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아동 영화: 모든 연령대를 아우르는 대중문화의 중심지"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아동 영화가 단순히 아이들만을 위한 영화가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에서 소비되고 있음을 논의합니다. 지문은 아동 영화의 제작과 소비 습관의 관계를 통해 대중문화에서의 위치를 설명하며, 상업 영화관에서 이 장르가 얼마나 폭넓게 수용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 글은 불필요한 삽입구(예: "separate from (and forever subordinate to)" 등)와 대명사 생략으로 인한 의미적 모호성을 포함하고 있어 독자의 이해를 방해합니다. 또한, 지나치게 복잡한 문장 구조로 인해, 핵심 주제와의 논리적 연결을 직접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 분석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지적하며, 문장별 분석과 빈칸 추론 문제의 정답을 명확히 도출합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이 지문은 빈칸이 지문의 맨 마지막에 위치하므로 “아래에서 위로” 독해해 올라가면서 단서를 찾으시면 됩니다.
위에 설명드린 Tip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기에 빈칸을 포함한 문장 2번의 해설 –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참고하여 순차적으로 지문을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2.
We must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ilm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bits. The term “children’s film” implies ownership by children — their cinema — but films supposedly made for children have always been ___________________, particularly in commercial cinemas. The considerable crossover in audience composition for children’s films can be shown by the fact that, in 2007, eleven Danish children’s and youth films attracted 59 per cent of theatrical admissions, and in 2014, German children’s films comprised seven out of the top twenty films at the national box office. This phenomenon corresponds with a broader, international embrace of what is seemingly children’s culture among audiences of diverse ages. The old prejudice that children’s film is some other realm, separate from (and forever subordinate to) a more legitimate cinema for adults is not supported by the realities of consumption: children’s film is at the heart of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 subordinate: 하위의
① centered on giving moral lessons ② consumed by audiences of all ages
③ appreciated through an artistic view ④ produced by inexperienced directors
⑤ separated from the cinema for adults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e must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ilm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bits.
주요 단어 정리
- explore: 탐구하다, 조사하다 (동의어: investigate, examine / 반의어: ignore, overlook)
- between A and B: A와 B 사이의
- relationship: 관계 (동의어: connection, association / 반의어: separation, detachment)
- production: 제작 (동의어: creation, manufacturing / 반의어: consumption, destruction)
- consumption: 소비 (동의어: use, expenditure / 반의어: conservation, saving)
- habit: 습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must explore/
- 우리는 탐구해야 합니다/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ilm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bits>].
- [관계를/ <아동 영화 제작과 소비 습관 사이의>].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문장 1에서는 앞으로 지문에서 다룰 부분을 진술하고 있습니다. 바로 “아동 영화 제작과 소비 습관 사이의 관계”입니다. 문장 2에서 추론한 답이 어느 정도 타당하다는 것 추론 가능합니다.
문장 2
The term “children’s film” implies ownership by children — their cinema — but films supposedly made for children have always been ___________________, particularly in commercial cinemas.
주요 단어 정리
- term: 용어
- imply: 암시하다, 내포하다 (동의어: suggest, indicate / 반의어: state, declare)
- ownership: 소유(권) (동의어: possession, proprietorship / 반의어: disownership, dispossession)
- cinema: 영화
- supposedly: 아마, 추정상, 이른바 (동의어: allegedly, purportedly / 반의어: actually, really)
- particularly: 특히 (동의어: especially, specifically / 반의어: generally, broadly)
- commercial cinema: 상업 영화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term “children’s film” implies/ [<ownership/ by children>/ —/ their cinema] —/
- "아동 영화"라는 용어는 암시합니다/ [<소유권을/ 아이들에 의한>/ 다시 말해/ 그들의 영화임을] —/
- but/ [films/ supposedly/ (which or that are) made/ for children]/ have always been ___________________,/ <particularly/ in commercial cinemas>.
- 하지만/ [영화들은/ 이른바/ 제작된/ 아이들을 위해]/ 항상 ___________________ 되어 왔습니다,/ <특히/ 상업적 영화(들)에서>.
어법 설명
- 동격 관계 표시: Dash(—)
- 문장 부호 “—”는 “<ownership/ by children>”와 “their cinema”가 동격 관계임을 표시합니다.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films/ supposedly/ (which or that are) made/ for children]"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film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이른바 아이들을 위해 만들어진 영화들“의 의미를 전달.
