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 갈등이 창의성을 키울 수 있는가?
📌 논쟁은 언제나 부정적인 것일까요? 아니면 창의성을 발달시키는 중요한 요소일까요?
📌 많은 사람들이 갈등을 피하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건설적인 논쟁(constructive conflict)은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41번과 42번 지문에서는 갈등과 창의성의 관계를 탐구하며, 특히 라이트 형제의 사례를 통해 논쟁이 혁신을 이끄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의미 해석과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정확한 문제 풀이 방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Being able to have a good fight doesn’t just make us more civil; it also develops our creative muscles. In a classic study, highly creative architects were more likely than their technically competent but less original peers to come from homes with (a) plenty of friction. They often grew up in households that were “tense but secure,” as psychologist Robert Albert notes: “The creative persontobe comes from a family that is anything but (b) harmonious.” The parents weren’t physically or verbally abusive, but they didn’t shy away from conflict, either. Instead of telling their children to be seen but not heard, they (c) encouraged them to stand up for themselves. The kids learned to dish it out — and take it. That’s exactly what happened to Wilbur and Orville Wright, who invented the airplane.
When the Wright brothers said they thought together, what they really meant is that they fought together. When they were solving problems, they had arguments that lasted not just for hours but for weeks and months at a time. They didn’t have such (d) ceaseless fights because they were angry. They kept quarreling because they enjoyed it and learned from the experience. “I like scrapping with Orv,” Wilbur reflected. As you’ll see, it was one of their most passionate and prolonged arguments that led them to (e) support a critical assumption that had prevented humans from soaring through the skies.
* dish it out: 남을 비판하다 ** scrap with: ~과 다투다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② Lighten Tense Moments with Humor
③ Strategies to Cope with Family Stress
④ Compromise: A Key to Resolving Conflict
⑤ Rivalry Between Brothers: A Serious Crisis
42 밑줄 친 (a) ~ (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Being able to have a good fight doesn’t just make us more civil; it also develops our creative muscles.
🔑 주요 단어 정리
- be able to 부정사: ~할 수 있다 (동의어: can, have the ability to)
- fight: 싸움, 논쟁 (동의어: argument, conflict)
- civil: 예의 바른, 문명화된 (동의어: polite, courteous / 반의어: rude, impolite)
- develop: 발달시키다, 성장시키다 (동의어: enhance, improve)
- creative muscles: 창의력을 발휘하는 능력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eing able to have/ a good fight>/ doesn’t just make/ us/ more civil/
- 가질(할) 수 있는 것은/ 좋은 싸움을>/ 단순히 만들지는 않습니다/ 우리를/ 더 문명화되게/
- ;/ it also develops/ our creative muscles.
- 다시 말해서/ 그것은 또한 발달시킵니다/ 우리의 창의적 능력을.
📖 어법 설명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수의 일치
- "<Being able to have/ a good fight>“에서 사용된 어법. 주어 역할(단수 취급).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doesn’t just make“. ”좋은 싸움을 가질(할) 수 있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doesn’t just make/ us/ more civil”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 좋은 논쟁을 하는 능력은 단순히 우리를 더 예의 바르게 만들 뿐만 아니라 창의력을 키운다.
- 💡 🔍 제목 추론 1
- 논쟁(fight)과 창의력(creativity)의 관계를 강조하고 있으므로, "① The Power of Constructive Conflict(건설적 논쟁의 힘)"이 적절해 보입니다. 하지만 추가 문장을 분석하여 확신하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2
In a classic study, highly creative architects were more likely than their technically competent but less original peers to come from homes with (a) plenty of friction.
🔑 주요 단어 정리
- classic study: 고전적인 연구
- highly creative: 매우 창의적인
- architect: 건축가
- be more likely: 가능성이 더 높다
- technically competent: 기술적으로 능숙한
- original: 독창적인 (동의어: innovative, inventive)
- peer: 또래, 동료 (동의어: counterpart, colleague)
- plenty of~: 많은 (양의)~
- friction: 마찰, 갈등 (동의어: conflict, tension)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a classic study,/
- 고전적인 연구에서,/
- highly creative architects/ were more likely/ [than their <technically competent but/ less original> peers]/ to come/ [from homes/ <with (a) plenty of friction>].
