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40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영어 40번 지문은 “비언어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은 사람들이 서로의 감정과 관계를 전달하는 중요한 방식입니다. 특히, 사람들 사이의 물리적 거리(physical distance)는 관계의 친밀도를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는 내용입니다.
📌 2020년 3월 고2 모의고사 40번 문제는 사람들이 관계 상태에 따라 물리적 거리를 결정하며, 공간적 제약이 있을 경우 비언어적 방법으로 심리적 거리를 조절하는 방식을 다루고 있습니다.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와 청크(직독직해)식 분석법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을 통해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지문의 내용을 요약할 시 어떻게 빈칸을 논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지의 방법론을 제시하며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Distance is a reliable indic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eople. Strangers stand further apart than do acquaintances, acquaintances stand further apart than friends, and friends stand further apart than romantic partners. Sometimes, of course, these rules are violated. Recall the last time you rode 20 stories in an elevator packed with total strangers. The sardinelike experience no doubt made the situation a bit uncomfortable. With your physical space violated, you may have tried to create “psychological” space by avoiding eye contact, focusing instead on the elevator buttons. By reducing closeness in one nonverbal channel (eye contact), one can compensate for unwanted closeness in another channel (proximity). Similarly, if you are talking with someone who is seated several feet away at a large table, you are likely to maintain constant eye contact — something you might feel uncomfortable doing if you were standing next to each other.
* sardinelike: 승객이 빽빽이 들어찬 ** proximity: 근접성
Physical distance between people is ___(A)___ by relationship status, but when the distance is not appropriate, people ___(B)___ their nonverbal communication to establish a comfortable psychological distance.
① determined ····· adjust
② concealed ····· interpret
③ influenced ····· ignore
④ predicted ····· stop
⑤ measured ····· decrease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4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요약문
Physical distance between people is ___(A)___ by relationship status, but when the distance is not appropriate, people ___(B)___ their nonverbal communication to establish a comfortable psychological distance.
🔹 주요 단어 정리
- physical distance: 물리적 거리
- relationship status: 관계 상태
- appropriate: 적절한 (동의어: suitable, proper / 반의어: inappropriate, unsuitable)
- nonverbal communication: 비언어적 의사소통
- establish: 형성하다, 확립하다 (동의어: create, form)
- comfortable: 편안한
- psychological distance: 심리적 거리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hysical distance/ between people>/ is ___(A)___/ by relationship status,/
- <물리적 거리는/ 사람들 사이의>/ ___(A)___된다/ 관계 상태에 의해,/
- but/ [when the distance is not appropriate],/
- 그러나 거리가 적절하지 않을 때,/
- people ___(B)___/ their nonverbal communication/
- 사람들은 ___(B)___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 <to establish/ a comfortable psychological distance>.
- <확립하기 위해서/ 편안한 심리적 거리를>.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Physical distance”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 수동태[be + pp]
- “is ___(A)___”는 “~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the distance is not appropriat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clearly express/ <all the steps/ to take>]”에서 사용된 용법.
- ✅ 요약문의 핵심 내용
- ✔ 사람들의 물리적 거리는 관계 상태에 의해 결정되지만, 적절하지 않을 경우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해 조정함.
- 💡 🔍 빈칸 추론 1
- 관계 상태에 의해서 사람들 사이의 물리적 거리가 ___(A)___되는지를 찾아야 하는데, 빈칸 (B)와 관련된, “[when the distance is not appropriate]”의 내용과 “<to establish/ a comfortable psychological distance>”으로부터 빈칸 (A)에는 “① determined(결정된다)”나 “influenced(영향을 받는다)”가 적절해 보입니다. 다만, (B)의 경우,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의미가 파악되어야 정확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추론됩니다. 따라서, 문장 1로 이동하여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 문장 1
Distance is a reliable indic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eople.
🔹 주요 단어 정리
- reliable: 신뢰할 수 있는 (동의어: dependable, trustworthy / 반의어: unreliable)
- indicator: 지표, 척도 (동의어: sign, measure)
- relationship: 관계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Distance is [a reliable indic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people>].
- 거리는 [신뢰할 만한 지표입니다/ <관계의/ 두 사람 사이의>].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 거리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임.
- 💡 🔍 빈칸 추론 2
- 요약문의 내용을 반영하기는 하지만 구체적인 단서는 없으므로 문장 2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2
Strangers stand further apart than do acquaintances, acquaintances stand further apart than friends, and friends stand further apart than romantic partners.
