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감정, 믿어도 될까?"
📌 우리는 종종 자신의 감정을 신뢰하며 판단을 내립니다. 하지만, 감정이 항상 사실을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에서는 감정이 때때로 우리를 오도할 수 있으며, 사실과 다른 결론을 내리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감정이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때때로 신뢰할 수 없는 정보가 될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 그렇다면, 우리는 감정을 어떻게 다뤄야 할까요? 🤔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문장별 분석을 통해 지문의 핵심 주장을 정확히 파악하고, 문제 풀이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Your emotions deserve attention and give you important pieces of information. However, they can also sometimes be an unreliable, inaccurate source of information. You may feel a certain way, but that does not mean those feelings are reflections of the truth. You may feel sad and conclude that your friend is angry with you when her behavior simply reflects that she’s having a bad day. You may feel depressed and decide that you did poorly in an interview when you did just fine. Your feelings can mislead you into thinking things that are not supported by facts.
② 자신의 생각을 타인에게 강요해서는 안 된다.
③ 인간관계가 우리의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
④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⑤ 공동체를 위한 선택에는 보상이 따른다.
문장별 분석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Your emotions deserve attention and give you important pieces of information.
🔑 주요 단어 정리
- deserve: ~을 받을 자격이 있다 (동의어: be worthy of, merit / 반의어: be unworthy of)
- attention: 주의, 주목, 관심 (동의어: focus, notice / 반의어: disregard, neglect)
- give: 주다, 제공하다 (동의어: provide, offer / 반의어: take, withhold)
- piece of information: 정보의 조각 (동의어: bit of knowledge, fac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r emotions [deserve/ attention]/ and/ [give/ you/ [important <pieces of information>]].
- 당신의 감정은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주목을]/ 그리고/ [제공합니다/ 당신에게/ [중요한 <정보의 조각들을>]].
📖 어법 설명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deserve/~]”와 “[giv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 감정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문장 2
However, they can also sometimes be an unreliable, inaccurate source of information.
🔑 주요 단어 정리
- however: 그러나 (동의어: but, yet / 반의어: therefore, consequently)
- unreliable: 신뢰할 수 없는 (동의어: untrustworthy, faulty / 반의어: reliable, trustworthy)
- inaccurate: 부정확한 (동의어: incorrect, mistaken / 반의어: accurate, precise)
- source: 원천, 출처 (동의어: origin, provider)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they can also sometimes be/ [an unreliable, inaccurate <source/ of information>].
- 그러나,/ 그것들(감정들)은 또한 때때로 될 수 있습니다/ [신뢰할 수 없고, 부정확한 <원천이/ 정보의>].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 때때로 감정은 부정확한 정보의 원천이 될 수 있다.
📌 문장 3
You may feel a certain way, but that does not mean those feelings are reflections of the truth.
🔑 주요 단어 정리
- feel: 느끼다 (동의어: experience, sense)
- (in) a certain way: 특정한 방식으로
- mean: 의미하다 (동의어: signify, indicate)
- reflection: 반영, 반사 (동의어: representation, indication)
- truth: 진실 (동의어: reality, fact / 반의어: falsehood, li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may feel/ a certain way,/ but/ that does not mean/ [(that) those feelings <are reflections/ of the truth>].
- 당신은 느낄 수도 있습니다/ 특정한 방식으로,/ 하지만/ 그것이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러한 감정들이 <반영들이라는 것을/ 진실의>].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does not mean/ [(that)~]"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구, "does not mean"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 느끼는 감정이 항상 진실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 🔍 요지 추론 1
- 📢 문장 1~ 문장 3까지의 진술을 토대로, 감정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주장힙니다.
- 📢 보기를 확인하면, 이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보기는 “① 자신의 감정으로 인해 상황을 오해할 수 있다.”뿐입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4
You may feel sad and conclude that your friend is angry with you when her behavior simply reflects that she’s having a bad day.
🔑 주요 단어 정리
- conclude: 결론을 내리다 (동의어: determine, decide / 반의어: doubt, question)
- angry: 화난 (동의어: mad, upset / 반의어: calm, peaceful)
- be angry with~: ~에게 화가 나다
- behavior: 행동 (동의어: conduct, manner)
- reflect: 반영하다 (동의어: show, indicate)
- a bad day: 힘든 하루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may feel/ sad]/ and/ [(may) conclude/ [that your friend is angry/ with you]]/
- 당신은 [느낄 수도 있습니다/ 슬프게]/ 그리고/ [결론 내릴 수도 있습니다/ [당신의 친구가 화가 났다고 / 당신에게]]/
- [when her behavior simply reflects/ [that she’s having/ a bad day]].
- [그녀의 행동이 단순히 반영할 때/ [그녀가 보내고 있다는 것을/ 힘든 하루를]].
📖 어법 설명
- ✅ 2형식 감각 동사[look / sound / smell / taste / feel] + 형용사
- “feel/ sad”에서 사용된 어법.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지만, 반드시 주어를 보충하는 형용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may feel/~]”와 “[(may) conclud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conclude/ [that~]"와 “reflects/ [that~]”에서 "that"은 각각의 동사, "conclude"와 “reflects”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각각 ”~라고“와 ”~라는 것을“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her behavior simply reflects/~]”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 친구가 화가 난 것이 아니라, 단순히 힘든 하루를 보낸 것일 수도 있다.
