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40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영어 40번 지문은 인간의 방향 감각과 공간 지각(spatial perception)의 진화적 배경을 다룹니다. 지문은 상하(vertical)와 전후(front-back) 방향이 인간 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반면, 좌우(left-right) 방향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했음을 설명하려 합니다.
그러나 이 지문은 논리 전개의 빈약함, 부적절한 어휘 사용, 어법적 오류, 그리고 생태적 관점에서의 부정확한 예시들로 인해 독해와 문제 풀이 과정에서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본 분석에서는 지문의 주요 내용과 논리적 결함을 지적하며, 빈칸 추론 문제의 정답 도출 과정을 명확히 정리하여 학습자들이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와 청크(직독직해)식 분석법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을 통해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지문의 내용을 요약할 시 어떻게 빈칸을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지의 방법론을 제시하며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young child may be puzzled when ask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directions of right and left. But that same child may have no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directions of up and down or back and front. Scientists propose that this occurs because, although we experience three dimensions, only two had a strong influence on our evolution: the vertical dimension as defined by gravity and, in mobile species, the front/back dimension as defined by the positioning of sensory and feeding mechanisms. These influence our perception of vertical versus horizontal, far versus close, and the search for dangers from above (such as an eagle) or below (such as a snake). However, the left‑right axis is not as relevant in nature. A bear is equally dangerous from its left or the right side, but not if it is upside down. In fact, when observing a scene containing plants, animals, and man‑made objects such as cars or street signs, we can only tell when left and right have been inverted if we observe those artificial items. * axis: 축
Having affected the evolution of our ___(A)___ perception, vertical and front/back dimensions are easily perceived, but the left‑right axis, which is not ___(B)___ in nature, doesn’t come instantly to us.
① spatial ····· significant
② spatial ······· scarce
③ auditory ··· different
④ cultural ···· accessible
⑤ cultural ······ desirable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4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요약문
Having affected the evolution of our ___(A)___ perception, vertical and front/back dimensions are easily perceived, but the left‑right axis, which is not ___(B)___ in nature, doesn’t come instantly to us.
주요 단어 정리
- affect: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influence, impact / 반의어: ignore, neglect)
- evolution: 진화 (동의어: development, progression / 반의어: regression)
- spatial: 공간의 (동의어: three-dimensional, positional / 반의어: non-spatial)
- dimension: 차원, 관점 (동의어: aspect, perspective / 반의어: none)
- perceive: 인지하다, 지각하다 (동의어: recognize, identify / 반의어: ignore, overlook)
- axis: 축 (동의어: line, center / 반의어: none)
- relevant: 관련 있는, 중요한 (동의어: pertinent, significant / 반의어: irrelevant, insignificant)
- significant: 중요한, 의미 있는 (동의어: essential, critical / 반의어: trivial, negligib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aving affected/ <the evolution/ of our ___(A)___ perception>],/
- [영향을 미졌던/ <진화에/ 우리의 ___(A)___ 인지의>],/
- <vertical and front/back dimensions>/ are easily perceived,/
- <세로와(상하와) 전후의 차원들은(방향들은)>/ 쉽게 지각됩니다,/
- but/ [the left‑right axis(→dimension or direction)/, which(→which) is not ___(B)___/ in nature],/ doesn’t come/ instantly/ to us.
- 하지만/ [좌우 축은/, ___(B)___하지 않은/ 자연에서],/ 다가오지 않습니다/ 즉각적으로/ 우리에게.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Having affected/~]”는 “[because they affecte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because”, 주어 “they(=vertical and front/back dimensions)”가 생략되고 동사 “affected”가 “Having affected”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Having pp”의 완료형 분사구문은 주절보다 한 시제 앞선 내용을 전달합니다.
