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8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전기 신호를 이용한 의사소통은 물고기 생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전기 기관과 일반 근육 세포의 전류 생성 차이는 이들의 소통 방식과 생존 전략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8번 지문을 통해 전기 기관의 특징과 일반 근육 세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삽입 문장의 적절한 위치를 분석합니다. 문장별 분석과 논리적 흐름을 통해 독해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풀이를 제공합니다.
지문의 흐름과 주어진 문장의 삽입 위치를 파악하는 문제는 학생들에게 논리적 사고력과 과학적 개념 이해력을 동시에 요구하며, 이는 수능에서 점점 더 중요시되고 있는 독해 능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 및 어법 설명과 함께 제공되는 문제를 푸는 과정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삽입 문장의 적절한 위치를 추론하며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8.
In the electric organ the muscle cells are connected in larger chunks, which makes the total current intensity larger than in ordinary muscles.
Electric communication is mainly known in fish. The electric signals are produced in special electric organs. When the signal is discharged the electric organ will be negatively loaded compared to the head and an electric field is created around the fish. ( ① ) A weak electric current is created also in ordinary muscle cells when they contract. ( ② ) The fish varies the signals by changing the form of the electric field or the frequency of discharging. ( ③ ) The system is only working over small distances, about one to two meters. ( ④ ) This is an advantage since the species using the signal system often live in large groups with several other species. ( ⑤ ) If many fish send out signals at the same time, the short range decreases the risk of interference.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8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문
In the electric organ the muscle cells are connected in larger chunks, which makes the total current intensity larger than in ordinary muscles.
주요 단어 정리
- electric organ: 전기 기관 (동의어: electrical organ / 반의어: n/a)
- muscle cells: 근육 세포
- chunk: 덩어리, 큰 조각 (동의어: block, piece / 반의어: fragment, sliver)
- current intensity: 전류 강도
- ordinary: 일반적인, 평범한 (동의어: common, regular / 반의어: extraordinary, unusu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e electric organ,/ the muscle cells are connected/ in larger chunks/, which makes/ the total current intensity/ larger/ than in ordinary muscles.
- 전기 기관에서,/ 근육 세포들은 연결되어 있습니다/ 더 큰 덩어리들로,/ 그리고 그것이 만듭니다/ 전체 전류 강도를/ 더 크게/ 일반적인 근육들에서 보다.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are connected”에서 사용된 어법. "연결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In the electric organ,/ the muscle cells are connected/ in larger chunks/, which makes/~”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나 일부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and it)”로 해석합니다.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makes/ the total current intensity/ larger”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비교급 than + 비교의 대상
- 비교급 "larger" 뒤에 "than in ordinary muscles"를 붙여 비교 대상을 나타냄. 비교급 수식 표현의 기본 구조.
- 제시문의 핵심 내용 & 삽입 위치 추론 1
- 제시문의 핵심 내용은 근육 세포들이 더 큰 덩어리들로 연결되어 있어 일반 근육 세포들보다 전류의 강도가 세다는 것입니다.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등이 없어, 제시문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단서는 “전기 기관에서”와 “근육세포에서 일반 근육 세포들에서 보다 전기의 강도가 세다”의 내용 뿐입니다. 이 내용을 염두에 두고, 문장 1부터 분석하며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1
Electric communication is mainly known in fish.
주요 단어 정리
- electric communication: 전기적 소통
- mainly: 주로 (동의어: primarily, mostly / 반의어: partially, rarely)
- known: 알려진 (동의어: recognized, understood / 반의어: unknown, obscure)
- fish: 물고기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lectric communication is mainly known/ in fish.
- 전기적 소통은 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고기들 사이에서.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is mainly known”에서 사용된 어법. "주로 알려져 있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문장 삽입 추론 2
- 물고기에서 잘 알려진 전기적 소통. 예상했던 내용은 아니지만, 제시문에서 읽었던 내용과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는 내용입니다. 문장 1과 제시문은 직접적인 연결이 불가능하므로 문장 2를 분석 및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2
The electric signals are produced in special electric organs.
주요 단어 정리
- electric signals: 전기 신호 (동의어: electrical signals / 반의어: n/a)
- produce: 생산하다, 만들어내다 (동의어: generate, create / 반의어: destroy, consume)
- special: 특별한, 특수한 (동의어: unique, specific / 반의어: ordinary, normal)
- electric organs: 전기 기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electric signals are produced/ in special electric organs.
