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40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영어 40번 지문은 현대 사회에서 데이터 활용 문제와 의사결정 도구 개발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지문은 방대한 데이터가 인간의 이해를 초과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효율적인 데이터 분석 도구의 필요성을 통해 의사결정 과정을 개선할 방법을 제안합니다. 이 문제는 요약문의 빈칸을 추론하기 위해 본문과의 논리적 연계를 파악하는 독해력을 평가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와 청크(직독직해)식 분석법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을 통해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지문의 내용을 요약할 시 어떻게 빈칸을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지의 방법론을 제시하며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fastgrowing, tremendous amount of data, collected and stored in large and numerous data repositories, has far exceeded our human ability for understanding without powerful tools. As a result, data collected in large data repositories become “data tombs” — data archives that are hardly visited. Important decisions are often made based not on the information–rich data stored in data repositories but rather on a decision maker’s instinct, simply because the decision maker does not have the tools to extract the valuable knowledge hidden in the vast amounts of data.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expert system and knowledgebased technologies, which typically rely on users or domain experts to manually input knowledge into knowledge bases. However, this procedure is likely to cause biases and errors and is extremely costly and time consuming. The widening gap between data and information calls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tools that can turn data tombs into “golden nuggets” of knowledge.
* repository: 저장소 ** golden nugget: 금괴
As the vast amounts of data stored in repositories ___(A)___ human understanding, effective tools to ___(B)___ valuable knowledge are required for better decisionmaking.
(A) (B)
① overwhelm --- obtain
② overwhelm --- exchange
③ enhance ----- apply
④ enhance ---- discover
⑤ fulfill ------ access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4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요약문
As the vast amounts of data stored in repositories ___(A)___ human understanding, effective tools to ___(B)___ valuable knowledge are required for better decision-making.
주요 단어 정리
- vast: 방대한, 엄청난 (동의어: enormous, immense / 반의어: small, limited)
- the vast amount of~: 방대한 양의~
- repository: 저장소 (동의어: archive, storage / 반의어: disposal)
- overwhelm: 압도하다, 감당하기 어렵게 만들다 (동의어: overpower, dazzle / 반의어: underwhelm)
- effective: 효과적인 (동의어: efficient, successful / 반의어: ineffective, useless)
- tool: 도구 (동의어: instrument, device / 반의어: impediment, obstacle)
- valuable: 귀중한 (동의어: precious, worthwhile / 반의어: worthless, trivial)
- require: 필요로 하다, 요구하다 (동의어: need, demand / 반의어: dismiss, disregar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the vast amounts of data>/ (which or that are) stored/ in repositories]/ ___(A)___/ human understanding],/
-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소에]/ ___(A)___하기 때문에/ 인간의 이해를],/
- [effective tools/ <to ___(B)__/ valuable knowledge>]/ are required/ for better decision-making.
- [효과적인 도구들이/ <___(B)__하기 위한/ 귀중한 지식을>]/ 요구됩니다/ 더 나은 의사결정을 위해.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the vast amounts of data>/ (which or that are) stored/ in repositories]/ ___(A)___/ human understanding]”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e vast amounts of data>/ (which or that are) stored/ in repositories]“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e vast amounts of data>“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저장소들에 저장된 방대한 양의 데이터“의 의미를 전달.
- As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As 절의 주어는 ”<the vast amounts of data>”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___(A)___“.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
- “[effective tools/ <to ___(B)__/ valuable knowledg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effective tools”를 수식하여 “귀중한 지식을 ___(B)__하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수동태
- 이 문장의 주어는 ”effective tool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are required“. 그러면서, ”요구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빈칸의 추론
- ”[As [<the vast amounts of data>/ (which or that are) stored/ in repositories]/ ___(A)___/ human understanding]“의 내용으로부터, ”저장소들에 저장된 막대한 양의 데이터“와 ”인간의 이해“의 관계는 다른 문장을 보지 않아도, ”뛰어넘는다“ 내지는 ”초과한다“는 의미가 적절합니다. 보기를 보면, ”overwhelm(압도하나)“이 적절합니다. 또한. ”[effective tools/ <to ___(B)__/ valuable knowledge>]“의 의미로부터 ”귀중한 지식을 “얻기 위한(to gain)”인지 “교환하기 위한(to exchange)”인지 선택해야 하나 예문 만으로는 결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문장을 독헤하며 “clue”를 찾아 독해해야 합니다. 이때, 시간을 줄이는 방법은 “key words”를 뽑아 “brief scanning”하여 찾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key words”를 뽑으면, “effective tools”, “valuable knowledge”, “better decision-making”정도 입니다. 문장 3의 “[because the decision maker does not have/ [the tools/ [to extract/ [the valuable knowledge/ (which or that is) hidden/ in the vast amounts of data>]]]]”에서 “extract(추출하다)”를 대체할 수 있는 단어인 “얻기 위한(to gain)”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젤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독자에게 지문을 구성하고 있는 정확한 문장별 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므로, 문장 1부터 분석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1
The fast-growing, tremendous amount of data, collected and stored in large and numerous data repositories, has far exceeded our human ability for understanding without powerful tools.
