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41번과 42번 지문은 multitasking의 실체와 그 한계를 설명하며, 뇌의 기능과 연구 결과를 통해 다중 작업의 비효율성을 강조합니다. 이 글은 청소년과 관련된 오해를 바로잡고, multitasking이 두뇌 활동과 작업 효율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논리적으로 분석합니다.를 풀며 논리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편향과 의사결정의 관계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의미 해석과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정확한 문제 풀이 방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It’s untrue that teens can focus on two things at once — what they’re doing is shifting their attention from one task to another. In this digital age, teens wire their brains to make these shifts very quickly, but they are still, like everyone else, paying attention to one thing at a time, sequentially. Common sense tells us multitasking should (a) increase brain activity, but Carnegie Mellon University scientists using the latest brain imaging technology find it doesn’t. As a matter of fact, they discovered that multitasking actually decreases brain activity. Neither task is done as well as if each were performed (b) individually. Fractions of a second are lost every time we make a switch, and a person’s interrupted task can take 50 percent (c) longer to finish, with 50 percent more errors. Turns out the latest brain research (d) contradicts the old advice “one thing at a time.”

It’s not that kids can’t do some tasks simultaneously. But if two tasks are performed at once, one of them has to be familiar. Our brains perform a familiar task on “automatic pilot” while really paying attention to the other one. That’s why insurance companies consider talking on a cell phone and driving to be as (e) dangerous as driving while drunk — it’s the driving that goes on “automatic pilot” while the conversation really holds our attention. Our kids may be living in the Information Age but our brains have not been redesigned yet.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Multitasking Unveiled: What Really Happens in Teens’ Brains

② Optimal Ways to Expand the Attention Span of Teens

③ Unknown Approaches to Enhance Brain Development

④ Multitasking for a Balanced Life in a Busy World

⑤ How to Build Automaticity in Performing Tasks

42 밑줄 친 (a) ~ (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It’s untrue that teens can focus on two things at once — what they’re doing is shifting their attention from one task to another.

주요 단어 정리

  • untrue: 사실이 아닌 (동의어: false, incorrect / 반의어: true, accurate)
  • focus on~: ~에 집중하다 (동의어: concentrate on, pay attention to / 반의어: ignore, neglect)
  • at once: 한 번에, 동시에
  • shift: 이동하다, 전환하다 (동의어: switch, transfer / 반의어: remain, stay)
  • attention: 주의, 집중 (동의어: concentration, focus / 반의어: distraction)
  • task: 과제, 과업, 업무 (동의어: job, assignment / 반의어: leisure, res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s untrue/ [that teens can focus/ on two things/ at once]/
  • 그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청소년들이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은/ 두 가지를/ 한 번에]/
  • —/ [what they’re doing]/ is <shifting/ their attention>/ <from one task to another>.
  • 즉/ [그들이 하고 있는 것은]/ <전환하는 것입니다/ 그들의 주의를>/ <한 가지 과제(일)에서 다른 과제(일)로].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용법
  • It’s untrue/ [that~]”에서 ”It“는 가주어, ”that 절”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주어)’와 “that 절(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hat 절”을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they’re doing]”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그들이 하고 있는 것“의 의미.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shifting/ their attention>“에서 사용된 용법. 보어 역할. ”그들의 주의를 전환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문장 1의 핵심 내용
  •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하는 것 = 한 가지 일에서 다른 일로 주의를 전환하는 것“ 논조로 보면, 문제 제기의 성격이 강합니다.

문장 2

In this digital age, teens wire their brains to make these shifts very quickly, but they are still, like everyone else, paying attention to one thing at a time, sequentially.

