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9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창의성은 생산성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창의성은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책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때로는 생산성을 낮추거나 높이는 상반된 결과를 가져옵니다.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9번 지문은 창의성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두 가지 관점에서 다루고 있으며, 이 글에서는 제시문과 본문 문장 간의 논리적 연결을 분석하여 삽입 문장의 적절한 위치를 찾아보겠습니다.

지문의 흐름과 주어진 문장의 삽입 위치를 파악하는 문제는 독자들에게 논리적 사고력과 과학적 개념 이해력을 동시에 요구하며, 이는 수능에서 점점 더 중요시되고 있는 독해 능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 및 어법 설명과 함께 제공되는 문제를 푸는 과정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삽입 문장의 적절한 위치를 추론하며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9.

For others, whose creativity is more focused on methods and technique, creativity may lead to solutions that drastically reduce the work necessary to solve a problem.

Creativity can have an effect on productivity. Creativity leads some individuals to recognize problems that others do not see, but which may be very difficult. ( ① ) Charles Darwin’s approach to the speciation problem is a good example of this; he chose a very difficult and tangled problem, speciation, which led him into a long period of data collection and deliberation. ( ② ) This choice of problem did not allow for a quick attack or a simple experiment. ( ③ ) In such cases creativity may actually decrease productivity (as measured by publication counts) because effort is focused on difficult problems. ( ④ ) We can see an example in the development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hich enables us to amplify small pieces of DNA in a short time. ( ⑤ ) This type of creativity might reduce the number of steps or substitute steps that are less likely to fail, thus increasing productivity. [3점]

*speciation: 종(種) 분화 **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 효소 연쇄 반응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문

For others, whose creativity is more focused on methods and technique, creativity may lead to solutions that drastically reduce the work necessary to solve a problem.

주요 단어 정리

  • for others: 다른 사람들에게
  • creativity: 창의성 (동의어: inventiveness, originality / 반의어: routine, conventionality)
  • focused on~: ~에 초점이 맞춰진 (동의어: concentrated on, oriented to / 반의어: distracted from)
  • technique: 기술, 기법 (동의어: method, skill / 반의어: n/a)
  • solution: 해결책 (동의어: answer, remedy / 반의어: problem, challenge)
  • drastically: 극적으로 (동의어: significantly, dramatically / 반의어: slightly, moderate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others/, whose creativity is more focused/ <on methods and technique>],/
  •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리고 그 사람의 창의성이 더 초점이 맞춰진/ <방법들과 기술들에>],/
  • creativity may lead/ [to solutions/ that drastically reduce/ [the work/ (which or that is) necessary/ <to solve/ a problem>]].
  • 창의성은 이끌 수 있습니다/ [해결책들로/ 극적으로 줄이는/ [일을/ 필요한/ <해결하기 위해서/ 문제를>]].

어법 설명

  •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 [For others/, whose creativity is more focused/ <on methods and technique>]”에서 “whose”는 소유격 관계대명사로 "others"를 수식하며 "그 사람의 창의성이 방법들과 기술들에 초점이 맞춰진 다른 사람들에게"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solutions/ that drastically reduce[the work/~]”에서 “that”은 선행사, “solutions”를 수식하여, “~한 일을 극적으로 줄이는 해결책들”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the work/ (which or that is) necessary/ <to solve/ a problem>]”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 is)"는 선행사, “the work”를 수식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일”의 의미를 전달.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solve/ a problem>”에서 사용된 용법.
  • 제시문의 핵심 내용 & 삽입 위치 추론 1
  • 창의성이 방법과 기술에 집중된 사람들은 창의성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일을 극적으로 줄이는 해결책으로 이어질 수 있다. For others”의 표현으로부터 “others”는 대조적 사람들을 의미하며 “창의성이 방법들과 기술들에 초점이 맞춰지지 않은 사람들이” 이미 언급되어 있음을 암시합니다. 이 문장 다음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일을 어떤 식으로 줄이는지에 대한 예시” 정도가 진술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문장 1부터 분석 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1

Creativity can have an effect on productivity.