주요 단어 정리
- fast-growing: 빠르게 증가하는 (동의어: rapidly expanding / 반의어: stagnant)
- tremendous: 엄청난 (동의어: enormous, massive / 반의어: tiny)
- amount: 양
- collect: 수집하다
- store: 저장하다
- numerous: 수많은
- far: 훨씬
- exceed: 초과하다, 능가하다 (동의어: surpass, outstrip / 반의어: fall short)
- human: 인간의
- ability: 능력 (동의어: capacity, skill / 반의어: inability)
- powerful: 강력한 (동의어: strong, effective / 반의어: weak)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fast-growing, tremendous amount of data,/ (which or that are) collected and stored/ [in <large and numerous> data repositories]],/
- [빠르게 증가하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는,/ 수집되고 저장되는/ [<크고 수많은> 데이터 저장소들 속에]],/
- has far exceeded/ [our human ability/ <for understanding/ (+the data)>]/ without powerful tools.
- 훨씬 초과했습니다/ [우리 인간의 능력을/ <이해하기 위한/ (+그 데이터를)>]/ 강력한 도구들 없이는.
어법 설명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e fast-growing, tremendous amount of data,/ (which or that are) collected and stored/ [in <large and numerous> data repositories]]“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e fast-growing, tremendous amount of data“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크고 수많은 저장소(들) 속에 수집되고 저장되는 빠르게 증가하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의 의미를 전달.
- “~하기”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for understanding/ (+the data)>“에서 사용된 용법. 전치사 ”for“의 목적어 역할. ”(+그 데이터를) 이해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understanding“을 ”이해“라는 명사로 보는 경우, ”이해를 위한“으로도 해석 가능합니다.
- 불완전한 표현의 보충 필요성
- ”<for understanding/ (+the data)>“에서, ”understanding“을 동명사의 의미인, ”이해하기“로 보는 경우, ”(+the data)”가 추가되어야 하며, 명사인, “이해”로 보는 경우 역시, “(+of the data)”가 추가되어야 적절합니다.
- 빈칸의 추론 (A)
- 이미 요약문에서 논리적 관계로 해답을 찾았지만, 문장 1의 “has far exceeded”의 표현으로부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표현인 “overwhelm(압도하다)”에 대한 근거를 제시합니다.
문장 2
As a result, data collected in large data repositories become “data tombs” — data archives that are hardly visited.
주요 단어 정리
- as a result: 결과적으로 (동의어: consequently, thus / 반의어: nevertheless)
- data tomb: 데이터 무덤 (의역: 거의 활용되지 않는 데이터 저장소)
- hardly: 거의 ~않는 (동의어: rarely, barely / 반의어: frequent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a result,/
- 결과적으로,/
- [data/ (which or that are) collected/ in large data repositories]/
- [데이터는/ 수집된/ 큰 데이터 저장소에]/
- become [“data tombs”]/ — [data archives/ that are hardly visited].
- [“데이터 무덤”]이 됩니다/ 즉/ [데이터 저장소가 (됩니다)/ 거의 방문되지 않는].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as a result"
- 문장 내에서 "결과적으로/그 결과"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data/ (which or that are) collected/ in large data repositories]“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data“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하며. ”큰 데이터 저장소에 수집된 데이터“의 의미를 전달.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data”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become“.
- 논리적 모순
- 현재의 문장은 ”data“ = ”data tombs“가 되는 논리적 모순이 발생합니다. ”large data repositories“ = ”data tombs“가 되어야 논리적 모순이 사라집니다. 따라서, 주어는 ”[Large data repositories/ (which or that are) storing/ data]“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수동태
- “[data archives/ that are hardly visited]”에서 “that”은 선행사, “data archives”를 수식하여, “거의 방문되지 않는(방문 받지 못하는) 데이터 저장소(들)”의 의미를 전달. 그러면서, “are hardly visited”는 “거의 방문되지 않다(방문받지 못하다)”의 의미로 수동태.
