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호기심이 창의성을 이끄는 원동력: 베토벤의 음악적 여정"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3번 문제는 베토벤의 음악적 진화를 통해 인간 창의성의 근본적인 원천으로 작용하는 호기심의 역할을 조명합니다. 지문은 호기심이 인간의 뇌에 보상을 제공하며 창작 과정에서의 새로운 시도를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합니다. 특히, 베토벤의 후기 소나타에서 드러난 독창성과 예측 불가능성은 그의 호기심이 새로운 음악적 패턴을 탐구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보여줍니다. 본 분석에서는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을 위한 논리적 접근법뿐 아니라,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위에 설명드린 Tip에 따라 분석을 진행하였기에 빈칸을 포함한 문장 6의 해설 –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참고하여 해설에 기술된 바대로 순차적으로 지문을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3.

Beethoven’s drive to create something novel is a reflection of his state of curiosity. Our brains experience a sense of reward when we create something new in the process of exploring something uncertain, such as a musical phrase that we’ve never played or heard before. When our curiosity leads to something novel, the resulting reward brings us a sense of pleasure. A number of investigators have modeled how curiosity influences musical composition. In the case of Beethoven, computer modeling focused on the thirty­two piano sonatas written after age thirteen revealed that the musical patterns found in all of Beethoven’s music decreased in later sonatas, while novel patterns, including patterns that were unique to a particular sonata, increased. In other words, Beethoven’s music _________________________ as his curiosity drove the exploration of new musical ideas. Curiosity is a powerful driver of human creativity. [3점] * sonata: 악곡의 한 형식

① had more standardized patterns         ② obtained more public popularity

③ became less predictable over time ④ reflected his unstable mental state

⑤ attracted less attention from the critics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Beethoven’s drive to create something novel is a reflection of his state of curiosity.

주요 단어 정리

  • drive: 추진력, 동기 (동의어: ambition, motivation / 반의어: apathy, indifference)
  • novel: 새로운 (동의어: innovative, original / 반의어: conventional, familiar)
  • reflection: 반영, 반사 (동의어: representation, indication / 반의어: disconnection, concealment)
  • curiosity: 호기심 (동의어: inquisitiveness, interest / 반의어: indifference, apath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eethoven’s drive/ <to create/ something novel>]/ [is a reflection/ <of his state/ of curiosity>].
  • [베토벤의 추진력은/ <창조하기 위한/ 새로운 것을>]/ [반영입니다/ <그의 상태에 대한/ 호기심의>].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Beethoven’s drive”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
  • [Beethoven’s drive/ <to create/ something novel>]”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Beethoven’s drive”를 수식.
  • 부정 대명사 + 형용사
  • 부정 대명사(~thing)은 형용사가 후치 수식합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베토벤 창작의 추진력 = 베토벤의 호기심”의 관계입니다.

문장 2

Our brains experience a sense of reward when we create something new in the process of exploring something uncertain, such as a musical phrase that we’ve never played or heard before.

주요 단어 정리

  • experience: 경험하다 (동의어: undergo, encounter / 반의어: avoid, miss)
  • reward: 보상 (동의어: compensation, gratification / 반의어: punishment, penalty)
  • a sense of reward: 보상의 느낌(보상감)
  • explore: 탐구하다
  • uncertain: 불확실한 (동의어: unclear, ambiguous / 반의어: certain, definite)
  • such as~: ~같은
  • musical phrase: 음악 구절
  • play: 연주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ur brains experience/ <a sense/ of reward>/
  • 우리의 뇌는 경험합니다/ <느낌을/ 보상의(보상감을)>/
  • [when we create/ something new/ [in the process/ [of exploring/ [<something uncertain,/ such as a musical phrase>/ that we’ve never played or heard/ before]]]].
  • [우리가 창조할 때/ 새로운 무언가를/ [그 과정에서/ [탐구하는/ [<불확실한 무언가를/ 음악 구절 같은>/ 우리가 결코 연주하거나 들어본 적이 없는/ 이전에]]]].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we creat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부정 대명사 + 형용사
  • 부정 대명사(~thing)은 형용사가 후치 수식합니다.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는 “음악 구절 같은 불확실한 무언가를 탐구하는 것과 관련된 과정에서”를 의역하여 “음악 구정 같은 불확실한 무언가를 탐구하는 과정에서”로 번역이 되는 것입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something uncertain,/ such as a musical phrase>/ that we’ve never played or heard/ before]”에서 “선행사, ”that”은 선행사, “<something uncertain,/ such as a musical phrase>”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우리가 전에 결코 연주하거나 들어본 적 없는 음악 구절 같은 불확실한 무언가”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경험한 적이 없던 새로운 무언가에 대한 창작이 보상의 느낌을 준다는 내용”입니다.

