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측정 가능성과 의미의 간극: 기술 전문가의 관점에서 본 목표 설정의 딜레마"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기술 전문가들이 의존하는 “구체적인 측정 방법(proxies)”이 실제 중요한 목표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음을 비판합니다. 저자는 정량화 가능한 단순한 측정 기준이 기술자들에게 편향(bias)을 만들어내며, 이를 통해 진정한 진전을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특히, 지문에서는 proxy가 "대리지표"가 아닌 "구체적인 측정 방법"으로 동격의 or을 통해 정의되고 있어 이를 올바르게 해석해야 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이러한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빈칸에 들어갈 답을 체계적으로 도출합니다.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100% 다 그렇지는 않지만,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따라서, 문장 6부터 설명을 시작합니다. 문장 6부터 천천히 설명을 따라 오시기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4.

Technologists are always on the lookout for quantifiable metrics. Measurable inputs to a model are their lifeblood, and like a social scientist, a technologist needs to identify concrete measures, or “proxies,” for assessing progress. This need for quantifiable proxies produces a bias toward measuring things that are easy to quantify. But simple metrics can take us further away from the important goals we really care about, which may require complicated metrics or be extremely difficult, or perhaps impossible, to reduce to any measure. And when we have imperfect or bad proxies, we can easily fall under the illusion that we are solving for a good end without actually making genuine progress toward a worthy solution. The problem of proxies results in technologists frequently ________________________. As the saying goes, “Not everything that counts can be counted, and not everything that can be counted counts.” [3점] * metric: 측정 기준

① regarding continuous progress as a valid solution
② prioritizing short­term goals over long­term visions
③ mistaking a personal bias for an established theory
④ substituting what is measurable for what is meaningful
⑤ focusing more on possible risks than concrete measures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echnologists are always on the lookout for quantifiable metrics.

주요 단어 정리

  • technologist: 기술 전문가
  • be on the lookout for~: ~을 찾고 있다, 주의 깊게 살피다 (동의어: seeking, searching for / 반의어: ignoring, neglecting)
  • quantifiable: 정량화할 수 있는 (동의어: measurable, countable / 반의어: immeasurable, unquantifiable)
  • metric: 측정 기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echnologists are always on the lookout/ for quantifiable metrics.
  • 기술 전문가들은 항상 찾고 있습니다/ <정량화할 수 있는 측정 기준들을>.

어법 설명

  • 관용 표현
  • 문장 1에서 “be on the lookout for~”는 "찾고 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빈칸의 추론 4
  • 문장 1은 문장 6에서 기술된 적이 있는 “Technologists”들이 등장 하며, 정량화 가능한 측정 기준을 찾고 있는 Technologists“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제까지의 정보를 조합한 결과인, ”정량화할 수 있는 측정 방법을 가지고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지는 않다“는 내용을 기준으로 보기를 확인하면, ”④ substituting what is measurable for what is meaningful(측정 가능한 것으로 의미있는 것을 대체하는 것)“이 가장 가까워 보이나, 아직도 추론으로 선택한 것이기에, 문장 2를 읽고 정확한 근거를 찾도록 합니다.

문장 2

Measurable inputs to a model are their lifeblood, and like a social scientist, a technologist needs to identify concrete measures, or “proxies,” for assessing progress.

주요 단어 정리

  • measurable: 측정 가능한
  • input: 투입, 입력값 (동의어: data, contribution / 반의어: output, result)
  • lifeblood: 생명선, 필수 요소 (동의어: essence, cornerstone / 반의어: insignificance, irrelevance)
  • need to 부정사: ~해야 하다
  • identify: 확인하다
  • concrete: 구체적인 (동의어: specific, tangible / 반의어: abstract, vague)
  • measure: 조치, 정책, 양, 정도, (여기서는) 측정 방법(→a way of measuring)
  • or: ~라는
  • proxy: 프록시, (여기서는) 구체적인 측정 방법(=a concrete way of measuring)
  • assess: 평가하다
  • progress: 진척, 진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easurable inputs(→Inputting measured vlaues)/ to a model>/ are(→is) their lifeblood,/
  • <측정 가능한 입력들이(→측정된 값을 입력하는 것이)/ 모델에>/ 그들의(기술자들의) 생명선입니다,/
  • and/
  • 그리고/
  • like a social scientist,/ a technologist needs to identify/ [<concrete measures(→ways/ of measuring), or “proxies,”>/ <for assessing/ progress>].
  • 사회 과학자들처럼,/ 기술 전문가는 확인해야 합니다/ [<구체적인 조치들(→측정 방법들)인,/ "프록시들“을>/ <평가하기 위한/ 진척을>].

