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은 “자유로운 놀이(free play)”가 아이들의 성장과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지문은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스스로 통제권을 행사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이러한 배움은 언어적 가르침으로는 불가능하며, 오직 경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문의 핵심 내용을 분석하고, 빈칸 추론 문제의 답을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독자들이 자유로운 놀이의 의미와 중요성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이 지문은 빈칸이 포함된 문장 근처에 단서를 노출하지 않고 조금 아래쪽에 배치한 형태입니다. 차분이 읽어 내려가면서 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요합니다.
위에 설명드린 Tip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기에 빈칸을 포함한 문장 8번의 해설 –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참고하여 순차적으로 지문을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1.
Free play is nature’s means of teaching children that they are not ___________. In play, away from adults, children really do have control and can practice asserting it. In free play, children learn to make their own decisions, solve their own problems, create and follow rules, and get along with others as equals rather than as obedient or rebellious subordinates. In active outdoor play, children deliberately dose themselves with moderate amounts of fear and they thereby learn how to control not only their bodies, but also their fear. In social play children learn how to negotiate with others, how to please others, and how to manage and overcome the anger that can arise from conflicts. None of these lessons can be taught through verbal means; they can be learned only through experience, which free play provides.
① noisy ② sociable ③ complicated
④ helpless ⑤ selective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Free play is nature’s means of teaching children that they are not 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free play: 자유로운 놀이
- means: 수단, 방법 (동의어: method, way / 반의어: obstacle, hindrance)
- nature: 자연, 본성 (동의어: environment, essence / 반의어: artificiality)
- teach: 가르치다 (동의어: instruct, educate / 반의어: learn, ignore)
- assert: 단언하다, 주장하다 (동의어: declare, affirm / 반의어: deny, refu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ree play is [nature’s(→natural) means/ [of teaching/ children/ [that they are not ___________]]].
- 자유로운 놀이는/ [자연의(→자연스러운) 수단입니다/ [가르치는/ 아이들에게/ [그들이 ___________하지 않다는 것을]]].
어법 설명
- 문맥상 부정확한 표현의 사용
- 문맥상 “nature’s means(자연의 수단)”은 “natural means(자연스러운 수단)”입니다. 소유격을 사용하게 되면 “자연이 가지고 있는”의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어 문장이 전달하려는 내용을 전달하기에 상당히 어색합니다. 따라서, “nature’s”는 “natural”로 변경하는 것이 의미상 적절합니다.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nature’s(→natural) means/ [of teaching/ children/~]”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는 “아이들에게 ~라는 것을 가르치는 것과 관련된 자연스러운 수단”을 의역하여 “아이들에게 ~라는 것을 가르치기위한 자연스러운 수단”으로 번역이 되는 것입니다.
- 직접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eaching/ children/ [that they are not ___________]"에서 "that"은 동명사, "teaching"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빈칸이 빠져 있지만, ”자유로운 놀이의 장점“ 정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빈칸 추론 1
- 빈칸에 들어갈 말을 보기에서 일단 확인하면, 전부 형용사입니다. 부정어 “not”이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의미는 올 수 없음을 미리 추정한다면, “② sociable“은 일단 배제해야 합니다. 나머지 4개의 단어 중 어떤 어휘가 적합한지에 대한 clue를 찾으면서 독해해야 합니다.
문장 2
In play, away from adults, children really do have control and can practice asserting it.
주요 단어 정리
- play: 놀이 (동의어: recreation, activity / 반의어: work, duty)
- away from~: ~로부터 떨어져
- adult: 성인, 어른 (동의어: grown-up, elder / 반의어: child, minor)
- control: 통제(력), 지배 (동의어: power, authority / 반의어: chaos, disorder)
- assert: 주장하다, 단언하다, 발휘(행사)하다 (동의어: exercise, use, invoke)
- practice: 연습하다, 실천하다 (동의어: rehearse, exercise / 반의어: neglect, igno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play,/ <away/ from adults>,/ children
really[do have/ control]/ and/ [can practice/ <asserting/ it>]. - 놀이에서,/ <떨어져/ 어른들로부터>,/ 아이들은 [정말로 가지고 있습니다/ 통제력을]/ 그리고/ [연습할 수 있습니다/ <행사하는 것을/ 그것을(통제력을)>].
