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초기 닷컴 기업들이 수익을 보고하는 방식과 그 한계를 다룹니다. 이들은 보고된 수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광고 공간 교환이라는 관행을 도입했으나, 이는 추가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지 못했으며 결국 수익 인식 원칙을 충족하지 못해 중단되었습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이 지문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빈칸 추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논리적 독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이 지문은 빈칸이 지문의 맨 마지막에 위치하므로 “아래에서 위로” 독해해 올라가면서 단서를 찾으시면 됩니다.
위에 설명드린 Tip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기에 빈칸을 포함한 문장 6의 해설 –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참고하여 순차적으로 지문을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2.
Many early dot‑com investors focused almost entirely on revenue growth instead of net income. Many early dot‑com companies earned most of their revenue from selling advertising space on their Web sites. To boost reported revenue, some sites began exchanging ad space. Company A would put an ad for its Web site on company B’s Web site, and company B would put an ad for its Web site on company A’s Web site. No money ever changed hands, but each company recorded revenue (for the value of the space that it gave up on its site) and expense (for the value of its ad that it placed on the other company’s site). This practice did little to boost net income and ______________________ ─ but it did boost reported revenue. This practice was quickly put to an end because accountants felt that it did not meet the criteria of the revenue recognition principle.
① simplified the Web design process
② resulted in no additional cash inflow
③ decreased the salaries of the employees
④ intensified competition among companies
⑤ triggered conflicts on the content of Web ads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Many early dot‑com investors focused almost entirely on revenue growth instead of net income.
주요 단어 정리
- early: 초기의, 이른 (동의어: initial, first / 반의어: late, final)
- dot-com: 닷컴(인터넷 기반 기업)
- investor: 투자자 (동의어: financier, stockholder / 반의어: debtor, borrower)
- focus on~: ~에 집중하다 (동의어: concentrate on, pay attention to / 반의어: ignore, neglect)
- entirely: 전적으로, 완전히 (동의어: completely, wholly / 반의어: partially, incompletely)
- revenue growth: 수익 성장
- instead of~: ~대신에
- net income: 순이익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ny early dot‑com investors focused,/ almost entirely,/ on revenue growth/ instead of net income.
- 많은 초기 닷컴 투자자들은 집중했습니다,/ 거의 전적으로,/ 수익 성장에/ 순이익이 아니라.
어법 설명
- 삽입의 원칙 오류
- "focused,/ almost entirely,/ on revenue growth"는 동사 “focused”와 전치사 “on” 사이에 부사구 “almost entirely”가 삽입된 구조로, 구나 절을 삽입하는 경우, comma(,)로 앞뒤를 분리해야 하나,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청크 분석처럼 “almost entirely”의 앞뒤로 comma(,)를 추가하는 것이 적절.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초기 닷컴 투자자들의 집중 포인트: 순익보다는 수익 성장
문장 2
Many early dot‑com companies earned most of their revenue from selling advertising space on their Web sites.
주요 단어 정리
- earn: 벌다, 얻다 (동의어: gain, acquire / 반의어: lose, spend)
- most of~: ~의 대부분, 대부분의~
- revenue: 수익
- advertising space: 광고 공간
- Web site: 웹사이트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ny early dot‑com companies earned/ <most/ of their revenue>/ <from selling/ advertising space/ on their Web sites>.
- 많은 수의 초기 닷컴 회사들은 벌었습니다/ <대부분을/ 그들의 수익의(그들의 대부분의 수익을)>/ <판매하는 것으로부터/ 광고 공간을/ 그들의(많은 수의 초기 닷컴 회사들의) 웹사이트상에서>.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from selling/ advertising space/ on their Web sites>“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from“의 목적어 역할. ”그들의 웹사이트상에서 광고 공간을 판매하는 것으로부터“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초기 닷컴 회사들이 수익의 대부분을 냈던 방법.
문장 3
To boost reported revenue, some sites began exchanging ad space.
주요 단어 정리
- boost: 증가시키다, 끌어올리다 (동의어: increase, enhance / 반의어: decrease, reduce)
- reported revenue: 보고된 수익
- begin+V-ing: ~하기 사작하다
- exchange: 교환하다, 맞바꾸다 (동의어: trade, swap / 반의어: keep, retain)
- ad space: 광고 공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boost/ reported revenue>,/ some sites began exchanging/ ad space.
- <증가시키기 위해서/ 보고된 수익을>,/ 일부 사이트들은 교환하기 시작했습니다/ 광고 공간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boost/ reported revenue>”에서 사용된 용법.
