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은 “변화하는 환경에서 인간 판단(human judgment)”과 “통계적 모델(statistical models)”의 결합이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지문은, 변화 속에서 “일관성(consistency)”이 항상 미덕이 아닐 수 있으며, 변화를 감지하는 인간의 능력이 통계적 모델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이 지문은 논리적 연결의 부재와 불필요한 생략, 전문 용어 사용의 명확성 부족 등으로 인해 일반 독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문장 간 논리적 비약과 접속사 및 생략 표현의 모호성은 지문의 핵심 주장을 따라가는 데 방해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장애 요소들을 분석하고, 지문의 흐름과 핵심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의미의 단위 및 문법적 연결) 분석과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 및 구조적 차이를 바탕으로 한 의미 해석, 어법(문법) 설명이 지문을 100%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Robert Blattberg and Steven Hoch noted that, in a changing environment, it is not clear that consistency is always a virtue and that one of the advantages of human judgment is the ability to detect change. Thus, in changing environments, it might be ①advantageous to combine human judgment and statistical models. Blattberg and Hoch examined this possibility by having supermarket managers forecast demand for certain products and then creating a composite forecast by averaging these judgments with the forecasts of statistical models based on ②past data. The logic was that statistical models ③deny stable conditions and therefore cannot account for the effects on demand of novel events such as actions taken by competitors or the introduction of new products. Humans, however, can ④incorporate these novel factors in their judgments. The composite─or average of human judgments and statistical models ─proved to be more ⑤accurate than either the statistical models or the managers working alone.

* composite: 종합적인; 종합된 것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Robert Blattberg and Steven Hoch noted that, in a changing environment, it is not clear that consistency is always a virtue and that one of the advantages of human judgment is the ability to detect change.

주요 단어 정리

  • note: 주목하다, 언급하다 (동의어: observe, mention / 반의어: ignore)
  • changing environment: 변화하는 환경
  • clear: 분명한
  • consistency: 일관성 (동의어: coherence, stability / 반의어: inconsistency, variability)
  • virtue: 미덕, 장점 (동의어: advantage, merit / 반의어: flaw, defect)
  • detect: 감지하다, 발견하다 (동의어: identify, discover / 반의어: overlook, miss)
  • advantage: 이점, 장점 (동의어: benefit, strength / 반의어: disadvantage, drawback)
  • judgement: 판단
  • ability: 능력
  • detect: 감지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obert Blattberg and Steven Hoch>/ noted/
  • <로버트 블랫버그와 스티븐 호크는>/ 주목했습니다/
  • [that,/ in a changing environment,/ it is not clear/ [that consistency is always a virtue]/ and/ [that [one/ <of the advantages/ of human judgment>]/ is [the ability/ <to detect/ change>]]].
  • [변화하는 환경에서/ 그것이 분명하지 않다는 것에/ [일관성이 항상 미덕이라는 것이]/ 그리고/ [[하나가/ <장점들 중/ 인간 판단의>]/ [능력이라는 것이/ <감지하는/ 변화를>]]].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noted[that,/~]"에서 "that"은 동사, "not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는 것에)/~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용법
  • “ it is not clear/ [that~]/ and[that~]”에서, ”it“는 가주어, 두 개의 ”that 절”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It(가주어)’와 “that 절(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hat 절”을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진주어인 “that 절”을 and로 연결
  • [that consistency is always a virtue]”와 “[that [one/ <of the advantages/ of human judgment>]is [the ability/ <to detect/ chang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두 번째 진주어인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두 번째 진주어인 “that 절”의 주어는 ”one”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the ability/ <to detect/ chang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ability”를 수식하여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의 의미를 전달.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변화하는 환경에서 일관성이 미덕이라는 것과, 인간 판단의 장점들 하나가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이라는 것은 불확실하다.

문장 2

Thus, in changing environments, it might be ①advantageous to combine human judgment and statistical models.