🔹 주요 단어 정리
- stranger: 낯선 사람 (동의어: unfamiliar person)
- further: 더 멀리
- apart: 떨어져
- acquaintance: 아는 사람, 지인
- romantic partner: 연인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trangers stand/ further apart/ [than do acquaintances],/
- 낯선 사람들은 서 있습니다/ 더 멀리 떨어져/ [지인들이 하는 것보다],/
- acquaintances stand/ further apart/ than friends,/
- 지인들은 서 있습니다/ 더 멀리 떨어져/ 친구들보다,/
- and/ friends stand/ further apart/ than romantic partners.
- 그리고/ 친구들은 서 있습니다/ 더 멀리 떨어져/ 연인들보다.
🔹 어법 설명
- ✅ 비교의 부사절 “than + 동사 + 주어” - 도치 구문 & 대동사 do
- “[than do acquaintances]”에서 사용된 어법. 의미의 강조를 위해 도치된 구문입니다. 또한 “do”는 대동사로 “stand/ further apart”를 대신하기에 be 동사나 조동사로 대체할 수 없습니다.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 관계가 가까울수록 물리적 거리는 짧아진다.
- 💡 🔍 빈칸 추론 3
- 거리와 관계성의 관계는 명확히 제시되었지만, 요약문에서 가능성 있는 어휘로 추론한 “determined”나 “influenced”가 둘 다 가능하기에 빈칸 (B)의 어휘가 결정적인 단서가 될 것으로 추론됩니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의미하는 바를 파악하기 위해 문장 3으로 이동하여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 문장 3
Sometimes, of course, these rules are violated.
🔹 주요 단어 정리
- violate: 위반하다, 어기다, 침해하다 (동의어: break, disobey / 반의어: follow, comply with)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metimes,/ of course,/ these rules are violated.
- 때때로,/ 물론,/ 이러한 규칙들이 위반됩니다.
🔹 어법 설명
- ✅ 수동태[be + pp]
- “are violated”에서 사용된 어법. “위반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 물리적 거리 규칙은 항상 지켜지는 것은 아님.
- 💡 🔍 빈칸 추론 4
- 문장 3에서도 결정적인 단서는 없으므로 문장 4로 이동하여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 문장 4
Recall the last time you rode 20 stories in an elevator packed with total strangers.
🔹 주요 단어 정리
- recall: 떠올리다, 회상하다
- pack: 채우다
- packed with ~: ~로 채워진(가득 찬) (동의어: full of)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ecall/ [the last time/ (when) you rode/ 20 stories/ [in an elevator/ (which or that was) packed/ with total strangers]].
- 떠올려 보세요/ [마지막 때를/ 당신이 타고 갔던/ 20층을/ [엘리베이터에서/ 채워진(가득 찬)/ 낯선 사람들로]].
🔹 어법 설명
- ✅ 관계부사의 생략
- "the last time/ (when) you rode/ 20 stories"에서 생략된 “(when)”는 선행사, “the last time”을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당신이 20층을 타고 갔던 마지막 때”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an elevator/ (which or that was) packed/ with total strangers“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an elevator“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a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전부 낯선 사람들로 채워진(가득 찬) 엘리베이터“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 예외적인 상황(엘리베이터에서의 거리 제한)이 존재함을 강조.
- 💡 🔍 빈칸 추론 5
- 관계성이 낮은 낯선 사람들로 가득 찬 엘리베이터에서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기대하며 다음 문장으로 이동하여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 문장 5
The sardinelike experience no doubt made the situation a bit uncomfortable.
🔹 주요 단어 정리
- sardine-like: 정어리처럼 빽빽한 (동의어: overcrowded, packed)
- no doubt: 의심할 여지 없이 (동의어: undoubtedly, certainly)
- uncomfortable: 불편한 (동의어: uneasy, awkward / 반의어: comfortabl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sardine-like experience/ no doubt made/ the situation/ a bit uncomfortable.
- 정어리처럼 빽빽한 경험은/ 의심할 여지 없이 만들었습니다/ 그 상황을/ 약간 불편하게.
🔹 어법 설명
-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made/ the situation/ a bit uncomfortable”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 과밀한 환경(엘리베이터 안)이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준다.
