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 아이들은 어떻게 수학적 개념을 익힐까?
📌 아이들은 숫자를 배울 때, 단순히 외우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합니다.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아이들이 숫자와 수량을 이해하는 과정을 설명하며, 이를 통해 수학적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보여줍니다.
📌 아이들이 직접 경험하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사고가 자연스럽게 길러진다는 점이 이 글의 핵심 메시지입니다.
📢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아이들은 어떤 방식으로 수학적 개념을 익혀갈까요? 🚀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문법 설명을 통해 "우리가 왜 자신을 평균 이상이라고 착각하는지"를 논리적으로 파악해 보겠습니다.
📌 🎯 문제 풀이 TIP
- ✔ 주제, 요지, 제목 찾기 문제는 해결 방식이 동일합니다.
-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핵심 주장 찾기 → 주장이 명확하지 않으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 ✔ 핵심 주장을 찾은 후, 예문을 활용하여 정답을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Every day, children explore and construct relationships among objects. Frequently, these relationships focus on how much or how many of something exists. Thus, children count ― “One cookie, two shoes, three candles on the birthday cake, four children in the sandbox.” Children compare ― “Which has more? Which has fewer? Will there be enough?” Children calculate ― “How many will fit? Now, I have five. I need one more.” In all of these instances, children are developing a notion of quantity. Children reveal and investigate mathematical concepts through their own activities or experiences, such as figuring out how many crackers to take at snack time or sorting shells into piles.
② <how/ children/ build>/ mathematical understanding
③ why/ fingers are used/ <in counting/ objects>
④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⑤ <advantages/ of singing number songs>
문장별 분석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Every day, children explore and construct relationships among objects.
🔑 주요 단어 정리
- every day: 매일 (동의어: daily / 반의어: occasionally)
- explore: 탐구하다, 조사하다 (동의어: investigate, examine)
- construct: 만들다, 구성하다 (동의어: build, form / 반의어: destroy, dismantle)
- relationship: 관계 (동의어: connection, association)
- among~: ~사이에 (동의어: between, amidst)
- object: 물체, 대상 (동의어: item, thing)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ry day,/ children explore and construct/ <relationships/ among objects>.
- 매일,/ 아이들은 탐구하고 구성합니다/ <관계들을/ 사물들 사이의>].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 아이들은 매일 사물들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형성한다.
📌 문장 2
Frequently, these relationships focus on how much or how many of something exists.
🔑 주요 단어 정리
- frequently: 자주, 빈번히 (동의어: often, regularly / 반의어: rarely, seldom)
- relationship: 관계 (동의어: connection, association)
- focus on~: ~에 집중하다 (동의어: concentrate on, emphasize)
- how much: 얼마나 많은 양
- how many: 얼마나 많은 수
- exist: 존재하다 (동의어: be, occur)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requently,/ these relationships focus on/ [[<how much or how many>/ of something]/ exists].
- 자주,/ 이러한 관계들은 집중합니다/ [[<얼마나 많은 양이 또는 얼마나 많은 수가/ 무언가의]/ 존재하는가]에].
📖 어법 설명
-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much or how many>/ of something]/ exists]”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동사구 “focus on”의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아울러, 의문사구인 “[<how much or how many>/ of something]”가 의문사구인 동시에 주어 역할을 합니다.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 아이들이 탐구하는 관계는 주로 "양(수량)"에 집중된다.
📌 문장 3
Thus, children count ― “One cookie, two shoes, three candles on the birthday cake, four children in the sandbox.”
🔑 주요 단어 정리
- thus: 따라서, 그러므로 (동의어: therefore, consequently)
- count: 세다 (동의어: enumerate, calculate)
- sandbox: 모래 상자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us,/ children count/ ― “<One cookie>,/ <two shoes>,/ <three candles/ on the birthday cake>,/ (+and)/ <four children/ in the sandbox>.”
- 따라서,/ 아이들은 셉니다/ ― "<쿠키 한 개>,/ <신발 두 개>,/ <세 개의 초들/ 생일 케이크 위의>,/ (+그리고)/ <네 명의 아이들/ 모래 상자 안의>"이라고.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 "thus"
- 문장 내에서 "따라서 / 그러므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직접 인용문 내의 명사구의 병렬 연결 – 의미상 “and” 추가 필요
- “<One cookie>,/ <two shoes>,/ <three candles/ on the birthday cake>,/ (+and)/ <four children/ in the sandbox>.”는 네 개의 명사구가 병렬 연결된 구조로, 의미상 “and”를 추가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 아이들은 사물을 세면서 숫자 개념을 익힌다.
📌 문장 4
Children compare ― “Which has more? Which has fewer? Will there be enough?”
🔑 주요 단어 정리
- compare: 비교하다 (동의어: contrast, differentiate)
- more: 더 많은 것 (비교급: 수와 양)
- fewer: 더 적은 수 (비교급)
- enough: 충분한 (동의어: adequate, sufficien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hildren compare/ ― “Which has/ more?/ Which has/ fewer?/ Will there be enough?”
- 아이들은 비교합니다/ ― "어느 것이 가지고 있지/ 더 많은 것을?/ 어느 것이 가지고 있지/ 더 적은 수를?/ 충분히 있을까?" 등의.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 아이들은 사물의 개수를 비교하면서 "더 많음/더 적음/충분함" 개념을 익힌다.
- 🔍 주제 추론 1
- 📢 문장 1~ 문장 4까지의 진술을 토대로, 아이들이 사물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수나 양의 비교를 통해 수적인 개념과 양적인 개념(=수학적 개념)을 익힌다는 내용이므로,
- 📢 보기를 확인하면, 이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보기는 “② how children build/ mathematical understanding(아이들이 수학적 이해를 형성하는 방법)”뿐입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②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5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5
Children calculate ― “How many will fit? Now, I have five. I need one more.”