문장 3
Important decisions are often made based not on the information-rich data stored in data repositories but rather on a decision maker’s instinct, simply because the decision maker does not have the tools to extract the valuable knowledge hidden in the vast amounts of data.
주요 단어 정리
- decision: (의사) 결정
- based on~: ~에 근거해서
- information-rich: 정보가 풍부한 (동의어: data-heavy, well-informed / 반의어: information-poor)
- not A but B: A가 아니라 B
- rather: 오히려
- decision maker: 의사 결정자
- instinct: 본능 (동의어: intuition, gut feeling / 반의어: logic, reasoning)
- extract: 추출하다 (동의어: derive, pull out / 반의어: insert, embed)
- valuable: 귀중한 (동의어: precious, worthwhile / 반의어: worthless)
- hidden: 숨겨진 (동의어: concealed, obscured / 반의어: exposed, visib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mportant decisions are often made/ [based not(→not based)/ [on the information-rich data/ (which or that are) stored/ in data repositories]]/ [but/ rather/ (based) on a decision maker’s instinct],
- 중요한 결정들이 종종 내려집니다/ [근거해서가 아니라/ [정보가 풍부한 데이터에/ 저장된/ 데이터 저장소들 속에]]/ [오히려/ 결정권자의 본능에 근거해서],
- simply/ [because the decision maker does not have/ [the tools/ [to extract/ [the valuable knowledge/ (which or that is) hidden/ in the vast amounts of data>]]]].
- 단순히/ [결정권자가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도구들을/ [추출하기 위한/ [그 귀중한 지식을/ 숨겨진/ 엄청난 양의 데이터 속에]]]].
어법 설명
- 부정어(not) 사용의 오류
- 부정어인 “not“은 부정하고자 하는 말 앞에 사용합니다. 의미상 ”근거해서가 아니라“의 의미가 적절하므로 ”based not“은 ”not based“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 not A but B에 의한 병렬 구조
- ”[based not(→not based)/ [on the information-rich data/ (which or that are) stored/ in data repositories]]“와 ”[but/ rather/ (based) on a decision maker’s instinct]“는 “not A but B“ 용법으로 병렬 연결한 구조입니다.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1
- "the information-rich data/ (which or that are) stored/ in data repositories“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e information-rich data“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하며, ”데이터 저장소(들) 속에 저장된 정보가 풍부한 데이터“의 의미를 전달.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the decision maker does not have/~]”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
- “[the tools/ [to extract/ [the valuable knowledge/~]]]”에서 사용된 어법. 앞에 명사 “the tools”를 수식하여, “~한 지식을 추출할 도구들”의 의미를 전달.
- “~된 / ~되는 / ~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2
- "[the valuable knowledge/ (which or that is) hidden/ in the vast amounts of data>]“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the valuable knowledg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i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하며, ”방대한 양의 데이터 속에 숨겨진 그 귀중한 지식“의 의미를 전달.
- 빈칸의 추론 (B)
- 문장 3의 “[because the decision maker does not have/ [the tools/ [to extract/ [the valuable knowledge/ (which or that is) hidden/ in the vast amounts of data>]]]]”의 표현으로부터 “to extract(추출하기 위한)”를 대체할 수 있는 표현인 “to gain(얻기 위한)”을 추론하는 근거를 제시합니다.
문장 4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expert system and knowledge-based technologies, which typically rely on users or domain experts to manually input knowledge into knowledge bases.
주요 단어 정리
- effort: 노력 (동의어: attempt, endeavor / 반의어: neglect)
- develop: 개발하다
- expert system: 전문가 시스템 (특정 분야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 knowledge-based: 지식 기반의
- technology: 기술
- typically: 일반적으로
- rely on~: ~에 의존하다 (동의어: depend on, count on / 반의어: avoid, disregard)
- domain expert: 도메인 전문가
- manually: 수동으로 (동의어: by hand / 반의어: automatically)
- input: 입력하다
- Knowledge base: 지식 기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expert system and knowledge-based technologies>],/
-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습니다/ [개발하기 위해서/ <전문가 시스템과 지식 기반 기술을>]/
- , which typically rely/ <on users or domain experts>/ <to manually input/ knowledge/ into knowledge bases>.
