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가상 세계의 가치, 얼마나 많은 참여자가 필요한가?"

가상 세계(Virtual World)는 단순한 게임이나 디지털 공간을 넘어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심리적, 사회적 가치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가치를 지속적이고 광범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은 가상 세계의 영향력이 사용자 규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그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는 무엇인지에 대해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지문 내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답을 찾기 위해 문장별로 구조와 논리를 살펴보고, 가상 세계의 성공 요건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위에 설명드린 Tip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기에 빈칸을 포함한 문장 7의 해설 –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참고하여 해설에 기술된 바대로 순차적으로 지문을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3.

Scholars of myth have long argued that myth gives structure and meaning to human life; that meaning is amplified when a myth evolves into a world. A virtual world’s ability to fulfill needs grows when lots and lots of people believe in the world. Conversely, a virtual world cannot be long sustained by a mere handful of adherents.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a global sport and a game I invent with my nine friends and play regularly. My game might be a great game, one that is completely immersive, one that consumes all of my group’s time and attention. If its reach is limited to the ten of us, though, then it’s ultimately just a weird hobby, and it has limited social function. For a virtual world to provide lasting, wide‑ranging value, its participants must _____________________. When that threshold is reached, psychological value can turn into wide‑ranging social value. 

[3점]  * adherent: 추종자 ** threshold: 기준점
① be a large enough group to be considered a society
② have historical evidence to make it worth believing
③ apply their individual values to all of their affairs
④ follow a strict order to enhance their self‑steem
⑤ get approval in light of the religious value system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Scholars of myth have long argued that myth gives structure and meaning to human life; that meaning is amplified when a myth evolves into a world.

주요 단어 정리

  • scholar: 학자 (동의어: academic, researcher / 반의어: layperson, amateur)
  • myth: 신화 (동의어: legend, fable / 반의어: fact, reality)
  • argue: 주장하다 (동의어: claim, assert / 반의어: deny, refute)
  • structure: 구조, 체계 (동의어: framework, organization / 반의어: chaos, disarray)
  • meaning: 의미, 뜻 (동의어: significance, sense / 반의어: insignificance, triviality)
  • amplify: 증대시키다, 확대하다 (동의어: enhance, magnify / 반의어: reduce, diminish)
  • evolve into~: ~로 발전하다 (동의어: develop into, grow into / 반의어: regress into, devolve into)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cholarsof myth(Scholarsstudying myths)>/ have long argued/
  • <학자들은/ 신화의(→학자들은/ 신화(들)를 연구하는>/ 오랫동안 주장해 왔습니다/
  • [that myth gives/ <structure and meaning>/ to human life]/
  • [신화가 준다고(부여한다고)/ <구조와 의미를>/ 인간의 삶에]/
  • ;/ that meaning is amplified[when a myth evolvesinto a world].
  • 다시 말해/ 그 의미는 증대된다고/ [신화가 발전할 때/ 하나의 세계로].

어법 설명

  • 부정확한 의미 교정 필요성
  • Scholarsof myth”는 글자 그대로 “신화의 학자들로(신화에 대한 학자들)”로이 문장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인 “신화(들)를 연구하는 학자들(Scholarsstudying myths)”을 전달하기에 불충분합니다. 따라서, 청크 분석의 설명처럼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 현재완료[have + pp] 시제
  • have long argued”에서 사용된 어법 “오랫동안 주장해 왔다”의 의미로 계속적 의미를 타나냄.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have long argued[that myth gives/~]"에서 "that"은 동사구, "have long argu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수동태[be + pp]
  • is amplified”에서 사용된 어법. "증대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a myth evolves/~]”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지문의 주장에 대한 일관성의 오류
  • “아래에서 위로” 독해를 했기에이 글의 주장은 “많은 사람이 특정한 세계(가상 세계)에 참여할 때, 그것의 영향력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문장 1에서는 “영향력”을 “<structure and meaning>/ to human life”로 표현하고 있습니다이는 너무 주관적이고 객관적이지 못한 진술에 해당합니다. a myth evolvesinto a world”의 표현으로부터 “많은 사람이 그 신화를 믿는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또한 너무 주관적인 표현에 해당합니다. 차라리 문장 2에 사용했던, “believe in”을 사용하여a myth evolves/ [into one/ (that) many people believe in](신화가 많은 사람들이 믿는 신화로 발전한다)”으로 표현했다면, 더 일관성 있고 맥락상의 논리성도 갖게 되어 훨씬 더 적절했을 것입니다. 이전 문장 5에서 고학력 원어민도 이해하기 어려운 지문은 이런 이유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고 다시 한번 더 강조합니다.

문장 2

A virtual world’s ability to fulfill needs grows when lots and lots of people believe in the world.