- “~하기”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egan exchanging“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began“의 목적어 역할. ”교환하기 시작했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수익 증가를 위한 광고 공간을 교환하기 시작했다는 내용.
문장 4
Company A would put an ad for its Web site on company B’s Web site, and company B would put an ad for its Web site on company A’s Web site.
주요 단어 정리
- put: 놓다, 배치하다 (동의어: place, position / 반의어: remove, take away)
- ad: 광고
- for~: ~을 위해
- on~: ~위에, ~상에
- would+동사원형: ~하곤 했다 (과거의 습관적 행동을 나타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mpany A would put/ <an ad/ for its Web site>/ on company B’s Web site,/
- 회사 A는 배치하곤 했습니다/ <광고를/ 자신의 웹사이트를 위한>/ 회사 B의 웹사이트상에,/
- and/ company B would put/ <an ad/ for its Web site>/ on company A’s Web site.
- 그리고/ 회사 B는 배치하곤 했습니다/ <광고를/ 자신의 웹사이트를 위한>/ 회사 A의 웹사이트에.
어법 설명
- would + 동사원형
- 과거의 습관적 행동을 나타내며, "하곤 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회사들이 서로의 사이트에 자신의 광고를 배치하곤 했다는 내용.
문장 5
No money ever changed hands, but each company recorded revenue (for the value of the space that it gave up on its site) and expense (for the value of its ad that it placed on the other company’s site).
주요 단어 정리
- change hands: ~가 오가다, 주인이 바뀌다
- company: 회사, 기업
- record: 기록하다 (동의어: log, document / 반의어: delete, erase)
- value: 가치 (동의어: worth, price / 반의어: worthlessness)
- space: 공간
- give up: 포기하다, 내어주다 (동의어: relinquish, surrender / 반의어: keep, retain)
- expense: 비용 (동의어: cost, expenditure / 반의어: revenue, profit)
- place: 두다, 배치하다 (동의어: put, position / 반의어: remove, displa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 money ever changed/ hands,/ but/ each company recorded/ [revenue/ ([for the value/ [of the space/ that it gave up/ on its site]]])/ and/ [expense/ ([for the value/ [of its ad/ that it placed/ on the other company’s site]]]).
- 돈은 결코 바꾸지 않았습니다/ 손(들)을(오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각각의 회사는 기록했습니다/ [수익을/ ([가치에 대한/ [공간의/ 그것이(그 회사가) 포기했던/ 그것의(그 회사의) 사이트상에서]]])/ 그리고/ [비용을/ ([가치에 대한/ [그것의(그 회사의) 광고의/ 그것이(그 회사가) 배치했던/ 다른 회사의 사이트상에]]]).
어법 설명
- 명사의 부정
- “No money ever changed/ hands”애서 사용된 어법. 한국어는 명사는 부정하는 경우가 없기에, 동사를 부정하고 명사에 “any”를 추가하여, 즉, “Any money never changed/ hands(어떠한 돈도 결코 바꾸지 않았습니다/ 손(들)을(오가지 않았습니다)”로 해석합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명사구를 and로 연결
- “[revenue/ ([for the value/ [of the space/ that it gave up/ on its site]]])”와 “[expense/ ([for the value/ [of its ad/ that it placed/ on the other company’s site]]])”를 and로 연결한 구조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space/ that it gave up/ on its site”와 “its ad/ that it placed/ on the other company’s site”에서 “that”은 각각의 선행사, “the space”와 “its ad”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것의(그 회사의) 사이트상에서 포기했던 공간”과 “다른 회사의 사이트상에 그것이(그 회사가) 배치했던 그것의(그 회사의) 광고”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빈칸의 추론 3
- 실제 돈은 오가지 않고 각 화사 사이트상의 광고 공간에 대한 수익과 비용만 기록했다는 내용으로, 문장 6과 문장 7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부분은 돈이 오가지 않았다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보기를 확인하면, “② resulted in no additional cash inflow(추가적인 현금 흐음을 초래하지는 않았다)”의 의미가 가장 적절합니다. 그러므로, 실전에서는 ②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해설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부터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6
This practice did little to boost net income and ______________________ ─ but it did boost reported revenue.
주요 단어 정리
- practice: 관행, 행위 (동의어: custom, method / 반의어: neglect)
- did little to~: ~에 거의 기여하지 않았다
- boost: 증가시키다 (동의어: enhance, raise / 반의어: decrease, lower)
- net income: 순이익
- reported revenue: 보고된 수익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practice did little/ [to boost/ <net income and ______________________>]/
- 이 관행은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았습니다/ [증가시키기 위해서(거의 기여하지 않았습니다/ 증가시키는 데)/ <순익과 ______________________을>]/
- ─/ but/ it did boost/ reported revenue.