- 매우 창의적인 건축가들은/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기술적으로 능숙하지만/ 덜 독창적인> 동료들보다]/ 나올/ [가정들로부터/ <많은 마찰을 가진>].
📖 어법 설명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결과] “~하게 되어(될)/~하게 되다니/결국 ~하게 된”
- “to come/ [from homes/ <with (a) plenty of friction>]”에서 사용된 용법. 형용사구 “more likely”를 수식.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 창의적인 건축가들은 마찰이 많은 가정에서 자랄 가능성이 더 높다.
- ✅ 어휘 적절성 판단 (a)
- "plenty of friction"은 "많은 마찰(싸움, 갈등)"이라는 의미로, 문장 1의 핵심 내용과 창의적인 사람들의 성장 환경이 갈등 속에서 형성되었다는 논지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a) plenty of friction은 문맥상 적절합니다.
- 💡 🔍 제목 추론 2
- 논쟁과 창의성의 관계를 강조하는 "① The Power of Constructive Conflict"가 더욱 유력해 보입니다.
📌 문장 3
They often grew up in households that were “tense but secure,” as psychologist Robert Albert notes: “The creative persontobe comes from a family that is anything but (b) harmonious.”
🔑 주요 단어 정리
- grow up: 성장하다
- household: 가정, 가구 (동의어: family, home)
- tense but secure: 긴장되지만 안정적인
- psychologist: 심리학자
- note: (중요하거나 흥미로운 것을) 언급하다
- anything but: 결코 ~이 아닌 (동의어: not at all)
- harmonious: 조화로운 (동의어: peaceful, balanced / 반의어: discordant, chaotic)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often grew up/ [in households/ that were "tense but secure,"]/
- 그들은 종종 자랐습니다/ [가정(들)에서/ “긴장되지만 안정적”이었던],/
- [as psychologist Robert Albert notes]/
- [심리학자 로버트 앨버트가 언급하듯이]/
- :/ “The creative person-to-be comes/ [from a family/ that is anything but (b) harmonious].”
- 즉/ "창의적인 사람이 될 사람은 나옵니다/ [가정으로부터/ 결코 조화롭지 않은."]
📖 어법 설명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households/ that were "tense but secure,""와 ”a family/ that is anything but (b) harmonious”에서 “that”은 각각의 선행사, “households”와 “a family”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각각 “긴장되지만 안정적”이었던”과 “결코 조화롭지 않은 가정”의 의미를 전달.
-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psychologist Robert Albert notes]”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 ✅ anything but + 형용사
- “anything but (b) harmonious”에서 사용된 어법. “anything but”은 완전한 부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결코 조화롭지 않은”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 창의적인 사람들은 긴장이 있지만 안정적인 가정에서 성장하며, 그들의 가정은 결코 조화롭지 않다.
- ✅ 어휘 적절성 판단 (b)
- “harmonious(조화로운)”는 “anything but(결코 ~이 아닌)”과 함께 사용되면서, 창의적인 사람들이 조화로운 가정에서 자라지 않았음을 강조하여 창의적인 사람들이 긴장된 환경에서 자란다는 논지와 연결됩니다. 따라서, (b) harmonious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 💡 🔍 제목 추론 3
- 창의성(creativity)과 논쟁(conflict)의 관계가 계속 강조되고 있으며, "① The Power of Constructive Conflict"가 가장 적절합니다.
📌 문장 4
The parents weren’t physically or verbally abusive, but they didn’t shy away from conflict, either.
🔑 주요 단어 정리
- physically: 신체적으로 (동의어: bodily, corporeally)
- verbally: 언어적으로 (동의어: linguistically)
- abusive: 학대하는, 폭력적인 (동의어: violent, cruel / 반의어: caring, kind)
- shy away from~: 피하다, 꺼리다 (동의어: avoid, evade / 반의어: confront, engage in)
- conflict: 갈등, 논쟁 (동의어: disagreement, dispute / 반의어: harmony, agreemen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parents [weren’t <physically or verbally> abusive],/
- 부모들은 [<신체적으로나 언어적으로> 학대하지는 않았습니다],/
- but/ they didn’t shy away/ from conflict,/ either./
- 그러나/ 그들은 피하지도 않았습니다/ 갈등을,/ 또한.
