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이 글에서는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을 문장별로 철저히 분석하여 문제의 정답을 도출합니다. 지문은 가정 간호 관리 시스템의 도입과 그로 인한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논의하며, 특히 관리자와 노동자 간의 관점 차이를 통해 그 효과와 문제를 설명합니다.
순서 배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속부사(구), 관계대명사, 반복되는 키워드 등을 활용하며, 글의 논리적 흐름을 명확히 파악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각 문장을 청크로 나누어 분석하며, 정확한 어법 설명과 논리적 연결을 통해 글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순서 배열 문제(문장 삽입 포함)는 접속부사(구), 접속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와 지시 대명사, 반복되는 의미 등에 특히 유의하여 문장의 흐름을 파악해야 합니다. 다만, 이런 간단한 방법으로 순서 추론이 되지 않는 경우, “key words”를 파악하여 “brief scanning”을 통해 단락 간의 논리적 연결을 파악하도록 합니다. 이 문제는 후자에 해당합니다. 제시문의 설명부터 순차적으로 따라오시기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7.
In order to bring the everincreasing costs of home care for elderly and needy persons under control, managers of home care providers have introduced management systems.
(A) This, in the view of managers, has contributed to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 The home care workers, on the other hand, may perceive their work not as a set of separate tasks to be performed as efficiently as possible, but as a service to be provided to a client with whom they may have developed a relationship.
(B) These systems specify tasks of home care workers and the time and budget available to perform these tasks. Electronic reporting systems require home care workers to report on their activities and the time spent, thus making the distribution of time and money visible and, in the perception of managers, controllable.
(C) This includes having conversations with clients and enquiring about the person’s wellbeing. Restricted time and the requirement to report may be perceived as obstacles that make it impossible to deliver the service that is needed. If the management systems are too rigid, this may result in home care workers becoming overloaded and demotivated. [3점]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문
In order to bring the ever-increasing costs of home care for elderly and needy persons under control, managers of home care providers have introduced management systems.
주요 단어 정리
- in order to 부정사: ~하기 위하여, ~하도록
- ever-increasing: 계속 증가하는 (동의어: steadily growing, escalating / 반의어: declining, decreasing)
- cost: 비용
- home care: 가정 돌봄(간호), 요양
- elderly: 나이 든
- needy: 어려운, 도움이 필요한 (동의어: impoverished, disadvantaged / 반의어: wealthy, affluent)
- under control: 통제 아래로
- manager: 관리자
- home care provider: 가정 돌봄 제공자
- introduce: 도입하다 (동의어: implement, establish / 반의어: remove, abolish)
- management systems: 관리 시스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order to bring/ [<the ever-increasing costs/ of home care>/ <for elderly and needy persons>]/ under control],/
- [가져오기 위해서/ [<계속 증가하는 비용을/ 가정 돌봄(간호)의>/ <나이 들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한>]/ 통제 아래로],/
- <managers/ of home care providers>/ have introduced/ management systems.
- <관리자들이/ 가정 돌봄(간호) 제공자들의>/ 도입했습니다/ 관리 시스템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In order to bring/~]”에서 사용된 용법.
- 현재완료(have + pp) 시제
- “have introduced”에서 사용된 어법. 과거부터 현재 사이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 순서 추론 1
- 제시문에 대명사, 지시 형용사나 대명사, 접속부사나 반의 접속사 등 순서 추론에 필요한 내용이 없으므로, “key words” 및 연결되는 내용으로 추론해야 합니다. 제시문 내용으로부터 키워드를 뽑으면 “<the ever-increasing costs/ of home care>”와 “management systems”입니다. 둘 다 복수인 점을 고려하여, “brief scanning“하면, 단락 (B)에 ”These systems“이 제시문의 ”management systems“을 의미함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락 (B)로 이동하여 독해를 이어갑니다.
단락 (A)
This, in the view of managers, has contributed to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 The home care workers, on the other hand, may perceive their work not as a set of separate tasks to be performed as efficiently as possible, but as a service to be provided to a client with whom they may have developed a relationship.