- 그리고 그것은 일반적으로 의존합니다/ <사용자들이나 도메인 전문가에게>/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해서/ 지식을/ 지식 기반에>.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수동태 [have been pp]
- “have been made“에서 사용된 어법. "이루어져 왔다"는 계속의 의미로 수동태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develop/ <expert system and knowledge-based technologies>]”와 “<to manually input/ knowledge/ into knowledge bases>”에서 사용된 용법.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 which typically rely/~”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나 일부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로 해석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문장 4는 “효율적인 시스템을 만들기 위한 노력과 정보 입력의 한계”입니다.
문장 5
However, this procedure is likely to cause biases and errors and is extremely costly and time consuming.
주요 단어 정리
- procedure: 절차 (동의어: process, method / 반의어: outcome)
- b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높다
- bias: 편향 (동의어: prejudice, partiality / 반의어: fairness)
- costly: 비용이 많이 드는 (동의어: expensive / 반의어: cheap)
- time consuming: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 그러나,/
- this procedure [is likely to cause/ <biases and errors>]/ and/ [is extremely costly and time consuming].
- 이 절차는 [초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편향들과 오류들을>]/ 그리고/ [극도로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소모됩니다].
어법 설명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is likely to cause/ <biases and errors>]”와 “[is extremely costly and time consuming]”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뒤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논리상 근거의 부족
- 문장 5는 문장 4의 ”한계”에 대한 부연 설명입니다. 다만, 논리적으로 "[is likely to cause/ <biases and errors>](편향들과 오류들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에서 "<biases and errors>(편향들과 오류들)"에 대한 근거가 없습니다.
문장 6
The widening gap between data and information calls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tools that can turn data tombs into “golden nuggets” of knowledge.
주요 단어 정리
- widening gap: 커지는 격차 (동의어: growing disparity / 반의어: narrowing gap)
- between A and B: A와 B 사이의
- call for~: ~을 요구하다 (동의어: require, demand / 반의어: dismiss)
- systematic: 체계적인 (동의어: organized, methodical / 반의어: haphazard)
- turn into~: ~로 바꾸다 (동의어: transform, convert / 반의어: retai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widening gap/ <between data and information>]/ calls for/
- [커지는 격차가/ <데이터와 정보 사이의>]/ 요구합니다/
-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tools/ that can turn/ data tombs/ <into “golden nuggets”/ of knowledge>]].
- [체계적인 개발을/ [도구들의/ 바꿀 수 있는/ 데이터 무덤을/ <“금괴”로/ 지식의>]].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widening gap“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calls for“.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ools/ that can turn/ data tombs/ <into “golden nuggets”/ of knowledge>”에서 “that”은 선행사, “tools”을 수식하여, “데이터 무덤을 지식의 ”금괴“로 바꿀 수 있는 도구들”의 의미를 전달.
- 문장 6의 핵심 내용
- 문장 6은 “시스템 개발의 방향성”을 기술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지문의 핵심 주장
- 방대한 데이터는 인간의 이해 능력을 초과하여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며,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도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도구는 데이터 저장소의 잠재력을 발휘시켜, 의사결정을 개선하고 데이터에서 유용한 지식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빈칸 (A)의 추론
- 빈칸 (A) 추론
- 본문 문장 1에서 "has far exceeded our human ability for understanding without powerful tools"라는 표현은 데이터가 인간의 이해 능력을 압도(overwhelm)한다는 뜻입니다.
- 따라서 (A)에 적합한 단어는 "overwhelm"이 적절합니다.
- 빈칸 (B)의 추론
- 본문 문장 3에서 "to extract the valuable knowledge hidden in the vast amounts of data"라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 이 표현에서 "valuable knowledge"를 “획득(obtain)”하거나 추출해야 한다는 뜻을 알 수 있습니다.
- 따라서 (B)에 적합한 단어는 "obtain"이 적절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① overwhelm --- obtain”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40번 지문은 데이터 저장소에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쌓이지만, 인간의 이해를 초과하여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는 현실을 비판합니다. 효율적인 도구의 부재로 중요한 의사결정이 데이터가 아닌 본능에 의존하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체계적인 도구를 개발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데이터 무덤"을 귀중한 지식의 원천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본 문제는 요약문과 본문 내용을 연결하며 정답을 추론하는 과정을 통해 독자의 사고력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이 문제 유형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요약문의 빈칸 추론 유형의 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을 익힐 수 있기에 독해해 가면서 어휘력도 함양하고 논리적인 사고와 판단의 근거를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시길 당부드립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여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하는데 항상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