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

이 글에서는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을 문장별로 철저히 분석하여 문제의 정답을 도출합니다. 이 지문은 인간이 음식에 향신료를 사용하는 독특한 특징과, 기후적 요인이 요리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룹니다. 특히, 병렬 구조와 관계대명사 사용, 분사구문 등 출제 가능성이 높은 어법 포인트를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문제 해결의 근거를 제시하고, 독해와 어법의 기초를 강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주제에서 벗어난 문장 찾기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주제에서 벗어난 문장 찾기 유형에 대한 단순한 Tip은 위에서 아래로 글을 독해하며 글이 주장하거나 설명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고 문장 간의 연결을 확인하며 독해하는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Human processes differ from rational processes in their outcome. A process is rational if it always does the right thing based on the current information, given an ideal performance measure. In short, rational processes go by the book and assume that the book is actually correct. ①Human processes involve instinct, intuition, and other variables that don’t necessarily reflect the book and may not even consider the existing data. ②As an example, the rational way to drive a car is to always follow the laws. ③Likewise, pedestrian crossing signs vary depending on the country with differing appearances of a person crossing the street. ④However, traffic isn’t rational; if you follow the laws precisely, you end up stuck somewhere because other drivers aren’t following the laws precisely. ⑤To be successful, a self‑riving car must therefore act humanly, rather than rationally.

문장별 분석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Human processes differ from rational processes in their outcome.

주요 단어 정리

  • processes: 과정, 절차 (동의어: methods, procedures / 반의어: outcomes, results)
  • differ from~: ~와 다르다 (동의어: vary from, diverge from / 반의어: resemble, match)
  • outcome: 결과 (동의어: result, consequence / 반의어: cause, origi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uman processes differ/ from rational processes/ in their outcome.
  • 인간의 과정들은 다릅니다/ 합리적 과정과는/ 그것들의(인간의 과정들의) 결과에서.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모호한 표현
  • 인간의 과정과 합리적 과정은 결과 면에서 다르다. 다만, “human process“와 ”rational process“의 표현은 상당히 모호해 보입니다. 이는 이후에 전체적인 글을 분석한 후 다시 한번 정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문장 2

A process is rational if it always does the right thing based on the current information, given an ideal performance measure.

주요 단어 정리

  • the right thing: 올바른 일
  • rational: 합리적인 (동의어: logical, reasonable / 반의어: irrational, illogical)
  • based on~: ~을 기반으로, ~에 근거하여
  • given~: ~을 고려하여
  • ideal: 이상적인 (동의어: perfect, optimal / 반의어: imperfect, flawed)
  • performance measure: 성과 측정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process is rational/
  • 과정은 합리적입니다/
  • [if it always does/ the right thing/ based on the current information,/ [given an ideal performance measure]].
  • [만약 그것이(과정이) 항상 수행한다면/ 올바른 일을/ 현재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적 성과 기준을 고려하여]].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it always does/ the right thing/~]”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독립 분사구문
  • "[given an ideal performance measure]"은 독립 분사구문으로 ‘~을 고려하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과정은 이상적인 성과 기준과 현재 정보를 바탕으로 올바른 일을 수행할 때 합리적이다.

문장 3

In short, rational processes go by the book and assume that the book is actually correct.

주요 단어 정리

  • in short: 요약하면 (동의어: briefly, in summary / 반의어: in detail, at length)
  • go: 진행되다
  • the book: 책, 기준, 규칙
  • go by the book: 규칙대로 하다 (동의어: follow the rules, stick to the manual / 반의어: improvise, break the rules)
  • assume: 가정하다 (동의어: presume, suppose / 반의어: doubt, verif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short,/ rational processes [go/ by the book]/ and/ [assume/ [that the book is actually correct]].
  • 요약하면,/ 합리적 과정은 [진행됩니다/ 규칙에 의해서(규칙대로 진행됩니다)]/ 그리고/ [가정합니다/ [그 규칙이 실제로 맞다고]].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goby the book]”와 “[assume[that the book is actually correct]]”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assume[that the book is actually correct]"에서 "that"은 동사, "assum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합리적 과정은 규칙에 따라 행동하며, 그 규칙이 정확하다고 가정한다.
  • 부적절한 어휘의 사용 & 무리가 있는 논리적 전개 
  • 현재까지 문장 1에서 의미상 다소 모호한(구체적이지 않은) “Human process“를 도입하여 ”rational process“와 비교하는 부분은 아쉽지만, ”rational process“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또 한가지 언급하자면, 합리적 프로세스가 규칙에 의해 진행되어야 한다는 근거 없이 이런 논리를 전개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이런 면에서, ”rational process“보다는 ”the process based on the principle(원칙에 기반한 프로세스)“더 적합해 보입니다. 이 부분 역시 이후에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문장 4