주요 단어 정리
- contribute to~: ~에 기여하다
- resolution: 해결 (동의어: solution, settlement / 반의어: problem, complication)
- perceive: 인식하다 (동의어: regard, view / 반의어: ignore, overlook)
- not A but B: A가 아니라 B
- a set of~: 일련의~
- separate: 분리된 (동의어: distinct, individual / 반의어: combined, unified)
- as+형용사/부사+as possible: 가능한 한 그만큼 ~한/~하게
- efficiently: 효율적으로
- provide: 제공하다
- client: 고객
- may have+pp: ~었을지도 모르다
- develop: 발전시키다
- relationship: 관계 (동의어: connection, bond / 반의어: detachment, estrangeme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n the view/ of managers>,/ has contributed/ <to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
- 이것은(보고하는 것은),/ <관점에서는/ 관리자들의>,/ 기여했습니다/ <해결에/ 문제의>.
- The home care workers,/ on the other hand,/ may perceive/ their work/ not [as a set of separate tasks/ [to be performed/ <as efficiently/ as possible>]],/ but/ [as a service/ [to be provided/ [to a client/ with whom/ they may have developed/ a relationship]]].
- 가정 돌봄(간호) 노동자들은,/ 반면에,/ 인식할 수도 있습니다/ 그들의(노동자들의) 일을/ [일련의 별개의 작업들로서가 아니라/ [수행되어야 하는/ <그만큼 효율적으로/ 가능한 한>]],/ [서비스로서/ [제공되어야 하는/ [고객에게/ 그와(고객과) 함게/ 그들이(노동자들이) 발전시켰을지도 모르는/ 관계를]]].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현재완료(have+pp) 시제
- 이 문장의 주어는 ”This”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 has contributed“. 그러면서, ”과거부터 현재 사이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 접속부사구 "on the other hand"
- 문장 내에서 "반면에"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수동 부정사(to be pp)
- “a set of separate tasks/ [to be performed/~]”와 “a service/ [to be provided/~]”에서 사용된 용법. 각각 앞에 명사 “a set of separate tasks”와 "a service"를 수식. 그러면서, 수동 부정사로 각각 “수행되어야 할”과 “제공되어야 할”의 의미를 전달.
- 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 관계부사] + 완전한 문장
- "a client/ with whom/ they may have developed/ a relationship"에서 “with whom”은 선행사, “a client”를 수식하는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와 함께 관계를 발전시켰을지도 모르는 고객”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단락, (B)의 이상했던 부분 수정
- “This,/ <in the view/ of managers>,/ has contributed/ <to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로부터 관리자들의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락, (B)를 설명할 때 수정했던 부분인, “thus/ [making/ [[the distribution/ <of time and money>]/ visible]/ and,/ [in the perception/ of managers],/ controllable]]”는 “thus/ [making/ [the distribution/ <of time and money>]/ <visible and controllable>],/ <in the perspective/ of managers>(관리자의 관점에서는 시간과 돈의 분배를 보이고 통제 가능하게 만들면서]”로 변경해야 문맥상 적절합니다. 단락, (B)에서 수정하지 않고 여기에 기록을 남기는 것은 저도 집필을 하면서 같은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입니다.
- 순서 추론 3
- 단락 (C)의 “This“는 의미상 ”a service/ [to be provided/ [to a client/ with whom/ they may have developed/ a relationship]]“를 지시합니다. 그래야 단락 (C)에서 ”This“가 포함하는 내용이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B) - (A) - (C)“인 ②번을 정답으로 확정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계속해서 (C)를 분석하도록 하겠습니다.
단락 (B)
These systems specify tasks of home care workers and the time and budget available to perform these tasks. Electronic reporting systems require home care workers to report on their activities and the time spent, thus making the distribution of time and money visible and, in the perception of managers, controllable.