어법 설명

  • 불명확한 의미의 어휘 사용 – 두 곳
  • 문맥상, 그리고 기본적으로 단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상(주요 단어 정리 참고), Measurable inputs(측정 가능한 입력값들)”은 Inputting/ measured values(측정된 값을 입력하는 것)”으로, 이로 인한 수의 일치를 위해서, are“는 is“로, ”measures(조치들)“은 ”ways/ of measuring(측정 방법들)“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이렇게 변경해야 문장 3과 문장 5와의 논리적 관계도 자연스럽습니다.
  • 동격 관계 표시 - or
  • <concrete measures(→ways/ of measuring)or “proxies,”>”에서 사용된 어법. “or”는 동격을 표시하며, “concrete measures(→ways/ of measuring)” = “proxies”인 관계를 설명합니다.
  • “~하기”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for assessing/ progress>“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for“의 목적어 역할. ”진척을 평가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빈칸의 추론 5
  • 문장 2의 핵심 내용은 ”엔지니어들에게 측정은 중요하다“는 의미를 전달하며, 이 문장으로부터, 정답을 ”④ substituting what is measurable for what is meaningful(측정 가능한 것으로 의미있는 것을 대체하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정답을 ④번으로 선택한 후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3

This need for quantifiable proxies produces a bias toward measuring things that are easy to quantify.

주요 단어 정리

  • need: 필요성
  • quantifiable: 정량화가 가능한
  • produce: 만들어내다, 야기하다 (동의어: generate, create / 반의어: eliminate, suppress)
  • bias: 편향 (동의어: prejudice, predisposition / 반의어: impartiality, neutrality)
  • measure: 측정하다
  • quantify: 수량화하다, 측정하다 (동의어: measure, calculate / 반의어: estimate, gu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need/ for quantifiable proxies>/ produces/ [a bias/ [toward measuring/ [things/ that are easy/ to quantify]]].
  • <이러한 필요성이/ 정량화가 가능한 구체적인 측정 방법들에 대한>/ 만들어냅니다/ [편향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것들을/ 쉬운/ 측정하기에]]].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is need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produces“.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toward measuring[things/ that are easy/ to quantify]]“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toward“의 목적어 역할. ”정량화 하기에 쉬운 것들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ings/ that are easy/ to quantify]”에서 “that”은 선행사, “things”을 수식하여, “정량화하기에 쉬운 것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측정이 기술자들에게 중요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편향이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한 내용으로 문장 4에서 이것이 복잡한 측정 기준이나 어떠한 특정한 측정 방법으로 제한하기가 어렵다는 내용으로 이어집니다. 지문 전반적으로 표현 방식에서 일반적인 어휘가 아닌 “나는 이런 의미로 썼으니 이해하는 것은 독자의 몫이다”라는 인상이 강한 글이며, 공적인 문서에 해당하는 모의고사에서는 특히나 지양해야 할 아주 바람직하지 않은 태도로 보입니다. 

문장 4

But simple metrics can take us further away from the important goals we really care about, which may require complicated metrics or be extremely difficult, or perhaps impossible, to reduce to any measure.

