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41번과 42번 지문은 "사람의 다름을 고려한 관리 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하지만 지문은 문장 간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하며, 창의적 사람들에 대한 논의에서 일반적인 관리로 주제가 자연스럽게 확장되지 않고 갑작스럽게 바뀌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는 독자에게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하며, 어휘 선택 또한 명확하지 않아 독해를 어렵게 만듭니다.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의미 해석과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정확한 문제 풀이 방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Creative people aren’t all cut from the same cloth. They have (a) varying levels of maturity and sensitivity. They have different approaches to work. And they’re each motivated by different things. Managing people is about being aware of their unique personalities. It’s also about empathy and adaptability, and knowing how the things you do and say will be interpreted and adapting accordingly. Who you are and what you say may not be the (b) same from one person to the next. For instance, if you’re asking someone to work a second weekend in a row, or telling them they aren’t getting that deserved promotion just yet, you need to bear in mind the (c) group. Vincent will have a very different reaction to the news than Emily, and they will each be more receptive to the news if it’s bundled with different things. Perhaps that promotion news will land (d) easier if Vincent is given a few extra vacation days for the holidays, while you can promise Emily a bigger promotion a year from now. Consider each person’s complex positive and negative personality traits, their life circumstances, and their mindset in the moment when deciding what to say and how to say it. Personal connection, compassion, and an individualized management style are (e) key to drawing consistent, rock star‑level work out of everyone.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Know Each Person to Guarantee Best Performance
② Flexible Hours: An Appealing Working Condition
③ Talk to Employees More Often in Hard Times
④ How Empathy and Recognition Are Different
⑤ Why Creativity Suffers in Competition
42 밑줄 친 (a) ~ (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Creative people aren’t all cut from the same cloth.
주요 단어 정리
- creative: 창의적인 (동의어: innovative, imaginative / 반의어: conventional, unimaginative)
- cut from the same cloth: 모두 같은 유형이다, 똑같다 (동의어: alike, similar / 반의어: different, uniqu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reative people aren’t all cut/ from the same cloth.
- 창의적인 사람들은 모두 잘려진 것은 아닙니다/ 같은 천에서(똑같지는 않습니다).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aren’t all cut”에서 사용된 어법. "모두 잘려진 것은 아닙니다"의 의미로 수동태. 다만, "모두 똑같지는 않습니다"로 의역합니다.
- be cut from the same cloth
- 비유적으로 "똑같다"를 의미하는 관용적 표현으로, 여기서는 부정형으로 사용되어 "다르다"는 뜻을 전달합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제목 추론 1
- 창의적인 사람은 다 똑같지 않다는 내용을 진술하고 있습니다. “창의적인 사람”에 대한 주제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일단 보기를 확인하면, 보기 중 창의성을 다루고 있는 것은 “⑤ Why Creativity Suffers in Competition(왜 창의성이 경쟁에서 고통받는가)”뿐입니다. 과연 이후 진술에서 이에 대한 진술이 이어지는지 차근차근 확인하도록 합시다.
문장 2
They have (a) varying levels of maturity and sensitivity.
주요 단어 정리
- varying: 다양한, 변화하는 (동의어: diverse, differing / 반의어: uniform, consistent)
- maturity: 성숙함, 성숙도 (동의어: growth, adulthood / 반의어: immaturity, youth)
- sensitivity: 민감성, 예민함 (동의어: receptiveness, perceptiveness / 반의어: insensitivity, indiffere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have/ (a) [varying levels/ <of maturity and sensitivity>].
- 그들은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수준들을/ <성숙도와/ 민감성의>(다양한 수준의 성숙도와 민감성을)].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a)
- 문장 1의 “창의적인 사람들이 똑같지 않다”는 내용을 보충하는 말로 다름을 표현하는 “varying”은 문맥상 적절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제목 추론 2
- 창의적인 사람들이 다양한 수준의 성숙도와 민감성을 가지고 있다고 진술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창의적인 사람들이 똑같지 않다는 의미를 보충하는 내용이므로 더 독해하도록 합시다.