주요 단어 정리

  • creativity: 창의성 (동의어: inventiveness, originality / 반의어: routine, conventionality)
  • have an effect on~: ~에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influence, impact / 반의어: ignore, neglect)
  • productivity: 생산성 (동의어: efficiency, output / 반의어: inefficiency, idlen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reativity can have/ an effect/ on productivity.
  • 창의성은 가질 수(미칠 수) 있습니다/ 영향을/ 생산성에.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삽입 위치 추론 2
  • 창의성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진술합니다. 단서가 나오지 않았으므로 문장 2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2

Creativity leads some individuals to recognize problems that others do not see, but which may be very difficult.

주요 단어 정리

  • lead: 이끌다
  • recognize: 인식하다, 알아차리다 (동의어: identify, perceive / 반의어: overlook, ignore)
  • problem: 문제 (동의어: issue, challenge / 반의어: solution, resolution)
  • difficult: 어려운 (동의어: challenging, tough / 반의어: easy, simp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reativity leads/ some individuals/ [to recognize/ [problems/ [that others do not see],/ but/ [which may be very difficult]]].
  • 창의성은 이끕니다/ 몇몇 사람들을/ [인식하도록/ [문제들을/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그러나/ [매우 어려울 수 있는]]].

어법 설명

  • 5형식 문형 "lead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leads/ some individuals/ [to recognize/~]“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lead”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 병렬 연결 구조
  • [problems/ [that others do not see],/ but[which may be very difficult]]”에서 “that”와 “which”는 각각 선행사, “problem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와 주격 관계대명사로, 각각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문제들”과 “매우 어려울 수도 있는 문제들”의 의미를 전달. 그러면서, 두 개의 관계절이 but으로 병렬 연결된 구조.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삽입 위치 추론 3
  •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문제들이나 (해결하기에) 매우 어려울 수도 있는 문제들을 인식하도록 일부 사람들을 이끌 수 있는 창의성“을 진술합니다. 제시문에서 ”others“의 대조적 의미의 사람들로 볼 수 있는, ”some individuals“이 출현했습니다. 이 사람들에 대한 설명이 끝난 후, 제시문의 ”For others~“의 진술과 제시문의 ”others“와 관련된 진술이 어어질 수 있음을 상기하시기 바랍니다.

문장 3

(①) Charles Darwin’s approach to the speciation problem is a good example of this; he chose a very difficult and tangled problem, speciation, which led him into a long period of data collection and deliberation.

주요 단어 정리

  • approach: 접근법 (동의어: method, strategy / 반의어: neglect, avoidance)
  • speciation: 종 분화
  • tangled: 얽힌, 복잡한 (동의어: complicated, twisted / 반의어: simple, straightforward)
  • deliberation: 숙고, 심사숙고 (동의어: consideration, reflection / 반의어: haste, impulsiven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harles Darwin’s approach/ to the speciation problem>/ <is a good example/ of this>/
  • <찰스 다윈의 접근법은/ 종 분화 문제에 대한>/ <좋은 예입니다/ 이것의>.
  • ;/ he chose/ [<a very difficult and tangled problem>,/ <speciation>]/, which led/ him/ [into a long period/ <of data collection and deliberation>].
  • 다시 말해서/ 그는 선택했습니다/ [<매우 어렵고 복잡한 문제를>,/ <종 분화라는>]/ 그리고 그것이 이끌었습니다/ 그를/ [긴 기간으로/ <자료 수집과 숙고의>].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Charles Darwin’s approach”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he chose[<a very difficult and tangled problem>,/ <speciation>]/, which led/~”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and it)”로 해석합니다. 이 때, “that”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삽입 위치 추론 4
  • 문장 3의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고 매우 어려울 수 있는 문제를 인식한 사람들의 예로 Charles Darwin이 제시되었고 문장 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사람들에 대한 설명이 끝난 후, 제시문의 ”For others~“의 진술과 제시문의 ”others“와 관련된 진술이 어어질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상기하시기 바랍니다.

문장 4

(②) This choice of problem did not allow for a quick attack or a simple experiment.

주요 단어 정리

  • choice: 선택 (동의어: selection, decision / 반의어: rejection, refusal)
  • allow for~: ~을 가능하게 하다 (동의어: permit, enable / 반의어: prevent, exclude)
  • quick: 빠른 (동의어: rapid, swift / 반의어: slow, delayed)
  • experiment: 실험 (동의어: test, trial / 반의어: n/a)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choice/ of problem>/ did not allow for/ <a quick attack or a simple experiment>.
  • <이 선택은/ 문제의>/ 가능하게 하지 않았습니다/ <빠른 접근이나 단순한 실험을>.