주요 단어 정리
- specify: 명시하다 (동의어: detail, define / 반의어: generalize, obscure)
- task: 업무, 임무, 과제
- home care worker: 가정 돌봄(간호) 노동자
- budget: 예산
- available: 사용(이용)이 가능한 (동의어: accessible, ready / 반의어: unavailable, inaccessible)
- perform: 수행하다
- electronic reporting system: 전자 보고 시스템
- require: 요구하다 (동의어: demand, necessitate / 반의어: allow, permit)
- visible: 보이는 (동의어: apparent, evident / 반의어: invisible, hidden)
- controllable: 통제 가능한 (동의어: manageable, governable / 반의어: uncontrollable, unmanageab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se systems specify/ [[tasks/ of home care workers]/ and/ [<the time and budget>/ available]/ <to perform/ these tasks>].
- 이러한 시스템들은 명시합니다/ [[업무들을/ 가정 돌봄(간호) 노동자들의]/ 그리고/ [<시간과 예산을>/ 사용(이용)이 가능한]/ <수행하기 위해서/ 이러한 업무들을>].
- Electronic reporting systems require/ home care workers/ [to report/ [on [their activities] and [the time/ (which or that was) spent]]],/
- 전자 보고 시스템들은 요구합니다/ 가정 돌봄(간호) 노동자들에게/ [보고하도록/ [[그들의 활동에 대해서]/ 그리고/ [시간에 대해서/ 소비된]]],/
- thus/ [making/ [[[the distribution/ <of time and money>]/ visible]/ and,/ [[in the perception(→the perception)/ of managers],/ controllable]]].
- 그렇게 하여/ [만들면서/ [[[분배를/ <시간과 돈의>]/ 보이게]/ 그리고,/ [[인식에서(→인식을)/ 매니저들의],/ 통제 가능하게]]].
어법 설명
- 명사구의 병렬 연결 – and로 연결
- 명사구 ”[tasks/ of home care workers]“와 ”[<the time and budget>/ availabl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동사, ”specify“의 목적어.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perform/ these tasks>”에서 사용된 용법.
- 5형식 문형 "requir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require/ home care workers/ [to report/~]“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require”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e time/ (which or that was) spent]“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e time“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a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사용된 시간“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 “[making/ [[[the distribution/ <of time and money>]/ visible]/ and,/ [[in the perception(→the perception)/ of managers],/ controllable]]]”은 “[while they mak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electronic reporting systems)”가 생략되고 동사 “make”가 “mak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병렬 연결 - 전치사 오류
- “[making/ [[[the distribution/ <of time and money>]/ visible]/ and,/ [[in the perception(→the perception)/ of managers],/ controllable]]]”애서 “목적어+목적격 보어“가 병렬 연결된 구조로 ”[[the distribution/ <of time and money>]/ visible]“와 ”[[in the perception(→the perception)/ of managers],/ controllable]“이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따라서, 전치사, ”in”은 의미상, 형태상 삭제되어야 적절합니다. 다만, 이렇게 변경해도 “[[in the perception(→the perception)/ of managers],/ controllable](관리자의 인식을 통제가능하도록)”의 의미는 다소 어색합니다. 이 의미는 다음 단락을 독해하며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순서 추론 2
- 단락 (B)의 마지막 부분의 “[in the perception/ of managers]”의 표현이 단락 (A)의 “in the view/ of managers”로 연결되며, 단락 (A)의 “This”는 단락 (B)의 “[to report/ [on [their activities] and [the time/ (which or that was) spent]]]”을 의미하며, “the problem”은 제시문의 “[<the ever-increasing costs/ of home care>/ <for elderly and needy persons>]”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단락 (A)를 독해하도록 합니다. 이미 순서는 정해져서 “(B) - (A) -(C)“의 순서인 것을 알 수 있지만, 계속 독해하도록 합니다.
단락 (C)
This includes having conversations with clients and enquiring about the person’s well-being. Restricted time and the requirement to report may be perceived as obstacles that make it impossible to deliver the service that is needed. If the management systems are too rigid, this may result in home care workers becoming overloaded and demotivated.
주요 단어 정리
- include: 포함하다 (동의어: contain, involve / 반의어: exclude, omit)
- enquire: 질문하다, 조사하다 (동의어: ask, investigate / 반의어: ignore, neglect)
- restricted: 제한된 (동의어: limited, confined / 반의어: unlimited, unrestricted)
- rigid: 경직된 (동의어: inflexible, strict / 반의어: flexible, lenient)
- demotivated: 의욕을 잃게 된(잃은) (동의어: discouraged, unmotivated / 반의어: encouraged, inspir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ncludes/ [<having/ conversations/ with clients>/ and/ <enquiring/ about the person’s well-being>].