📌 문장 5
You may feel depressed and decide that you did poorly in an interview when you did just fine.
🔑 주요 단어 정리
- depressed: 우울한 (동의어: sad, down / 반의어: cheerful, happy)
- decide: 결정하다 (동의어: determine, conclude)
- poorly: 형편없이 (동의어: badly, inadequately / 반의어: well, successfully)
- do poorly: 형편없이 하다
- just fine: 그냥 괜찮게, 충분히 좋게 (동의어: perfectly okay, well enough)
- do just fine: 그냥 괜찮게 하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may feel/ depressed]/ and/ [(may) decide/ [that you did poorly/ in an interview/ [when you did just fine]]].
- 당신은 [느낄 수도 있습니다/ 우울하게]/ 그리고/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당신이 형편없이 했다고/ 면접에서/ [당신은 그냥 괜찮게 했을 때]]].
📖 어법 설명
- ✅ 2형식 감각 동사[look / sound / smell / taste / feel] + 형용사
- “feel/ depressed”에서 사용된 어법.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지만, 반드시 주어를 보충하는 형용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 [may feel/~]”과 “[(may) decid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may) decide/ [that~]"에서 "that"은 동사, "decid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각각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you did just fine]”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 면접을 잘 봤음에도 불구하고, 우울한 감정 때문에 자신이 실패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 문장 6
Your feelings can mislead you into thinking things that are not supported by facts.
🔑 주요 단어 정리
- mislead: 오도하다, 잘못 이끌다 (동의어: deceive, misguide / 반의어: guide, inform)
- into ~ing: ~하도록
- support: 지지하다, 뒷받침하다 (동의어: confirm, back up / 반의어: contradict, refute)
- fact: 사실 (동의어: truth, reality / 반의어: fiction, falsehood)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r feelings can mislead/ you/ into thinking/ [things/ that are not supported/ by facts]/ (+true).
- 당신의 감정은 잘못 이끌(호도할) 수 있습니다/ 당신을/ 생각하도록/ [일들을/ 뒷받침되지 않는/ 사실들에 의해서]/ (+사실로).
📖 어법 설명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ings/ that are not supported/ by facts]”에서 “that”은 선행사, “thing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사실들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일들”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수동태[be + pp]
- “are not supported”에서 사용된 어법. "뒷받침되지 않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문맥상 “true” 추가 필요
- “into thinking/ [things/ that are not supported/ by facts]/ (+true)”에서 문맥상 “사실들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일들을 사실로 여기도록”의 의미가 적절합니다. 따라서, “true”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 감정은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잘못된 결론을 내리게 만들 수 있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요약
- ✔ 감정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 감정은 때때로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진실을 왜곡할 수 있다.
- ✔ 감정 때문에 사실과 다르게 상황을 해석할 수 있다.
- ✔ 감정이 사실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은 결론을 내리게 만들 수도 있다.
🔍 요지 도출 과정
- 📌 문장 1~3에서 감정이 항상 진실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을 확인.
- 📌 문장 4~6에서 감정이 잘못된 결론을 내리게 할 수 있음을 예시로 설명.
- 📌 즉, 감정 때문에 상황을 오해할 수 있다는 점이 글의 핵심 주장임.
🔍 선택지 분석
- ① 자신의 감정으로 인해 상황을 오해할 수 있다. - 감정이 실제 사실과 다른 결론을 내리게 할 수 있음. - ✅ 정답 – 지문의 핵심 주장과 일치
- ② 자신의 생각을 타인에게 강요해서는 안 된다. - 감정을 강요하는 것이 아닌, 감정의 오류를 설명하는 글이므로 문맥과 다름. - ❌ 오답
- ③ 인간관계가 우리의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 - 감정이 사실을 왜곡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으로, 감정 형성 과정에 대한 논의가 없음. - ❌ 오답
- ④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공감의 중요성이 아닌, 감정이 왜곡될 수 있음을 설명하는 글이므로 적절하지 않음. - ❌ 오답
- ⑤ 공동체를 위한 선택에는 보상이 따른다. - 감정과 공동체, 보상에 대한 내용이 없음. - ❌ 오답
🎯 정답 제시
- 따라서. “① 자신의 감정으로 인해 상황을 오해할 수 있다.”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감정이 곧 진실은 아니다."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감정이 종종 신뢰할 수 없는 정보를 제공하고, 잘못된 결론을 내리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핵심 내용 요약
- ✔ 감정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항상 사실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 ✔ 감정 때문에 실제와 다르게 상황을 해석할 수 있다.
- ✔ 감정은 사실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은 잘못된 결론을 유도할 수 있다.
📌 그렇다면 우리는 감정을 어떻게 다뤄야 할까요?
- ✔ 감정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감정이 사실과 일치하는지 한 번 더 검토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연습을 하면, 감정의 오류로 인한 잘못된 판단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결국, 감정은 우리에게 중요한 신호를 주지만, 맹목적으로 신뢰하기보다 객관적으로 검토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 여러분은 감정과 사실을 어떻게 구분하나요? 댓글로 의견을 나눠 주세요! 😊🚀
📌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