문장 3
They have different approaches to work.
주요 단어 정리
- approach: 접근법, 방식 (동의어: method, strategy / 반의어: avoidance, disinteres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have/ <different approaches/ to work>.
- 그들은(창의적인 사람들은)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상이한) 접근법들을/ 일에 대한>.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및 제목 추론 3
- 역시 창의적인 사람들이 다름을 보충하는 내용입니다. 일에 대한 접근법도 다르다는 내용이므로 더 독해하도록 합시다.
문장 4
And they’re each motivated by different things.
주요 단어 정리
- motivated: 동기가 부여된 (동의어: inspired, driven / 반의어: unmotivated, indiffere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they’re each motivated/ by different things.
- 그리고 그들은 각각 동기 부여됩니다/ 서로 다른 것들에 의해서.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are each motivated”에서 사용된 어법. "각각 동기가 부여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문장 4의 핵심 내용 및 제목 추론 4
- 역시 창의적인 사람들이 다름을 보충하는 내용입니다. 동기 부여도 다르다는 내용이므로 더 독해하도록 합시다.
문장 5
Managing people is about being aware of their unique personalities.
주요 단어 정리
- manage: 관리하다, 운영하다 (동의어: handle, oversee / 반의어: neglect, ignore)
- be about~ ing: ~에 대한 것(문제)이다
- be aware of ~: ~을 인지하다, 알고 있다 (동의어: recognize, acknowledge / 반의어: unaware, oblivious)
- unique: 독특한, 유일한 (동의어: distinct, individual / 반의어: common, ordinary)
- personality: 성격, 개성 (동의어: character, temperament / 반의어: non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naging/ people>/ is about being aware/ of their unique personalities.
- <관리하는 것은/ 사람들을>/ 인지하는 것에 대한 문제입니다/ 그들의 독특한 성격들을.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is about being aware/ of their unique personalities“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구 ”is about“의 목적어 역할. ”그들의 독특한 성격들을 인지하는 것에 대한 문제입니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문장 5의 핵심 내용 및 제목 추론 6
- 문장 4까지는 창의적인 사람들에 대해 일관되게 진술하다가 갑자기 사람들에 대한 관로 진술 대상이 변경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앞서 진술된 창의적인 사람은 그냥 사람이 되어야 문장 간 연결이 자연스러울 것입니다. 아니면, ”Like them,/ common people are different.“ 정도의 문장이 삽입되고 문장 5가 이어져야 논리적으로 맞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이런 대상의 차이로 지문을 이해하는데 혼란을 주기 위한 수단으로 밖에는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사람이 다르니 그들의 서로 다른 성격들을 알아가는 것이 관리다“라는 주장이므로, 다시 보기를 확인하면, "Know Each Person to Guarantee Best Performance(최상의 성과를 보증하기 위해서 각 사람을 아세요)"가 가장 가까우나 "Best Performance"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6
It’s also about empathy and adaptability, and knowing how the things you do and say will be interpreted and adapting accordingly.
주요 단어 정리
- empathy: 공감 (동의어: compassion, understanding / 반의어: apathy, indifference)
- adaptability: 적응력 (동의어: flexibility, versatility / 반의어: rigidity, inflexibility)
- interpret: 해석하다, 이해하다 (동의어: understand, explain / 반의어: misinterpret, misunderstand)
- accordingly: 그에 따라서 (동의어: correspondingly, suitably / 반의어: inconsistently, inappropriate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s also about [[empathy and adaptability],/ and/ [[knowing/ [how/ [the things/ (which or that) you do and say]/ will be interpreted]]/ and/ [adapting/ accordingly]]].
- 그것은(사람들을 관리하는 것은) 또한 [[공감과 적응력]에 대한 것,/ 그리고/ [[아는 것에 대한 것과/ [어떻게/ [것들이/ 당신이 하고 말하는]/ 해석될지를]]/ 그리고/ [적응하는 것에 대한 것입니다/ 그에 따라서]]].