- 💡 🔍 빈칸 추론 5
- 결정적인 단서가 없으므로 다음 문장으로 이동하여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 문장 6
With your physical space violated, you may have tried to create “psychological” space by avoiding eye contact, focusing instead on the elevator buttons.
🔹 주요 단어 정리
- violate: 침해하다, 위반하다 (동의어: invade, intrude on / 반의어: respect, maintain)
- may have+pp: (가정법 과거완료적 표현; 과거의 강한 추측) ~이었을지도 모르다
- psychological space: 심리적 공간
- avoid eye contact: 눈을 마주치는 것을 피하다
- focus on~: ~에 집중하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ith your physical space/ (which or that was) violated],/
- [당신의 물리적 공간과 함께/ 침해된(당신의 물리적 공간이 침해된 채)],/
- you may have tried/ <to create/ “psychological” space>/
- 당신은 시도했을 수도 있다/ <만들기 위해서/ ‘심리적’ 공간을>/
- <by avoiding/ eye contact>,/
- <피하는 것에 의해서(피함으로써)/ 눈 맞춤을>,/
- [focusing/ instead/ on the elevator buttons].
- [집중하면서/ 대신/ 엘리베이터 버튼(들)에].
🔹 어법 설명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의 “동사+ed[과거분사]” - 부대 상황
- "[With your physical space/ (which or that was) violated]“에서 사용된 어법. 선행사, ”your physical space“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ich or that was)“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침해된 당신의 물리적 공간과 함깨“의 의미를 전달. 다만, ”당신의 물리적 공간이 침해된 채로“의역합니다.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create/ “psychological” space>”에서 사용된 용법.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avoiding/ eye contact>“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by“의 목적어 역할. ”눈 맞춤을 피하는 것에 의해서(피함으로써)“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분사구문
- “[focusing/~]”은 “[while you focuse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you”가 생략되고 동사 “focused”가 “focu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 물리적 공간이 침해되면, 사람들은 심리적 공간을 만들기 위해 눈을 피하고 다른 곳에 집중한다.
- 💡 🔍 빈칸 추론 5
- 제시문부터 찾던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볼 수 있는 “시선 회피”가 제시되었습니다. 이 내용에 가장 부합하는 빈칸 (B)에 적합한 어휘는 “조정하다”의 의미인 “adjust”가 가장 적절합니다. 따라서,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7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7
By reducing closeness in one nonverbal channel (eye contact), one can compensate for unwanted closeness in another channel (proximity).
🔹 주요 단어 정리
- reduce closeness: 친밀도를 줄이다
- nonverbal channel: 비언어적 채널 (ex. 눈 맞춤, 신체 거리)
- compensate for~: ~을 보상하다 (동의어: make up for, offset)
- proximity: 근접성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y reducing/ closeness/ <in one nonverbal channel/ (eye contact)>],/
- [낮추는 것에 의해서(낮춤으로써)/ 친밀도를/ <하나의 비언어적 채널인/ (눈 맞춤에서)>],/
- one can compensate/ [for unwanted closeness/ <in another channel/ (proximity)>].
- 사람들은 보상할 수 있습니다/ [원치 않는 친밀도를/ <또 다른 채널에서의/ (물리적 거리라는)>].
🔹 어법 설명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reducing/~]“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By“의 목적어 역할. ”줄이는 것에 의해서(줄임으로써)“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7의 핵심 내용
- ✔ 사람들은 물리적 거리가 가까울 때, 눈을 피하는 등의 방법으로 심리적 거리를 확보한다.
📌 문장 8
Similarly, if you are talking with someone who is seated several feet away at a large table, you are likely to maintain constant eye contact — something you might feel uncomfortable doing if you were standing next to each other.
🔹 주요 단어 정리
- similarly: 유사하게 (동의어: likewise, in the same way)
- be seated: 앉히다(앉아 있다) (동의어: sit)
- maintain eye contact: 눈 맞춤을 유지하다
- constant: 지속적인 (동의어: continuous, stead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imilarly,
- 유사하게,/
- [if you are talking/ [with someone/ who is seated/ several feet away/ at a large table]],/
- [만약 당신이 이야기하고 있다면/ [누군가와/ 앉혀진(앉은)/ 몇 피트 떨어져/ 큰 테이블에서]]./
- you are likely to maintain/ [constant eye contact/ —/ [something/ (that) you might feel(→find) uncomfortable/ [doing/ (+it)]/ [if you were standing/ next to each other]]]/
- 당신은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속적인 눈 맞춤을/ 다시 말해서/ [무언가인/ 당신이 불편하다고 느낄(→여길)/ [하면서/ (+그것을)]/ [만약 당신이 서 있다면/ 서로 옆에]]]./
🔹 어법 설명
-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 are talking/~]”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someone/ who is seated/ several feet away/ at a large table”에서 “who”는 선행사, “someone”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큰 테이블에서 몇 피트떨어져 앉혀진(앉은) 누군가”의 의미를 전달.