주요 단어 정리

  • ability: 능력 (동의어: capacity, capability / 반의어: inability, incapacity)
  • fulfill: 충족시키다 (동의어: satisfy, meet / 반의어: neglect, ignore)
  • need: 필요, 욕구 (동의어: requirement, necessity / 반의어: surplus, luxury)
  • grow: 증가하다, 커지다 (동의어: increase, expand / 반의어: shrink, decline)
  • lots and lots of~: 수많은~, 많은 수의~
  • believe in~: (~의 존재 따위)를 믿다 (동의어: trust, have faith in / 반의어: doubt, disbeliev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virtual world’s ability/ <to fulfill/ needs>]grows/
  • [가상 세계의 능력은/ <충족시키는/ 욕구들을(필요들을)>]/ 증가합니다/
  • [when lots and lots of people believe in/ the world].
  • [많은 수의 사람들이 믿을 때/ 그 세계를].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A virtual world’s ability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grows“.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 virtual world’s ability/ <to fulfill/ needs>”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A virtual world’s ability”를 수식하여 “욕구(들)를 충족시키는 가상 세계의 능력”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lots and lots of people believe in/ the worl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맥락과 맞지 않는 모호함
  • “아래에서 위로” 독해했기에이 지문의 핵심 주장은 “가상 세계가 사회에 영향력을 갖기 위해서는 그것에 참여하는 사람이 많아야 한다.”는 것이므로, 이 문장의 “[A virtual world’s ability/ <to fulfill/ needs>]”는 “<A virtual world’s influenceon the society(사회에 대한 가상 세계의 영향력)>”으로, “believe in the world”는 participate in it(그것에 참여하다”으로 변경하는 것이 정확한 문맥상의 의미를 전달하는데 적절합니다. 즉, "참여의 행위가 가상 세계의 가치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로 논리적인 연결이 가능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전체적인 맥락과는 맞지 않게 표현했으나, 많은 수의 사람이 가상 세계에 참여할 때, 그 영향력이 커진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문장 3

Conversely, a virtual world cannot be long sustained by a mere handful of adherents.

주요 단어 정리

  • conversely: 반대로 (동의어: on the contrary, inversely / 반의어: likewise, similarly)
  • sustain: 유지하다, 지속하다 (동의어: maintain, support / 반의어: abandon, cease)
  • mere: 단순한, 단지, 겨우 (동의어: simple, slight / 반의어: significant, substantial)
  • handful: 소수, 한 줌 (동의어: few, small number / 반의어: multitude, majority)
  • a handful of~: 소수의~
  • adherent: 추종자, 지지자 (동의어: follower, supporter / 반의어: opponent, critic)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nversely,/ a virtual world cannot be long sustained/ <by a mere handful of adherents>.
  • 반대로,/ 가상 세계는 오랫동안 유지될 수 없습니다/ <단지 소수의 추종자들에 의해>.

어법 설명

  • 접속부사 "Conversely"
  • 문장 내에서 "반대로/역으로"의 의미를 전달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수동태[조동사+ be + pp]
  • "cannot be long sustained"에서 사용된 어법. “오랫동안 유지될 수 없다”의 의미로 수동태. 가상 세계가 스스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적 요인(추종자들)에 의해 유지되는 구조를 강조.
  • 문장 3의 핵심 내용
  • 가상 세계는 소수의 인원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 아니다라는 내용으로 빈칸 내용의 추론에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다만, 문장 1부터 독해했더라도, 문장 6까지 읽어야 하므로 시간을 줄이기는 어렵습니다.

문장 4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a global sport and a game I invent with my nine friends and play regularly.

주요 단어 정리

  • consider: 고려하다, 생각하다 (동의어: think about, reflect on / 반의어: ignore, disregard)
  • difference: 차이 (동의어: distinction, contrast / 반의어: similarity, resemblance)
  • global sport: 세계적인 스포츠
  • invent: 발명하다, 창작하다 (동의어: create, devise / 반의어: copy, replicate)
  • regularly: 정기적으로 (동의어: routinely, frequently / 반의어: rarely, occasion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nsider[the difference/ [between [a global sport] and [a game/ (which or that) I <inventwith my nine friends>/ and/ <play/ regularly/ (+with my nine friends)>]]].
  • 생각해 보세요/ [그 차이를/ [[세계적인 스포츠]와 [게임 사이의/ 내가 <발명한/ 나의 9명의 친구들과>/ 그리고/ <하는/ 정기적으로/ (+나의 9명의 친구들과)]]].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Consider[the difference/~]”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명사구를 between A and B로 연결
  • [a global sport]”와 “[a game/ (which or that) I <inventwith my nine friends>/ and/ <play/ regularly/ (+with my nine friend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의미적 오류(부사구의 위치 오류)
  • [a game/ (which or that) I <inventwith my nine friends>/ and/ <play/ regularly/ (+with my nine friends)>]”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a game”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내가 개발해서 나의 아홉 명의 친구들과 하는 게임”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다만, 문장 5의 "My game"으로부터 문맥상 with my nine friends”는 두 번째 동사구에 위치해야 문맥상 적절합니다. 청크 분석에 표시된 것처럼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세계적인 스포츠와 나를 포함한 10명만이 즐기는 게임을 비교함으로써 “사회에 대한 영향력”이 즐기는 인원수와 관련되어 있음"을 암시합니다.