어법 설명
병렬 구조 1 – 두 개의 큰 명사구를 and로 연결
“[empathy and adaptability]”와 “[[knowing/ [how/ [the things/ (which or that) you do and say]/ will be interpreted]]/ and/ [adapting/ accordingly]]”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 2 – 두 개의 명사를 and로 연결
“[empathy and adaptability]”에서 사용된 어법.
병렬 구조 3 – 두 개의 동명사구를 and로 연결
“[[knowing/ [how/ [the things/ (which or that) you do and say]/ will be interpreted]]/ and/ [adapting/ accordingly]]”에서 사용된 어법,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knowing/~]“과 ”[adapting/ accordingly]“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구 ”is also about“의 목적어 역할. 각각 ”~을 아는 것“과 ”그에 따라서 적응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how/ [the things/ (which or that) you do and say]/ will be interpreted]”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the things/ (which or that) you do and say]”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thing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당신이 하고 말하는 것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수동태[조동사 + be + pp]
“will be interpreted”에서 사용된 어법. "해석될 것이다"의 의미로 수동태.
문장 6의 핵심 내용 및 제목 추론 7
문장 6의 핵심 내용은 문장 5에 이어지는 내용으로 “사람이 다르기에 그들은 관리하는 내용”에 포함되는 내용입니다. “다른 사람이 어떻게 판단하는지 신경 써서 그에 따라 적응하라.”는 의미입니다. 역시 "Best Performance"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7
Who you are and what you say may not be the (b) same from one person to the next.
주요 단어 정리
- the same: 같은, 동일한 (동의어: identical, consistent / 반의어: different, varied)
- from one person to the next: 사람마다, 사람에 따라 (동의어: individually, uniquely / 반의어: universally, uniform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o you are]/ and/ [what you say]]/ may not be the (b) same/ <from one person to the next>.
- [[당신이 누구인지]/ 그리고/ [당신이 말하는 것은]]/ (b)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한 사람에서 다음 사람까지(사람마다)>.
어법 설명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o you ar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you say]]”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당신이 말하는 것“의 의미. 다만, 이는 간접의문문으로 볼 수 있으며, 이렇게 보는 경우, ”무엇을 당신이 말하는지는“으로 해석됩니다.
- 어휘의 적절성 검토 (b)
- 현재까지 ”사람이 다 다르다“는 내용이므로 ”(b) same“은 ”not“이 있으므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 문장 7의 핵심 내용 및 제목 추론 7
- 문장 7의 핵심 내용은 다시 ”인간은 다르다“는 내용으로 돌아갑니다. 역시 "Best Performance"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8
For instance, if you’re asking someone to work a second weekend in a row, or telling them they aren’t getting that deserved promotion just yet, you need to bear in mind the (c) group.
주요 단어 정리
- for instance: 예를 들어 (동의어: for example, to illustrate / 반의어: none)
- ask someone to 부정사: 누군가에게 ~하라고 요청하다 (동의어: request, urge / 반의어: ignore, neglect)
- in a row: 연속으로 (동의어: consecutively, successively / 반의어: intermittently, sporadically)
- deserve: ~할 자격이 있다 (동의어: merit, earn / 반의어: lack, be unworthy of)
- need to 부정사: ~해야 하다
- bear in mind: 명심하다 (동의어: keep in mind, remember / 반의어: forget, overlook)
- group: 그룹, 집단 (여기서는 잘못된 선택으로 보임)
- not~ just yet: 아직은 ~아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instance,/
- 예를 들어,/
- [if you’re [asking/ someone/ to work/ a second weekend/ in a row]/ or/ [telling/ them(→him or her)/ [(that) they aren’t(→he or she isn’t) getting/ that deserved promotion/ just yet]]],/
- [만약 당신이 [요청하고 있다면/ 누군가에게/ 일해주도록/ 두 번째 주말을/ 연속으로],/ 또는/ [말하고 있다면/ 그들에게(→그사람에게)/ [그들이(→그사람이) 얻지(받지) 못할 것이라고/ 그 자격 있는 승진을/ 아직은]]],/
- you need to bear in mind/ the (c) group(→individual).
