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확실성을 향한 인간의 진화적 본능: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문제 분석"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인간이 확실성을 선호하는 이유를 진화적 관점에서 탐구하며, 이를 통해 우리의 뇌가 어떻게 위험을 분류하고 생존을 보장해 왔는지를 설명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어법적 적합성을 명확히 검토합니다.

특히, 대명사 사용(② them), 관계대명사(① who), 대동사(④ is), 병렬 구조, 그리고 ⑤번의 현재분사와 동사의 구분 등 수험 영어에서 자주 등장하는 문법적 쟁점을 체계적으로 다루며, 실전에서 어법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핵심적인 팁과 분석력을 제공합니다.

지문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어법적 적합성과 논리적 구조를 학습하며, 수험생들이 정확하고 빠르게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본 분석의 핵심 목표입니다.

어법의 적절성 판단의 문제 유형은 지시 대상의 수의 일치를 묻는 대명사 문제를 제외하고 어법의 적절성 여부가 판단되는 문장만 확인하여 시간을 검토에 필요한 줄이라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의고사, 수능에 자주 출제되는 어법 유형의 문제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이고 본 해설 내용도 그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어법의 적절성 판단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독자가 지문을 이해하는데, 분명하고 확실한 도움을 드릴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Human beings like certainty. This liking stems from our ancient ancestors ①who needed to survive alongside saber‑toothed tigers and poisonous berries. Our brains evolved to help us attend to threats, keep away from ②them, and remain alive afterward. In fact, we learned that the more ③certain we were about something, the better chance we had of making the right choice. Is this berry the same shape as last time? The same size? If I know for certain it ④is, my brain will direct me to eat it because I know it’s safe. And if I’m uncertain, my brain will send out a danger alert to protect me. The dependence on certainty all those millennia ago ensured our survival to the present day, and the danger‑alert system continues to protect us. This is achieved by our brains labeling new, vague, or unpredictable everyday events and experiences as uncertain. Our brains then ⑤generating sensations, thoughts, and action plans to keep us safe from the uncertain element, and we live to see another day.

* saber‑toothed tiger: 검치호(검 모양의 송곳니를 가진 호랑이)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Human beings like certainty.

주요 단어 정리

  • human being: 인간, 사람 (동의어: person, individual / 반의어: animal)
  • like: 좋아하다, 선호하다 (동의어: prefer, favor / 반의어: dislike, detest)
  • certainty: 확실성 (동의어: assurance, sureness / 반의어: uncertainty, doub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uman beings like/ certainty.
  • 인간은 좋아합니다/ 확실성을.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인간이 확실성을 좋아한다는 의미로 주제문에 해당합니다.

문장 2

This liking stems from our ancient ancestors ①who needed to survive alongside saber‑toothed tigers and poisonous berries.

주요 단어 정리

  • liking: 선호, 기호 (동의어: preference, fondness / 반의어: dislike, aversion)
  • stem from~: ~에서 비롯되다 (동의어: originate from, arise from / 반의어: end in, result in)
  • ancient: 고대의, 오래된 (동의어: old, archaic / 반의어: modern, recent)
  • ancestor: 조상
  • need to 부정사: ~해야만 하다
  • survive: 생존하다 (동의어: endure, persist / 반의어: perish, die)
  • alongside~: ~와 함께 (동의어: beside, next to / 반의어: apart from)
  • saber-tiger: 검치호랑이
  • poisonous: 독성이 있는 (동의어: toxic, venomous / 반의어: harmless, safe)
  • berry: (산딸기류) 열매 (동의어: frui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liking stems/ [from our ancient ancestors/ ①who needed to survive/ <alongside saber‑toothed tigers and poisonous berries>].
  • 이 선호는 비롯됩니다/ [우리의 고대 조상들로부터/ 생존해야만 했던/ <검치호와 독성 있는 열매들과 함께>].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①
  • “our ancient ancestors/ ①who needed to survive/ <alongside saber‑toothed tigers and poisonous berries>"에서 “who”는 선행사, “our ancient ancestors”를 수식하여, “검치호랑이(들)와 독성이 있는 열매들과 함께 생존해야 했던 우리의 고대의 조상들”의 의미를 전달. 따라서, “①who”는 어법상 적절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needed to survive”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needed”의 목적어 역할. “생존하는 것을 필요로하다”는 의미해서 “생존해야만 했다”로 의미가 확장되고 의역된 것.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문장 1의 확실성을 좋아해야 이유를 진술.

문장 3

Our brains evolved to help us attend to threats, keep away from ②them, and remain alive afterward.