문장 5

My game might be a great game, one that is completely immersive, one that consumes all of my group’s time and attention.

주요 단어 정리

  • might be~: ~일 수도 있다
  • great: 훌륭한 (동의어: excellent, remarkable / 반의어: mediocre, ordinary)
  • immersive: 몰입감 있는 (동의어: engaging, absorbing / 반의어: distracting, boring)
  • consume: 소비하다, 소모하다 (동의어: use up, deplete / 반의어: conserve, preserve)
  • attention: 관심, 주의 (동의어: focus, concentration / 반의어: neglect, indiffere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y game might be [a great game],/ [[onethat is completely immersive],/ (+and)/ [onethat consumes[all/ <of my group’s time and attention>]]].
  • 내 게임은 [훌륭한 게임]일 수도 있습니다,/ [[하나인(게임인)/ 완전히 몰입감 있는],/ (+그리고)/ [하나인(게임인)/ 소비하는/ [전부를/ <내 그룹의 시간과 관심의>]]].

어법 설명

  • 부정 대명사 one
  • 앞에 나온 명사 중 특정되지 않은 하나를 대신할 때 사용되는 대명사로, 여기서는, “a game”을 의미합니다. 부정 대명사 "one"의 설명은 명확하며, 반복되는 "game"을 대신하는 역할을 잘 전달하고 있습니다.
  • 병렬 구조 원칙 위반
  • [onethat is completely immersive]”와 “[onethat consumes[all/ <of my group’s time and attention>]]는 병렬 구조로 and로 연결되어야 합니다따라서, 청크 분석처럼 “(+and)”를 추가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onethat is completely immersive]”와 “[onethat consumes[all/ <of my group’s time and attention>]]”에서 “that”은 각각의 선행사, “one을 수식하여, 각각 “몰입감 있는 게임”과 “내 그룹의 시간과 관심의 전부를 소비하는 게임”의 의미를 전달.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빈칸의 추론 4
  • 문장 5만을 보면, “몰입감 있고 그 게임을 하는 사람들의 시간과 관심을 소비하는 게임이라는 내용의 도입”으로, 문장 6과 연계하면, 아무리 몰입감이 있고 그것을 하는 사람들의 시간과 관심을 소비하는 훌륭한 게임(가상 세계 영역이 게임)이라 하더라도 사용자수가 제한된다면, 단지 기묘한 취미일 뿐이고, 제한된 사회적 기능(영향력)을 갖게 된다는 의미이므로, 보기를 확인하면“인원수의 제한”의 측면에서 “① (must) be a large enough group to be considered a society(하나의 사회로 고려될 큰 충분한 집단이 되어야만 한다)”가장 적절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한 가지 더 언급하자면문장 6의 “social function(사회적 기능)”,  문장 8의 “psychological value(심리적 가치)”는 현재까지의 맥락으로 볼 때 아주 애매한 표현으로, 각각 “social impact(사회적 영향)”, “its social value(그것의 사회적 가티)”로 변경할 때, 문맥상 정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계속 언급하지만, 지문의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부적절한 “어휘”를 사용하여 지문을 구성하는 것이 고학력 원어민조차도 지문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게 하는 큰 장애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문장 6

If its reach is limited to the ten of us, though, then it’s ultimately just a weird hobby, and it has limited social function.