- 당신은 명심해야 합니다/ 그 (c) 그룹을(→개인을).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for instanc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re [asking/~]/ or/ [telling/~]]”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두 개의 현재분사구를 or로 연결
- “[asking/ someone/ to work/ a second weekend/ in a row]”와 “[telling/ them(→him or her)/ [(that) they aren’t(→he or she isn’t) getting/ that deserved promotion/ just yet]]”를 or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현재분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5형식 문형 "ask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asking/ someone/ to work/~“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ask”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elling/ them(→him or her)/ [(that) they aren’t(→he or she isn’t) getting/~]]"에서 생략된 "(that)"은 현재분사, "telling"의 직접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대명사의 오류
- “[telling/ them(→him or her)/ [(that) they aren’t(→he or she isn’t) getting/ that deserved promotion/ just yet]]”에서 “them“과 ”they aren’t“는 문맥상 ”someone“을 대신하는 대명사로, 각각 ”him or her“ 및 ”he or she isn’t“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 bear in mind
- "명심하다"는 표현으로, 뒤에 특정한 고려 사항이 따릅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c)
- 이미 대명사의 오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the group“ 역시 ”someone“을 지칭하는 어휘여야 합니다. 따라서, 문맥상 "group"은 적절하지 않고 ”individual“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수능에서 이 문제가 출제되었다면 소송까지도 갈 사안으로 판단됩니다. 어법적 오류에 의한 논란의 대상인 것은 분명합니다. 글을 쓴 사람조차도 대명사의 오류를 범한 상태에서 그 대명사의 오류의 대상인 명사를 대체하는 명사를 출제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 문장 8의 핵심 내용 및 제목 추론 8
- 문장 8의 핵심 내용은 ”사람은 다르다”라는 내용에서 출발해서, “사람을 관리하는 것”에 대한 필요 요건 정도를 설명한 후, 이 다름을 표현하는 사례를 제시한 것이 핵심 내용입니다. 다만, "Best Performance"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9
Vincent will have a very different reaction to the news than Emily, and they will each be more receptive to the news if it’s bundled with different things.
주요 단어 정리
- reaction: 반응 (동의어: response, feedback / 반의어: indifference, passivity)
- different than~: ~와는 다른(different from~이 올바른 표현)
- receptive: 수용적인, 받아들이는 (동의어: open-minded, amenable / 반의어: resistant, closed-off)
- bundle: 묶다, 포함시키다 (동의어: package, combine / 반의어: separate, isol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Vincent will have/ a very different reaction/ to the news/ than Emily,/
- Vincent는 가질 것입니다/ 매우 다른 반응을/ 그 소식에 대해/ Emily와는,/
- and/ they will each be more receptive/ to the news/
- 그리고/ 그들은 각각 더 수용적이 될(더 받아들일) 것입니다/ 그 소식에 대해/
- [if it’s bundled/ with different things].
- [만약 그것이 묶여 있다면/ 다른 것들과 함께].
어법 설명
- different than ~
- "~와 다른"을 나타내며, 비교 대상의 차이를 강조합니다. 다만, 앞에 비교급이 없으므로 “than”을 사용하기 보다, “from”을 사용하는 것이 어법적으로 더 적절해 보입니다. 이는 이미 현대 영어에서 어느 정도 사용되고 있어 청크 분석에는 반영하지 않았습니다.
- be receptive to ~
- “에 수용적이 되다”는 의미에서 "~을 받아들이다"의미로 확장됩니다, 사람마다 더 잘 받아들이는 방식이 다름을 나타냅니다.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it’s bundled/~]”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 “is bundled”에서 사용된 어법. "묶여있다"의 의미로 수동태.
- 갑작스러운 Vincent와 Emily의 등장과 논리적 연결의 보완 필요성
- 문장 8에서 누군가에 대한 예시로 두 사람을 등장시킨 것으로 보이나, 문장 10과의 연계하면 Vincent는 "더 많은 휴가를 선호하는 사람"으로, Emily는 "진급을 바라는 사람"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진술이 문장 8 초반에 진술되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For example,/ let's say/ [(that) you have/ [Vincent,/ who wants to have/ more vacation days],/ and/ [Emily/ who wants to get promoted]],/ and/ let's say/ [(that) you ask/ <each/ of them>/ <to do/ the following>]." 적어도 이런 내용이 언급된 후 문장 10으로 이어져야 문맥상 적절합니다.