📖 어법 설명
- ✅ 부정문에서 “too”의 역할 - “either”
- “they didn’t shy away/ from conflict,/ either.”에서 사용된 어법. “either”는 부정문에서 “too(또한)”의 역할을 합니다. 부정문에서는 “또한”의 의미로, “too”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shy away from ~
- “didn’t shy away/ from conflict”에서 사용된 표현. "갈등을 회피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창의적인 사람이 되는 환경에서 갈등이 중요한 요소라는 논지를 뒷받침합니다.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 창의적인 사람들의 부모는 자녀를 학대하지는 않았지만, 갈등을 피하지도 않았다.
- 💡 🔍 제목 추론 4
- 논쟁과 창의성의 관계가 계속 강조되고 있으며, "① The Power of Constructive Conflict"가 더욱 적절해 보입니다. 실전에서는 41번 글의 제목은 ①번으로 정답을 선택하고 더 이상 신경 쓰지 않도록 합니다.
📌 문장 5
Instead of telling their children to be seen but not heard, they (c) encouraged them to stand up for themselves.
🔑 주요 단어 정리
- instead of~: ~대신에 (동의어: rather than)
- tell A to 부정사: A에게 ~하라고 말하다 (동의어: instruct, order)
- be seen but not heard: 보이되 들리지는(말을 하지는) 말라는 의미 (어린아이들에게 침묵을 강요하는 태도)
- encourage: 격려하다, 장려하다 (동의어: support, inspire / 반의어: discourage, dissuade)
- stand up for oneself: 스스로를 옹호하다, 방어하다 (동의어: defend oneself, assert oneself)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stead of telling/ their children/ <to be seen but/ not (to be) heard>,/
- 말하는 것 대신에/ 그들의 자녀들에게 / <보이되/ 들리게는 하지 말라고(말을 하지 말라고),/
- they (c) encouraged/ them/ <to stand up/ for themselves>.
- 그들은(부모들은) (c) 격려했습니다/ 그들을(자녀들을)/ <옹호하도록/ 그들(자녀들) 자신을>.
📖 어법 설명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Instead of telling/ their children/ ~“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구 ”Instead of“의 목적어 역할.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으로(것의)“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5형식 문형 "tell/encourag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telling/ their children/ <to be seen but/ not (to be) heard>“와 ”encouraged/ them/ <to stand up/ for themselves>“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tell”과 “encourage”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침묵을 강요하는 대신, 자기 의견을 주장하도록 장려했다.
- ✅ 어휘 적절성 판단 (c)
- “encouraged”는 아이들이 자기 주장을 할 수 있도록 독려했다는 의미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 문장 6
The kids learned to dish it out — and take it.
🔑 주요 단어 정리
- learn to 부정사: ~하는 것을 배우다
- dish it out: 남을 비판하다, 강한 의견을 내다 (동의어: criticize, argue aggressively)
- take it: (비판을) 받아들이다, 감수하다 (동의어: endure, tolerat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kids learned/ <to dish it out>/ —/ and/ <(to) take/ it>.
- 아이들은 배웠습니다/ <남을 비판하는 것을>/ —/ 그리고/ <비판을 받아들이는 것을>.
📖 어법 설명
-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learned/ <to dish it out>/ —/ and/ <(to) take/ it>”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learned”의 목적어 역할.
- ✅ 병렬 구조 – to 부정사구가 and로 연결된 병렬 구조 – dash(—) 삭제 필요
- “learned/ <to dish it out>/ —/ and/ <(to) take/ it>”에서 사용된 어법. to 부정사구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로 아무 역할도 하지 않는 dash(—)는 삭제해야 합니다.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 아이들은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반대 의견을 받아들이는 법도 배웠다.
📌 문장 7
That’s exactly what happened to Wilbur and Orville Wright, who invented the airplane.
🔑 주요 단어 정리
- exactly: 정확히, 바로 (동의어: precisely, absolutely)
- happen to ~: ~에게 일어나다
- invent: 발명하다 (동의어: create, devise)
- airplane: 비행기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at’s exactly [what happened/ [to <Wilbur and Orville Wright>/, who(→who) invented/ the airplane]].
- 그것이 정확하게 [일어났던 것입니다/ [<윌버와 오빌 라이트 형제>에게/, 그리고 그들이 발명했습니다/ 비행기를(→발명했던/ 비행기를)]].