주요 단어 정리

  • reach: 범위, 영향력 (동의어: scope, extent / 반의어: restriction, limitation)
  • limit: 제한하다 (동의어: restrict, confine / 반의어: expand, extend)
  • though: 그러나
  • then: 그러면
  • ultimately: 궁극적으로 (동의어: finally, eventually / 반의어: initially, temporarily)
  • just: 단지 (~일 뿐)
  • weird: 이상한, 기묘한 (동의어: strange, odd / 반의어: normal, conventional)
  • limited: 제한된
  • function: 기능, 역할 (동의어: purpose, role / 반의어: dysfunction, ineffectiven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its reach is limited/ <to the ten/ of us],/
  • [만약 그것의 범위가 제한된다면/ <열 명에게로/ 우리(의)],/
  • though,/ then/ it’s ultimately just a weird hobby,/ andit has/ limited social function.
  • 그러나,/ 그러면/ 그것은 궁극적으로 단지 기묘한 취미일 뿐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가지게 됩니다/ 제한된 사회적 기능을.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its reach is limited/~]”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 is limited”에서 사용된 어법. "제한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6의 핵심 내용 & 빈칸의 추론 3
  • 문장 6은 무언가의 인원수가 제한된다면 그것은 결국 기묘한 취미일 뿐이고 제한된 사회적 기능(문장 8의 제한된 사회적 가치)을 갖게 된다는 내용. 문장 6의 “[If its reach is limited/ <to the ten/ of us]로부터 문장 8의 “threshold(기준점)”는 “인원수” 정도의 의미로 추론되고문장 6에 사용된 대명사 “its”와 “it”는 문장 6의 “a weird hobby(기묘한 취미)”와 문장 7의 “<For a virtual world(가상 세계가)>”의 표현으로부터 a virtual world(가상 세계)”와 관련된 영억으로 추론됩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문장 5로 이동하여 독해를 이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7

For a virtual world to provide lasting, wide‑ranging value, its participants must __________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virtual world: 가상 세계
  • provide: 제공하다
  • lasting: 지속적인 (동의어: enduring, permanent / 반의어: temporary, fleeting)
  • wide‑ranging: 광범위한 (동의어: extensive, comprehensive / 반의어: limited, narrow)
  • participant: 참여자 (동의어: member, attendee / 반의어: observer, bystande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a virtual world>/ <to provide/ lasting, wide‑ranging value>],/
  • [<가상 세계가>/ <제공하기 위해서/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가치를>],/
  • its participants must _____________________.
  • 그 참여자들은 _____________________해야만 합니다.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For a virtual world>/ <to provide/ lasting, wide‑ranging value>]”에서 사용된 용법. “<For a virtual world>”는 “<to provide/ lasting, wide‑ranging value>”의 의미상 주어.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빈칸 추론 1
  • 가상 세계가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참여자들이 해야 할 조건. 따라서, 그 참여자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추론할 수 있는 clue를 찾아서 문장 8부터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8

When that threshold is reached, psychological value can turn into wide‑ranging social value.

주요 단어 정리

  • threshold: 기준점 (동의어: limit, boundary / 반의어: infinity, endlessness)
  • psychological: 심리적인 (동의어: mental, emotional / 반의어: physical, tangible)
  • value: 가치
  • turn into~: ~로 변하다 (동의어: transform into, become / 반의어: remain, sta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hat threshold is reached],/
  • [그 기준점이 도달될 때],/
  • psychological value can turninto wide‑ranging social value.
  • 심리적 가치가 변할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사회적 가치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that threshold is reache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 "is reached"에서 사용된 어법. “도달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threshold"가 외부적 요인에 의해 도달됨을 나타냄.
  • 문장 8의 핵심 내용 & 빈칸의 추론 2
  • 특정 기준점에 도달될 때, 심리적 가치가 광범위한 가치로 변한다는 내용. 특정 기준점이 무엇인지가 새로 제시되었고그것이 빈칸의 내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론됩니다문장 6으로 이동하여 독해를 이어가도록 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가상 세계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때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참여자들이 충분히 큰 집단을 형성해야 합니다.

빈칸 추론

  • 문장 3~6: 가상 세계는 소수의 추종자들에 의해 지속될 수 없으며, 사용자 수가 제한적이라면 단지 "기묘한 취미"로 간주될 뿐 제한된 사회적 기능을 가진다는 점이 언급됩니다.
  • 문장 7~8: 가상 세계가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특정 기준점(threshold)에 도달해야 하며, 이 기준점은 참여자의 수와 관련이 있다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빈칸에는 "충분히 큰 집단 형성"이라는 의미가 들어가야 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① be a large enough group to be considered a society(하나의 사회로 간주될 만큼 충분히 큰 집단이 되어야 한다)"가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가상 세계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려면"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은 가상 세계가 사회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참여자들이 "충분히 큰 집단"을 형성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는 단순히 심리적 만족에서 그치지 않고, 광범위한 사회적 가치로 전환될 수 있는 중요한 전제 조건을 제시합니다.

본 분석을 통해, 우리는 가상 세계의 성공이 단순히 기술적 성과나 콘텐츠의 질에만 의존하지 않으며, 사용자 집단의 크기와 참여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통찰은 가상 공간뿐만 아니라 현실 사회에서의 공동체 형성이나 협업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게 만듭니다.

가상 세계의 지속 가능성은 사용자 참여에 달려 있습니다. 충분히 큰 집단을 형성함으로써 그 가치는 심리적 만족을 넘어 사회적 영향력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이번 분석이 빈칸 문제 풀이뿐만 아니라 독자의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이해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길 바랍니다.

또한 본 분석 내용을 통해 독자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과학적 개념의 논리적 전개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