- 수동태[be + pp]
- “are easily perceived”에서 사용된 어법. "쉽게 인식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대조 의미의 접속사 "but"으로 본 어휘 사용의 부적절성
- "but"의 의미로 “the left‑right axis”는 앞서 진술한 “vertical and front/back dimensions”와 상응해야 합니다. “차원(dimension)”은 “공간의 성질을 나타내는 수로, 보통의 경우에는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방향의 개수”의 의미로 “활동이나 회전의 중심”를 의미하는 “축(axis)”로 대체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앞서 사용된 “dimension”이나 “direction(방향)”으로 변경하여 표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제한적 용법의 사용 필요성
- “[the left‑right axis(→dimension or direction)/, which(→which) is not ___(B)___/ in nature],/ doesn’t come/ instantly/ to us”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일부(the left‑right axis)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and it)”로 해석합니다. 이 때, “that”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여기서는 의미상 “the left‑right axis(→dimension or direction)/ which is not ___(B)___/ in nature]”처럼 제한적 용법으로 쓰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 빈칸의 추론
- 요약문의 논리적 관계로 볼 때, “vertical and front/back dimensions”과 “the left‑right axis(→dimension or direction)”의 표현으로부터 이 표현들이 무엇과 관련이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보기를 확인하면, 관련 있는 단어는 “spatial(공간의)”뿐입니다. “auditory(청각의)”와 “cultural(문화적인)”은 전혀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빈칸 (A)는 “spatial”이 와야 함을 확정할 수 있고, 빈칸 (B)에 “significant(중대한)”과 “scarce(부족한)”의 의미 중 선택해야 합니다. 대조나 반의의 접속사 “but”과 부정의 “not”이 해당 문장에 들어가 있기에, “scarce”는 적절한 의미를 전달하지 못합니다. 이렇듯 요약문을 먼저 독해해야 하는 이유는 요약문만으로도 빈칸에 들어갈 어휘가 추론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 후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1
A young child may be puzzled when ask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directions of right and left.
주요 단어 정리
- puzzle: 어리둥절하게[이해할 수 없게] 만들다, 당황하게 하다
- ask: 요청하다, 부탁하다
- distinguish: 구별하다 (동의어: differentiate, discern / 반의어: confuse, mix up)
- distinguish between~: ~을 구별하다
- direction: 방향 (동의어: orientation, course / 반의어: disorient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young child may be puzzled/
- 어린아이는 당황하게 될 수 있습니다(당황할 수 있습니다)/
- [when ask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directions/ <of right and left>]]].
- [요청받을 때/ [구별하도록/ [방향들을/ <오른쪽과 왼쪽의>]]]
어법 설명
- 수동태[조동사 + be + pp]
- “may be puzzled”에서 사용된 어법. "당황하게 될 수 있다"의 의미로 수동태.
- 분사구문
- “[when asked/~]”는 “[when he or she is asked/ ~]”의 종속절에서 주어 “he or she(=a child)”가 생략되고 동사 “is”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when people ask/ him or her/ to distinguish/ between~]”의 5형식 문형을 수동태로 변경한 경우와 동일합니다. 다만, 일반적 사람인 “by people”이 생략된 경우.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어린 아이에게 오른쪽과 왼쪽 방향의 인지에 대한 어려움”을 진술합니다.
문장 2
But that same child may have no difficulty in determining the directions of up and down or back and front.
주요 단어 정리
- difficulty: 어려움 (동의어: challenge, trouble / 반의어: ease, simplicity)
- in ~ing: ~할 때, ~하는데 있어서
- determine: 결정하다, 알아내다 (동의어: identify, ascertain / 반의어: overlook)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that same child may have no/ difficulty/
- 하지만/ 그 동일한 아이는 갖지 않을 수(겪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어떠한 어려움도/
- [in determining/ [the directions/ [of <up and down> or <back and front>]]].
- [결정하는 것에서(결정할 때/결정하는 데 있어서)/ [방향들을/ [<위아래>나 <앞뒤>의]]].
어법 설명
- 명사의 부정
- 한국어에는 명사를 부정하는 경우가 없기에, 부정의 의미를 동사로 옮기고, 명사에는 ‘any’를 추가하여, 즉, “that same child may not have/ any difficulty”로 변경하여 해석하면 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in determining/~]“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in“의 목적어 역할. ”결정하는 것에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다만, ”결정할 때“나 ”결정하는데 있어서“로 의역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문장 2는 ”좌우 방향“과는 다르게 ”위아래“나 ”앞뒤“는 빙향을 결정하는데 아무런 어려움도 겪지 않는다는 것을 진술하고 있습니다.
문장 3
Scientists propose that this occurs because, although we experience three dimensions, only two had a strong influence on our evolution: the vertical dimension as defined by gravity and, in mobile species, the front/back dimension as defined by the positioning of sensory and feeding mechanisms.