주요 단어 정리

  • metrics: 측정 기준들
  • further away: 더 멀리
  • take away from~: ~로부터 멀어지게 하다 (동의어: distract, separate / 반의어: bring closer, focus on)
  • care about~: ~에 대해 신경 쓰다
  • require: 요구하다. 필요로 하다
  • complicated: 복잡한 (동의어: complex, intricate / 반의어: simple, straightforward)
  • reduce: 줄이다, 환원하다 (동의어: simplify, condense / 반의어: expand, complic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simple metrics can take/ us/ further away/ [from the important goals/ (which or that) we really care about]/
  • 하지만/ 단순한 측정 기준들이/ 데려갈 수 있습니다/ 우리를/ 더 멀리/ [중요한 목표들로부터/ 그것들에 대해 우리가 정말로 신경 쓰는],/
  • , which [may require/ complicated metrics]/ or/ [(may) be extremely difficult, or perhaps impossible,/ <to reduce/ to any measure(to limit/ any specific metric(=any specific one))>].
  • 그리고 그것이/ [요구할 수도 있습니다/ 복잡한 측정 기준을]/ 혹은/ [매우 어렵거나 아마도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줄이기에/ 어떠한 척도로든>].

어법 설명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important goals/ (which or that) we really care about”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은 선행사, “the important goals”를 수식하여 “우리가 그것들에 대해서 정말로 신경 쓰는 중요한 목표들”의 의미를 전달.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the important goals/ about which we really care”로 변경하여 해석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 which [may require/ complicated metrics]or[(may) be extremely difficult, or perhaps impossible,/ to reduceto any measure(to limit/ any specific metric(=any specific one))>]”에서 사용된 어법. 여기서는, 앞 문장 전체를 수식하며, “접속사 + 대명사”로 해석합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may require/ complicated metrics]”와 “[(may) be extremely difficult, or perhaps impossible,/ to reduceto any measure(to limit/ any specific metric(=any specific one))>]”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뒤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하기에 / ~할 정도로 / ~할 만큼”
  • extremely difficult, or perhaps impossible,/ to reduceto any measure(to limit/ any specific metric(=any specific on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형용사구 "extremely difficult, or perhaps impossible"를 수식합니다.
  • 문맥상 의미가 너무 확대된 어휘 사용수정 필요성
  • 계속적 용법의 구조 및 의미에 의해 “any measure”는 “simple metrics”를 대체하는 표현이 와야 합니다. 원저자의 의도를 최대한 해치지 않는 선에서, “any specific metric(=any specific one)”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reduce(줄이다)”의 표현 역시 “한정하다”의 의미인 “limit”을 변경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 빈칸의 추론 3
  • 문장 6의 내용 “셀 수 있다고 해서 다 중요한 것은 아니다.”라는 내용을 기억하고, 문장 4에 진술된 내용으로 미루어 “센다”의 의미가 “측정한다”의 비유적 의미일 수 있다는 걸 추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장 6에서 가져온 문장은 “측정할 수 있다고 해서 다 중요한 것은 아니다.”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빈칸에 들어갈 어휘로 “딱히 이거다”라고 단정할 수가 없으므로, 독해 방향을 바꾸어 문장 1을 독해해서 clue를 찾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5

And when we have imperfect or bad proxies, we can easily fall under the illusion that we are solving for a good end without actually making genuine progress toward a worthy solution.

주요 단어 정리

  • imperfect: 불완전한 (동의어: flawed, defective / 반의어: perfect, flawless)
  • fall under~: ~의 영향을 받다, ~의 영향[지배]에 들어가다 (여기서는) ~에 빠지다(→fall into~)
  • illusion: 착각, 환상 (동의어: delusion, misconception / 반의어: reality, truth)
  • genuine: 진정한 (동의어: authentic, real / 반의어: fake, false)
  • worthy: 가치 있는 (동의어: valuable, meritorious / 반의어: trivial, insignifica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when we have/ <imperfect or bad proxies>],/
  • 그리고/ [우리가 가질 때/ <불완전하거나 잘못된 대리 지표들을>],/
  • we can easily fall/ [under(→into) the illusion/ [that we are solving(→advancing)/ for a good end/ <without actually making/ genuine progress/ toward a worthy solution>]].
  • 우리는 쉽게 빠질 수 있습니다/ [착각에/ [우리가 해결하고(나아가고) 있다는/ 좋은 결과를(결말을) 향해/ <실제로는 만드는(이루는) 것 없이/ 진정한 진전을/ 가치 있는 해결책을 향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we hav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illusion/ [that we are solving(→advancing)/ for a good end/ <without actually making/ genuine progress/ toward a worthy solution>]"에서 "that"은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고 앞에 있는 명사 ”the illusion“을 설명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맥상 부정확한 표현의 정정 필요성
  • fall under~”는 “~의 영향을 받다”, “~의 영향[지배]에 들어가다”는 의미문맥상 “~에 빠지다”의 의미인 “fall into~”로 변경하는 것이 의미상 적절합니다.
  • 댓구 관계에 의한 어휘의 정정 필요성
  • <without actually making/ genuine progress/ toward a worthy solution>”의 표현으로 볼 때, solving”은 “나아가고 있는”의 의미인 “proceeding”, “going forward”으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빈칸의 추론 2
  • 문장 6의 내용 “셀 수 있다고 해서 다 중요한 것은 아니다.”라는 내용을 받을 수 있는 내용이 없으므로 문장 4에서 clue를 찾도록 합니다. 만약, 문장 5에서도 clue를 찾을 수 없다면, 독해 방향을 바꾸어, 문장 1부터 독해하면서 clue를 찾도록 합니다.