어법 설명
- 강조의 조동사 do & 의미의 중복 "really"
- “
really[do have/ control]”에서 “do”는 강조의 조동사로, 그 자체로 “really”의 의미입니다. 따라서, 동사구 “[do have/ control]” 앞에 쓰인 “really”는 “redundant expression(불필요한 표현)”으로 제거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do have/ control]”과 “[can practice/ <asserting/ it>]"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can practice/ <asserting/ it>]“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can practice“의 목적어 역할. ”그것(통제권)을 행사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문장 1의 내용에서 연결되어, ”통제권의 행사를 연습할 수 있는 자유로운 놀이“ 정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3
In free play, children learn to make their own decisions, solve their own problems, create and follow rules, and get along with others as equals rather than as obedient or rebellious subordinates.
주요 단어 정리
- decision: 결정, 판단 (동의어: choice, resolution / 반의어: hesitation, indecision)
- solve: 해결하다 (동의어: resolve, fix / 반의어: complicate, worsen)
- create: 창조하다, 만들다 (동의어: produce, construct / 반의어: destroy, eliminate)
- follow: 따르다 (동의어: obey, adhere to / 반의어: disobey, defy)
- rule: 규칙 (동의어: regulation, law / 반의어: chaos, anarchy)
- get along with~: ~와 잘 지내다 (동의어: socialize, cooperate / 반의어: argue, fight)
- equal: 동등한 사람 (동의어: peer, equivalent / 반의어: superior, inferior)
- obedient: 순종적인 (동의어: compliant, submissive / 반의어: disobedient, defiant)
- rebellious: 반항적인 (동의어: defiant, disobedient / 반의어: obedient, compliant)
- subordinate: 부하, 하위자 (동의어: assistant, underling / 반의어: superior, leade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free play,/
- 자유로운 놀이에서,/
- children learn/ [<to make/ their own decisions>,/ <(to) solve/ their own problems>,/ <(to) create and follow/ rules>,/ and/ <get along/ with others>]/ as equals/ [rather than(→not) [as <obedient or rebellious> subordinates]].
- 아이들은 배웁니다/ [<내리는 것을/ 그들 자신의 결정들을>,/ <해결하는 것을/ 그들 자신의 문제들을>,/ 그리고/ <만들고 따르는 것을/ 규칙들을>,/ 그리고/ <잘 지내는 것을/ 다른 사람들과>]/ 동등한 사람들로서/ [[<순종적이거나 반항적인> 하위자들로서]보다는 오히려(→가 아니라)>].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병렬 구조
- “[<to make/ their own decisions>,/ <(to) solve/ their own problems>,/ <(to) create and follow/ rules>,/ and/ <get along/ with others>]”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learn”의 목적어 역할. 그러면서, “to 부정사”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비교의 전치사구의 오류
- “[rather than(→not) [as <obedient or rebellious> subordinates]]"에서 "rather than"은 전치시구로 ”명사“나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나 현재의 구조는 “rather than”의 목적어(비교 대상으로) “as(전치사)+명사구”로 “부사구”의 형태로 어법상 적절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의미를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rather than(~라기 보다는 (오히려)”은 “not(~로서가 아니라)”으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빈칸의 추론 1
- 문장 1과 문장 2의 내용에서 연결되어, ”자유로운 놀이를 통해 연습할 수 있는 많은 것들“ 정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나머지 보기는 다 적절하지 않기에, 빈칸에 들어갈 말은 ”아이들이 무기력하지 않다는 것을“ 아이들에게 가르쳐주는 자여스러운 수단”이 되어야 의미상 적절합니다. 실전에서는 정답을 ④번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부터 철저하게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문장 4
In active outdoor play, children deliberately dose themselves with moderate amounts of fear and they thereby learn how to control not only their bodies, but also their fear.