📖 어법 설명
-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 [what happened/ [to <Wilbur and Orville Wright>/~]]”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했던 윌버와 라이트 형제에게 일어났던 것“의 의미.
-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의미상 제한적 용법의 사용 필요성
- “<Wilbur and Orville Wright>/, who(→who) invented/ the airplane”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나 일부(<Wilbur and Orville Wright>)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and they)”로 해석합니다. 이 때, “that”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여기서는 의미상 “<Wilbur and Orville Wright>/ who invented/ the airplane(비행기를 발명했던 윌버와 오빌 라이트 형제)”처럼 제한적 용법으로 쓰는 것이 더 바람직해 보입니다.
- ✅ 문장 7의 핵심 내용
- ✔ 라이트 형제도 어릴 때 논쟁하는 법을 배웠으며, 이는 창의적 사고로 이어졌다.
📌 문장 8
When the Wright brothers said they thought together, what they really meant is that they fought together.
🔑 주요 단어 정리
- Wright brothers: 라이트 형제 (비행기 발명가)
- thought together: 함께 사고했다
- mean: 의미하다 (동의어: signify, imply)
- fight together: 함께 논쟁하다, 다투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he Wright brothers said/ [(that) they thought/ together]],/
- [라이트 형제가 말했을 때/ [그들이 사고했다고/ 함께]],/
- [what they really meant]/ is [that they fought/ together].
- [그들이 실제로 의미했던 것은]/ [그들이 함께 논쟁했다는 것]입니다.
📖 어법 설명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the Wright brothers sai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aid/ [(that) they thought/ together]"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sai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they really meant]”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그들이 실제로 의미했던 것“의 의미.
-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is [that they fought/ together]"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문장 8의 핵심 내용
- ✔ 라이트 형제는 단순히 함께 생각한 것이 아니라, 논쟁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 논쟁이 창의적 문제 해결에 중요한 요소라는 점이 더욱 강조됩니다.
📌 문장 9
When they were solving problems, they had arguments that lasted not just for hours but for weeks and months at a time.
🔑 주요 단어 정리
- solve: 해결하다 (동의어: resolve, figure out)
- argument: 논쟁, 언쟁 (동의어: dispute, debate)
- last: 지속되다 (동의어: continue, endure)
- not just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도 (동의어: not only A but also B)
- at a time: 한 번에, 특정 기간 동안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hey were solving/ problems],/
- [그들이 해결하고 있었을 때/ 문제들을],/
- they had/ [arguments/ that lasted/ <not just for hours>/ <but for weeks and months>/ at a time].
- 그들은 가졌습니다/ [논쟁(들)을/ 지속되었던/ <단지 몇 시간 동안뿐만이 아니라>/ <몇 주, 몇 달 동안도/ 한 번에>].
📖 어법 설명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they were solving/~]”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rguments/ that lasted/ <not just for hours>/ <but for weeks and months>/ at a time]”에서 “that”은 선행사, “argument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단지 몇 시간 동안뿐만이 아니라 몇 주, 그리고 몇 달 동안까지도 지속되었던 논쟁들”의 의미를 전달.
- ✅ not just A but (also) B 구조
- “<not just for hours>/ <but for weeks and months>”에서 사용된 어법. 논쟁이 단순히 몇 시간이 아니라 몇 주, 몇 달 동안 지속됨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 ✅ 문장 9의 핵심 내용
- ✔ 라이트 형제의 논쟁은 짧은 시간이 아니라, 몇 주, 몇 달간 지속될 정도로 깊이 있는 것이었다. 논쟁의 지속성이 창의적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문장 10
They didn’t have such (d) ceaseless fights because they were angry.
🔑 주요 단어 정리
- ceaseless: 끊임없는 (동의어: unending, perpetual / 반의어: occasional, intermittent)
- fight: 다툼, 논쟁 (동의어: argument, dispute)
- angry: 화난 (동의어: furious, irritated / 반의어: calm, composed)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didn’t have/ such (d) ceaseless fights /
- 그들은 갖지 않았습니다/ 그러한 (d) 끊임없는 논쟁을/
- [because they were angry].
- [왜냐하면 그들이 화가 났기 때문에].
