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승리와 자기 정체성: 성공을 유지하기 위한 진정한 조건"

승리란 단순히 경쟁에서 이기는 것을 넘어, 자기 자신을 잃지 않는 것에 그 진정한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며 자신을 감추는 것이 결국 승리와 성장을 방해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본문은 승리자가 타인의 평가를 두려워하며 진정한 자아를 잃고, 타인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모습을 희생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부작용을 조명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기 정체성을 유지하며 성공을 지속하는 방법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습니다.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제목 찾기, 주제, 요지,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이나 명제를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Winning turns on a self‑conscious awareness that others are watching. It’s a lot easier to move under the radar when no one knows you and no one is paying attention. You can mess up and be rough and get dirty because no one even knows you’re there. But as soon as you start to win, and others start to notice, you’re suddenly aware that you’re being observed. You’re being judged. You worry that others will discover your flaws and weaknesses, and you start hiding your true personality, so you can be a good role model and good citizen and a leader that others can respect.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at. But if you do it at the expense of being who you really are, making decisions that please others instead of pleasing yourself, you’re not going to be in that position very long. When you start apologizing for who you are, you stop growing and you stop winning. Permanently.

① Stop Judging Others to Win the Race of Life
② Why Disappointment Hurts More than Criticism
③ Winning vs. Losing: A Dangerously Misleading Mindset
④ Winners in a Trap: Too Self‑conscious to Be Themselves
⑤ Is Honesty the Best Policy to Turn Enemies into Friends?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inning turns on a self‑conscious awareness that others are watching.

주요 단어 정리

  • winning: 승리, 성공 (동의어: victory, triumph / 반의어: losing, failure)
  • turn on~: ~에 달려 있다 (동의어: depend on, hinge on / 반의어: ignore, neglect)
  • self‑conscious: 남을 의식하는, 자의식이 강한 (동의어: aware, insecure / 반의어: oblivious, confident)
  • awareness: 의식, 인식 (동의어: consciousness, recognition / 반의어: ignorance, unawaren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inning turns on/ [a self‑conscious awareness/ [that others are watching]].
  • 승리는 달려 있습니다/ [남을 의식하는 인식에/ [다른 사람들이 지켜보고 있다는]].

어법 설명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a self‑conscious awareness/ [that others are watching]"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a self‑conscious awareness“을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승리의 조건: 남이 나를 지켜보고 있다는 남을 의식하는 인식”

문장 2

It’s a lot easier to move under the radar when no one knows you and no one is paying attention.

주요 단어 정리

  • move under the radar: 눈에 띄지 않게 행동하다 (동의어: stay unnoticed, operate discreetly / 반의어: stand out, draw attention)
  • pay attention: 주목하다, 집중하다 (동의어: focus, notice / 반의어: ignore, overlook)
  • easier: 더 쉬운 (동의어: simpler, more effortless / 반의어: harder, more difficul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s a lot easier/ [to move/ under the radar]/
  • 그것이 훨씬 더 쉽습니다/ [움직이는 것이/ 레이더 아래에서(눈에 띄지 않게 행동하는 것이)]/
  • [when [no one knows/ you]/ and/ [no one is paying attention]].
  • [[아무도 모를 때/ 당신을]/ 그리고/ [아무도 주목하지 않을 때]].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s a lot easier/ [to move/ under the radar]”에서 ”It“는 가주어, ”to move~”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비교급 강조 부사
  • a lot easier“에서 사용한 어법.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no one knows/ you]and[no one is paying attention]]”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when 절”의 두 개의 문장을 and로 연결
  • [no one knows/ you]”와 “[no one is paying attention]”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눈에 띄지 않게 행동하기 쉬운 조건: 아무도 나를 모를 때, 다른 사람이 주목하지 않을 때”. 문장 1의 내용(승리를 위한 조건)에 상반되는 조건.

문장 3

You can mess up and be rough and get dirty because no one even knows you’re there.