주요 단어 정리

  • advantageous: 유리한, 이로운 (동의어: beneficial, favorable / 반의어: harmful, disadvantageous)
  • combine: 결합하다, 통합하다 (동의어: integrate, merge / 반의어: separate, divide)
  • statistical: 통계의, 통계적인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us,/ in changing environments,/
  • 그러므로,/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 it might be advantageous/ [to combine/ <human judgment and statistical models>].
  • 그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결합하는 것이/ <인간의 판단과 통계 모델을>].

어법 설명

  • 접속부사 "thus"
  • 문장 내에서 "따라서 / 그러므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might be advantageous/ [to combine/~]”에서 ”it“는 가주어, ”to combine~”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인간의 판단과 통계적 모델(일관성의 데이터)를 결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진술. 문장 1의 “consistency(일관성)“을 ”statistical models(통계적 모델들)“로 변경하며 표현했습니다.
  • 문장 1과 문장 2의 논리적 관계의 부적절성
  • 문장 2의 핵심 내용으로부터, 문장 1의 논리적 관계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문장 1과 문장 2가 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문장 1의 내용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일관성(통계적 모델들)이나 변화를 감지하는 인간의 능력 둘 중 하나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이로울 수 없다는 것에 Robert Blattberg and Steven Hoch는 주목했습니다(Robert Blattberg and Steven Hoch noted/ [that it cannot be beneficial/ [to rely entirely [on [either consistency (statistical models)]/ [or human ability/ <to detect/ change>]]]/ in a changing environment])“로 진술되었어야 합니다. 아울러, ”consistency”와 “statistical models”의 대체 역시 모호합니다. “consistency”를 “consistent data”로 변경하여 표현했다면, 그나마 대체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어휘의 적절성 검토 1
  • 논리의 구조가 다소 어색하긴 했지만, “①advantageous”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3

Blattberg and Hoch examined this possibility by having supermarket managers forecast demand for certain products and then creating a composite forecast by averaging these judgments with the forecasts of statistical models based on ②past data.

주요 단어 정리

  • examine: 조사하다, 검토하다 (동의어: analyze, investigate / 반의어: ignore, neglect)
  • possibility: 가능성 (동의어: potential, feasibility / 반의어: impossibility)
  • have: (5형식) 시키다, 하게 하다
  • manager: 관리자
  • forecast: (동사) 예측하다 (동의어: predict, project / 반의어: ignore, overlook), (명사) 예측
  • demand: 수요
  • certain: 특정한
  • product: 제품
  • then: 그런 다음
  • create: 만들다
  • composite: 종합적인; 종합된 것 (동의어: combined, integrated / 반의어: separate, individual)
  • average: 평균을 내다 (동의어: calculate, balance / 반의어: vary)
  • based on~: ~에 근거한, ~에 기반을 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lattberg and Hoch examined/ this possibility/
  • 블랫버그와 호크는 조사했습니다/ 이 가능성을/
  • [by having/ supermarket managers/ [forecast/ <demand/ for certain products>]]
  • [시키는 것에 의해서(시킴으로써)/ 슈퍼마켓 관리자들에게/ [예측하도록/ <수요를/ 특정 제품에 대한>]]/
  • and/ [then/ (by) creating/ a composite forecast/ [by averaging/ these judgments/ [with the forecasts/ <of statistical models>/ based on past data>]]].
  • 그리고/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생성함으로써)/ 종합적인 예측을/ [평균을 내는 것에 의해서(평균을 냄으로써)/ 이러한 판단들을/ [예측들을 가지고/ <통계적 모델들의/ 과거 데이터에 기반한>]]].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having/ supermarket managers/ [forecast/~]]“, ”(by) creating/ a composite forecast“ 및 ”[by averaging/~]“에서 사용된 용법. 셋 다 전치사, ”by“의 목적어 역할. 각각 ”슈퍼마켓 관리자들에게 예측하도록 시키는 것에 의해서“, ”종합적인 예측을 만드는 것에 의해서“ 및 ”평균을 내게 하는 것에 의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다만, ”~하는 것에 의해서“가 ”~함으로써“로 의역됩니다.
  • 5형식 문형 "사역동사(hav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having/ supermarket managers/ [forecast/~]”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이 부분이 의미하는 것은 “인간의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의 구체적 실험에 해당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인간의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에 대한 부분과 “과거 데이터에 기반은 통계적 모델의 예측을 가지고 종합적 예측”을 만들어 앞서 언급했던 내용의 타당성 실험을 한 것이 주요 내용에 해당합니다.
  • 어휘의 적절성 검토 2
  • 문맥상 통계적 모델은 통계적 데이터의 변형 표현으로, “②past”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4

The logic was that statistical models ③deny stable conditions and therefore cannot account for the effects on demand of novel events such as actions taken by competitors or the introduction of new products.

