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 "기대와 실망, 감정 변화 문제 해결 전략!"

📌 혹시 어떤 일이 기대했던 대로 풀리지 않아 실망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19번 문제에서는 기대감이 최고조에 달했던 Matthew가 실망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 감정 변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처음 감정과 변화를 나타내는 문장을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감정 변화 문제 풀이 전략

  • ✔ 첫 번째 감정을 빠르게 파악
  • ✔ 보기에서 대조되는 감정 변화를 확인
  • ✔ 핵심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문장 찾기

📌 이제 문장별 분석을 통해 감정 변화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익혀보겠습니다. 📝

📌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빠르고 정확하게 정답을 추론하도록 독자분들을 도울 것이기에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19. 다음 글에 드러난 Matthew의 심경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One Saturday morning, Matthew’s mother told Matthew that she was going to take him to the park. A big smile came across his face. As he loved to play outside, he ate his breakfast and got dressed quickly so they could go. When they got to the park, Matthew ran all the way over to the swing set. That was his favorite thing to do at the park. But the swings were all being used. His mother explained that he could use the slide until a swing became available, but it was broken. Suddenly, his mother got a phone call and she told Matthew they had to leave. His heart sank.

① embarrassed → indifferent ② excited → disappointed
③ cheerful → ashamed ④ nervous → touched
⑤ scared → relaxed

문장별 분석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One Saturday morning, Matthew’s mother told Matthew that she was going to take him to the park.

🔑 주요 단어 정리

  • one Saturday morning: 어느 토요일 아침
  • tell + 목적어 + that절: ~에게 ~라고 말하다
  • be going to 부정사: ~할 예정이다 (동의어: plan to, intend to)
  • take + A + to B(장소): A를 B로 데려가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e Saturday morning,/
  • 어느 토요일 아침,/
  • Matthew’s mother told/ Matthew/ [that she was going to take/ him/ to the park].
  • Matthew의 어머니는 말했습니다/ Matthew에게/ [그녀가 데려갈 것이라고/ 그를/ 공원으로].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old/ Matthew/ [that~]"에서 "that"은 동사, "told"의 직접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감정 변화 추론 1
  • ✔ 특별한 감정을 추론할 단서가 없으므로 문장 2로 이동하여 독해하도록 합니다.

📌 문장 2

A big smile came across his face.

🔑 주요 단어 정리

  • big smile: 환한 미소 (동의어: broad grin, happy expression)
  • come across one's face: 얼굴에 미소가 번지다 (동의어: spread across one’s fac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big smile came/ across his face.
  • 커다란 미소가 나왔습니다(퍼졌습니다)/ 그의 얼굴을 가로질러(그의 얼굴에).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감정 변화 추론 2
  • 📢 “cameacross his face”의 표현으로부터Matthew”가 공원에 간다는 소식에 기뻐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고 이는 긍정적인 감정(흥분, 기쁨) 확정할 수 있습니다.
  • 📢 감정 변화 문제이므로 보기를 확인하면, “② excited(신나는/흥분된)”뿐입니다. “③ cheerful(명랑한)”은 감정이라기 보다는 “성격”에 가깝습니다.
  • 📢 감정의 대조 관계로 보아도, “excited(신나는/흥분된)”에서 “disappointed(실망된)”으로 대조적 감정 관계가 분명하므로,
  • 🎯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②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3으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문장 3

As he loved to play outside, he ate his breakfast and got dressed quickly so they could go.

🔑 주요 단어 정리

  • as~: ~때문에 (동의어: because, since)
  • love to + 동사원형: ~하는 것을 좋아하다 (동의어: enjoy ~ing)
  • get dressed: 옷을 입다
  • quickly: 빠르게 (반의어: slowl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he loved/ <to play/ outside>],/
  • [그가 좋아했기 때문에/ <노는 것을/ 밖에서>],/
  • he <ate/ his breakfast>/ and/ <got dressed/ quickly>/ [so (+that) they could go].
  • 그는 <먹었습니다/ 아침을>/ 그리고/ <옷을 입었습니다/ 빨리>/ [그들이 갈 수 있도록].