문장 6

The problem of proxies results in technologists frequently ________________________. As the saying goes, “Not everything that counts can be counted, and not everything that can be counted counts.”

주요 단어 정리

  • result in~: ~을 초래하다 (동의어: lead to, cause / 반의어: prevent, avoid)
  • substitute: 대체하다 (동의어: replace, exchange / 반의어: preserve, maintai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problem/ of proxies>/ results in/ [technologists/ frequently/ (who or that are) ________________________].
  • <문제는/ 구체적인 측정 방법들의>/ 초래합니다/ [기술 전문가들을/ 자주/ ________________________하고 있는].
  • [As the saying goes],/
  • [격언이 말하는 것처럼],/
  • [Not everything/ that counts]/ can be counted,/ and/ [not everything/ that can be counted]/ counts.”
  • [모든 것이/ 중요한]/ 다 셀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모든 것이/ 세어질(셀) 수 있는]/ 다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어법 설명

  • 첫 번째 문장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첫 번째 문장의 주어는 ”The problem”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results in“.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technologists/ frequently/ (who or that are) ________________________]“에서 사용된 어법. 사용된 보기가 모두 현재분사(V-ing)인 경우로, 선행사, "technologist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빈번하게 ~하고 있는 기술자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부분 부정
  • "[Not everythingthat counts]can be counted"와 "[not everythingthat can be counted]counts"는 부분 부정으로 "다 ~한 것은 아니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수동태[be + pp] - 두 곳
  • "can be counted"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세어질 수 있습니다"의 의미가 "셀 수 있습니다"로 의역됩니다.
  • 빈칸 추론 1
  • [Not everythingthat counts]can be counted,/ and[not everythingthat can be counted]counts."의 진술로부터 “셀 수 있다고 해서 모두 중요한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에 맞게 “technologists”를 수식하는 내용을 찾아야 합니다. 문장 5로 가서 clue를 찾아봅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기술 전문가들은 정량화 가능한 대리 지표를 사용하지만, 이는 실제 중요한 목표에서 멀어지게 하며,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지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빈칸 추론

  • 빈칸은 "측정 가능한 것(measurable)을 의미 있는 것(meaningful)으로 대체하는 문제"를 설명해야 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④ substituting what is measurable for what is meaningful"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구체적 측정 방법의 함정: 진정한 목표를 향한 여정"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기술 전문가들이 의존하는 “구체적인 측정 방법(proxies)”이 단순히 정량화 가능하다는 이유로 선택되고, 이로 인해 진정 중요한 목표를 잃을 위험성을 경고합니다. 단순한 측정 기준은 복잡하거나 측정 불가능한 요소들을 배제하며, 목표와 결과 간의 괴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저자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측정 가능한 것"을 "의미 있는 것"으로 대체하는 실수를 피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지문의 핵심은 구체적인 측정 방법(proxies)“의 올바른 사용과 그 한계에 대한 비판적 시각입니다. 따라서 빈칸의 정답은 "④ substituting what is measurable for what is meaningful"로, 기술 전문가들의 관행에 대한 저자의 경고와 완전히 부합합니다.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