- 두 번째 문장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두 번째 문장의 주어는 ”films”로 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have always been“.
- 빈칸의 추론 1
- ”The term “children’s film” implies/ [<ownership/ by children>/ —/ their cinema]“의 표현에서 ”아이들의 영화“ = ”아이들만의 영화“의 의미가 추론되며, ”but“의 사용으로 ”아이들만의 영화가 아님“이 주장되어야 논리상 맞습니다. 이러한 의미적 논리 관계에 집중하면서, 보기를 확인하면, ”② consumed/ <by audiences/ of all ages>(모든 연령의 관객들에 의해 소비된)“의 의미만이 타당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②번으로 정답을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은 나머지 부분도 문장별로 분석하여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문장 1부터 설명하도록 합니다.
문장 3
The considerable crossover in audience composition for children’s films can be shown by the fact that, in 2007, eleven Danish children’s and youth films attracted 59 per cent of theatrical admissions, and in 2014, German children’s films comprised seven out of the top twenty films at the national box office.
주요 단어 정리
- considerable: 상당한 (동의어: significant, substantial / 반의어: negligible, trivial)
- crossover: 교차, 겹침 (동의어: overlap, intersection / 반의어: separation, divergence)
- audience: 관객
- composition: 구성, 조합 (동의어: structure, makeup / 반의어: disorganization, chaos)
- attract: 끌어들이다
- theatrical admissions: 영화관 입장객 수
- comprise: 차지하다, 구성하다 (동의어: rank, account for, take up)
- national box office: 국가 흥행 수익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considerable crossover/ <in audience composition/ for children’s films>]/
- [상당한 겹침(교차)은/ <관객 구성에서의/ 아동 영화에 대한>]/
- can be shown/
- 보여질 수 있습니다/
- [by the fact/ [that/ [in 2007/ <eleven Danish children’s and youth films>/ attracted/ <59 per cent/ of theatrical admissions>],/ and/ [in 2014/ German children’s films comprised/ <seven/ out of the top twenty films>/ at the national box office]]].
- [사실에 의해/ [[2007년에/ <11편의 덴마크 아동 및 청소년 영화들이>/ 끌어들였다는/ <59퍼센트를/ 영화관 입장객 수의>],/ 그리고/ [2014년에/ 독일 아동 영화들이 차지했다는/ <7편을/ 상위 20편의 영화(들) 중에서>/ 국가 흥행 수익에서]]].
어법 설명
- 수동태[조동사 + be + pp]
- “can be shown”에서 사용된 어법. "보여질 수 있다"의 의미로 수동태.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fact/ [that/ [in 2007/ <eleven Danish children’s and youth films>/ attracted/ <59 per cent/ of theatrical admissions>],/ and/ [in 2014/ German children’s films comprised/ <seven/ out of the top twenty films>/ at the national box office]]"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the fact“을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동격절 내의 두 개의 문장의 병렬 연결
- “[in 2007/ <eleven Danish children’s and youth films>/ attracted/ <59 per cent/ of theatrical admissions>]”와 “[in 2014/ German children’s films comprised/ <seven/ out of the top twenty films>/ at the national box offic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문장 3의 핵심 내용
- 문장 3에서 “특정 국가의 예로 아동 영화가 영화관 입장객 수 및 상위 영화 중 상당수를 차지했다는 내용”을 통해 간접적으로 “여러 연령 층”에 의해 소비되고 있음을 암시합니다.
문장 4
This phenomenon corresponds with a broader, international embrace of what is seemingly children’s culture among audiences of diverse ages.
주요 단어 정리
- correspond with~: ~와 일치하다 (동의어: align with, match / 반의어: conflict with, differ from)
- embrace: 수용, 포용 (동의어: acceptance, inclusion / 반의어: rejection, exclusion)
- seemingly: 겉보기에 (동의어: apparently, ostensibly / 반의어: actually, truly)
- diverse: 다양한 (동의어: varied, assorted / 반의어: uniform, identic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phenomenon corresponds/
- 이 현상은 일치합니다/
- [with a broader, international embrace/ [of what is seemingly children’s culture]/ <among audiences/ of diverse ages>].
- [더 광범위하고 국제적인 수용과/ [겉보기에 아동의 문화인 것의]/ <관객들 사이에서/ 다양한 연령대의>].