📖 어법 설명

  • ✅ 이유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he loved/~]”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loved/ <to play/ outside>”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loved”의 목적어 역할.
  • ✅ so that + 주어 + 동사“ 용법 - "that" 추가 필요
  • [so (+that) they could go]”에서 사용된 어법. ”~하도록 (하기 위하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현대 영어에서는 "so that + 주어 + 동사“ 용법의 접속사 ”that“도 생략하는 경우가 자주 있으나, 영어에서 공식으로 언제나 생략이 가능한 것은, 목적절의 접속사(that), 목적격 관계대명사, 및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입니다. 따라서, 접속사 “that”을 추가하는 것이 공식 문서인 모의고사에서는 어법적으로 바람직합니다.
  • 🔍 감정 변화 추론 3
  • ✔ 공원에서 놀 생각에 신나서 빠르게 준비함 → 여전히 긍정적인 감정(기대, 흥분) 유지

📌 문장 4

When they got to the park, Matthew ran all the way over to the swing set.

🔑 주요 단어 정리

  • get to + 장소: ~에 도착하다 (동의어: arrive at)
  • all the way: 온 힘을 다해, 내내
  • over to~: (사람·사물의 위치 변경을 나타냄) ~쪽으로
  • swing set: 그네 세트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hey got/ to the park],/
  • [그들이 도착했을 때/ 공원에],/
  • Matthew ran/ all the way/ <over to the swing set>.
  • Matthew는 뛰어갔습니다/ 온 힘을 다해/ <그네 세트 쪽으로>.

📖 어법 설명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they got/~]”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감정 변화 추론 4
  • ✔ 여전히 기대감과 흥분된 상태 유지

📌 문장 5

That was his favorite thing to do at the park.

🔑 주요 단어 정리

  • favorite: 가장 좋아하는 (반의어: least favorit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at was [his favorite thing/ <to do/ at the park>].
  • 그것은 [그의 가장 좋아하는 것이었습니다/ <하는/ 공원에서>].

📖 어법 설명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his favorite thing/ <to doat the park>]”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his favorite thing”를 수식.
  • 🔍 감정 변화 추론 5
  • ✔ 좋아하는 활동을 할 기대감이 더욱 커짐

📌 문장 6

But the swings were all being used.

🔑 주요 단어 정리

  • be being used: 사용 중이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the swings were all being used.
  • 그러나/ 그네들이 모두 사용 중이었습니다.

📖 어법 설명

  • ✅ 과거 진행 수동태[be 동사의 과거형 + being + pp]
  • were all being used”에서 사용된 어법. "모두 사용 중이었다"의 의미로 수동태.
  • 🔍 감정 변화 추론 6
  • ✔ 기대했던 활동을 할 수 없음 → 실망 가능성 증가

📌 문장 7

His mother explained that he could use the slide until a swing became available, but it was broken.

🔑 주요 단어 정리

  • explain: 설명하다
  • slide: 미끄럼틀
  • become available: 이용 가능해지다 (반의어: remain unavailable)
  • broken: 고장 난 (반의어: functional, working)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is mother explained/ [that he could use/ the slide]/
  • 그의 어머니는 설명했습니다/ [그가 사용할 수 있다고/ 미끄럼틀을]/
  • [until a swing became available],/ but/ it was broken.
  • [그네가 이용 가능해질 때까지],/ 그러나/ 그것은 고장 나 있었습니다.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explained[that~]"에서 "that"은 동사, "explain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시간의 부사절 “until + 주어 + 동사”
  • [until a swing became availabl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까지”의 의미를 전달.
  • ✅ 수동태[be + pp]
  • “was broken”에서 사용된 어법. "고장나다"의 의미로 수동태. 한국어는 수동태로 표현할 수 있는 단어가 제한적이라 수동처럼 느껴지지 않을 뿐입니다. 다른 사람에 의해 고장나게 되었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 🔍 감정 변화 추론 7
  • ✔ 대체할 놀이기구도 사용할 수 없음 → 실망감 증가로 선택한 답이 정확함을 입증합니다.