주요 단어 정리

  • digital age: 디지털 시대
  • wire: 연결하다, (비유적으로) 프로그램하다 (동의어: connect, program / 반의어: disconnect, dismantle)
  • shift: 이동, 전환 (동의어: switch, transition / 반의어: permanence, stability)
  • make shifts: 전환(들)을 만들다(전환하다)
  • pay attention to~: ~에 주의를 기울이다 (동의어: focus on, concentrate on / 반의어: ignore, overlook)
  • sequentially: 순차적으로 (동의어: consecutively, in order / 반의어: random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is digital age,/
  • 이 디지털 시대에,/
  • teens wire/ their brains/ <to make/ these shifts/ very quickly>,/
  • 청소년들은 연결합니다/ 그들의 두뇌를/ <만들기 위해서(하기 위해서)/ 이러한 전환들을/ 매우 빠르게>,/
  • but/ they are still,/ like everyone else,/ paying attention/ to one thing/ at a time,/ sequentially.
  • 그러나 그들은 여전히,/ 다른 사람들처럼/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한 가지에/ 한 번에/ 순차적으로.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ake/ these shifts/ very quickly>”에서 사용된 어법. “만들기 위하여”가 “하기 위하여”로 의역됩니다.
  • 문장 2의 핵심 내용
  •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문장 3

Common sense tells us multitasking should (a) increase brain activity, but Carnegie Mellon University scientists using the latest brain imaging technology find it doesn’t.

주요 단어 정리

  • common sense: 상식 (동의어: general knowledge, good judgment / 반의어: ignorance, nonsense)
  • multitasking: 다중 작업
  • increase: 증가하다 (동의어: boost, raise / 반의어: decrease, reduce)
  • brain activity: 뇌 활동
  • brain imaging technology: 뇌 영상 기술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mmon sense tells/ us/ [(that) multitasking should (a) increase/ brain activity],/
  • 상식은 말해줍니다/ 우리에게/ [다중 작업이 (a) 증가시켜야 한다고/ 두뇌 활동을],/
  • but/ Carnegie Mellon University scientists,/ [using/ the latest brain imaging technology],/ find/ [(that) it doesn’t (increase/ brain activity)].
  • 그러나/ 카네기 멜론 대학교 과학자들은/ [사용하면서/ 최신 뇌 영상 기술을]/ 알아냅니다/ [그것이 그렇지 않다는 것을(두뇌 활동을 증가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1
  • "tells/ us/ [(that) multitasking should (a) increase/ brain activity]"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tells"의 직접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분사구문 & 삽입의 오류
  • [using/ the latest brain imaging technology]”은 “[while they us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Carnegie Mellon University scientists)”가 생략되고 동사 “use”가 “u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어법적으로, 구나 절을 삽입하는 경우, comma(,)를 사용하여 앞뒤로 분리해야 하나, 이 어법이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using/ the latest brain imaging technology],와 같이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2
  • "find[(that) it doesn’t (increase/ brain activity)]"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find"의 직접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대동사 doesn't
  • "[(that) it doesn’t (increase/ brain activity)]"에서 "doesn’t"는 대동사로 대동사 뒤에 "(increase/ brain activity)"가 생략된 것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isn't"나 "won't"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문장 3의 핵심 내용
  • ”Multitasking이 뇌의 활동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a)
  • but“의 의미”Carnegie Mellon University scientists“의 입증의 결과로 볼 때, ”(a) increase“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4

As a matter of fact, they discovered that multitasking actually decreases brain activity.

주요 단어 정리

  • as a matter of fact: 사실상 (동의어: in fact, actually / 반의어: supposedly, theoretically)
  • discover: 발견하다 (동의어: find, uncover / 반의어: lose, overlook)
  • decrease: 감소하다 (동의어: reduce, diminish / 반의어: increase, boos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a matter of fact,/
  • 사실상,/
  • they discovered/ [that multitasking actually decreases/ brain activity].
  • 그들은 발견했습니다/ [다중 작업이 실제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두뇌 활동을].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discovered[that~]"에서 "that"은 동사, "discover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4의 핵심 내용
  • ”Multitasking이 뇌의 활동을 오히려 감소시킨다“

문장 5

Neither task is done as well as if each were performed (b) individually.