주요 단어 정리

  • logic: 논리 (동의어: reasoning, rationale / 반의어: illogic, irrationality)
  • deny: 부정하다, 거부하다 (동의어: reject, refuse / 반의어: accept, acknowledge)
  • stable: 안정된 (동의어: consistent, steady / 반의어: unstable, variable)
  • condition: 조건, 상태
  • and therefore: 그 때문에, 그래서
  • account for~: 설명하다 (동의어: explain, justify / 반의어: ignore, disregard)
  • effect: 영향, 효과
  • demand: 수요
  • novel: 새로운, 참신한 (동의어: new, innovative / 반의어: traditional, conventional)
  • event: 사건
  • such as~: (예를 들어) ~같은
  • action: 조치, 행동
  • take: 취하다
  • competitor: 경쟁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logic was [that statistical models [deny(→assume)/ stable conditions]/ and therefore/ [cannot account for [<the effects/ on demand>/ [of novel events/ such as [actions/ (which or that are) taken/ by competitors]/ or/ [the introduction/ of new products]]]]].
  • 논리는 [통계 모델들이 [부정한다는(→가정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안정된 조건들을]/ 그 때문에/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영향들을/ 수요에 대한>/ [새로운 사건들의/ [조치들같은/ 취해진/ 경쟁자들에 의해] 또는/ [도입을 같은/ 신제품의]]]]].

어법 설명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logic was [tha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어휘의 적절성 검토 3
  • 이 지문에서 “statistical models(통계적 모델들)”는 “statistical data”의 의미로 사용되었고, 또 “statistical data(통계적 데이터)”가 과거 데이터에 기반한다고 문장 3에서 진술했고, 또 “stable conditions(안정적 상태)”는, 문맥상 “안정적 추이(stable trends)”를 의미하여, “③deny”는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assume(가정하다)”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다만, 계속해서 본 분석서에 바꿔 표현헤야 글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은 문맥상 글의 흐름을 방해할 만한 어휘를 선택 사용한 것으로 봐야 합니다. 그만큼 문맥에 따라 정확한 어휘의 사용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한국의 수험영어가 고학력 원어민들에게도 어려운 이유이런 부적절한 어휘의 사용과, 문장 1과 문장 2 사이의 논리적 관계의 오류 등의 문제로 글의 맥락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라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문장 5

Humans, however, can ④incorporate these novel factors in their judgments.

주요 단어 정리

  • incorporate: 포함하다, 통합하다 (동의어: include, integrate / 반의어: exclude, separate)
  • novel: 새로운 (앞 문장과 동일)
  • factor: 요소 (동의어: element, aspect / 반의어: who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umans,/ however,/ can incorporate/ these novel factors/ in their judgments.
  • 인간은,/ 그러나,/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 새로운 요소들을/ 그들의 판단에.

어법 설명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내신의 경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된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6의 핵심 내용
  • 통계적 데이터 외에 새로운 요소를 포함하여 판단하는 인간의 능력을 진술.
  • 어휘의 적절성 검토 4
  • 앞에서 이미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소들에 대한 수정이 완료되었기에, ”④incorporate“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6

The composite─or average of human judgments and statistical models─proved to be more ⑤accurate than either the statistical models or the managers working alone.