어법 설명

  • “allow(허용하다)”와 “allow for(가능하게 하다)”의 구분 필요
  • allow for”는 “~을 고려하다/~을 참작하다”의 기본적인 의미에서 “~을 가능하게 하다”로 의미가 확장된 것입니다. “허용하다”의 의미로 사용되는 “allow”와는 구분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만약 여기서 “허용하다”의 의미로 써야 한다면, allow”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삽입 위치 추론 5
  • 문장 2에서 이어지는 “some individuals”, 즉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그리고 매우 어려울 수 있는 문제를 인식한 사람들”의 사례인 Charles Davin에 대한 설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문장 5

(③) In such cases creativity may actually decrease productivity (as measured by publication counts) because effort is focused on difficult problems.

주요 단어 정리

  • decrease: 감소하다 (동의어: reduce, diminish / 반의어: increase, enhance)
  • productivity: 생산성
  • publication counts: 논문 수 (출판 수)
  • effort: 노력 (동의어: endeavor, attempt / 반의어: negligence, lazin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such cases,/ creativity may actually decrease/ productivity/
  • 그러한 경우에,/ 창의성이 실제로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생산성을/
  • [as measured/ by publication counts]/
  • [측정되는 것처럼/ 출판 수에 의해서]/
  • [because effort is focused/ on difficult problems].
  • [왜냐하면 노력이 집중되기 때문입니다/ 어려운 문제들에].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as measuredby publication counts]”은 “[as it is measured/ ~]”의 종속절에서 주어 “it(=creativity)”가 생략되고 동사 “is”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effort is focused/~]”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 is focused”에서 사용된 어법. "집중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삽입 위치 추론 6
  • 문장 2에서 이어지는 “some individuals”, 즉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그리고 매우 어려울 수 있는 문제를 인식한 사람들”의 사례인 Charles Davin에 대한 설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생산성을 낮출 수 있다는 내용이 추가되었으며 제시문에 등장했던 “solutions/ that drastically reduce/ [the work/ (which or that is) necessary/ <to solve/ a problem>]”에 반대되는 개념에 해당합니다.

문장 6

(④) We can see an example in the development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hich enables us to amplify small pieces of DNA in a short time.

주요 단어 정리

  • development: 개발 (동의어: advancement, invention / 반의어: stagnation, regression)
  •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중합 효소 연쇄 반응
  • enable: 가능하게 하다 (동의어: allow, permit / 반의어: prevent, hinder)
  • amplify: 증폭하다 (동의어: enlarge, increase / 반의어: reduce, diminish)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can see/ an example/
  • 우리는 볼 수 있습니다/ 하나의 예를/
  • [in the development/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hich enables/ us/ [to amplify/ <small pieces/ of DNA>/ in a short time]]].
  • [개발에서/ [중합 효소 연쇄 반응의(PCR)/ 가능하게 하는/ 우리에게/ [증폭하도록/ <작은 조각들을/ DNA의>/ 짧은 시간 안에]]].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hich enables/~”에서 “which"는 선행사,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를 수식하여, “~을 가능하게 하는 중합 효소 연쇄 반을”의 의미를 전달. PCR이 어떻게 생산성을 높이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이는 제시문에서 언급된 "창의성이 문제 해결을 단순화한다"는 맥락과 연결됩니다.
  • 5형식 문형 "enabl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enables/ us/ [to amplify/ <small pieces/ of DNA>/ in a short time]“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enable”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삽입 위치 추론 7
  • 문장 3의 “<Charles Darwin’s approach/ to the speciation problem>/ <is a good example/ of this>”에서 “some individuals”의 사례로 제시했듯이, 문장 6에서 제시문의 “For others”, 즉, “창의성이 방법들과 기술들에 집중된 사람들”의 사례가 대조적으로 제시되었습니다. 따라서, 제시문은 ④에 위치해야 그에 대한 사례인 문장 6으로 연결된다는 것입니다.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7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문장 7

(⑤) This type of creativity might reduce the number of steps or substitute steps that are less likely to fail, thus increasing productivity.