① Human processes involve instinct, intuition, and other variables that don’t necessarily reflect the book and may not even consider the existing data.

주요 단어 정리

  • involve: 포함하다 (동의어: include, incorporate / 반의어: exclude, omit)
  • instinct: 본능 (동의어: intuition, gut feeling / 반의어: reason, logic)
  • intuition: 직관 (동의어: insight, sixth sense / 반의어: analysis, deduction)
  • variable: 변수 (동의어: factor, element / 반의어: constant, fixed point)
  • necessarily: 반드시, 필연적으로
  • reflect: 반영하다
  • even: 심지어 (~조치도)
  • consider: 고려하다
  • existing: 기존의, 현존하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uman processes involve/ [[instinct],/ [intuition],/ and/ [other variables/ that <don’t necessarily reflect/ the book>/ and/ <may not even consider/ the existing data>]].
  • 인간의 과정은 포함합니다/ [[본능],/ [직관],/ 및/ [다른 변수들을/ <반드시 반영하지 않는/ 규칙을>/ 그리고/ <심지어 고려하지 않을 수도 있는/ 기존 데이터를>]].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1 – 세 개의 명사구를 and로 연결
  • [instinct]”, “[intuition]” 및 “[other variables/ that <don’t necessarily reflect/ the book>/ and/ <may not even consider/ the existing data>]”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이 부분을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설명입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other variables/ that <don’t necessarily reflect/ the book>/ and/ <may not even consider/ the existing data>”에서 “that”은 선행사, “other variables”을 수식하여, “규칙을 반드시 반영하지 않는 그리고 심지어 기존의 데이터를 고려하지 않을 수도 있는 다른 변수들”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2 – 관계절 내의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don’t necessarily reflect/ the book>”와 "<may not even consider/ the existing data>”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인간의 과정은 규칙이나 기존 데이터를 반드시 따르지 않는 본능, 직관, 그리고 변수를 포함한다.

문장 5

② As an example, the rational way to drive a car is to always follow the laws.

주요 단어 정리

  • example: 예시 (동의어: illustration, instance / 반의어: exception, anomaly)
  • rational: 합리적인 (동의어: logical, sensible / 반의어: irrational, unreasonable)
  • follow: 따르다 (동의어: obey, adhere to / 반의어: break, disregar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an example,/ [the rational way/ <to drive/ a car>]/ is to always follow/ the laws.
  • 예로써,/ [합리적 방법은/ <운전하는/ 차를>]/ 항상 따르는 것입니다/ 법(들)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the rational way/ <to drive/ a car>]”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rational way”를 수식.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the rational way”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is to always follow”.
  • be +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다만,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어법적으로 수용된 상태이나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be to 부정사와 같은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문장 5의 핵심
  • 차를 운전하는 합리적 방법은 항상 법을 따르는 것이다. 합리적인 과정의 예로 제시된 예입니다.

문장 6

③ Likewise, pedestrian crossing signs vary depending on the country with differing appearances of a person crossing the street.

주요 단어 정리

  • likewise: 마찬가지로
  • pedestrian: 보행자 (동의어: walker, passerby / 반의어: driver, rider)
  • pedestrian crossing sign: 보행자 횡단보도 표지판 
  • vary: 다르다, 다양하다 (동의어: differ, change / 반의어: remain, stay constant)
  • depending on~: ~에 따라서
  • differing: 상이한
  • appearance: 외관, 모습 (동의어: look, form / 반의어: disappearance, invisibility)
  • cross: 건너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Likewise,/ pedestrian crossing signs vary/ depending on the country/ [with differing appearances/ [of a person/ (who or that is) crossing/ the street]].
  • 마찬가지로,/ 보행자 횡단보도 표지판들은 다릅니다/ 나라에 따라서/ [상이한 모습들을 가지고/ [사람의/ 건너고 있는/ 도로를]].