주요 단어 정리

  • mess up: 실수하다, 엉망으로 만들다 (동의어: make a mistake, blunder / 반의어: succeed, excel)
  • rough: 거친, 다듬어지지 않은 (동의어: unpolished, coarse / 반의어: refined, smooth)
  • dirty: 더러운, 지저분한 (동의어: filthy, unclean / 반의어: clean, spotl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can mess up>/ and(→,)/ <(can) be rough>/ and/ <(can) get dirty>/
  • 당신은 <실수할 수 있고>,/ <거칠게 행동할 수 있고>/ 그리고/ <더러워질 수도 있습니다>/
  • [because no one even knows/ [(that) you’re/ there]].
  • [왜냐하면 아무도 심지어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당신이 있다는 것을/ 거기에]].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세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병렬 구조 위반
  • “<can mess up>”, “<(can) be rough>” 및 “<(can) get dirty>”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다만, 세 개 이상의 구나 절을 병렬 연결하는 경우, 마지막 구 전에만 and를 넣고 이전에는 comma(,)를 사용하여 연결합니다. 따라서, 첫 번째 “and”는 “comma(,)”로 변경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no one even knows/~]”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knows[(that) you’re/ there]"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knows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문장 2의 부연 설명에 해당하며,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맘대로 살 수 있는 조건이 됨”. 문장 1의 내용과 문장 2와 문장 3의 내용을 연계하면, “남이 지켜보고 있다고 남의 눈을 의식해야만 성공이 가능하다면 의미”이므로, 보기를 확인하면, 예상했던 의미와는 다소 다르지만, “④ Winners in a Trap: Too Self‑conscious to Be Themselves(함정에 빠진 승리자들: 너무 남을 의식해서 자신들이 될 수 없다)”의미 뿐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보기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부터 분석하여 계속 설명을 이어가도록 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문장 4

But as soon as you start to win, and others start to notice, you’re suddenly aware that you’re being observed.

주요 단어 정리

  • as soon as~: ~하자마자 (동의어: immediately after, the moment / 반의어: after a while, eventually)
  • notice: 알아차리다 (동의어: perceive, observe / 반의어: ignore, overlook)
  • start to 부정사: ~하기 시작하다
  • aware: 인식하는 (동의어: conscious, mindful / 반의어: unaware, oblivious)
  • observe: 관찰하다 (동의어: watch, monitor / 반의어: ignore, disregar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as soon as [you start to win],/ and/ [others start to notice]],/
  • 하지만/ [[당신이 승리하기 시작하자마자],/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알아보기 시작하자마자]],/
  • you’re suddenly aware/ [that you’re being observed].
  • 당신은 갑자기 인식하게 됩니다/ [당신이 관찰당하고 있다는 것을].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as soon as + 주어 + 동사”
  • [as soon as [you start to win],/ and[others start to notice]]”에서 사용된 어법. “~하자마자”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as soon as 절”의 두 개의 문장을 and로 연결
  • [you start to win]”와 “[others start to notic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are suddenly aware[that you’re being observed]"에서 "that"은 동사구, "are suddenly awar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현재 진행 수동태(be + being + pp)
  • are being observed”에서 사용된 어법. “관찰당하고 있다"는 의미로 수동태.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눈에 띄게 되는 순간(우승하는 순간) 관찰당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문장 5

You’re being judged.

주요 단어 정리

  • judge: 판단하다, 평가하다 (동의어: evaluate, criticize / 반의어: praise, igno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re being judged.
  • 당신은 평가받고 있습니다.

어법 설명

  • 현재 진행 수동태(be + being + pp)
  • are being judged”에서 사용된 어법. “평가받고 있다"는 의미로 수동태.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눈에 띄게 되는 순간(우승하는 순간) 평가받게 된다.”

문장 6

You worry that others will discover your flaws and weaknesses, and you start hiding your true personality, so you can be a good role model and good citizen and a leader that others can respect.