- 문장 9의 핵심 내용 및 제목 추론 10
- 문장 9의 핵심 내용은 ”사람마다 받아들이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당사자에게 불리한 것을 제안할 때 일종의 패키지가 필요하다“는 진술입니다. 다만, "Best Performance"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문장 10
Perhaps that promotion news will land (d) easier if Vincent is given a few extra vacation days for the holidays, while you can promise Emily a bigger promotion a year from now.
주요 단어 정리
- perhaps: 아마도 (동의어: maybe, possibly / 반의어: certainly, definitely)
- land: 도달하다, 전달되다 (동의어: arrive, reach / 반의어: miss, fail to deliver)
- easier: 더 쉽게 (동의어: more effortlessly, less difficultly / 반의어: harder, more difficultly)
- vacation days: 휴가 일수 (동의어: leave days, holidays / 반의어: workdays, office hours)
- promise: 약속하다 (동의어: assure, commit / 반의어: deny, withhol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erhaps/ that promotion news will land/ (d) easier/
- 아마도/ 그 승진 소식은/ (d) 더 쉽게 전달될 것입니다/
- [if Vincent is given/ a few extra vacation days/ for the holidays],/
- [만약 Vincent가/ 받는다면/ <몇몇 추가 휴가일을/ 휴일 동안>],/
- [while you can promise/ Emily/ a bigger promotion/ <a year/ from now>].
- [당신은 약속할 수 있는 반면에/ Emily에게/ 더 큰 승진을/ <1년 후에/ 지금으로부터>].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Vincent is given/~]”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 “is given”에서 사용된 어법. “받다”의 의미로 수동태.
- 양보의 부사절 “while + 주어 + 동사”
- “[while you can promise/~]”에서 사용된 어법. “~이긴 하지만/~인 반면에”의 의미를 전달.
- 어휘의 적절성 판단 (d) & 비교급의 어법적 오류
- “(d) easier”는 의미상 적절하나, 절대 비교의 경우가 아니므로, "easier"는 부사 "more easily"로 바꿔야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문장 10의 핵심 내용 및 제목 추론 11
- 문장 10까지의 핵심 내용은 ”사람마다 받아들이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당사자에게 불리한 것을 제안할 때 일종의 패키지가 필요하다“는 진술에 그럴 경우, 그 메시지의 수용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진술입니다. 현재까지의 내용으로보아 ”사람의 다름“, ”그 다름에 대한 인지가 관리의 시작“, ”사람마다 다른 조건에 의한 협상의 필요성“ 정도로 요약 가능하지만 진술된 내용의 정확도로 보면, 이 또한 성과에 대한 언급이 없는 점을 고려하면 시시비비의 논란거리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직 2개의 문장이 남았으므로, 이에 대한 진술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합시다.
문장 11
Consider each person’s complex positive and negative personality traits, their life circumstances, and their mindset in the moment when deciding what to say and how to say it.
주요 단어 정리
- complex: 복잡한 (동의어: intricate, complicated / 반의어: simple, straightforward)
- personality traits: 성격적 특성 (동의어: character attributes, individual traits / 반의어: none)
- circumstance: 상황, 환경 (동의어: condition, context / 반의어: none)
- mindset: 사고방식, 태도 (동의어: attitude, perspective / 반의어: indifference, apath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nsider/ [each person’s [complex <positive and negative personality traits>],/ [their life circumstances],/ and/ [their mindset/ in the moment]]/
- 고려하세요/ [각 사람의 [복잡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성격적 특성들을>],/ [그들의 삶의 상황들을],/ 그리고/ [그들의 사고방식을/ 그 순간에]]/
- [when deciding/ [what to say]/ and/ [how to say/ it]].