주요 단어 정리

  • evolve: 진화하다, 발전하다 (동의어: develop, progress / 반의어: regress, deteriorate)
  • attend to~: ~에 주의를 기울이다 (동의어: focus on, concentrate on / 반의어: ignore, neglect)
  • threat: 위협 (동의어: danger, risk / 반의어: safety, security)
  • keep away from~: ~에서 멀리 떨어지다 (동의어: avoid, steer clear of / 반의어: approach, confront)
  • alive: 살아 있는 (동의어: living, existing / 반의어: dead, lifeless)
  • afterward: 이후에, 나중에 (동의어: later, subsequently / 반의어: earlier, befo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ur brains evolved/ [to help/ us/ [<attend to/ threats>,/ <keep away/ from ②them>,/ and/ <remain alive/ afterward>]].
  • 우리의 뇌는 진화했습니다/ [도와주도록/ 우리를/ [<주의를 기울이도록/ 위협들에>,/ <멀리 떨어지도록/ 그것들로부터>,/ 그리고/ <살아 있도록/ 이후에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evolved[to help/~]”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evolved”를 수식하여 “돕도록 진화했다”의 의미를 전달.
  • 5형식 문형 "사역동사(help)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to 부정사)"
  • help/ us/ [<attend to/ threats>,/ <keep awayfrom ②them>,/ and/ <remain alive/ afterward>]”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병렬 구조 – 사역동사 용법에서 세 개의 목적격 보어를 and로 연결
  • “<attend to/ threats>”, “<keep away/ from ②them>” 및 “<remain alive/ afterward>”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보어의 형태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②
  • “them”은 문맥상 문장 2의 “saber‑toothed tigers and poisonous berries”를 의미하므로 복수형 대명사인 “②them”은 어법상 적절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문장 2의 내용에 이어 우리 뇌가 위험한 것들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도록 진화했다는 내용을 진술.

문장 4

In fact, we learned that the more ③certain we were about something, the better chance we had of making the right choice.

주요 단어 정리

  • in fact: 사실상, 실제로 (동의어: actually, indeed / 반의어: theoretically, hypothetically)
  • certain: 확실한 (동의어: sure, confident / 반의어: uncertain, doubtful)
  • chance: 기회, 가능성 (동의어: opportunity, likelihood / 반의어: impossibility, unlikelihood)
  • choice: 선택 (동의어: option, decision / 반의어: rejection, refus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fact,/ we learned/ [that/ [the more ③certain/ we were/ about something],/ [the better chance/ we had/ <of making/ the right choice>]].
  • 사실,/ 우리는 배웠습니다/ [[더 확실할수록/ 우리가 어떤 것에 대해],/ [더 나은 기회를/ 우리가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만드는/ 올바른 선택을>]].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learned[that/~]"에서 "that"은 동사, "learn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The 비교급 A, the 비교급 B
  • [the more ③certain/ we wereabout something],/ [the better chance/ we had/ <of making/ the right choice>]”에서 사용된 어법. "A하면 할수록, B하다"의 상관구문으로, 원인과 결과를 나타냅니다.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③
  • “③certain”은 “be more certain/ about~” “~에 대해서 더 확신하다”의 표현이 “The 비교급 A, the 비교급 B”으로 강조된 경우이므로, 형용사 “③certain”은 어법상 적절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확실성에 선호하는 것이 생존에 긍정적 기회를 준다는 내용을 진술.

문장 5

Is this berry the same shape as last time? The same size?

주요 단어 정리

  • the same A as B: B와 같은 (동일한) A
  • shape: 형태, 모양 (동의어: form, contour / 반의어: shapelessness, deformity)
  • last time: 지난번
  • size: 크기 (동의어: dimensions, volume / 반의어: insignificance, trivial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s this berry the same shape/ as last time?
  • 이 열매는 동일한 형태입니까/ 지난번과?
  • The same size?
  • 동일한 크기입니까?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이미 경험한 것인지에 대한 비교로 확실성의 여부를 확인하는 부분을 진술.

문장 6

If I know for certain it ④is, my brain will direct me to eat it because I know it’s safe.

