw a similar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fruit intake and volume of the cortex, the large outer layer of the brain.
주요 단어 정리
- see: 보다, 발견하다
- similar: 비슷한
- inverse: 반대의, 역의 (동의어: opposite, reverse / 반의어: similar, corresponding)
- relationship: 관계
- between A and B: A와 B 사이의
- cortex: 대뇌 피질
- outer layer: 외부 층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other study/ from the Mayo Clinic>/ saw/ [a similar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fruit intake] and [volume/ [of <the cortex>,/ <the large outer layer/ of the brain>]]]].
- <또 다른 연구가/ Mayo Clinic에서 온>/ 발견했습니다/ [유사한 역의(반비례의) 관계를/ [[과일 섭취와] [부피 사이의/ [<대뇌 피질의>,/ <큰 외부층인/ 뇌의>]]]].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명사구를 between A and B로 연결
- “[fruit intake]”와 “[volume/ [of <the cortex>,/ <the large outer layer/ of the brain>]]”를 “between A and B“로 연결한 구조.
- 동격 관계
- “<the cortex>”와 “<the large outer layer/ of the brain>”는 동격 관계입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문장 6은 과일 섭취가 대뇌 피질의 감소를 유발한다는 또 다른 연구를 진술합니다.
문장 7
Researchers in the latter study noted that excessive consumption of high‑sugar fruit (such as mangoes, bananas, and pineapples) may cause metabolic and cognitive problems as much as processed carbs do.
주요 단어 정리
- latter: 후자의
- note: 언급하다, 주목하다
- excessive: 과도한 (동의어: extreme, overabundant / 반의어: moderate, limited)
- consumption: 소비, 섭취
- higher-sugar: 담 함량이 더 높은
- such as~: ~같은
- metabolic: 대사의
- processed: 가공된
- carb: (비격식) 탄수화물(=carbohydr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esearchers/ in the latter study>/ noted/
- <연구자들이/ 후자의 연구에서의>/ 주목했습니다/
- [that [excessive consumption/ <of high‑sugar fruit/ (such as mangoes, bananas, and pineapples)>]/ may cause/ [<metabolic and cognitive> problems]/ as much/ [as processed carbs do]].
- [[과도한 섭취가/ <당 함량이 더 높은 과일의/ (망고들, 바나나들, 파인애플들 같은)>]/ 유발할 수도 있다는 것에/ [<대사적 및 인지적> 문제들을]/ 그만큼 많이/ [가공된 탄수화물이 그러는(유발하는) 것만큼]].
어법 설명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noted/ [that~]"에서 "that"은 동사, "not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는 것에)/~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동등 비교 “as+형용사/부사+as+주어+동사”
“as much/ [as processed carbs do]”에서 사용된 어법. “~하는 만큼 그만큼 –한/–하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대동사 do
"[as processed carbs do]"에서 "do"는 동사 "cause"를 대신합니다. "may cause"처럼 주절의 조동사를 반영하지 않았지만, 대동사의 일반적 사용 규칙에 따라 "cause"만 대체하며 문법적으로 적합합니다. 다만, 문맥상 "[as processed carbs may (cause)]"로 표현하면 주절의 조동사까지 반영한 보다 구체적인 표현이 됩니다.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as processed carbs do]”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문장 7의 핵심 내용
문장 7은 과일 과잉 섭취가 가공된 탄수화물이 대사와 인지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함을 설명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과일 과잉 섭취는 뇌의 인지적 기능과 대사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근거 문장
- 문장 1: What consequences of eating too many grapes and other sweet fruit could there possibly be for our brains?
- 과일 과잉 섭취가 뇌에 미치는 부정적 결과를 묻는 문제 제기로, 글의 초점이 과일 섭취와 뇌 기능 간의 관계임을 암시.
- 문장 3: In one, higher fruit intake in older, cognitively healthy adults was linked with less volume in the hippocampus.
- 연구에서 과일 과잉 섭취가 해마의 부피 감소와 연관이 있음을 보고.
- 문장 5: In this study, however, the researchers isolated various components of the subjects’ diets and found that fruit didn’t seem to be doing their memory centers any favors.
- 과일 섭취가 기억 센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
- 문장 7: Researchers in the latter study noted that excessive consumption of high-sugar fruit (such as mangoes, bananas, and pineapples) may cause metabolic and cognitive problems as much as processed carbs do.
- 당 함량이 높은 과일의 과도한 섭취가 대사적, 인지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
오답 검토
- ①, ②, ③, ④는 지문과 맞지 않는 선택지입니다.
- ① benefits of eating whole fruit on the brain health: 과일 섭취의 장점이 아닌 부정적 영향을 다룸.
- ② universal preference for sweet fruit among children: 아이들의 과일 선호도는 언급되지 않음.
- ③ types of brain exercises enhancing long-term memory: 뇌 운동이 아닌 과일 섭취와 뇌의 관계를 다룸.
- ④ nutritional differences between fruit and processed carbs: 영양적 차이가 아닌 과잉 섭취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논의.
- 따라서, ⑤ negative effect of fruit overconsumption on the cognitive brain이 지문 전체를 가장 잘 대변하는 선택지입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⑤ negative effect of fruit overconsumption on the cognitive brain”가 가장 적합합니다.
결론
“과일 섭취: 균형이 핵심”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과일 과잉 섭취가 뇌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강조하며, 과도한 섭취를 경계해야 함을 알려줍니다. 특히, 당 함량이 높은 과일(예: 망고, 바나나, 파인애플)이 대사적 및 인지적 문제를 가공 탄수화물과 유사한 수준으로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은 놀라운 발견입니다.
이 지문을 통해 우리는 과일 섭취의 장점과 한계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균형 잡힌 식단과 과도하지 않은 섭취가 중요하며, 특히 당 함량이 높은 과일 섭취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블로그 독자 여러분, 건강한 식습관을 위한 핵심은 "적당함"입니다. 이번 포스트가 과일 섭취와 뇌 건강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과일 섭취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의견이나 질문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독자들은 주제 찾기 문제의 해설을 통해 논리적으로 주제를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