주요 단어 정리

  • neither: 둘 다 아닌, 어느 ~도 아닌 (동의어: none, not either / 반의어: both, either)
  • as+형용사/부사+as+주어+동사: ~하는 것만큼 그만큼 ~한/~하게
  • perform: 수행하다 (동의어: carry out, execute / 반의어: neglect, abandon)
  • individually: 개별적으로 (동의어: separately, independently / 반의어: together, collective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either task is done/ as well/ [as if each were performed(→as each is performed)/ (b) individually].
  • 어느 과업도 수행되지 않습니다/ 그만큼 잘/ [마치 각각이 수행되는 것처럼(→각각이 수행되는 것만큼)/ (b) 개별적으로].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 & 의미상 오류
  • "[as if each were performed(→as each is performed)/ (b) individually]"는 가정법 과거로,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상황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의미적으로는 비교의 부사절 ”as+주어+동사“를 사용하여, ”각각이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것만큼 어느 과업도 그만큼 잘 수 수행되지는 않는다“로 표현되어야 적절합니다.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문장 5의 부연 설명에 해당됩니다. 즉, ”Multitasking이 뇌의 활동을 오히려 감소시킨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b)
  • “(b) individually”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 제목의 추론
  • 현재까지 진술된 내용이 “Multitasking”의 “두뇌 활동”에 지장을 준다는 내용으로, 보기를 확인하면, 이와 관련된 내용은 “① Multitasking Unveiled: What Really Happens in Teens’ Brains(밝혀진 멀티테스킹: 십대들의 뇐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따라서, 41번은 ⓘ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더 이상 신경 쓰지 않도록 합니다.

문장 6

Fractions of a second are lost every time we make a switch, and a person’s interrupted task can take 50 percent (c) longer to finish, with 50 percent more errors.

주요 단어 정리

  • fraction: 단편, 일부 (동의어: portion, fragment / 반의어: whole, entirety)
  • second: 초, 순간, 잠시
  • every time (when)~: ~할 때마다, ~하는 매번
  • make a switch: 전환하다
  • interrupt: 방해하다 (동의어: disrupt, disturb / 반의어: continue, sustain)
  • error: 오류 (동의어: mistake, fault / 반의어: accuracy, correctn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ractions/ of a second>/ are lost/ [every time/ (when) we make a switch],/
  • <단편들이/ 순간의>/ 손실됩니다/ [매번/ 우리가 전환하는(우리가 전환할 때마다)],/
  • and/ a person’s interrupted task can take/ 50 percent (c) longer/ to finish,/ with 50 percent more errors.
  • 그리고/ 한 사람의 방해받은 과업은 가져갈 수 있습니다(걸릴 수 있습니다)/ 50% (c) 더 오래/ 완료하기 위해서,/ 50% 더 많은 오류와 함께.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Fractions”로 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복수 형태인, ”are lost“.
  • 수동태[be + pp]
  • are lost”에서 사용된 어법. "손실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every time/ (when) we make a switch]"에서 생략된, “(when)”은 시간의 선행사, “every time”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우리가 전환하는 매번(전환할 때마다)”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can take/ 50 percent (c) longer/ to finish”에서 사용된 용법.
  • 어휘의 적절성 판단 (c)
  • “(c) longer”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7

Turns out the latest brain research (d) contradicts the old advice “one thing at a time.”

주요 단어 정리

  • turn out~: ~로 밝혀지다 (동의어: prove, become clear / 반의어: remain unknown)
  • contradict: 모순되다, 반박하다 (동의어: dispute, challenge / 반의어: agree with, suppor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urns out(→It turns out)/ [(+that) the latest brain research (d) contradicts(→supports)/ [the old advice/ “one thing/ at a time”]].
  • 밝혀졌습니다(→그것이 밝혀졌습니다)/ [최신 뇌 연구가/ (d) 반박한다는(→뒷받침한다는) 것을/ [오래된 조언을/ "한 가지라는/ 한 번에"]].