- ─/ 그러나/ 그것은/ 증가시켰습니다/ 보고된 수익을.
어법 설명
- 부정의 부사 little
- 부정의 부사 “little”은 “거의 ~않다”의 의미로 “did”와 사용되어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boost/ <net income and ______________________>]”에서 사용된 용법. 다만, “did little”과 함께 “순익과 ___________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의 의미가 “순익과 ___________를 증가시키는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다”로 의역됩니다.
- “but”의 사용으로 아무 역할도 못하는 dash(─)
- “but(그러나)”의 의미로 문장 부호, “Dash(─; 즉, 다시 말해)”는 불필요합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이러한 관행을 아직 파악하지 못했지만, 이러한 관행으로, “보고된 수익”은 증가시켰지만, “순익과 ___________”를 증가시키지는 못했다는 의미입니다.
- 빈칸의 추론 1
- 문장 6의 핵심 내용으로부터 빈칸이 들어간 문장의 앞뒤 문장을 독해하여 clue를 찾도록 합니다. 먼저 문장 7로 이동하여 해설하겠습니다.
문장 7
This practice was quickly put to an end because accountants felt that it did not meet the criteria of the revenue recognition principle.
주요 단어 정리
- put: 놓다, 두다, 배치하다
- end: 종말, 종식
- put to an end: 끝내다, 종식시키다 (동의어: terminate, stop / 반의어: continue, persist)
- accountant: 회계사 (동의어: auditor, bookkeeper)
- feel: 느끼다, 생각하다 (동의어: believe, think / 반의어: doubt, question)
- meet the criteria: 기준을 충족하다 (동의어: satisfy, fulfill / 반의어: fail, violate)
- revenue recognition principle: 수익 인식 원칙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practice was quickly put/ to an end/
- 이 관행은 빠르게 놓여졌습니다/ 종말에(종식되었습니다)/
- [because accountants felt/ [that it did not meet/ <the criteria/ of the revenue recognition principle>]].
- [왜냐하면 회계사들이 느꼈기 때문에/ [그것이 충족시키지 않았다고/ <기준을/ 수익 인식 원칙의>]].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was put/ to an end"에서 사용된 어법. 직역하면, “종말(종삭)에 놓여졌다”의 의미이나 “종식되었다”로 의역됩니다.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accountants felt/~]”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felt/ [that~]"에서 "that"은 동사, "felt"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빈칸의 추론 2
- 이 관행이 빠르게 종식된 이유: 회계사들이 이 관행이 수익 인식 원칙을 충족시키기 못했다고 느꼈기 때문. 빈칸을 추론할 clue가 없습니다. 따라서, 문장 5로 이동하여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초기 닷컴 회사들은 보고된 수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광고 공간을 교환했지만, 이러한 관행은 추가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지 못했으며, 결국 수익 인식 원칙에 위배되어 중단되었습니다.
빈칸 추론
- 문장 6에서의 빈칸 맥락 파악
- 문장 6에서는 "This practice did little to boost net income and ______________________"라는 구조를 통해 관행의 실질적 한계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 이어지는 문장에서 이 관행이 보고된 수익은 증가시켰지만 순이익(net income)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강조합니다.
- 문장 5에서 단서 확인
- 문장 5에서 "No money ever changed hands"라는 표현을 통해, 광고 공간 교환 관행이 추가적인 현금 흐름(cash inflow)을 발생시키지 않았음을 명시합니다.
- 이 단서는 빈칸에 들어갈 내용이 "추가적인 현금 흐름이 없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정답 선택
- 문장 6과 5의 내용에서 "추가적인 현금 흐름이 없었다"는 점이 빈칸의 내용임을 알 수 있습니다.
- 보기 중 "② resulted in no additional cash inflow(추가적인 현금 흐름을 초래하지 않았다)"가 가장 적절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② resulted in no additional cash inflow”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초기 닷컴 기업들이 보고된 수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광고 공간 교환을 도입한 사례는 수익과 순이익 간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비록 이러한 관행이 보고된 수익은 증가시켰으나, "추가적인 현금 흐름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경제적 가치는 없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빈칸 추론 문제에서 정답인 "② resulted in no additional cash inflow"은 이러한 맥락을 명확히 반영하며, 학생들에게 재무적 사고와 독해 능력을 동시에 요구합니다.
이번 지문을 통해 우리는 단순히 숫자상으로 보이는 수익에 현혹되지 않고, 수익의 실질적 가치와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