📖 어법 설명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they were angry]”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10의 핵심 내용
- ✔ 라이트 형제의 논쟁은 단순한 감정적인 다툼이 아니라, 생산적인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 ✅ 어휘 적절성 판단 (d)
- 문장 9에서 “논쟁이 몇 시간 동안뿐만 아니라 몇 주, 그리고 몇 달 동안도 지속되었다”고 진술하고 있으므로 “(d) ceaseless”는 의미상 적절합니다. (a) ~ (d)까지 사용된 어휘가 모두 적절했으므로, (e)를 확인하지 않아도 정답은 (e)이므로, 실전에서는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1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11
They kept quarreling because they enjoyed it and learned from the experience.
🔑 주요 단어 정리
- keep ~ing: 계속 ~하다 (동의어: continue, persist in)
- quarrel: 다투다, 논쟁하다 (동의어: argue, dispute)
- enjoy: 즐기다 (동의어: relish, take pleasure in)
- learn from~: ~에서 배우다 (동의어: gain knowledge from, be taught by)
- experience: 경험 (동의어: practice, exposur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kept quarreling/
- 그들은 계속 논쟁했습니다/
- [because they <enjoyed/ it>/ and/ <learned/ from the experience>].
- [왜냐하면 그들이 <즐겼기 때문에/ 그것을>/ 그리고/ <배웠기 때문에/ 그 경험으로부터>].
📖 어법 설명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they <enjoyed/ it>/ and/~]”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enjoyed/ it>”과 “<learned/ from the experienc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문장 11의 핵심 내용
- ✔ 논쟁은 단순한 싸움이 아니라, 즐겁게 배우는 과정이었다. 논쟁이 긍정적이며 학습의 일부였음을 강조함.
📌 문장 12
“I like scrapping with Orv,” Wilbur reflected.
🔑 주요 단어 정리
- scrap with~: ~와 다투다, 논쟁하다 (동의어: argue with, dispute with)
- reflect: 회상하다, 되돌아보다 (동의어: recall, contemplat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 like/ <scrapping/ with Orv>,”/ Wilbur reflected.“
- "저는 좋아합니다/ <논쟁하는 것을/ 오빌(Orv)과>,”/ 윌버가 회상했습니다.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12의 핵심 내용
- ✔ 윌버는 논쟁을 즐겼으며, 이것이 형제 간 협력의 중요한 요소였다. 논쟁을 즐기는 태도가 창의성 발달에 기여했다는 점을 강조.
📌 문장 13
As you’ll see, it was one of their most passionate and prolonged arguments that led them to (e) support a critical assumption that had prevented humans from soaring through the skies.
🔑 주요 단어 정리
- passionate: 열정적인 (동의어: enthusiastic, fervent / 반의어: indifferent, apathetic)
- prolonged: 장기간 지속된 (동의어: extended, lengthy / 반의어: brief, short-lived)
- argument: 논쟁, 토론 (동의어: dispute, debate / 반의어: agreement, consensus)
- lead A to 부정사: A를 ~하도록 이끌다 (동의어: guide, direct)
- support: 지지하다, 뒷받침하다 (동의어: advocate, uphold / 반의어: oppose, refute)
- reconsider: 재고하다
- challenge: 반박하다, 도전하다
- deny: 부인하다
- critical: 중요한, 중대한
- assumption: 가정, 추정
- critical assumption: 중요한 가정
- prevent A from B(~ing): A가 B하지 못하도록 막다 (동의어: hinder, prohibit / 반의어: allow, enable)
- soar: 날아오르다, 비상하다 (동의어: fly, ascend / 반의어: descend, plumme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you’ll see],/
- [당신이 알게 될 것처럼],/
- it was [one/ [of their most <passionate and prolonged> arguments/ that led/ them/ [to (e) support(→challenge, reconsider, deny)/ [a critical assumption/ that had prevented/ humans/ <from soaring/ through the skies>]]]]./
- 그것은 [하나였습니다/ [그들의 가장 <열정적이고 장기적인> 논쟁(들) 중/ 이끌었던 것은/ 그들을/ [지지하도록(→재고하도록, 반박하도록, 부인하도록)/ [중요한 가정을/ 막아왔었던/ 인간들을/ <날아오르지 못하도록/ 하늘을 가로질러>]]]].