어법 설명

  • 어법적 오류
  • Turns out(→It turns out)/ [(+that)~]의 표현은It turns out/ [that ~]의 “It(가주어)”, “that 절(진주어)” 용법으로 표현해야 적절합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d)
  • “(d) contradicts는 문맥상 적절하지 않습니다. 문맥상, ”뒷받침하다“의 의미인 ”support“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8

It’s not that kids can’t do some tasks simultaneously.

주요 단어 정리

  • simultaneously: 동시에 (동의어: concurrently, at the same time / 반의어: separately, sequenti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s not/ [that kids can’t do/ some tasks/ simultaneously].
  • 그것은 아닙니다/ [아이들이 할 수 없다는 것은/ 일부 과제들을/ 동시에].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용법
  • It’s not[that~]”에서 ”It“는 가주어, ”that 절”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It(가주어)’와 “that 절(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hat 절”을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문장 9

But if two tasks are performed at once, one of them has to be familiar.

주요 단어 정리

  • perform: 수행하다 (동의어: carry out, execute / 반의어: neglect, ignore)
  • one of 복수명사: 복수명사 중 하나
  • have to 부정사: ~해야 하다
  • familiar: 익숙한 (동의어: well-known, accustomed / 반의어: unfamiliar, nove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if two tasks are performed/ at once],/
  • 그러나/ 만약 두 가지 작업이 수행된다면/ 한 번에,
  • <one/ of them>/ has to be familiar.
  • <하나는/ 그것들 중>/ 익숙해야 합니다.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two tasks are performedat once]”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 are performed”에서 사용된 어법. 수행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one”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has to be“.
  • 문장 9의 핵심 내용
  • ”두 가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때, 한 가지 작업은 익숙해야만 가능하다.”

문장 10

Our brains perform a familiar task on “automatic pilot” while really paying attention to the other one.

주요 단어 정리

  • automatic pilot: 자동 조종 장치, 자동 조종 모드, 비유적으로 무의식적 행동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ur brains perform/ a familiar task/ on “automatic pilot”/
  • 우리의 뇌는 수행합니다/ 익숙한 작업을/ “자동 조종 모드”로/
  • [while really paying attention/ to the other one].
  • [실제로 주의를 기울이면서/ 다른 하나에].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while really paying attentionto the other one]”은 “[while they pay attention/ to~]”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our brains)”가 생략되고 동사 “pay”가 “pay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문장 10의 핵심 내용
  • “익숙한 작업은 무의식적으로 수행되지만, 나머지 작업에는 실제로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강조”합니다.

문장 11

That’s why insurance companies consider talking on a cell phone and driving to be as (e) dangerous as driving while drunk — it’s the driving that goes on “automatic pilot” while the conversation really holds our attention.

주요 단어 정리

  • consider: 간주하다, 여기다 (동의어: regard as, deem / 반의어: disregard, overlook)
  • consider A to 부정사: A를 ~한 것으로 간주하다
  • dangerous: 위험한 (동의어: hazardous, perilous / 반의어: safe, secure)
  • drunk: 취한 (동의어: intoxicated, inebriated / 반의어: sober, clear-headed)
  • automatic pilot: 자동 조종 장치, 비유적으로 무의식적 행동
  • hold attention: 주의를 잡아두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at’s [(the reason)/ why insurance companies consider/ [<talking/ on a cell phone>/ and/ <driving>]/ [to be/ as (e) dangerous/ [as driving/ [while drunk]]]].
  • 그것이 [(그 이유)입니다/ 왜 보험 회사들은 간주하는지의/ [<통화하는 것을/ 전화 상으로>/ 그러면서/ <운전하는 것을>(전화상으로 통화하면서 운전하는 것을)]/ [그만큼 (e) 위험한 것으로/ [운전하고 있는 것만큼/ [술에 취해 있는 동안]]]].
  • —/ it’s [the driving/ that goes/ on “automatic pilot”]/ [while the conversation really holds/ our attention].
  • 즉/ 그것이 [운전입니다/ 진행되는/ “자동 조종 모드”로]/ [대화가 실제로 잡아두는 동안/ 우리의 주의를].