어법 설명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is seemingly children’s culture”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겉보기에 아동의 문화인 것“의 의미.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문장 4에서 명시적으로 “이동 영화가 다양한 연령층에 의해 소비되고 있음”을 진술합니다. 문장 2에서 아직 답을 ②번으로 선택하지 못했다면 이 문장에서 진술된 결정적 근거를 통해 정답을 ②번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문장 5
The old prejudice that children’s film is some other realm, separate from (and forever subordinate to) a more legitimate cinema for adults is not supported by the realities of consumption: children’s film is at the heart of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주요 단어 정리
- prejudice: 편견 (동의어: bias, stereotype / 반의어: fairness, impartiality)
- realm: 영역 (동의어: domain, field / 반의어: margin, periphery)
- separate from~: ~와 분리된
- subordinate: 하위의 (동의어: inferior, secondary / 반의어: superior, primary)
- legitimate: 합법적인, 정당한 (동의어: valid, lawful / 반의어: illegitimate, invalid)
- support: 지지하다
- reality: 현실
- consumption: 소비
- at the heart of~: ~의 중심에
-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현대의 대중 문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old prejudice/ [that children’s film is [some other realm,/ (that is) separate/ from (+a more legitimate cinema/ for adults)/ (and/ forever/ subordinate/ to)/ <a more legitimate cinema/ for adults(→it)>]]]/
- [오래된 편견은/ [아동 영화가 [다른 영역이라는,/ 분리된/ (+더 정당한 영화로부터/ 어른들을 위한)/ 그리고/ (영원히/ 하위라는)/ <더 정당한 영화(들)보다/ 성인들을 위한(→그것보다)>]]]/
- is not supported/ <by the realities/ of consumption>/
- 지지받지 못합니다/ <현실(들)에 의해/ 소비의>./
- :/ children’s film is/ <at the heart/ of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 즉/ 아동 영화는 있습니다/ <중심에/ 현대의 대중문화의>.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The old prejudice”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is not supported”.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old prejudice/ [that children’s film is [some other realm,/ (that is) separate/ from (+a more legitimate cinema/ for adults)/ (and/ forever/ subordinate/ to)/ <a more legitimate cinema/ for adults(→it)>]]]"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The old prejudice“을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명사구의 생략으로 인한 의미적 모호성 유발
- ”[some other realm,/ (that is) separate/ from (+a more legitimate cinema/ for adults)/ (and/ forever/ subordinate/ to)/ <a more legitimate cinema/ for adults(→it)>]“에서 전치사 ”from“의 목적어인 ”a more legitimate cinema/ for adults“를 생략함으로 인해 의미적 모호성이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 ”(and/ forever/ subordinate/ to)“이하에 사용된 명사구인, ”a more legitimate cinema/ for adults“ 대신, 대명사, ”it“를 사용하여, 이런 모호성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의 사용도 문장을 복잡하게만 할 뿐,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some other realm,/ (that is) separate/ from a more legitimate cinema/ for adults/ and/ forever/ subordinate/ to it]“이면 적절합니다. 시험을 어렵게 하기 위한 목적이겠지만, 언어의 목적이, 의사소통이라는 것이 간과되어서는 안 됩니다.
- 수동태[be + not + pp + (by[with/of/to]~)]
- “is not supported/ <by the realities/ of consumption>”에서 사용된 어법. "소비의 현실(들)로부터 지지받지 못합니다"의 의미로 수동태.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아동 영화는 단순히 아이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이는 현대 대중문화의 중심에 위치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빈칸 추론
- 문장 2에서 빈칸은 아동 영화가 "아이들을 위한 영화"로 간주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연령층이 소비한다는 주제와 연결됩니다.
- 문장 3~4에서 다양한 연령대의 관객이 아동 영화를 소비한다는 사실을 통해 빈칸이 "audiences of all ages(모든 연령층의 관객이 소비)"와 관련됨을 알 수 있습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② consumed by audiences of all ages”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아동 영화는 아이들만의 것이 아니다: 대중문화의 핵심으로 자리 잡다"
이 지문은 아동 영화가 단순히 어린이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연령대의 관객에게 소비되고 있으며, 현대 대중문화의 중심에 있다는 주제를 강조합니다. 특히, 상업적 성공 사례와 다양한 연령층에서의 수용을 통해 아동 영화에 대한 오래된 편견을 반박합니다.
하지만 불필요한 삽입구와 대명사 생략으로 인해 문장의 흐름이 방해받고, 독자의 직관적 이해를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한다면, 아동 영화의 대중적 위치와 영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입니다.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