📖 어법 설명
-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you’ll see]”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 ✅ “It + be 동사+ 강조어 + that 절“ - 강조 구문
- “it was [one/ [of their most <passionate and prolonged> arguments/ that led/ them/ [to~]]]”는 강조 용법으로, “one/ of their most <passionate and prolonged> arguments”를 강조하여 “그들을 ~하도록 이끌었던 것은 그들의 가장 열정적이고 장기적인 논쟁(들) 중 하나였다”의 의미를 전달. 그러면서, “that“은 주격 관계대명사.
- ✅ 5형식 문형 "lead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led/ them/ [to (e) support(→challenge, reconsider, deny)/~“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lead”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critical assumption/ that had prevented/ humans/ <from soaring/ through the skies>]”에서 “that”은 선행사, “a critical assumption”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인간을 하늘을 가로질러 날아오르지 못하도록 막아왔었던 중대한 가정”의 의미를 전달.
- ✅ 과거완료 시제 (had + pp)
- “had prevented”에서 사용된 어법. “대과거에서 과거까지의” 계속의 의미로 인간이 하늘을 날지 못하도록 막아왔었던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13의 핵심 내용
- ✔ 라이트 형제의 논쟁은 인간이 비행할 수 없다고 믿었던 기존의 가정을 반박하고 이를 극복하는 데 기여했다. 라이트 형제의 논쟁이 기존의 가정을 뒤집었다는 점을 강조해야 합니다.
- ✅ 어휘 적절성 판단 (e)
- 문맥상 “support (지지하다, 뒷받침하다)”는 논리적으로 부적절합니다. 논쟁을 통해 잘못된 가정을 수정한 것이므로, “반박하다(challenge)”, “재고하다(reconsider)”, 또는 “부정하다(deny)” 등으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41번 문제: 제목 선택
- ✔ 핵심 주장
- 갈등(논쟁)이 창의성을 키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창의적인 사람들은 단순히 조용하고 평온한 환경에서 성장한 것이 아니라, 긴장감과 논쟁 속에서 창의적 사고를 발전시켰다.
- 라이트 형제의 사례는 건설적인 논쟁(constructive conflict)이 혁신을 이끄는 원동력임을 보여준다.
- ✔ 정답 근거
- ① The Power of Constructive Conflict (건설적 논쟁의 힘)
- → 논쟁(fight)이 창의성 발달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주제와 가장 잘 맞음.
- ✔ 나머지 선택지 검토
- ② Lighten Tense Moments with Humor → "유머로 긴장 완화"라는 내용은 없음.
- ③ Strategies to Cope with Family Stress → 가족 내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전략이 아니라, 창의성 발달과 논쟁의 관계를 다루는 지문임.
- ④ Compromise: A Key to Resolving Conflict → 타협(compromise)이 아니라, 논쟁(conflict)의 긍정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내용이므로 부적절.
- ⑤ Rivalry Between Brothers: A Serious Crisis → 형제 간의 경쟁이 위기가 아니라 창의적 논쟁으로 이어졌으므로 부적절.
- ✅ 최종 정답
- 따라서, “① The Power of Constructive Conflict”가 가장 적절합니다.
42번 문제: 밑줄 친 단어의 적절성 판단
- 각 단어의 문맥상 적절성 검토
- ① (a) plenty of: "friction(마찰)"을 강조하는 데 적절한 표현 ✅
- ② (b) harmonious: "창의적인 가정은 조화롭지 않았다"는 내용과 일치. ✅
- ③ (c) encouraged: 부모가 아이들에게 주장을 펼치도록 "격려했다"는 맥락에 적절. ✅
- ④ (d) ceaseless: 논쟁이 지속적이었음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적절. ✅
- ⑤ (e) support: 기존 가정을 “반박(challenge)”, “재고(reconsider)” “부인(deny)”한 것이므로 적절하지 않음. ❌
- ✅ 최종 정답
- 따라서, "⑤ (e) support"를 "challenge, reconsider, deny"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
결론
논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 2022년 3월 고2 모의고사 41번과 42번 지문은 논쟁이 단순한 감정적 충돌이 아니라,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 우리는 종종 논쟁을 피하려 하지만,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때로는 갈등을 마주해야 하는데 라이트 형제의 사례처럼, 건설적인 논쟁은 문제를 해결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 논쟁을 피하기보다,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고민해 보도록 하세요. 🚀.
📌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문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어법(문법) 설명이 여러분의 문제 풀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