주요 단어 정리

  • for certain: 확실히 (동의어: surely, undoubtedly / 반의어: uncertainly, dubiously)
  • direct: 지시하다, 안내하다 (동의어: guide, instruct / 반의어: mislead, confuse)
  • safe: 안전한 (동의어: secure, protected / 반의어: dangerous, unsaf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I know,/ for certain,/ [(that) itis (the same shape and size)]],/
  • [만약 내가 안다면,/ 확실히,/ [그것이 그렇다는(같은 모양과 같은 크기라는) 것을]],/
  • my brain will direct/ me/ <to eat/ it>/
  • 나의 뇌는 지시할 것입니다/ 나에게/ <먹도록/ 그것을>/
  • [because I know/ [(that) it’s safe]].
  • [왜냐하면 내가 알기 때문에/ [그것이 안전하다는 것을]].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I know,/~]”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삽입의 원칙 오류
  • [If I know,for certain,[(that)~]]”에서 부사구 “for certain”이 동사 “know”와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사이에 삽입된 구조로, 영어에서는 구나 절을 삽입하는 경우, 앞뒤로 comma(,)로 분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따라서, 청크 분석에서처럼, for certain”의 앞뒤로 comma(,)를 삽입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know,for certain,[(that) it ④is (the same shape and size)]“과 ”know[(that) it’s safe]“에서 생략된 "(that)"은 둘 다 동사, "know"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언제든 생략이 가능하며,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대동사 is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④
  • [(that) it ④is (the same shape and size)]”에서 “it”는 문장 5의 “this berry”를 대신하는 대명사동사 “is” 뒤에는 “(the same shape and size)”이 생략된 형태입니다. 대동사의 선택은 앞선 문장에서 사용된 동사를 대신하는 것이고 문장 5에서 “is”가 사용되었고, 의미상 문장 6의 “is” 이하에 생략된 내용이 분명하므로, “④is”는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④까지 어법상 부적절한 내용이 없으므로, 실전에서는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7부터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5형식 문형 "direct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direct/ me/ <to eat/ it>“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direct”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I know/~]”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앞서 경험했던 것이 안전하다면, 다시 동일한 행동을 할 수 있다고 진술하여 확실성에 대한 선호를 다시 한번 강조.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문장 7

The dependence on certainty all those millennia ago ensured our survival to the present day, and the danger‑alert system continues to protect us.

주요 단어 정리

  • dependence on~: ~에 대한 의존 (동의어: reliance on, need for / 반의어: independence, self-sufficiency)
  • millennia: 수천 년 (단수형: millennium)
  • all those millenia ago: 모든 그러한 수천년 전의
  • ensure: 보장하다, 보증하다 (동의어: guarantee, secure / 반의어: endanger, jeopardize)
  • survival: 생존
  • present: 현재의
  • to the present day: 현재까지
  • danger‑alert system: 위험 경고 시스템
  • continue to 부정사: ~하기를 지속하다, 계속해서 ~하다
  • protect: 보호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dependence/ on certainty/ all those millennia ago>/ ensured/ our survival/ to the present day,/
  • <의존이/ 확실성에 대한/ 모든 그러한 수천 년 전의>/ 보장했습니다/ 우리의 생존을/ 오늘날까지,/
  • and/ the danger‑alert system continues/ <to protect/ us>.
  • 그리고/ 위험 경고 시스템은 지속합니다/ <보호하는 것을/ 우리를>(계속해서 보호합니다/ 우리를).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문장을 and로 연결
  • “<The dependenceon certainty/ all those millennia ago>/ ensured/ our survival/ to the present day”와 “the danger‑alert system continues/ <to protect/ u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주로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continues/ <to protect/ us>”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continues”의 목적어 역할.
  • 문장 7의 핵심 내용
  • 확실성에 대한 의존이 현재까지의 생존을 보장했다고 진술하여 인간의 확실성에 대한 선호의 증거로 제시.

문장 8

This is achieved by our brains labeling new, vague, or unpredictable everyday events and experiences as uncertain.

주요 단어 정리

  • achieve: 달성하다, 성취하다 (동의어: accomplish, attain / 반의어: fail, lose)
  • label: ~라고 이름 붙이다, 분류하다 (동의어: classify, tag / 반의어: ignore, overlook)
  • vague: 모호한 (동의어: unclear, ambiguous / 반의어: clear, distinct)
  • unpredictable: 예측할 수 없는 (동의어: uncertain, erratic / 반의어: predictable, consiste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achieved/ [by our brains/ (which or that are) labeling/ [<new, vague, or unpredictable everyday events>/ and/ <experiences>]/ as uncertain].
  • 이것은 성취됩니다/ [우리의 뇌에 의해서/ 이름 붙이고 있는(분류하고 있는)/ [<새롭고, 모호하거나 예측할 수 없는 일상적인 사건들을>/ 그리고/ <경험(들)을>]/ 불확실한 것으로].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is achieved”에서 사용된 어법. "성취되다(달성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our brains/ (which or that are) labeling[<new, vague, or unpredictable everyday events>/ and/ <experiences>]as uncertain“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our brain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 문장 7의 핵심 내용
  • 확실성에 대한 의존은 뇌의 분류에 의해 성취된다는 내용을 진술.