- 이것은(보고하는 것은) 포함합니다/ [<가지는 것을/ 대화들을(대화하는 것을)/ 고객들과>/ 그리고/ <질문하는 것을/ 그 사람의 안녕에 대해>].
- [<Restricted time>/ and/ <the requirement/ to report>]/ may be perceived/ [as obstacles/ that make/ it/ impossible/ [to deliver/ [the service/ that is needed]]].
- [<제한된 시간이>/ 그리고/ <요구가/ 보고해야 할>]/ 인식될지도 모릅니다/ [장애물로서/ 만드는/ 그것을/ 불가능하게/ [제공하는 것을/ [서비스를/ 요구되는(필요한)]]].
- [If the management systems are too rigid],/
- [만약/ 관리 시스템들이 너무 경직되어 있다면],/
- this may result in/ [home care workers/ (who or that are) becoming overloaded and demotivated].
- 이것은 초래할지도 모릅니다/ [가정 간호 노동자들을/ 과부하가 걸리면서 의욕을 잃게 되고(잃고) 있는].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병렬 구조
- "<having/ conversations/ with clients>“와 ”<enquiring/ about the person’s well-being>“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includes“의 목적어 역할. 각각, ”고객들과 대화(들)를 가지는 것(대화하는 것)“과 ”그 사람의 안녕에 대해 질문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그러면서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
- “<the requirement/ to report>”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requirement”를 수식.
- 수동태[조동사 + be + pp]
- “may be perceived”에서 사용된 어법. "인식될지도 모른다"의 의미로 수동태.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obstacles/ that make/ it/ impossible”와 “[the service/ that is needed]”에서 “that”은 각각의 선행사, “obstacles”와 “the service”를 수식하여, 각각, “그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장애물들”과 “요구되는(필요한) 서비스”의 의미를 전달.
- It(가목적어) ~ to 부정사(진목적어) 용법
- “obstacles/ that make/ it/ impossible/ [to deliver/ [the service/ that is needed]]"에서 ”it“는 가목적어, ”[to deliver/~]”은 진목적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목적어)’와 ‘to 부정사(진목적어)“ 구조는 목적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the management systems are too rigid]”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수동 구분
- "[home care workers/ (who or that are) becoming overloaded and demotivated]“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home care worker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그러면서, ”becoming overloaded and demotivated“는 ”과부하가 걸리면서 의욕을 잃게 되고(잃고) 있는“의 의미로 수동태.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글은 가정 간호 관리 시스템 도입과 그로 인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논의합니다.
문제 풀이 과정
- 제시문
- 관리 시스템 도입 배경(비용 증가 문제 해결)을 설명하며 글의 전체 방향을 설정.
- 단락 (B)
-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 내용과 작동 방식을 설명.
- 관리자의 관점을 마지막에 진술
- 단락 (A)
- 관리자의 관점에서 비용 문제의 해결로 연결 후 관리자 간 관점 차이를 설명
- 노동자의 일을 서비스로 정의하여 단락 (C)의 "This"로 연결
- 단락 (C)
- 노동자에 의해 재공되는 서비스를 This로 연결.
- 노동자들이 느끼는 부정적 영향을 구체화.
정답 제시
- 따라서, “② (B) - (A) - (C)”가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은 가정 간호 관리 시스템의 도입 및 그 영향을 다루며, 제시문과 각 단락의 연결은 시스템의 도입 이유 → 시스템으로 인한 부작용 → 관리자와 노동자 간 관점 차이로 이어집니다.
정답은 “② (B) - (A) - (C)”이며, 이는 지문의 흐름과 논리적 구조를 가장 잘 반영합니다.
이 분석을 통해 주격 관계대명사, to 부정사의 용법, 병렬 구조 등 주요 어법 포인트를 익히고,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기를 바랍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한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생략된 모든 부분까지도 고려하여 설명하는 상세한 어법(분법) 설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법과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