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0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 "회의의 효율성을 높이는 최고의 방법!"
📌 회의가 비효율적이라고 느껴본 적이 있나요? 🤔
📌 많은 사람들이 회의를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지만, 회의 시간의 3분의 1이 비생산적이라고 합니다.
📌 그렇다면 효율적인 회의를 위한 최고의 방법은 무엇일까요?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0번 문제의 분석에서는 효과적인 회의 운영 전략을 중심으로 지문의 핵심 내용을 파악하고, 정답을 빠르게 도출하는 방법을 익혀보겠습니다.
📌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빠르고 정확하게 정답을 추론하도록 독자분들을 도울 것이기에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Meetings encourage creative thinking and can give you ideas that you may never have thought of on your own. However, on average, meeting participants consider about one third of meeting time to be unproductive. But you can make your meetings more productive and more useful by preparing well in advance. You should create a list of items to be discussed and share your list with other participants before a meeting. It allows them to know what to expect in your meeting and prepare to participate.
② 중요한 정보는 공식 회의를 통해 전달해야 한다.
③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정기적인 평가회가 필요하다.
④ 모든 참석자의 동의를 받아서 회의를 열어야 한다.
⑤ 회의에서 다룰 사항은 미리 작성해서 공유해야 한다.
문장별 분석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Meetings encourage creative thinking and can give you ideas that you may never have thought of on your own.
🔑 주요 단어 정리
- meeting: 회의 (동의어: gathering, conference / 반의어: individual work, solitude)
- encourage: 장려하다, 촉진하다 (동의어: promote, foster / 반의어: discourage, suppress)
- creative thinking: 창의적 사고 (동의어: innovative thinking, originality / 반의어: conventional thinking, routine thought)
- give + A + B: A에게 B을 주다
- may have+pp: (가정법 과거 완료적 표현) ~이었을 수도 있다
- think of~: ~에 대해서 생각하다
- on one’s own: 혼자서, 스스로 (동의어: alone, independently / 반의어: with others, collectivel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eetings [encourage/ creative thinking]/ and/ [can give/ you/ [ideas/ that you may never have thought of/ on your own]].
- 회의들은 [촉진합니다/ 창의적 사고를]/ 그리고/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당신에게/ [아이디어들을/ 당신이 결코 생각해 보지 못했을 수도 있는/ 혼자서]].
📖 어법 설명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encourage/~]”와 “[can giv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ideas/ that you may never have thought of/ on your own]”에서 ”that”은 선행사, “idea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혼자서 당신이 결코 생각해 보지 못했을 수도 있는 아니디어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회의의 장점: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음.
- 🔍 주장 찾기 1
- ✔ 문장 1까지는 회의에 대한 장점을 주장하고 있음을 염두에 두고 문장 2로 이동하여 독해를 이어갑니다.
📌 문장 2
However, on average, meeting participants consider about one third of meeting time to be unproductive.
🔑 주요 단어 정리
- however: 그러나 (대조를 나타내는 접속부사)
- on average: 평균적으로 (동의어: typically, generally / 반의어: exceptionally, rarely)
- participant: 참가자 (동의어: attendee, member / 반의어: observer, outsider)
- consider A to be B: A를 B라고 여기다 (동의어: regard A as B, think of A as B)
- about: (부사) 약, 대략
- unproductive: 비효율적인, 비생산적인 (동의어: inefficient, ineffective / 반의어: productive, efficien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on average,/ meeting participants consider/ <about one third/ of meeting time>/ to be unproductive.
- 그러나,/ 평균적으로,/ 회의 참가자들은 여깁니다/ <약 3분의 1을/ 회의 시간의>/ 비생산적이라고.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5형식 문형 "consider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consider/ <about one third/ of meeting time>/ to be unproductive“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consider”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회의가 생산적인 면이 있지만, 회의 시간의 3분의 1이 비생산적이라고 여겨짐.
- 🔍 주장 찾기 2
- ✔ 회의의 장점 → 회의에 대한 부정적 시각으로 논점이 옮겨졌음을 염두에 두고 문장 3으로 이동하여 독해를 이어가도록 합니다.
📌 문장 3
But you can make your meetings more productive and more useful by preparing well in advance.
🔑 주요 단어 정리
- make + 목적어 + 형용사: (~을 ~하게 만들다)
- productive: 생산적인 (동의어: efficient, fruitful / 반의어: unproductive, ineffective)
- useful: 유용한 (동의어: beneficial, helpful / 반의어: useless, impractical)
- prepare in advance: 미리 준비하다 (동의어: plan ahead, get ready beforehand)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you can make/ your meetings/ <more productive and more useful>/ <by preparing/ well/ in advance>.
- 그러나/ 당신은 만들 수 있습니다/ 당신의 회의를/ <더 생산적이고 더 유용하게>/ <준비하는 것에 의해서(준비함으로써)/ 제대로/ 미리>.
📖 어법 설명
-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make/ your meetings/ <more productive and more useful>”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preparing/ well/ in advance>“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by“의 목적어 역할. ”미리 제대로 준비하는 것에 의해서(준비함으로써)“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 회의의 생산성과 유용성을 높이려면 사전 준비가 필요함.
- 🔍 주장 찾기 3
- 📢 필자의 핵심 주장이 사전 준비의 중요성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 📢 보기를 확인하면, ”⑤ 회의에서 다룰 사항은 미리 작성해서 공유해야 한다“가 사전 준비로 가장 적절합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4
You should create a list of items to be discussed and share your list with other participants before a meeting.