주요 단어 정리

  • reduce: 줄이다 (동의어: decrease, lessen / 반의어: increase, expand)
  • substitute: 대체하다 (동의어: replace, exchange / 반의어: retain, preserve)
  • likely: 가능성이 있는 (동의어: probable, possible / 반의어: unlikely, improbab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type of creativity/ might reduce/ [the number/ [of steps or substitute steps/ that are less likely to fail]],/
  • 이런 유형의 창의성은/ 줄일 수 있습니다/ [수를/ [단계들이나 대체 단계를의/ 실패 가능성이 낮은]],/
  • thus,/ [increasing/ productivity].
  • 따라서,/ [증가시키면서/ 생산성을].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 steps or substitute steps/ that are less likely to fail”에서 “that”은 선행사, “steps or substitute steps”을 수식하여, “실패할 가능성이 낮은 단계들이나 대체 단계들”의 의미를 전달.
  • 접속부사 "thus" & 삽입의 오류
  • 문장 내에서 "따라서 / 그러므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현재는 삽입의 형태로 보는 것이 적절하며, 청크 분석에서처럼thus“ 뒤에도 comma(,)를 넣어, 분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분사구문
  • [increasing/ productivity]”은 “[while it increases/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this type of creativity)”가 생략되고 동사 “increase”가 “increa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지문 전체의 흐름
  • 문장 1~문장 5까지“창의성이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거나 어려울 수 있는 문제에 집중하도록 이끈 경우와 그 사례 및 생산성을 낮추는 효과”제시문~문장 7까지 “창의성이 방법과 기술에 집중된 경우와 그 사례 및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진술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주제“창의성이 생산성에 미치는 양면적 효과”입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창의성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생산성을 극대화하거나, 반대로 복잡한 문제에 집중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삽입 위치 추론

  • 문장 1~3: 창의성이 새로운 문제를 인식하고 접근하게 만드는 경우를 설명하며, Charles Darwin의 복잡한 문제 해결 사례를 제시.
  • 제시문과의 연결성: 제시문의 "For others"는 이와 대조적으로, 창의성이 기술적 해결책을 통해 문제 해결을 단순화하는 경우를 설명함. 따라서 문장 3 이후에 제시문이 적절.
  • 문장 4~5: 어려운 문제에 집중하는 창의성이 생산성을 낮출 수 있음을 언급.
  • 제시문과의 연결성: 이 문장은 "창의성이 복잡한 문제로 생산성을 낮출 수 있다"는 관점에 초점. 제시문이 기술과 방법 중심의 창의성을 언급하는 만큼, 대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해 문장 5 이전에 배치될 수 없음.
  • 문장 6 (④): 제시문에서 언급된 기술적 창의성의 예시인 PCR 개발이 등장.
  • 제시문과의 연결성: 제시문이 "기술과 방법 중심 창의성"을 언급하며, 이를 구체화하는 예시로 PCR 개발이 이어지므로, 제시문은 문장 6 앞(④)에 삽입되는 것이 적절.
  • 문장 7: 창의성이 생산성을 높이는 메커니즘을 추가로 설명.
  • 제시문과의 연결성: 제시문이 문장 6과 7의 주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함.

정답 제시

  • 제시문은 ④번 위치에 들어가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 제시문은 기술과 방법에 초점이 맞춰진 창의성이 문제 해결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는 문장 6에서 소개되는 PCR 개발 사례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논리적 흐름을 완성합니다.

결론

"창의성의 양면성: 생산성에 영향에 대한 고찰"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9번 지문은 창의성이 생산성에 미치는 양면적 영향을 다룹니다.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성은 많은 노력을 요구하며 생산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반면, 기술적 창의성은 문제 해결 과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제시문은 이러한 두 가지 관점 중 후자를 대변하며, PCR 개발 사례와 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④번 위치에 삽입되는 것이 적합합니다.

독자들은 본 분석 과정을 통해 적절한 문장 삽입 위치를 찾는 논리적 사고 방식을 훈련할 수 있으며, 지문을 구성하는 주요 논점이 전개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와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으로 한 의미 해석은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며, 상세한 어법(문법) 설명은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