주요 단어 정리
- propose: 제안하다 (동의어: suggest, hypothesize / 반의어: deny, reject)
- occur: 일어나다, 발생하다
- experience: 경험하다
- dimension: 차원 (동의어: aspect, perspective / 반의어: none)
- influence: 영향(력)
- evolution: 진화 (동의어: progression, development / 반의어: regression)
- vertical: 수직의 (동의어: upright / 반의어: horizontal)
- define: 정의하다
- gravity: 중력
- mobile: 이동하는 (동의어: moving, motile / 반의어: stationary)
- species: 종
- positioning: 위치, (여기서는) 배치
- sensory: 감각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cientists propose/ [that this occurs/ [because,/ [although we experience/ three dimensions],/ only two had/ a strong influence/ on our evolution>]]/
- 과학자들은 제안합니다/ [이 일이 일어난다고/ [왜냐하면,/ [비록 우리가 경험할지라도/ 3차원(들)을],/ 단지 두 가지의 차원(들)만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강한 영향을/ 우리의 진화에]]/
- :/ [the vertical dimension/ [as(→which or that is) defined/ by gravity(→search/ for the predators/ coming/ from vertical directions)]/ and,/ [in mobile species,/ [the front/back dimension/ [as(→which or that is) defined/ [by the positioning/ [of <sensory and feeding> mechanisms(→by the same reason)]]]]].
- 다시 말해서/ [세로의(수직의) 차원들이/ [정의되듯이(→정의되는)/ 중력(→상하 차원들로부터 오는 포식자들의 탐지)에 의해]]/ 그리고/ [이동하는 종들에게서,/ [앞뒤의 차원이/ [정의되듯이(→정의되는)/ [배치에 의해/ [<감각과 먹이 섭취> 메카니즘들의(→같은 이유에 의해)>]]]]].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propose/ [that this occurs/~]"에서 "that"은 동사, "propos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although we experience/ three dimensions],/ only two had/~]”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양보의 부사절 “although[ though / even if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although we experience/ three dimensions]”에서 사용된 어법.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그 형태상, 의미상 부적절성 & 앞뒤가 전혀 맞지 않은 진술의 변경 필요성
- “[as(→which or that is) defined/ by gravity(→search/ for the predators/ coming/ from vertical directions)]”에서 “as(→which or that is) defined”만 보면 형태상, “as it is defined~”의 종속절에서 주어 “it(=the vertical dimension)”가 생략되고, 동사 “is”가 “be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으로 봐야 하는데, 의미상 “the vertical dimension”을 수식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의미상, 수식 구조상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를 삽입하든지 생략된 형태인 “defined(정의된)”으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문장 4의 “the search/ for dangers/ from above (such as an eagle) or below (such as a snake)”의 진술로부터 지문의 진술과 전혀 관련이 없는 “gravity”는 “search/ for the predators/ coming/ from vertical directions”로 변경되어야 전체적인 진술 내용과 맥락이 이어지게 됩니다. “[as(→which or that is) defined/ [by the positioning/ [of <sensory and feeding> mechanisms(→by the same reason)]]” 역시 동일한 관계입니다. “as(→which or that is) defined”는 이미 설명한 부분과 같고 “the positioning/ [of <sensory and feeding> mechanisms”역시 “the same reason(같은 이유에 위해서)”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아마도, 문장 6의 “A bear is equally dangerous/ <from its left or the right side>”의 진술 때문에 원저자의 입장에서 이런 식의 논리 전개가 어려울 수 있겠다 생각했을 수도 있겠습니다만, “좌우 측은 시야의 범위에 어느 정도 다 들어오기에 덜 중요하다.“는 식의 논리 전개가 필요하지 않았나 판단합니다. 요약문 자체에서 이미 정답은 추론했지만, 이런 식의 논리 전개가 지문의 신뢰성은 물론 지문이 전개하는 논리의 이해에도 상당히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반드시 지양해야 할 태도임에는 분명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문장 3은 논리적 오류를 수정한 상태에서 내용을 정리해야 하겠습니다. ”수직 방향과 전후 방향은 생존에 있어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문장 4
These influence our perception of vertical versus horizontal, far versus close, and the search for dangers from above (such as an eagle) or below (such as a snake).