- 전기 신호는 생성됩니다/ 특수한 전기 기관에서.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are produced”에서 사용된 어법. "만들어진다(생성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삽입 위치 추론 3
- “특수한 전기 기관에서 생성되는 전기 신호”. 제시문의 “the electric organ”이 “special electric organs”으로 바꿔 표현된 것으로 보여지고, 다만, 바로 연결하는 문맥상 상당히 어색합니다. 따라서, 한 문장 더 분석 후 독해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3
When the signal is discharged the electric organ will be negatively loaded compared to the head and an electric field is created around the fish.
주요 단어 정리
- discharge: 방출하다 (동의어: release, emit / 반의어: absorb, retain)
- negatively loaded: 음전하를 띤 (동의어: negatively charged / 반의어: positively loaded)
- electric field: 전기장
- compared to~: ~와 비교하여, ~에 비해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he signal is discharged],/
- [그 신호가 방출될 때],/
- the electric organ will be negatively loaded/ compared to the head,/
- 그 전기 기관은 음전하를 띠게 될 것입니다/ 머리와 비교하여,/
- and/ an electric field is created/ around the fish.
- 그리고/ 전기장이 형성됩니다/ 그 물고기 주변에.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the signal is discharge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 “is discharged”와 “is created”에서 사용된 어법. 각각 "방출되다"와 “생성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삽입 위치 추론 4
- “전기 기관에서 (전기) 신호가 방출될 때 물고기 주위에 전기장이 형성되며 머리에 비해 음전하를 띄게 된다”. 제시문의 “the electric organ”에서 “(전기) 신호가 방출될 때 일어난 현상을 진술했습니다. 그리고 지시문에 일반 기관에서 발생한다는 전기보다 더 큰 강도의 전기를 발생시킨다고 진술했으므로 다음 문장에서 일반 기관에서 발생하는 전기에 대한 진술이 있다면 제시문은 ⓘ에 위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한 문장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되면, 문장 3의 ”the head“가 바로 제시문의 ”ordinary muscles“로 이루어진 기관임을 시사합니다.
문장 4
(①) A weak electric current is created also in ordinary muscle cells when they contract.
주요 단어 정리
- weak: 약한 (동의어: faint, slight / 반의어: strong, intense)
- electric current: 전류
- ordinary muscle cells: 일반 근육 세포
- contract: 수축하다 (동의어: shrink, tighten / 반의어: expand, relax)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weak electric current is created/ also/ in ordinary muscle cells/
- 약한 전류가 생성됩니다/ 또한/ 일반 근육 세포들에서도/
- [when they contract].
- [그것들이(일반 근육 세포들이) 수축할 때].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is created”에서 사용된 어법. "생성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they contract]”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삽입 위치 추론 5
- “일반 근육 세포에서도 일반 근육 세포가 수축할 때 약한 전기가 생성된다.” 문장 3에서 예측한 대로, 일반 기관(일반 근육 세포들로 이루어진 기관)에서 약한 전기가 생성된다고 진술하고 있으므로, 제시문은 ①에 위치해야 합니다. 즉, 전기 기관에서 발생한 전기가 더 크다는 것과 문장 4의 내용이 이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일반 기관에서도 전기가 발생한다는 의미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5를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5
(②) The fish varies the signals by changing the form of the electric field or the frequency of discharging.
주요 단어 정리
- vary: 바꾸다, 변화시키다 (동의어: modify, alter / 반의어: stabilize, maintain)
- signal: 신호
- form: 형태 (동의어: shape, structure / 반의어: n/a)
- frequency: 빈도, 주파수
- discharge: 방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fish varies/ the signals/
- 물고기는 변화시킵니다/ 신호들을/
- [by changing/ [<the form/ of the electric field>/ or/ <the frequency/ of discharging>]].
- [바꾸는 것에 의해서(바꿈으로써)/ [<형태를/ 전기장의>/ 혹은/ <빈도를/ 방출의>]].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changing/~]“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by“의 목적어 역할. ”~하는 것에 의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다만, ”~함으로써“로 의역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두 개의 명사구를 or로 연결
- “[<the form/ of the electric field>/ or/ <the frequency/ of discharging>]”는 “<the form/ of the electric field>”와 “<the frequency/ of discharging>”를 or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두 명사구의 구조적 대칭성을 유지하도록 출제할 수 있음.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물고기가 전기 신호를 변경하는 방법 – 전기장의 형태를 변경 또는 방출의 빈도를 변경”
문장 6
(③) The system is only working over small distances, about one to two meters.