문장 3

When our curiosity leads to something novel, the resulting reward brings us a sense of pleasure.

주요 단어 정리

  • lead to~: ~로 이어지다 (동의어: result in, cause / 반의어: prevent, block)
  • resulting: 결과로 생긴, 그로 인한
  • pleasure: 즐거움 (동의어: joy, satisfaction / 반의어: displeasure, dissatisfac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our curiosity leads/ to something novel],/
  • [우리의 호기심이 이어질 때/ 새로운 무언가로],/
  • the resulting reward brings/ us/ <a sense/ of pleasure>.
  • 그로 인한 보상이 가져다줍니다/ 우리에게/ <느낌을/ 즐거움의(즐거운 느낌을)>.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our curiosity leads/~]”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새로운 무언가의 시도는 즐거움을 가져다 준다는 내용”입니다.

문장 4

A number of investigators have modeled how curiosity influences musical composition.

주요 단어 정리

  • a number of~: 수많은~
  • investigator: 연구자, 조사자
  • model: 모형화하다, 설명하다 (동의어: simulate, represent / 반의어: distort, misrepresent)
  • influence: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affect, shape / 반의어: ignore, neglect)
  • composition: 작곡, 구성 (동의어: creation, arrangement / 반의어: destruction, disorganiz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number of investigators have modeled/ [how/ curiosity influences/ musical composition].
  • 수많은 연구자들이 모델링해(설명해) 왔습니다/ [어떻게/ 호기심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음악 작곡에].

어법 설명

  • 현재완료(have + pp) 시제
  • 과거부터 현재까지 연구가 지속되고 있음을 나타내어 계속적 용법에 해당합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curiosity influences/ musical composition]”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문장 4의 핵심 내용
  • “호기심이 음악 작곡에 영향을 미친다는 수많은 설명”입니다.

문장 5

In the case of Beethoven, computer modeling focused on the thirty-two piano sonatas written after age thirteen revealed that the musical patterns found in all of Beethoven’s music decreased in later sonatas, while novel patterns, including patterns that were unique to a particular sonata, increased.

주요 단어 정리

  • in the case of~: ~의 경우에
  • focus on~: ~에 초점을 맞추다 (동의어: concentrate on, emphasize / 반의어: overlook, ignore)
  • reveal: 밝혀내다, 드러내다
  • pattern: 패턴, 양식 (동의어: structure, motif / 반의어: randomness)
  • decrease: 감소하다
  • unique: 독특한 (동의어: distinctive, exceptional / 반의어: common, typical)
  • increase: 증가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e case/ of Beethoven>,/
  • <경우에,/ 베토벤의>,/
  • [computer modeling/ (which or that was) focused/ [on the thirty-two piano sonatas/ (which or that were) written/ after age thirteen]]/
  • [컴퓨터 모델링이/ 초점이 맞춰졌던/ [32곡의 피아노 소나타들에/ 쓰였던/ 13세 이후에]]/
  • revealed/ [that [the musical patterns/ (which or that were) found/ <in all/ of Beethoven’s music>]/ decreased/ in later sonatas],/
  • 밝혀냈습니다/ [[음악적 패턴들이/ 발견되었던/ <전부에서/ 베토벤 음악의>]/ 감소했음을/ 후기 소나타들에서],/
  • [while [novel patterns,/ [including patterns/ that were unique/ to a particular sonata]]/ increased].
  • [[새로운 패턴들이,/ [패턴들을 포함하는/ 독특했던/ 특정 소나타에만]]/ 증가했던 반면에].