주요 단어 정리
- active: 활동적인 (동의어: energetic, dynamic / 반의어: passive, inactive)
- outdoor: 실외의 (동의어: open-air, outside / 반의어: indoor, enclosed)
- deliberately: 의도적으로, 신중히 (동의어: intentionally, purposely / 반의어: accidentally, unintentionally)
- dose oneself with~: ~를 자신에게 투여하다
- moderate: 적당한, 중간의 (동의어: reasonable, balanced / 반의어: excessive, extreme)
- thereby: 그렇게 함으로써 (동의어: thus, hence / 반의어: nonetheless)
- control: 통제하다 (동의어: manage, regulate / 반의어: ignore, neglect)
- not only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active outdoor play,/
- 활동적인 실외 놀이에서,/
- children deliberately dose/ themselves/ <with moderate amounts/ of fear>/
- 아이들은 의도적으로 자신에게 투여합니다/ <적당한 양을/ 두려움의>/
- and/ they thereby learn/ [how to control/ [not only their bodies],/ [but also their fear]].
- 그리고/ 그들은 그렇게 하여 배우게 됩니다/ [어떻게 통제해야 하는지를(통제하는 방법을)/ [그들의 신체뿐만 아니라],/ [그들의 두려움도]].
어법 설명
- 재귀 대명사 ”themselves“
- ”문장의 주어 =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의 관계인 경우.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는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함.
- 병렬 구조 – 두 개의 문장을 and로 연결
- “children deliberately dose/ themselves/ <with moderate amounts/ of fear>”와 “they thereby learn/ [how to control/ [not only their bodies],/ [but also their fear]]”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how to control/~]“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how they should control/~]“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어떻게 그들이 통제해야 하는지“의 의미. ”통제하는 방법“으로도 해석이 가능합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명사구를 not only A but also B로 연결
- “[not only their bodies]”와 “[but also their fear]"를 등위 상관 접속사 not only A but also B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야외 (자유로운) 놀이를 통해 아이들이 배울 수 있는 것들 – 신체의 통제 및 두려움의 통제
문장 5
In social play children learn how to negotiate with others, how to please others, and how to manage and overcome the anger that can arise from conflicts.
주요 단어 정리
- social: 사회적인 (동의어: communal, collective / 반의어: individual, isolated)
- negotiate: 협상하다 (동의어: bargain, mediate / 반의어: ignore, refuse)
- please: 기쁘게 하다 (동의어: satisfy, delight / 반의어: displease, irritate)
- manage: 관리하다 (동의어: handle, cope with / 반의어: neglect, fail)
- overcome: 극복하다 (동의어: conquer, prevail over / 반의어: succumb, fail)
- anger: 분노 (동의어: rage, irritation / 반의어: calmness, serenity)
- arise: 발생하다 (동의어: emerge, occur / 반의어: disappear, vanish)
- conflict: 갈등 (동의어: disagreement, clash / 반의어: harmony, agreeme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social play/
- 사회적인 놀이에서,/
- children learn/ [how to negotiate/ with others],/ [how to please/ others],/ and/ [how to manage and overcome/ [the anger/ that can arise/ from conflicts]].
- 아이들은/ 배웁니다/ [어떻게 협상해야 하는지(협상하는 방법을)/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기쁘게 해야 하는지를(기쁘게 하는 방법을)/ 다른 사람들을],/ 그리고/ [어떻게 관리하고 극복해야 하는지를(관리하고 극복하는 방법을)/ [분노를/ 발생할 수 있는/ 갈등으로부터]].