📌 문장 8

Suddenly, his mother got a phone call and she told Matthew they had to leave.

🔑 주요 단어 정리

  • suddenly: 갑자기 (반의어: gradually)
  • get a phone call: 전화를 받다
  • have to 부정사: ~해야만 하다
  • leave: 떠나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uddenly,/ his mother got/ a phone call/ and/ she told/ Matthew/ [(that) they had to leave].
  • 갑자기,/ 그의 어머니는 받았습니다/ 전화를/ 그리고/ 그녀는 말했습니다/ Matthew에게/ [그들이 떠나야 한다고].

📖 어법 설명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문장을 and로 연결
  • his mother got/~”와 “she told/ Matthew/ [(that)~]”을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told/ Matthew/ [(that)~]"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told"의 직접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감정 변화 추론 8
  • ✔ 놀지도 못하고 떠나야 함 → 실망감 확정

📌 문장 9

His heart sank.

🔑 주요 단어 정리

  • one's heart sinks: 실망하다 (동의어: feel disappointed, be let down)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is heart sank.
  • 그의 마음이 가라앉았습니다(그는 실망했습니다).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 감정 변화 분석

  • 📌 초기 감정 (excited, 신나는/흥분된 상태)
  • 문장 2: "A big smile came across his face." → 기대감과 기쁨
  • 문장 4~5: 공원에 도착해 가장 좋아하는 그네로 달려감 → 기대감 최고조
  • 📌 후기 감정 (disappointed, 실망한 상태)
  • 문장 6: "The swings were all being used." → 기대가 꺾임
  • 문장 7: "The slide... was broken." → 대체할 놀이기구도 없음
  • 문장 8: "His mother... told Matthew they had to leave." → 완전한 실망
  • 문장 9: "His heart sank." → 실망감 확정

🔍 선택지 분석 및 정답 확정

  • ① embarrassed → indifferent ❌
  • → 당황(embarrassed)이나 무관심(indifferent)과 관련된 표현 없음
  • ② excited → disappointed ✅ (정답)
  • → 기대감이 최고조에 달한 후 실망하는 흐름과 정확히 일치
  • ③ cheerful → ashamed ❌
  • → 명랑한(cheerful) 상태에서 수치심(ashamed)으로 변화한 내용 없음
  • ④ nervous → touched ❌
  • → 초조한(nervous) 상태가 아니며 감동받는(touched) 요소 없음
  • ⑤ scared → relaxed ❌
  • → 두려움(scared)과 긴장 완화(relaxed)와 관련된 감정 변화 없음

🎯 최종 정답: ② excited → disappointed ✅.

결론

"심경 변화 문제, 이렇게 해결하세요!"

📢 "기대에서 실망으로, 감정 변화를 읽어야 정답이 보인다!"

📌 이번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19번 문제의 핵심은 Matthew가 공원에서 기대감이 최고조에 달했다가, 원하는 놀이기구를 사용하지 못한 채 실망하는 감정 변화입니다.

📌 공식적인 시험에서 감정 변화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려면 첫 감정을 찾고, 변화를 직접적으로 표현한 문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핵심 정리

  • ✔ 첫 번째 감정: 신나는, 기대하는 (excited)
  • ✔ 두 번째 감정: 실망한 (disappointed)
  • ✔ 정답: ② excited → disappointed ✅

📌 시험장에서 적용할 독해 전략

  • ✅ 첫 번째 감정을 빠르게 찾고 확인
  • ✅ 보기의 감정 변화를 대조하여 선택지 범위 좁히기
  • ✅ 감정을 직접 표현한 문장을 찾아 정답 도출

👉 이러한 독해 전략을 연습하면, 감정 변화 문제가 더 이상 어렵지 않습니다! 🚀

👉앞으로도 다양한 모의고사 문제를 분석하며 독해력을 향상시켜 보세요!

📌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를 반영한 의미 해석, 문형별 풀이 전략을 포함한 상세한 어법(문법) 설명은 이 지문을 100% 이해하는 데 도움을 드렸을 것입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