문장 9

Our brains then ⑤generating sensations, thoughts, and action plans to keep us safe from the uncertain element, and we live to see another day.

주요 단어 정리

  • generate: 생성하다, 발생시키다 (동의어: produce, create / 반의어: destroy, eliminate)
  • sensation: 감각, 느낌 (동의어: perception, awareness / 반의어: numbness, unawareness)
  • action plan: 행동 계획
  • keep A safe: A를 안전하게 하다
  • element: 요소 (동의어: component, part / 반의어: whole, entire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ur brains then ⑤generating(→generate)/ <sensations, thoughts, and action plans>/ <to keep/ us/ safe/ from the uncertain element>,/
  • 우리의 뇌(들)는 그런 다음 생성합니다/ <감각(들), 생각(들), 및 행동 계획(들)을>/ <유지하기 위해서/ 우리를/ 안전하게/ 이러한 불확실한 요소들로부터>,/
  • and/ we live/ <to see/ another day>.
  • 그리고/ 우리는 결국 살아남아/ <보게 됩니다/ 또 다른 하루를>.

어법 설명

  • 어법의 적절성 검토 ⑤
  • Our brains then ⑤generating(→generate)“에서 generating“은 형태상 및 의미상, 동사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generating“은, ”generate“로 변경해야 어법상 및 의상 적절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keep/ us/ safe/ from the uncertain element>”에서 사용된 용법. 이는 형용사적 용법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며 이런 경우, “<sensations, thoughts, and action plans>/ <to keep/ us/ safe/ from the uncertain element>”에서 앞서 나온 명사구, “<sensations, thoughts, and action plans>”를 수식하여, “불확실한 요소루부터 우리를 안전하게 유지히기 위한 감각(들), 생각(들) 및 행동 계획(들)”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5형식 기본 문형 "keep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keep/ us/ safe”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결과] “결국 ~하게 되다”
  • live/ <to see/ another day>”에서 사용된 용법으로 “결국 살아서(살아남아서) 또 다른 하루를 보게 됩니다”로 해석합니다.
  • 문장 9의 핵심 내용
  • 확실한 것과 확실하지 않은 것을 분류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뇌의 기능과 역할.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인간이 확실성을 선호하는 이유는 진화적 생존 본능에서 비롯되었으며, 우리의 뇌는 불확실한 요소를 분류하고 이를 통해 위험을 피하고 생존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어법상 적절성 검토

  • ① who
  • "our ancient ancestors ①who needed to survive"에서 "who"는 선행사 "ancestors"를 수식하며 주격 관계대명사로 사용되었습니다.
  •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② them
  • "keep away from ②them"에서 "them"은 문맥상 "saber-toothed tigers and poisonous berries"를 가리키며, 복수 대명사로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③ certain
  • "the more ③certain we were about something"에서 "certain"은 비교급 강조 구문 "the more ~, the better ~"에서 사용된 형용사로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④ is
  • "If I know for certain it ④is"에서 "is"는 대동사로 사용되었으며, 앞 문장의 "is the same shape and size"를 대신합니다.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⑤ generating
  • "Our brains then ⑤generating sensations, thoughts, and action plans"에서 "generating"은 현재분사로 쓰였으나, 문맥상 주어 "Our brains"와 동사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generate"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 따라서, ⑤번이 어법상 틀린 부분입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⑤번이 어법상 부적절합니다.

결론

"진화의 산물, 확실성에 대한 인간의 선호: 어법과 생존 전략의 교차점"

이번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29번 문제는 인간이 확실성을 선호하는 이유를 진화적 관점에서 풀어내며, 우리의 뇌가 불확실한 요소를 어떻게 처리하고 이를 통해 생존 전략을 실행해 왔는지를 설명합니다.

분석 결과, 문장 9에서 "⑤ generating"이 동사로 사용되어야 하는 부분에서 현재분사 형태로 잘못 쓰였다는 어법적 오류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이 문제는 "⑤ generate"로 수정되어야 어법적으로 적절하며, 나머지 선택지는 모두 문법적으로 타당합니다.

지문 내에서는 대명사(② them), 관계대명사(① who), 대동사(④ is), 병렬 구조 등 다양한 어법적 요소들이 등장하며, 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수험생들은 영어 어법의 핵심을 이해하고, 실전 문제 해결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고리 역할을 하는 청크(chunk)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을 200%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