어법 설명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총 세 곳
  • "[computer modeling(which or that was) focused/~]“와 ”the thirty-two piano sonatas/ (which or that were) writtenafter age thirteen“ 및 ”[the musical patterns/ (which or that were) found/ <in all/ of Beethoven’s music>]“에서 사용된 어법. 각각 선행사, ”computer modeling“, ”the thirty-two piano sonatas“, 및 ”the musical pattern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각각 ”~에 초점이 맞춰졌던 캄퓨터 모델링“, ”13세 이후에 쓰였던 32곡의 소나타들“, 및 ”베토벤 음악의 전부에서 발견되었던 음악적 패턴들“의 의미를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revealed[that ~]"에서 "that"은 동사, "reveal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양보의 부사절 “while + 주어 + 동사”
  • [while [novel patterns,/ [including patterns/ that were unique/ to a particular sonata]]increased]”에서 사용된 어법. “~이긴 하지만/~인 반면에”의 의미를 전달.
  • 빈칸 추론 2
  • 문장 5의 핵심 내용“베토벤의 음악적 패턴이 계속 새로운 패턴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밝힌 컴퓨터 모델링”입니다. 즉, “베토벤의 음악은 일정한 패턴이 없다는 것”이므로, 이 내용을 기반으로 보기를 확인하면, “③ became less predictable/ over time(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덜 예측 가능했다)”뿐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③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본 분석서는 문제를 푸는 방법도 전달하지만, 깊이 있는 지문 분석을 전달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부터 분석하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6

In other words, Beethoven’s music _________________________ as his curiosity drove the exploration of new musical ideas.

주요 단어 정리

  • in other words: 즉, 다시 말해서
  • curiosity: 호기심
  • drive: 이끌다, 추진하다 (동의어: propel, guide / 반의어: hinder, obstruct)
  • exploration: 탐구, 조사 (동의어: investigation, inquiry / 반의어: neglect, disregard)
  • musical ideas: 음악적 아이디어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other words,/ Beethoven’s music _________________________/
  • 즉/, 베토벤의 음악은/ _________________________/
  • [as his curiosity drove/ <the exploration/ of new musical ideas>].
  • [그의 호기심이 이끌었기 때문에/ <탐구를/ 새로운 음악적 아이디어들에 대한>].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In other words"
  • 문장 내에서 "즉, 다시 말해서"의 의미를 전달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이유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his curiosity drove/~]”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빈칸 추론 1
  • 서론에 기술한 바대로, 빈칸이 들어있는 문장인 문장 6부터 독해하면서 clue를 찾습니다. 접속부사구, “In other words”로 볼 때, 직전 문장에 “베토벤의 음악” 어떻다는 진술을 있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또한, “[as his curiosity drove/~]”의 진술로부터 “베토벤의 호기심”과 연관된 것임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를 염두에 두고, 문장 5를 독해하면서 clue를 찾도록 합니다.

문장 7

Curiosity is a powerful driver of human creativity.

주요 단어 정리

  • powerful: 강력한
  • driver: 추진력 (동의어: catalyst, motivator / 반의어: deterrent, obstacle)
  • creativity: 창의성 (동의어: inventiveness, originality / 반의어: rigidity, monoton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uriosity is <a powerful driver/ of human creativity>.
  • 호기심은 <강력한 추진력입니다/ 인간 창의성의>.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7의 핵심 내용
  • 주제문에 해당하며, “호기심은 인간 창의성의 강력한 추진력이라는 내용”입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호기심은 인간의 창의성을 이끄는 강력한 원동력이며, 베토벤의 음악적 탐구와 창작 과정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그의 후기 음악은 새로운 패턴을 실험하며 점차 예측하기 어려워졌습니다.

빈칸 추론

  • 문맥과 논리적으로 볼 때, 빈칸에는 "음악이 점차 예측하기 어려워졌다"는 내용을 담아야 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③ became less predictable over time”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호기심, 창의성의 열쇠를 돌리다"

지문은 베토벤의 후기 음악이 호기심을 동력으로 점차 예측하기 어려운 형태로 발전했음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호기심은 인간 창의성의 강력한 원천으로 작용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구하고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본 분석을 통해 독자들은 창의성과 호기심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학습 및 문제 풀이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과학적 개념의 논리적 전개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