- [결정할 때/ [무엇을 말해야 하는지를]/ 그리고/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를/ 그것을]].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Consider/~”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병렬 구조 – 세 개의 명사구를 and로 연결
- “[complex <positive and negative personality traits>]”, “[their life circumstances]” 및 “[their mindset/ in the moment]”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분사구문
- “[when deciding/~]”은 “[when you decide/ ~]”의 종속절에서 주어 “you”가 생략되고 동사 “decide”가 “decid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what to say]“와 ”[how to say/ it]“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what you should say]“와 ”[how you should say/ it]“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무엇을 당신이 말해야 하는지“와 ”어떻게 당신이 말해야 하는지를/ 그것을“의 의미.
- 문장 11의 핵심 내용 및 제목 추론 12
- 문장 11까지의 내용에서도 "Best Performance"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습니다. "말할 내용과 말하는 방법에 주의하라".
문장 12
Personal connection, compassion, and an individualized management style are (e) key to drawing consistent, rock star‑level work out of everyone.
주요 단어 정리
- personal connection: 개인적 유대 (동의어: interpersonal bond, relationship / 반의어: detachment, disconnection)
- compassion: 연민, 동정심 (동의어: empathy, sympathy / 반의어: indifference, apathy)
- individualized: 개인화된, 맞춤형의 (동의어: personalized, tailored / 반의어: generalized, standardized)
- management style: 관리 방식 (동의어: leadership approach / 반의어: none)
- consistent: 일관된 (동의어: steady, reliable / 반의어: inconsistent, erratic)
- rock star‑level: 매우 뛰어난, 최고 수준의
- out of~: ~에(게)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ersonal connection>,/ <compassion>,/ and/ <an individualized management style>]/ are (e) key/ [to drawing/ <consistent, rock star‑level work>/ out of everyone].
- [<개인적 유대>,/ <연민>,/ 그리고/ <맞춤형의 관리 스타일이>]/ (e) 핵심입니다/ [끌어내는 것에/ <일관적이고 최고 수준의 작업 성과를>/ 모두에게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Personal connection>,/ <compassion>,/ and/ <an individualized management style>]”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are“.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to drawing/~]“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to“의 목적어 역할. ”~을 끌어내는 것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be key to ~
- "~에 핵심적이다"는 표현으로, 성공적인 관리의 필수 요소를 나열합니다.
- 문장 12의 핵심 내용 및 제목 추론 13
- 문장 12에서야 ”drawing/ <consistent, rock star‑level work>/ out of everyone“의 표현으로부터 ”to Guarantee/ Best Performance“를 대체할 수 있는 표현이 등장했습니다. 주제문, 제목 찾기, 목적 찾기, 글의 주장 등에 관련된 지문을 독해하는 경우, ”독해의 방향을 바꾸는 것“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보입니다. 다만, 이 문장에서도, ”<Personal connection>“은 지문 내에서 한번 도 언급되지 않은 부분으로 지문의 일관성이 훼손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compassion>“ 역시 ”empathy(공감)“을 대체할 수 있는 어휘가 아니기에 역시 지문의 일관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지문과 내용과 일치하는 내용은 ”<an individualized management style>“뿐으로, 글의 일관성의 유지를 위해 어휘 선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 정도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41번 문제: 제목 선택
- 핵심 주장
- 이 글은 사람들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개인화된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사람마다 성격, 동기,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관리자는 이를 이해하고 적응해야 하며, 개인별 맞춤형 접근 방식을 통해 최상의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습니다.
- 정답 근거
- 지문은 사람의 다양성과 이를 고려한 관리 방식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목은 "각 사람을 이해함으로써 최상의 성과를 보장"한다는 내용을 반영해야 합니다.
- 보기 중 ①번 "Know Each Person to Guarantee Best Performance(최상의 성과를 보장하기 위해 각 사람을 알아라)"가 이 주제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 정답 제시
- ① Know Each Person to Guarantee Best Performance
42번 문제: 밑줄 친 단어의 적절성 판단
- (a) varying
- "varying"은 창의적인 사람들이 "다양한 수준의 성숙도와 민감성"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를 전달하며, 문맥상 적절합니다.