어법 설명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a person/ (who or that is) crossing/ the street“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a persont“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 문장 6의 핵심 내용
  • 횡단보도 표지판은 나라마다 다르며, 사람의 모습도 다르게 표현된다. ③번 이후의 문장 6은 "횡단보도 표지판"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글의 주제인 "인간적 과정과 합리적 과정의 차이"와는 관련이 적으므로 관계가 없는 문장입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문장 7

④ However, traffic isn’t rational; if you follow the laws precisely, you end up stuck somewhere because other drivers aren’t following the laws precisely.

주요 단어 정리

  • traffic: 교통 (동의어: vehicles, transportation / 반의어: emptiness, stillness)
  • rational: 합리적인 (동의어: logical, reasonable / 반의어: irrational, unreasonable)
  • precisely: 정확히 (동의어: exactly, accurately / 반의어: vaguely, approximately)
  • stuck: 갇힌, 움직일 수 없는 (동의어: trapped, immobile / 반의어: free, movable)
  • somewhere: 어딘가에 (동의어: someplace / 반의어: nowhere)
  • because: 왜냐하면 (동의어: since, as / 반의어: therefore, he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traffic isn’t rational/
  • 그러나,/ 교통은 합리적이지 않습니다;
  • ;/ [if you follow/ the laws/ precisely],/
  • 다시 말해/ [만약 당신이 따른다면/ 법을/ 정확하게],/
  • you end up stuck/ somewhere/
  • 당신은 결국 갇히게 됩니다/ 어딘가에/
  • [because other drivers aren’t following/ the laws/ precisely].
  • [왜냐하면 다른 운전자들이 따르지 않기 때문에/ 법을/ 정확하게].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 follow/ the laws/ precisely]”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end up + 과거분사(stuck)“
  • "end up stuck"에서 사용된 어법. "결국 갇히게 되다"를 표현합니다.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other drivers aren’t following/~]”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문장 7의 핵심 내용
  • 교통은 합리적이지 않기 때문에, 당신이 법을 정확히 따르더라도 다른 운전자들이 지키지 않으면 결국 어딘가에 갇히게 된다. “인간의 과정”이 “합리적 과정”을 따를 경우의 문제를 대두합니다.

문장 8

⑤ To be successful, a self‑driving car must therefore act humanly, rather than rationally.

주요 단어 정리

  • successful: 성공적인
  • self-driving car: 자율 주행차 (동의어: autonomous vehicle / 반의어: manually-driven car)
  • therefore: 따라서, 그러므로 (동의어: thus, consequently / 반의어: however, nevertheless)
  • act: 행동하다 (동의어: behave, perform / 반의어: remain, idle)
  • humanly: 인간적으로 (동의어: empathetically, naturally / 반의어: mechanically, unemotionally)
  • rationally: 합리적으로 (동의어: logically, reasonably / 반의어: irrationally, emotion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be successful,/
  • 성공적이 되기 위해서,/
  • a self-driving car must, therefore, act/ humanly,/ rather than rationally.
  • 자율 주행차는, 따라서, 행동해야만 합니다/ 인간적으로,/ 합리적이라기보다는.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be successful”에서 사용된 용법.
  • 삽입 구조의 원칙
  • must, therefore, act”에서 접속부사 “therefore”는 조동사 “must”와 동사원형 “act” 사이에 삽입된 구조. 이는 영어의 일반적인 어순 규칙을 따릅니다. 이때, 앞뒤에 comma(,)를 넣어 분리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문장 8의 핵심 내용
  • 자율 주행차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으로 행동하기보다는 인간적으로 행동해야 한다.
  • “human process”와 “rational process”의 맥락상의 의미
  • 문장 4에서 제시된 인간의 '본능, 직관 및 변수들'은 자율 주행 자동차가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을 모방해야 하는 이유를 강조하며, 이는 단순히 'human process(인간의 과정)'의 표현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점을 뒷받침하여 'decision-making process of humans(인간의 의사결정 프로세스)'가 더 적절하다는 것을 뒷받침합니다.아울러, “human process”와 “rational process”의 비교보다는 “자율 주행 자동차”의 성공을 위해서,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human decision-making process)”이 '원칙에 기반한 의사결정 과정(decision making process based on the principle'보다는 자율 주행 자동차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논리로 전개되었어야 지문의 맥락상 적절합니다. 이렇게 볼 때, “rational process” 역시 “원칙에 기반한 의사 결정 과정(decision making process based on the principle)”으로 표현해야 전체적인 맥락상 더 적절합니다.
  • 전체적인 주제
  • 자율 주행 자동차의 성공은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을 모방하는 데 달려 있으며, 이는 원칙 기반의 의사결정 과정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현실의 복잡성을 고려하는 데 유용하다.
  • 논리적 전개의 문제
  • 지문의 논리적 전개는 앞서 진술한 주제에 맞게 진술해야 했으나 다소 혼란스럽고 핵심 주제와 관련 없는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어, 독자가 주장을 명확히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 이 이외의 맥락상 수정이 필요한 표현
  • 문장 7의 'traffic isn’t rational'은 맥락상 적절하지 않으므로, 이전 문장들과의 논리적 연결을 보강하거나 구체적인 근거를 추가하여 수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지문에 대한 전체적인 판단
  • 이 지문은 논리적 전개와 어휘 사용이 글의 설득력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지문은 “인간의 의사결정 과정(human decision-making process)”과 “원칙에 기반한 의사결정 과정(rational decision-making process)”의 차이를 설명하며, 현실의 복잡성을 다루는 인간적 과정이 자율 주행 자동차의 성공에 필수적임을 논의합니다.