주요 단어 정리

  • worry: 걱정하다 (동의어: fear, be anxious / 반의어: relax, calm down)
  • flaw: 결점, 단점 (동의어: defect, shortcoming / 반의어: strength, perfection)
  • weakness: 약점 (동의어: frailty, vulnerability / 반의어: strength, advantage)
  • hide: 숨기다 (동의어: conceal, cover / 반의어: reveal, expose)
  • role model: 역할 모델, 본보기
  • citizen: 시민 (동의어: inhabitant, resident / 반의어: outsider, foreigner)
  • respect: 존경하다, 존중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worry/ [that others will discover/ <your flaws and weaknesses>],/
  • 당신은 걱정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발견할 것을/ <당신의 결점과 약점을>],/
  • and/ you start hiding/ your true personality,/
  • 그래서/ 당신은 숨기기 시작합니다/ 당신의 진정한 성격을,/
  • [so (+that) you can be/ [[a good role model and good citizen]/ and/ [a leader/ that others can respect]]].
  • [당신이 될 수 있도록/ [[좋은 역할 모델이자 훌륭한 시민이]/ 그리고/ [리더가/ 다른 사람들이 존경할 수 있는]]].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worry[that others will discover/ <your flaws and weaknesses>]"에서 "that"은 동사, "worry"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so that + 주어 + 동사“ 용법
  • [so (+that) you can be/~]”에서 사용된 어법. “”~하도록 (하기 위하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다만, 비록 현대 영어에서의 단순화로 ”so that + 주어 + 동사“ 용법의 that이 생략되고 있다 하더라도, 어법상 언제나 생략이 가능한 경우는 아니기에, 공적인 문서인 모의고사에서는 이렇게 생략된 형태로 표현하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 병렬 구조 – “so that 절”의 두 개의 명사구를 and로 연결
  • [a good role model and good citizen]”와 “[a leader/ that others can respect]”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a leader/ that others can respect]”에서 ”that”은 선행사, “a leader”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다른 사람들이 존경할 수 있는 리더”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문장 5에서 연결되는 내용으로, 다른 사람들에 의해 관찰 받고 평가받는다고 인식하게 되어 자신의 진정한 성격을 감추고 자아를 버리게 된다는 내용.

문장 7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at.

주요 단어 정리

  • there is+단수 명사: 단수명사가 있다
  • nothing wrong with~: ~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동의어: acceptable, fine / 반의어: problematic, flaw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at.
  • 어떤 것도 잘못된 것이 없습니다(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것에는.

어법 설명

  • 부정 대명사 + 형용사
  • “~thing/~one/~body” 등의 부정 대명사는 형용사가 후치 수식합니다.
  • 대명사의 부정
  • 한국어에는 대명사를 부정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동사를 부정하고 any를 명사에 추가하여 해석합니다. 즉, “There isn’t anything wrong/ with that“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문장 6의 태도에는 문제가 없다.

문장 8

But if you do it at the expense of being who you really are, making decisions that please others instead of pleasing yourself, you’re not going to be in that position very long.

주요 단어 정리

  • at the expense of~: ~을 희생하여 (동의어: at the cost of, sacrificing / 반의어: while preserving)
  • be: 존재하다
  • who you really are: 당신이 실제로 누구인지, 당신의 진정한 모습
  • please: 만족시키다, 기쁘게 하다 (동의어: satisfy, delight / 반의어: displease, disappoint)
  • instead of~: ~대신에
  • position: 지위, 위치 (동의어: status, rank / 반의어: insignificance, obscur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if you do/ it/ [at the expense of [being/ [who you really are]]]],/
  • 하지만/ [당신이 한다면/ 그것을/ [희생하여/ [존재하는 것을/ [당신이 실제로 누구인지로(당신의 진정한 모습으로)]]]],/
  • [making/ [decisions/ that please/ others/ <instead of pleasing/ yourself>]],/
  • [만들면서(내리면서)/ [결정들을/ 만족시키는/ 다른 사람들을/ <만족시키는 것 대신에/ 당신 자신을>]],/
  • you’re not going to be/ in that position/ very long.
  • 당신은 있게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 위치에/ 아주 오래.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 do/ it/~]”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at the expense of [being[who you really are]]“와 ”<instead of pleasing/ yourself>“에서 사용된 용법. 각각 전치사구, ”at the expense of“, 및 ”instead of“의 목적어 역할로, ”당신이 실제로 누구인지로(당신의 진정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것을 희생하여“와 ”당신 자신을 만족시키는 것 대신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o you really ar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당신이 실제로 누구인지(당신의 진정한 모습)
  • 분사구문
  • [making[decisions/~]]”은 “[while you mak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you”가 생략되고 동사 “make”가 “mak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decisions/ that please/ others/ <instead of pleasingyourself>]”에서 “that”은 선행사, “decisions”을 수식하여, “당신 자신을 만족시키는 것 대신에 다른 사람들을 만족시키는 결정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8의 핵심 내용
  • 자기 자신이 아닌 남을 만족시키는 자리에는 오래 머물 수 없다.