주요 단어 정리
- system: 시스템, 체계
- work: 작동하다
- distance: 거리 (동의어: range, length / 반의어: proximity, closeness)
- about: 대략 (동의어: approximately, roughly / 반의어: exactly, precise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system is only working/ <over small distances,/ about one to two meters>.
- 그 시스템은 오직 작동합니다/ <짧은 거리에 걸쳐서,/ 대략 1에서 2미터의>.
어법 설명
- 동격의 comma(,)
- "small distances"와 "about one to two meters“는 동격임을 comma(,)가 나타냅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물고기의 전기 신호의 범위 – 약 1~2미터의 짧은 거리”
문장 7
(④) This is an advantage since the species using the signal system often live in large groups with several other species.
주요 단어 정리
- advantage: 이점, 장점 (동의어: benefit, merit / 반의어: disadvantage, drawback)
- species: 종 (동의어: type, kind / 반의어: n/a)
- large groups: 큰 무리
- several: 몇몇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an advantage/
- 이것은 장점입니다 /
- [since [the species/ (which or that are) using/ the signal system]/ often live/ <in large groups/ with several other species>].
- [왜냐하면/ [종들이/ 사용하고 있는/ 그 신호 체계를]/ 종종 살기 때문에/ <큰 집단들 속에서/ 몇 개의 다른 종들과 함께>].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since + 주어 + 동사”
- “[since [the species/ (which or that are) using/ the signal system]/ often live/~]”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the species/ (which or that are) using/ the signal system]“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the specie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그 신호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종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8의 핵심 내용
- ”신호의 범위가 짧은 것은 장점인 이유“. 문장 9와 연계.
문장 9
(⑤) If many fish send out signals at the same time, the short range decreases the risk of interference.
주요 단어 정리
- send out: 내보내다 (동의어: emit, discharge / 반의어: absorb, retain)
- at the same time: 동시에
- short range: 짧은 범위
- decrease: 줄이다 (동의어: reduce, lower / 반의어: increase, raise)
- interference: 간섭 (동의어: disruption, hindrance / 반의어: cooperation, assista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many fish send out/ signals/ at the same time],/
- [만약 많은 수의 물고기들이 내보낸다면/ 신호들을/ 동시에],/
- the short range decreases/ <the risk/ of interference>.
- 짧은 범위가(거리가) 줄입니다/ <위험성을/ 간섭의>.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many fish send out/~]”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문장 9의 핵심 내용
- 문장 8과 연계하여, “짧은 신호 범위의 이점”을 전달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전기 기관은 일반 근육보다 강한 전류를 발생시키며, 이는 전기적 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삽입 위치 추론
- 문장 1~3: 전기적 소통과 전기 기관에서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 설명. 그러나 전기 기관의 강한 전류와 일반 근육의 약한 전류를 비교하는 내용이 없어 제시문과 직접 연결하기 어려움.
- 문장 4: 일반 근육에서 약한 전류가 생성된다는 내용이 언급되며, 제시문에서 설명하는 "전기 기관의 강한 전류"와 자연스럽게 대조를 이룸.
- 문장 5~9: 전기 신호 체계와 관련된 구체적 내용으로, 제시문과 직접 연관되기엔 적절하지 않음.
최종 정답
- 제시문은 ①번 위치에 들어가야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결론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8번 문제는 전기 기관과 일반 근육의 전류 생성 차이를 통해 물고기의 전기적 소통 메커니즘을 설명합니다. 제시문은 전기 기관의 강한 전류를 강조하며, 일반 근육에서 약한 전류가 생성된다는 문장과 대조적 연결을 이루기 위해 ①번 위치에 가장 적절히 삽입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전기 신호를 통한 물고기 소통 방식의 과학적 원리뿐만 아니라, 논리적 독해와 문장 삽입 문제 해결의 접근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한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생략된 모든 부분까지도 고려하여 설명하는 상세한 어법(분법) 설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법과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더 많은 영어 독해 및 문제 풀이 전략은 블로그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