관계없는 문장

  • ③번 문장
  • "Likewise, pedestrian crossing signs vary depending on the country with differing appearances of a person crossing the street."
  • 이 문장은 보행자 횡단보도 표지판의 다양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 하지만, 지문의 주제는 의사결정 과정의 차이와 자율 주행 자동차의 성공 조건에 대한 논의로, "횡단보도 표지판"에 대한 설명은 글의 핵심 논지와 관련이 없습니다.

지문의 가장 핵심적인 오류

  • 핵심 용어의 모호성
  • 지문에서 사용된 "human processes"와 "rational processes"라는 용어는 지나치게 일반적이고 추상적입니다.
  • 글의 핵심 논지가 의사결정 과정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이 용어를 "decision-making process of humans"와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the principle(원칙에 기반한 의사결정 과정)"으로 구체화했어야 합니다.
  • 이러한 용어의 모호성은 독자가 글의 주제를 명확히 이해하는 데 장애가 됩니다.
  • 논리적 전환 부족
  • 문장 7("Traffic isn’t rational")은 합리적 의사결정의 한계를 논의하는 중요한 문장이지만, 이전 문장들과의 논리적 연결이 부족합니다.
  • "왜 교통이 합리적이지 않은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하며, "human processes"와 "rational processes"를 교통 상황과 연결하는 전환 문장이 필요합니다.
  • 결론의 설득력 부족
  • 문장 8("To be successful, a self-driving car must therefore act humanly, rather than rationally.")은 자율 주행 자동차가 인간적 의사결정을 모방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 특히, 문장 4("Human processes involve instinct, intuition, and other variables")에서 제시된 인간적 의사결정 과정의 특성과 문장 8의 결론 간의 연결이 논리적으로 강화될 필요가 있습니다.

정답 제시

  • 정답으로는, ③번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결론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35번 문제 해설

이 문제는 글의 흐름과 논리적 전개를 분석해 관계없는 문장을 찾는 유형입니다. 지문은 인간적 의사결정 과정과 원칙에 기반한 의사결정 과정의 차이를 논의하며, 자율 주행 자동차의 성공 요인으로 인간적 의사결정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지문은 핵심 용어의 모호성과 논리적 연결 부족이라는 구조적 문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글의 설득력을 약화시킵니다.

또한, ③번 문장은 주제에서 벗어난 내용으로, 글의 논리적 흐름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번입니다.

이 분석을 통해 문제 풀이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와 비판적 독해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독해와 어법 실력을 동시에 강화하고, 시험 문제 풀이에 대한 자신감을 키울 수 있을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글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고, 빈칸 추론 및 연결 문제의 해법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독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