문장 9

When you start apologizing for who you are, you stop growing and you stop winning. Permanently.

주요 단어 정리

  • apologize for~: ~에 대해 사과하다 (동의어: express regret, say sorry / 반의어: justify, defend)
  • grow: 성장하다 (동의어: develop, advance / 반의어: stagnate, decline)
  • permanently: 영구적으로, 영원히 (동의어: forever, indefinitely / 반의어: temporarily, brief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you start apologizing/ for [who you are]],/
  • [당신이 사과하기 시작할 때/ [당신이 누구인지(당신 자신의 모습)]에 대해],/
  • you stop/ growing/ and/ you stop/ winning./ Permanently.
  • 당신은 멈춥니다/ 성장하던 것을/ 그리고/ 당신은 멈춥니다/ 승리하던 것을./ 영구적으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you start apologizing/~]”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o you ar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당신이 누구인지(당신 자신의 모습)
  • 문장 9의 핵심 내용
  • 자신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남을 만족시키려 할 때의 부작용: 성장도, 승리도 멈춘다. 그러니 남에게 신경 쓰기보다 자신에게 신경 써라.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면 자신을 잃게 되며, 이는 성장이 멈추고 승리할 기회도 잃게 된다.”

근거 문장

  • 문장 1: Winning turns on a self‑conscious awareness that others are watching.
  • 승리의 조건이 남을 의식하는 인식에 달려 있다는 점을 언급.
  • 문장 4: But as soon as you start to win, and others start to notice, you’re suddenly aware that you’re being observed.
  • 주목받기 시작하면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게 된다는 점을 강조.
  • 문장 6: You worry that others will discover your flaws and weaknesses, and you start hiding your true personality, so you can be a good role model and good citizen and a leader that others can respect.
  • 타인의 평가를 두려워하여 진정한 자아를 감추고, 타인에게 맞추려는 행동이 시작됨.
  • 문장 8: But if you do it at the expense of being who you really are, making decisions that please others instead of pleasing yourself, you’re not going to be in that position very long.
  • 타인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희생한다면, 성공적인 위치를 오래 유지할 수 없다는 경고.
  • 문장 9: When you start apologizing for who you are, you stop growing and you stop winning. Permanently.
  • 타인을 의식하며 자신을 부정하기 시작하면 성장과 승리가 영원히 멈춘다는 결론.

오답 분석

  • ① Stop Judging Others to Win the Race of Life: 다른 사람을 평가하지 말라는 내용은 지문과 무관.
  • ② Why Disappointment Hurts More than Criticism: 실망과 비판의 비교는 지문에서 다루지 않음.
  • ③ Winning vs. Losing: A Dangerously Misleading Mindset: 승패를 비교하는 내용이 아님.
  • ⑤ Is Honesty the Best Policy to Turn Enemies into Friends?: 정직함과 적-친구 전환은 언급되지 않음.

정답 제시

  • 지문은 승리자가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여 자신을 잃게 되는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④ Winners in a Trap: Too Self‑conscious to Be Themselves”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성공과 성장: 자기 자신을 지키는 것이 답이다"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성공의 이면을 진지하게 탐구하며,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할 때 겪게 되는 문제를 보여줍니다. 진정한 승리자는 타인의 기대에 끌려 다니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성장과 성공을 동시에 이루는 사람입니다.

타인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신의 본모습을 감추고, 스스로를 부정하기 시작하면 성장도, 승리도 영원히 멈출 수밖에 없습니다.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태도가야말로 진정한 성공의 비결입니다.

독자 여러분, 타인의 평가를 두려워하지 말고 진정한 자신으로서 성공을 이루는 방법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세요. 이 글이 여러분의 고민을 해결하거나 동기부여가 되기를 바랍니다. 더 나은 방향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이나 질문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독자분들은 제목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제목을 찾는 방법뿐만 아니라, 실제 시험장에서 시간을 절약하고 사고력을 강화할 수 있는 독해 전략을 체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