어법 설명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병렬 구조
- ”[how to negotiate/ with others]“, ”[how to please/ others]“, 및 ”[how to manage and overcom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각각 ”[how they should negotiate/~]“, ”[how they should please/~]“ 및 ”[how they should manage and overcome/~]“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각각 ”어떻게 그들이 다른 사람들과 협상해야 하는지(그들이 다른 사람들과 협상하는 방법)“, ”어떻게 그들이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해야 하는지(그들이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방법)“ 및 ”어떻게 그들이 관리하고 극복해야 하는지(그들이 관리하고 극복하는 방법)“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anger/ that can arise/ from conflicts]”에서 “that”은 선행사, “the anger”를 수식하여, “갈등드로부터 일어날 수 있는 분노”의 의미를 전달.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자유로운 사회적 놀이에서 아이들이 배울 수 있는 것 – 사회적 유대 관계
문장 6
None of these lessons can be taught through verbal means; they can be learned only through experience, which free play provides.
주요 단어 정리
- none: 아무것도 ~않다 (동의어: not one, no one / 반의어: all, everyone)
- lesson: 교훈, 수업 (동의어: instruction, teaching / 반의어: neglect, omission)
- verbal: 언어의, 말의 (동의어: oral, spoken / 반의어: nonverbal, written)
- means: 수단, 방법 (동의어: method, approach / 반의어: end, outcome)
- experience: 경험 (동의어: practice, exposure / 반의어: theory, inexperience)
- provide: 제공하다 (동의어: offer, supply / 반의어: withhold, take awa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ne/ of these lessons>/ can be taught/ through verbal means/
- <어떤 것도/ 이 교훈들 중>/ 가르침을 받을 수 없습니다(교육될 수 없습니다)/ 언어적 수단을 통해서/
- ;/ they can be learned/ only through experience/, which/ free play provides.
- 다시 말해/ 그것들은(이러한 교훈들은) 학습될 수 있습니다/ 오로지 경험을 통해서만/ 그리고 그것을(경험을)/ 자유로운 놀이가 제공합니다.
어법 설명
- 명사의 부정
- 한국어에는 명사를 부정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부정의 의미를 동사로 보내고, 명사에는 any를 추가하여, 즉, “<Any/ of these lessons>/ can not be taught/ through verbal means.“로 변경하여 해석합니다.
- 수동태[be + pp]
- “can be taught”와 “can be learned”에서 사용된 어법. 한국어에서는 모든 동사가 수동태로 표현되지 않고 일부 동사에 한해 표현이 가능하여, 각각 “가르침을 받을 수 있다(교수(교육)될 수 있다)” 및 "배워질 수 있다(학습되다)"의 의미가 되나, “수동태가 가능한 다른 표현으로 표현하거나 능동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experience/, which/ free play provides”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나 일부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and it)”로 해석합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자유로운 놀이를 통해서만 학습될 수 있는 것 – 앞 문자에서 열거한 사회적 관계와 관련된 것.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자유로운 놀이는 아이들이 자신이 무기력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해 주며,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통제권을 행사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사회적 유대 관계를 배우게 됩니다.
빈칸 추론
- 빈칸에 들어갈 단어는 "아이들이 자유로운 놀이를 통해 극복할 수 있는 부정적인 상태"를 나타내야 합니다.
- 보기 분석
- ① noisy: "시끄러운" → 문맥과 무관.
- ② sociable: "사교적인" → 긍정적 의미로 부정어 "not"과 어울리지 않음.
- ③ complicated: "복잡한" → 문맥상 적절하지 않음.
- ④ helpless: "무기력한" →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자신이 무기력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는다는 맥락과 일치.
- ⑤ selective: "선택적인" → 문맥과 무관.
정답 제시
- 따라서, “④ helpless(무기력한)”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은 자유로운 놀이가 아이들에게 자신이 무기력하지 않음을 깨닫게 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며, 두려움과 갈등을 극복하는 경험을 제공한다고 강조합니다.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단순히 신체적 활동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감정과 사회적 관계를 조율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특히, 빈칸 추론 문제에서 정답인 "helpless(무기력한)"은 자유로운 놀이가 아이들에게 자신이 무기력하지 않다는 것을 가르친다는 지문의 핵심 메시지를 명확히 반영합니다.
자유로운 놀이의 중요성을 통해 아이들이 경험을 통해 스스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오늘날 교육과 양육에서 중요한 과제임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