어법 설명

  • 선행사 “(the reason)“이 생략된 관계부사절
  • "[(the reason)/ why insurance companies consider/~]"는 이유의 선행사인 ”(the reason”이 생략된 관계부사절로, “보험회사들이 ~라고 고려하는 이유”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동시 동작의 병렬 구조
  • [<talkingon a cell phone>/ and/ <driving>]”에서 두 가지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짐을 병렬 구조로 표현합니다. 각각 동명사로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나 “통화하면서 운전하는 것”으로 의역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driving/ that goeson “automatic pilot”]”에서 “that”은 선행사, “the driving”을 수식하여, “자동 조종 모드에서 진행되는 운전”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 [as driving[while drunk]]”는 각각, 비교의 부사절, “[as one is driving]”과 시간의 부사절, “[while one is drunk]”의 종속절에서 각각의 주어 “one(사람)”이 생략되고, 각각의 동사 “is”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으로, “술에 취해 있으면서, 운전하고 있는 것만큼”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문장 11의 핵심 내용
  • “휴대전화 사용 중 운전은 음주 운전만큼 위험하며, 이는 운전이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고 대화가 실제로 주의를 차지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e)
  • "(e) dangerous"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12

Our kids may be living in the Information Age but our brains have not been redesigned yet.

주요 단어 정리

  • redesign: 재설계하다 (동의어: reform, restructure / 반의어: maintain, retai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ur kids may be living/ in the Information Age/ but/ our brains have not been redesigned/ yet.
  • 우리 아이들은 살고 있는지는 모릅니다/ 정보화 시대에/ 그러나/ 우리의 두뇌들은 재설계되지 않았습니다/ 아직.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수동태[have been + pp]
  • "have not been redesigned"는 "재설계되지 않았다"는 의미로 수동태이며, 완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41번 문제: 제목 선택

  • 핵심 주장
  • 이 글은 multitasking(다중 작업)의 한계를 지적하며, 청소년들이 동시에 여러 일을 수행한다고 믿는 것은 오해임을 설명합니다. 뇌는 한 번에 한 가지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으며, 다중 작업이 오히려 두뇌 활동을 감소시키고 효율성을 저하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합니다.
  • 정답 근거
  • 제목은 multitasking의 본질과 연구 결과를 정확히 반영해야 합니다.
  • 보기 중 ① Multitasking Unveiled: What Really Happens in Teens’ Brains이 가장 적절합니다.
  • 정답 제시
  • ① Multitasking Unveiled: What Really Happens in Teens’ Brains

42번 문제: 밑줄 친 단어의 적절성 판단

  • (a) increase
  • multitasking이 두뇌 활동을 증가시킨다는 일반적인 믿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문맥상 적절합니다.
  • (b) individually
  •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되었을 때 더 잘 수행된다"는 의미를 전달하며, 문맥상 적절합니다.
  • (c) longer
  • 작업이 방해받을 경우 50% 더 오래 걸린다는 내용으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 (d) contradicts
  • 최신 연구가 "한 번에 한 가지씩"이라는 오래된 조언을 반박한다고 표현하고 있지만, 문맥상 “뒷받침하다(support)”의 의미가 더 적절합니다. 따라서 부적절합니다.
  • (e) dangerous
  • 휴대전화 사용 중 운전이 음주 운전만큼 위험하다는 것을 표현하며, 문맥상 적절합니다.
  • 정답 제시
  • ④ (d)

결론

2024년 3월 고2 모의고사 41번과 42번 지문은 multitasking이 두뇌 활동을 증가시키지 않고, 오히려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합니다. 연구는 다중 작업이 뇌에 과도한 부담을 주며, 결국 작업 성과를 저하시킨다고 주장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multitasking의 한계를 이해하고, 효율적인 작업 방식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 지문은 학생들에게 논리적 사고의 중요성과 구조화된 판단 기준의 필요성을 상기시키며, 신뢰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문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어법(문법) 설명이 여러분의 문제 풀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