🔑 주요 단어 정리
- calculate: 계산하다 (동의어: compute, determine)
- fit: 맞다, 들어가다
- more: 더 많은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hildren calculate/ ― “How many/ will fit?/ Now,/ I have/ five./ I need/ one more.”
- 아이들은 계산합니다/ ― "얼마나 많은 수가 들어갈까?/ 지금,/ 나는 가지고 있어/ 다섯 개를./ 나는 필요해/ 한 개 더를."
📖 어법 설명
- ✅ 직접 인용문 활용
- 아이들이 계산하는 방식을 실제 예시로 보여줌.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 아이들은 개수를 계산하면서 수학적 개념을 형성한다.
- 🔍 주제 추론의 검증
- 📢 “수학적 이해 (mathematical understanding)“라는 명시적 표현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계산하고 있는 모습을 간접 진술하고 있습니다. 문장 4에서 정답을 선택하지 못한 독자도 여기서는 정답을 선택해야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문장 6
In all of these instances, children are developing a notion of quantity.
🔑 주요 단어 정리
- all of~: 모든 ~, ~의 모든 것
- instance: 사례, 경우 (동의어: example, case)
- develop: 발전시키다 (동의어: build, improve)
- notion: 개념 (동의어: idea, concept)
- quantity: 양, 수량 (동의어: amount, number)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all of these instances,/ children are developing/ <a notion/ of quantity>.
- 이러한 모든 경우들에서,/ 아이들은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개념을/ 양의>.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 아이들은 다양한 활동(숫자 세기, 비교, 계산하기)을 통해 수량 개념을 발전시킨다.
📌 문장 7
Children reveal and investigate mathematical concepts through their own activities or experiences, such as figuring out how many crackers to take at snack time or sorting shells into piles.
🔑 주요 단어 정리
- reveal: 드러내다 (동의어: show, disclose)
- investigate: 조사하다, 탐구하다 (동의어: examine, explore)
- mathematical concept: 수학적 개념
- through~: ~을 통해 (동의어: via, by means of)
- figure out: 알아내다 (동의어: determine, calculate)
- sort: 분류하다 (동의어: classify, organize)
- pile: 더미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hildren reveal and investigate/ mathematical concepts/ through [their own <activities or experiences>],/ [such as [figuring out/ [how many crackers to take/ at snack time]]/ or/ [sorting/ shells/ into piles>]].
- 아이들은 드러내고 탐구합니다/ 수학적 개념들을>/ [<그들 자신의 활동들이나 경험들을>] 통해서,/ [예를 들어, [알아내는 것이나/ [얼마나 많은 수의 크래커들을 가져가야 하는지를/ 간식 시간에]]/ 또는/ [분류하는 것 같은/ 조개껍데기들을/ 더미들로]].
📖 어법 설명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figuring out/~]“과 ”[sorting/~]“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구 ”such as“의 목적어 역할.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how many crackers to take/ at snack tim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how many crackers they should take/ at a snack time]“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얼마나 많은 수의 크랙커들을 가져가야 하는지“의 의미
- 💡 문장 7의 핵심 내용
✔ 아이들은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탐구한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요약
- ✔ 아이들은 매일 사물 간의 관계를 탐구하면서 수와 양의 개념을 익힌다.
- ✔ 숫자를 세고(count), 비교하고(compare), 계산하는 과정(calculate)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자연스럽게 형성한다.
- ✔ 아이들은 실생활에서 수학적 개념을 적용하고, 직접 경험하며 이해를 확장해 나간다.
📌 선택지 분석
- ✅ ② how children build/ mathematical understanding (아이들이 수학적 이해를 형성하는 방법) → 정답
- ✔ 문장 1~문장 7까지의 모든 내용이 아이들이 숫자를 세고, 비교하고, 계산하면서 수학적 개념을 익혀가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음.
- ✔ ”수학적 개념(mathematical concepts)“이라는 표현이 직접 등장하며, 수학적 이해를 형성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내용과 일치함.
- ❌ ① difficulties/ of children/ <in learning/ how to count> (아이들이 숫자를 세는 데 겪는 어려움) → 오답
- ✖ 본문은 아이들이 숫자를 배우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지, 숫자를 배우는 데 겪는 어려움을 다루고 있지 않음.
- ❌ ③ why/ fingers are used/ <in counting/ objects> (사물을 셀 때 손가락을 사용하는 이유) → 오답
- ✖ 손가락을 사용하여 숫자를 세는 것과 관련된 내용이 전혀 없음.
- ❌ ④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 교육의 중요성) → 오답
- ✖ 본문은 유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스스로 수학적 개념을 익히는 과정을 설명하는 내용이므로 적절하지 않음.
- ❌ ⑤ <advantages/ of singing number songs> (숫자 노래를 부르는 것의 장점) → 오답
- ✖ 숫자 노래와 관련된 내용이 전혀 등장하지 않음.
🎯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② how children build/ mathematical understanding (아이들이 수학적 이해를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결론
📢 아이들의 자연스러운 탐구 과정이 수학적 이해를 형성한다!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아이들이 실생활에서 수학적 개념을 익히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 아이들은 숫자를 세고(count), 비교하고(compare), 계산하면서(calculate) 자연스럽게 수학적 개념을 형성합니다.
📌 이러한 탐구 과정은 단순한 암기가 아닌, 자연스러운 사고의 확장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아이들이 수학을 배울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일까요?
💬 여러분의 의견을 댓글로 남겨 주세요! 😊🚀
📌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은 혹시라도 있을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드렸을 것입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