- ✅ 문맥상 적절합니다.
- (b) same
- "same"은 사람마다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부정형(not)이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문맥상 "같지 않다"는 의미를 전달하며, 적절합니다.
- ✅ 문맥상 적절합니다.
- (c) group
- "group"은 개인의 다름을 강조하는 문맥에서 적절하지 않습니다. 지문에서 언급된 상황은 개별 사람(개인)을 다루는 것이며, 따라서 "individual"로 변경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 ❌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 (d) easier
- "easier"는 부사로 사용된 상황에서 비교급을 나타내지만, 형용사가 아닌 부사 "more easily"로 써야 어법적으로 맞습니다. 따라서 "easier"는 어법상 부적절합니다.
- ✅ 문맥상 적절합니다. ❌ 어법상 부적절합니다.
- (e) key
- "key"는 개인화된 관리 스타일이 "최고 수준의 성과"를 이끌어낸다는 내용을 강조하는 핵심 어휘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 ✅ 문맥상 적절합니다.
- 정답 제시
- 요구되는 정답으로 ③ (c)가 가장 적절합니다.
지문의 주요 문제점 요약
- 대상 변경의 일관성 부족
- 초기에는 창의적인 사람들에 대한 논의로 시작하지만, 문장 5부터 일반적인 사람 관리로 대상이 바뀝니다. 이러한 전환은 논리적인 연결이 없이 이루어져 독자가 글의 의도를 혼란스러워하게 만듭니다.
- 창의적인 사람들에 대한 내용이 문장 4까지 이어지다가 문장 5부터 "모든 사람"으로 전환됩니다. 이때 대상이 바뀌는 과정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없어 연결이 부자연스럽습니다.
- 어휘 선택 및 문맥 부적절성
- "(d) easier"는 부사 "more easily"로 수정되어야 하며, 이는 비교급 사용의 적절성 문제로 수능 문법 영역에서도 논란이 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 예시로 든 사람의 다름에 대한 진술 부족
- 문장 10에 진술된 Vincent와 Emily의 경우 두 사람이 각기 어느 부분을 중시하는지에 대한 진술이 없이 갑자기 등장하여 문장 8의 초입에 이에 대한 설명이 추가되어야 합니다.
- 새로운 요소 도입의 문제
- 문장 12에서 갑작스럽게 "personal connection"과 "compassion"이 등장하며, 이는 이전 문장에서 논의되지 않은 개념입니다. 이로 인해 글의 일관성이 손상됩니다.
- 일관되지 않은 구조
- 문장 11과 12에서 성과와 관련된 내용을 마무리하려는 시도가 있지만, 앞부분과의 연결성이 부족하여 전체 글이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하지 못합니다.
- 구체적 수정 필요 사항
- 문장 5에서 일반적인 사람 관리로 주제를 바꾸고자 한다면, 전환 문장이 필요합니다. 예: "Like creative people, managing anyone requires understanding their differences."
- 문장 10에서 "(d) easier"를 "more easily"로 수정하여 비교급 사용의 정확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 문장 12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개념("personal connection" 등)을 지문 전체에 걸쳐 통일성 있게 다루거나 삭제해야 합니다.
결론
문장별 분석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41번과 42번 지문은 대상을 전환하면서 일관성을 잃고, 어휘 선택과 문맥 연결에서 부적절한 사례를 보여줍니다. 특히 학습자가 제목 선택 및 빈칸 추론 문제를 풀 때 이러한 구조적 문제가 학습 난이도를 높이고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습니다.
이 사례는 수능 지문 제작 시 논리적 일관성, 명확한 대상 설정, 그리고 어휘 선택의 적절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줍니다. 앞으로는 보다 구조적이고 연결성이 강한 지문 제작이 필요하며, 학습자는 이러한 문제를 분석적으로 접근하여 독해력을 기를 수 있어야 합니다.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문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어법(문법) 설명이 여러분의 문제 풀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