주요 단어 정리
- influence: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affect, shape / 반의어: ignore, neglect)
- perception: 지각, 인지 (동의어: awareness, understanding / 반의어: ignorance)
- versus: ~대(~와 대비하여) (동의어: against, in contrast with)
- far: 먼 (동의어: distant, remote / 반의어: near, close)
- close: 가까운 (동의어: nearby, adjacent / 반의어: far, distant)
- search: 탐지
- danger: 위험 (동의어: threat, risk / 반의어: safety, security)
- such as~: ~같은
- from above: 위편으로부터의
- from below: 아래편으로부터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se influence/ [our perception/ [of [vertical versus horizontal],/ [far versus close],/ and/ [the search/ for dangers/ <from above/ (such as an eagle)>/ or/ <(from) below/ (such as a snake)>]]].
- 이것들이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의 인지에/ [[수직 대 수평]에 대한,/ [먼 대 가까운]에 대한,/ 그리고/ [탐지에 대한/ 위험들의/ <위편으로부터의/ (독수리 같은)>/ 혹은/ <아래편으로부터의/ (뱀과 같은)>]]].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세 개의 명사구를 and로 연결
- “[vertical versus horizontal]”, “[far versus close]” 및 “[the search/ for dangers/ <from above/ (such as an eagle)>/ or/ <(from) below/ (such as a snak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수직 방향의 인지”가 중요한 이유.
문장 5
However, the left‑right axis is not as relevant in nature.
주요 단어 정리
- however: 그러나 (동의어: but, yet / 반의어: therefore, thus)
- left-right axis: 좌우 축
- relevant: 관련 있는, 유의미한 (동의어: pertinent, significant / 반의어: irrelevant, insignificant)
- in nature: 자연에서 (동의어: in the natural world / 반의어: artifici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the left‑right axis(→dimension or direction) is not as relevant/ in nature.
- 그러나,/ 좌우 축은(→차원은 혹은 방향은) 그렇게 유의미하지 않습니다/ 자연에서.
어법 설명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어휘 사용의 부적절성
- 요약문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axis(축)“는 ”dimension(차원)“이나 ”direction(방향)“으로 변경해야 문맥상 적절합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자연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좌우 방향”
문장 6
A bear is equally dangerous from its left or the right side, but not if it is upside down.
주요 단어 정리
- equally: 똑같이, 동일하게 (동의어: evenly, uniformly / 반의어: differently, unevenly)
- dangerous: 위험한 (동의어: perilous, hazardous / 반의어: safe, harmless)
- upside down: 거꾸로, 뒤집힌 (동의어: inverted, overturned / 반의어: uprigh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bear is equally dangerous/ [from <its left or the right> side],/ but/ not/ [if it is upside down](→not as dangerous [because we have/ some visibility/ in such case]).
- 곰은 똑같이 위험합니다/ [<그것의 왼편이든 오른편>으로부터든],/ 하지만/ 아닙니다/ [그것이 거꾸로 있다면](→그만큼 위험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시야를/ 그러한 경우에]).
어법 설명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빈약한 논리의 변경 필요성
- “not/ [if it is upside down]”의 논리는 자연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경우가 아니며, 논리적으로 가능한 일이 아닙니다. 이 부분이 논리적으로 전개되려면, “not as dangerous/ [because we have/ some visibility/ in such case](→그만큼 위험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시야를/ 그러한 경우에])” 정도로 변경해야 전체적인 맥락상 독자들이 수긍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마도 지문을 쓰면서 많은 고민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공적인 문서인 모의고사에서는 정말로 지양해야 할 태도라 생각합니다.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수정된 의미로 요약하면, “좌우 방향은 어느 정도 시야가 확보되기에 상하나 앞뒤보다는 덜 위험하다.” 이렇게 요약하면, “앞은 보이지 않나요?“라고 한면만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그 반대편인 뒤는 전혀 안보이기에 이런 식의 논리 전개가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문장 7
In fact, when observing a scene containing plants, animals, and man‑made objects such as cars or street signs, we can only tell when left and right have been inverted if we observe those artificial items.