- ✅ 수동태[be + pp]
- “is seated”에서 사용된 어법. "앉히다(앉다로 의역)"의 의미로 수동태.
-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의 생략 & 분사구문 – 어법적 오류
- “[something/ (that) you might feel(→find) uncomfortable/ [doing/ (+it)]~]”는 선행사인 “something“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이 생략된 구조이나 원문의 ”you might feel uncomfortable“은 완전한 문장으로 목적어를 취할 수 없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feel“은 목적어를 취하면서 같은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find”로 변경해야 어법상 적절하며, “[doing/ (+it)]”역시 분사구문으로 목적어 “(it)”를 추가해야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doing/ (+it)]”을 다시 쓰면, “[while you are doing/ it]”입니다.
- ✅ 가정법 과거
- “[something/ (that) you might feel(→find) uncomfortable/ [doing/ (+it)]/ [if you were standing/ next to each other]]”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현재 사실의 반대나 현재의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을 표현합니다. 가정법의 표준 표현은, “주어+would[should/could/might]+동사원형~, if+주어+과거형 동사[be 동사는 인칭에 상관없이 were]+~”의 문형입니다.
- ✅ 문장 8의 핵심 내용
- ✔ 사람들은 멀리 떨어져 있으면 눈 맞춤을 유지하지만, 가까이 있을 때는 불편하게 느낀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정리
- 이 지문의 핵심 내용은 사람들 간의 물리적 거리는 관계의 친밀도에 따라 결정되지만, 상황에 따라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조정하여 심리적 거리를 형성한다는 점입니다.
- 즉,
- ✔ 관계가 가까울수록 더 가까이 서고, 관계가 멀수록 더 멀리 선다.
- ✔ 그러나 밀집된 공간에서는 심리적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비언어적 조정을 한다.
- ✔ 이러한 조정 방식 중 하나가 ‘시선 회피’와 같은 전략이다.
📌 빈칸 (A) 추론
- “Physical distance between people is (A) by relationship status”
- ✅ 관계 상태에 따라 물리적 거리가 정해진다는 의미가 되어야 합니다.
- ✅ 선택지 중 “determined(결정된다)”와 “influenced(영향받는다)”가 적절한 후보입니다.
- ✅ 두 단어 만으로는 결정이 어려우나 단락 (B)에 의해 “determined(결정된다)”가 적절합니다.
📌 빈칸 (B) 추론
- “but when the distance is not appropriate, people (B) their nonverbal communication”
- ✅ ‘거리가 적절하지 않을 때’ 사람들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어떻게 한다’는 것인지를 파악해야 합니다.
- ✅ 앞서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 물리적 거리가 너무 가까운 경우 → 사람들은 시선 회피, 다른 곳에 집중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심리적 거리를 조절함.
- ✅ 즉, 사람들이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조정(adjust)’**한다는 의미가 되어야 합니다.
- ✅ 따라서, 정답은 adjust가 적절합니다.
📌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① determined ··· adjust”입니다.
결론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 능력 향상하기
📌 2023년 3월 고2 모의고사 40번 지문은 물리적 거리와 심리적 거리의 관계를 이해하고,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조정 방식을 논리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핵심 개념 요약
하지만 공간이 제약되는 상황에서는 심리적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비언어적 조정(예: 시선 회피)을 한다.
따라서, 빈칸 (A)에는 ‘determined(결정된다)’, 빈칸 (B)에는 ‘adjust(조정하다)’가 가장 적절한 선택지이다.
📌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단순한 해석을 넘어 논리적으로 빈칸을 추론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영어 독해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한 단어 뜻 암기가 아니라 문장의 논리적 흐름을 이해하는 것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 앞으로도 다양한 영어 문제 분석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익혀보세요!
📌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여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하는데 항상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