🔑 주요 단어 정리
- create: 만들다, 작성하다 (동의어: generate, compose / 반의어: remove, delete)
- list: 목록 (동의어: checklist, inventory)
- item: 항목, 안건 (동의어: agenda, topic)
- to be discussed: 논의될 (동의어: to be talked about, to be debated)
- share: 공유하다 (동의어: distribute, communicate)
- participant: 참가자 (동의어: attendee, member)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should create/ [a list/ <of items/ to be discussed>]]/ and/ [(should) share/ your list/ with other participants/ before a meeting].
- 당신은 [작성해야 합니다/ [목록을/ <항목들의/ 논의될>]]/ 그리고/ [공유해야 합니다/ 당신의 목록을/ 다른 참가자들과/ 회의 전에].
📖 어법 설명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should create/~]”와 “[(should) shar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수동태[be + pp]
- “items/ to be discussed”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items”를 수식. 아울러, “be discussed”는 “논의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 회의 전 논의할 항목을 정리하고 공유해야 한다
- 🔍 주장 찾기 4
- ✔ 이미 선택한 답이 적절함을 이 문장의 내용이 입증합니다.
📌 문장 5
It allows them to know what to expect in your meeting and prepare to participate.
🔑 주요 단어 정리
- allow + A + to부정사: A가 ~하도록 허락하다
- expect: 예상하다 (동의어: anticipate, foresee)
- prepare to + 동사: ~하는 것을 준비하다 (동의어: get ready for)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allows/ them/ [to know/ [what to expect/ in your meeting]]/ and/ [(to) prepare/ to participate].
- 그것은 허락합니다/ 그들에게(회의 참가자들에게)/ [알도록/ [무엇을 예상해야 하는지/를/ 당신의 회의에서]]/ 그리고/ [준비하도록/ 참여하는 것을].
📖 어법 설명
- ✅ 5형식 문형 "allow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병렬 구조
- ”allows/ them/ [to know/~]/ and/ [(to) prepare/~]“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allow”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또한 목적격 보어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what to expect/ in your meeting]“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what they should expect/ in your meeting]“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무엇을 그들이 기대해야 하는지를“의 의미
-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to) prepare/ to participate”에서 사용된 용법. to 부정사 “(to) prepare”의 목적어 역할. 또는 “참여하기 위해서”의 부사적 용법으로도 해석될 수 있고, 이렇게 보는 경우는 “(to) prepare”를 수식합니다.
- 🔍 주장 확정
- ✔ 회의 안건을 미리 공유하면 참가자들이 준비할 수 있어 회의가 더 생산적이 됨. 역시 이미 선택한 답이 정답임을 입증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요약
- ✔ 회의는 창의적인 사고를 촉진하지만, 비생산적인 시간도 존재함
- ✔ 회의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전 준비가 필수적임
- ✔ 회의 전에 논의할 사항을 정리하여 공유하는 것이 효과적인 해결책임
- 📢 즉, 핵심 주장은 "회의에서 다룰 사항을 미리 작성하여 공유해야 한다"는 것.
🔍 선택지 분석 및 정답 확정
- ① 회의 결과는 빠짐없이 작성해서 공개해야 한다. ❌
- → 회의 전 사전 준비와 관련된 내용이지, 회의 후 결과 공개에 대한 내용은 없음.
- ② 중요한 정보는 공식 회의를 통해 전달해야 한다. ❌
- → 정보 전달 방법이 아니라, 회의 준비 과정에 대한 논의가 핵심.
- ③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정기적인 평가회가 필요하다. ❌
- → 정기적인 평가회의의 필요성에 대한 언급 없음.
- ④ 모든 참석자의 동의를 받아서 회의를 열어야 한다. ❌
- → 참석자의 동의가 아닌, 회의 사전 준비의 중요성을 강조한 글임.
- ⑤ 회의에서 다룰 사항은 미리 작성해서 공유해야 한다. ✅ (정답)
- → "You should create a list of items to be discussed and share your list with other participants before a meeting."
- → 회의 전 안건을 작성하여 공유해야 한다는 핵심 주장과 일치.
🎯 최종 정답: ⑤ 회의에서 다룰 사항은 미리 작성해서 공유해야 한다. ✅
결론
📢 "회의의 핵심은 사전 준비! 안건 공유가 필수입니다."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0번 지문에서 필자는 회의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회의 전에 논의할 사항을 정리하고 공유하면, 참가자들이 미리 준비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인 회의가 가능합니다.
🔎 핵심 정리
- ✔ 회의의 생산성을 높이려면 사전 준비가 필수
- ✔ 참석자들과 미리 안건을 공유해야 함
- ✔ 정답: ⑤ 회의에서 다룰 사항은 미리 작성해서 공유해야 한다 ✅
📌 시험장에서 적용할 독해 전략!
- ✅ 첫 문장에서 회의의 장점을 확인
- ✅ 이후 문장에서 문제점과 해결책을 파악
- ✅ 마지막 문장에서 주장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정답 선택
👉 이러한 독해 전략을 연습하면, 문제 해결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앞으로도 다양한 모의고사 문제를 분석하며 독해력을 향상시켜 보세요! 😊
📌 문장별 분석을 통해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 차이 및 문형별 풀이 전략을 포함한 상세한 어법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이 지문을 100% 이해하는 데 도움을 드렸을 것입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