주요 단어 정리
- in fact: 사실상 (동의어: actually, indeed / 반의어: hypothetically, seemingly)
- observe: 관찰하다 (동의어: notice, perceive / 반의어: ignore, overlook)
- scene: 장면, 광경 (동의어: view, landscape / 반의어: void, absence)
- contain: 포함하다, 함유하다
- man-made: 인공의 (동의어: artificial, manufactured / 반의어: natural, organic)
- object: 물체
- street sign: 도로 표지판
- invert: 뒤집다, 뒤바꾸다, 반대로 하다 (동의어: reverse, flip / 반의어: maintain, retain)
- artificial: 인공의 (동의어: man-made, synthetic / 반의어: natural, organic)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fact,/
- 사실,/
- [when observing/ [a scene/ (which or that is) containing/ [<plants>, <animals>, and <man‑made objects/ (such as cars or street signs)>]]],/
- [관찰하고 있을 때/ [장면을/ 포함하는/ [<식물들>, <동물들>, 및 <인공적인 물체들을/ (자동차들이나 도로 표지판들 같은)>]]],/
- we can only tell/ [when <left and right> have been inverted/ [if we observe/ those artificial items]].
- 우리는 고작 구별할 수 있습니다/ [언제 <좌우가> 뒤바뀌었는지를/ [우리가 관찰하는 경우/ 그러한 인공적인 항목들을]].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when observing/~]”은 “[when we observe/ ~]”의 종속절에서 주어 “we”가 생략되고 동사 “observe”가 “observ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a scene/ (which or that is) containing/ [<plants>, <animals>, and <man‑made objects/ (such as cars or street signs)>]]“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a scen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식물들, 동물들 및 자동차들이나 도로 표지판들 같은 인공적인 물체들을 포함하는 장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left and right> have been inverte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현재완료 수동태(have been + pp) 시제
- “have been inverted”에서 사용된 어법. “전환되었다”의 의미로 과거에서 현재 사이에 이루어진 결과를 표현합니다.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we observe/ those artificial items]”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문장 7의 핵심 내용
- 좌우 방향은 그만큼 중요하지 않다는 진술입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지문의 핵심 주장
- 인간은 진화 과정에서 상하(vertical)와 전후(front-back) 방향은 생존을 위해 중요한 요소였으나, 좌우(left-right) 방향은 자연에서 덜 중요했기 때문에 이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지 못합니다. 좌우 방향을 인식하려면 인공물(man-made objects)을 활용해야 함을 설명합니다.
빈칸 (A) 추론
- "Having affected the evolution of our (A) perception"에서, "vertical and front/back dimensions"이 영향을 미쳤다고 했으므로 "공간적 지각(spatial perception)"을 의미하는 spatial이 적합합니다.
- 나머지 보기는 "auditory(청각)", "cultural(문화)" 등 문맥과 관련이 없습니다.
빈칸 (B) 추론
- "the left‑right axis, which is not (B) in nature"에서, 좌우 방향이 자연에서 덜 중요하다는 의미를 전달해야 하므로, **significant(중요한)**이 적절합니다.
- "scarce(부족한)"은 문맥상 맞지 않습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① spatial --- significant”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40번 지문은 인간의 공간 지각이 상하와 전후 방향의 생존적 중요성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좌우 방향은 덜 중요하다는 주장을 펼칩니다.
하지만, 논리적으로 빈약한 전개와 부적절한 어휘 선택은 독자의 이해를 방해하고, 제시된 예시의 설득력을 떨어뜨립니다. 예를 들어, 곰이 뒤집힌 상황이 과연 생태적으로 적절한 사례인지 의문이 있으며, "axis(축)"를 "dimension(차원)"으로 수정해야 논리적 일관성이 유지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지문은 좌우 방향의 상대적 비중을 설명하며 빈칸 추론 문제를 통해 학습자의 추론 능력을 평가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답을 빠르게 도출하기 위해서는 요약문을 먼저 분석하여 "spatial(공간의)"와 "significant(중요한)"라는 적합한 단어를 선택한 뒤, 지문의 전반적인 흐름을 확인하며 논리적 근거를 검토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논리적 사고와 어휘력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 유형의 학습을 통해 독자들은 요약문의 빈칸 추론 유형의 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을 익힐 수 있기에 독해해 가면서 어휘력도 함양하고 논리적인 사고와 판단의 근거를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시길 당부드립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여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하는데 항상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