주요 단어 정리

  • average: 평균
  • prove to be~: ~임이 증명되다 (동의어: turn out to be, be shown as)
  • accurate: 정확한 (동의어: precise, correct / 반의어: inaccurate, imprecise)
  • either A or B: A나 B 둘 중 하나
  • alone: 혼자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composite (+forecast)]/ or/ [average/ <of human judgments and statistical models>]]/ proved/ to be more accurate/ [than either [the statistical models] or [the managers/ (who or that are) working/ alone]].
  • [[종합적인 예측은]/─즉,/ [평균은/ <인간의 판단과 통계 모델의>]]/ 증명되었습니다/ 더 정확하다는 것이/ [[통계적 모델들]이나 [관리자들/ 일하고 있는/ 혼자서] 둘 중 하나보다].

어법 설명

  • 과도한 생략
  • [The composite]“는 문맥상 ”[The composite (+forecast)]“, 즉, "종합적인 예측"으로, 이 지문 내의 불명확한 표현들 외에 맥락상 과도한 생략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청크 분석처럼 ”(+forecast)]“를 추가하는 것이 문맥상 적절합니다.
  • 동격의 or와 dash(─)의 혼용
  • [The composite (+forecast)]/ ─or/~“에서 동격을 표현하기 위해서, ”dash(─)“와 ”or“를 병기하였으나, 둘 중 하나면 충분합니다. 따라서, ”dash(─)“를 생략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the managers/ (who or that are) working/ alone“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the manager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혼자서 일하고 있는 관리자들“
  • 어휘의 적절성 검토 5
  • 이 글의 전체적인 주장이 ”통계적 데이터“나 ”변화를 감지하는 인간의 능력“ 중 어느 하나에만 의존하는 것이 이롭지 않다는 내용을 전달하므로 둘 다를 합친 종합적인 예측은 ”⑤accurate“한 것은 문맥상 적절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Robert Blattberg와 Steven Hoch는 변화하는 환경에서 ”일관성(consistency)“이 항상 미덕은 아닐 수 있으며, 인간의 판단(human judgment)이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을 가짐으로써 통계적 모델(statistical models)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음을 언급합니다.
  • 결론적으로, 인간의 판단과 통계적 모델을 결합한 ”종합적인 예측(composite forecast)“이 더 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문맥상 부적절한 표현

  • ③ deny: "statistical models deny stable conditions"는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 문제점: 통계적 모델은 "안정된 조건(stable conditions)을 부정한다"기보다는, 오히려 안정된 조건을 전제로 작동합니다. 문장 3에서도 "statistical models based on past data"라고 명시되어, 통계적 모델이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정적 추이를 전제함이 드러납니다.
  • 수정 제안: "deny(부정하다)" 대신 "assume(가정하다)"가 적절합니다.
  • 논리적 연결성 확보: 수정된 표현은 통계적 모델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사건(novel events)"을 설명할 수 없다는 논리적 흐름과 일치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③ deny → assume“
  • 수정된 문장:
  • "The logic was that statistical models assume stable conditions and therefore cannot account for the effects on demand of novel events such as actions taken by competitors or the introduction of new products."

결론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0번 지문은 인간 판단과 통계적 모델의 결합이 더 정확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지만, 논리적 연결의 부재와 모호한 표현으로 인해 독자의 이해를 방해하는 요소들이 존재합니다.

특히, 문장 1과 문장 2 사이의 논리적 비약은 독자가 "왜 인간 판단과 통계적 모델의 결합이 유리한가?"를 충분히 납득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또한, 생략된 표현("composite")과 전문 용어("statistical models", "composite forecast")의 부족한 설명은 배경지식이 없는 독자에게 큰 장애로 작용합니다.

이 지문에서 드러난 문제들은 시험 출제의 의도를 반영하면서도 명확하고 일관된 논리적 흐름을 유지하는 텍스트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학습자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지문에서 제공하는 주요 논리와 메시지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출제자의 의도를 이해하는 연습을 해야 할 것입니다.

블로그 작성자라면, 독자들에게 이러한 논리적 비약과 생략된 정보를 어떻게 보완할 수 있을지 제안하거나, 독자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친절한 설명과 예시를 덧붙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및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그리고 문제 해결 방법을 위한 tip과 지문의 오류를 포함한 상세한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이 전달하는 메시지와 논리를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