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 "우리는 알고리즘의 시대에 살고 있다."

📌 알고리즘은 더 이상 특정 전문가만 아는 개념이 아닙니다. 오늘날 우리는 알고리즘과 함께 살아가고 있으며, 금융, 항공, 공장 운영, 심지어 일상생활에서도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알고리즘의 역할과 현대 사회에서의 중요성을 탐구합니다.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문법 설명을 통해 지문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핵심 내용을 논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제목, 요지, 주제 찾기 문제의 풀이법

  •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주제 확인
  • ✔ 핵심 주장이 모호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 핵심 주장을 찾은 후, 예문과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정답 선택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Only a generation or two ago, mentioning the word algorithms would have drawn a blank from most people. Today, algorithms appear in every part of civilization. They are connected to everyday life. They’re not just in your cell phone or your laptop but in your car, your house, your appliances, and your toys. Your bank is a huge web of algorithms, with humans turning the switches here and there. Algorithms schedule flights and then fly the airplanes. Algorithms run factories, trade goods, and keep records. If every algorithm suddenly stopped working, it would be the end of the world as we know it.

① We Live/ <in an Age/ of Algorithms>
② Mysteries/ of Ancient Civilizations
③ Dangers/ of Online Banking Algorithms
④ <How/ Algorithms/ Decrease>/ Human Creativity
⑤ Transportation/: <A Driving Force/ of Industry>

문장별 분석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Only a generation or two ago, mentioning the word algorithms would have drawn a blank from most people.

🔑 주요 단어 정리

  • generation: 세대 (동의어: age group, cohort)
  • mention: 언급하다 (동의어: refer to, bring up)
  • algorithm: 알고리즘
  • would have + pp: (가정법 과거 완료적 표현) ~했을 것이다
  • draw a blank: 아무런 반응을 얻지 못하다
  • most people: 대부분의 사람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ly <a generation or two ago>],/ [mentioning/ <the word/ algorithms>]/ would have drawn a blank/ from most people.
  • [단지 <한두 세대 전>만 해도],/ [언급하는 것은/ <‘알고리즘’이라는/ 단어를>]/ 아무런 반응을 얻지 못했을 겁니다/ 대부분의 사람들로부터.

📖 어법 설명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동격 관계
  • "[mentioning/ <the word/ algorithms>]“에서 사용된 어법. 주어 역할. ”알고리즘들이라는 단어를 언급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the word/ algorithms>“에서 ”the word“와 ”algorithms“는 동격 관계입니다.
  • ✅ 가정법 과거 완료 ("would have drawn")
  • 과거의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함.
  • 의미적으로 "그 당시 사람들이 ‘알고리즘’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이해하지 못했을 것이다"를 표현.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한두 세대 전만 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알고리즘’이라는 단어를 이해하지 못했다.

📌 문장 2

Today, algorithms appear in every part of civilization.

🔑 주요 단어 정리

  • appear: 나타나다, 존재하다 (동의어: exist, be present)
  • civilization: 문명 (동의어: society, cultur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day,/ algorithms appear/ <in every part/ of civilization>.
  • 오늘날,/ 알고리즘은 나타납니다/ <모든 부분에서/ 문명의>.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오늘날, 알고리즘은 문명의 모든 부분에 존재한다.

📌 문장 3

They are connected to everyday life.

🔑 주요 단어 정리

  • connect to~: ~에 연결되다 (동의어: link to, relate to)
  • everyday life: 일상생활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are connected/ to everyday life.
  • 그들은 연결되어 있다/ 일상생활에.

📖 어법 설명

  • ✅ 수동태[be + pp]
  • are connected”에서 사용된 어법. "연결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알고리즘은 일상생활과 연결되어 있다.
  • 🔍 제목 추론 1
  • 📢 문장 1~ 문장 3까지의 알고리즘에 대한 글로 특히 문장 3의 내용인 “알고리즘의 일상생활과의 연결”을 진술하고 있고 이후 반의 접속사나 접속부사가 없는 부분을 염두에 두고
  • 📢 보기를 확인하면, 이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보기는 “① We Live/ <in an Age/ of Algorithms>(우리는 알고리즘의 시대에 살고있다)”뿐입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문장 4

They’re not just in your cell phone or your laptop but in your car, your house, your appliances, and your toys.

🔑 주요 단어 정리

  • not just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도 (동의어: not only A but also B)
  • cell phone: 휴대전화
  • laptop: 노트북 (컴퓨터)
  • appliance: 가전제품 (동의어: device, equipment)
  • toy: 장난감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re/ [not just <in your cell phone or your laptop>]/ [but <in your car, your house, your appliances, and your toys>].
  • 그것들은(알고리즘들은) 존재합니다/ [<당신의 휴대전화나 당신의 노트북에> 뿐만 아니라]/ [<당신의 자동차, 당신의 집, 당신의 가전제품, 및 당신의 장난감들>에도].

📖 어법 설명

  • ✅ 병렬 구조 ("not just A but (also) B")
  • 알고리즘이 다양한 기기에 존재함을 강조하는 구조.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알고리즘은 휴대전화와 노트북뿐만 아니라 자동차, 집, 가전제품, 장난감에도 존재한다.
  • 🔍 제목 추론 검증 1
  • 📢 문장 4 역시 문장 3의 진술을 뒷받침하는 내용.

📌 문장 5

Your bank is a huge web of algorithms, with humans turning the switches here and there.

🔑 주요 단어 정리

  • web: (복잡한) 망, 네트워크 (동의어: network, system)
  • turn the switches: 스위치를 조작하다
  • here and there: 여기저기에서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r bank [is a huge web/ [of algorithms,/ [with humans/ (who or that are) turning/ the switches/ here and there]]].
  • 당신의 은행은 [하나의 거대한 망입니다/ [알고리즘들의,/ [사람들을 가진/ 돌리고 있는(조작하고 있는)/ 스위치들을/ 여기저기에서]]].

📖 어법 설명

  •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humans/ (who or that are) turning/ the switches/ here and there“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human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o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하며, ”여기저기에서 스위치들을 돌리고(조작하고) 있는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with somebody ~ing“의 부대 상황 표현으로 보는 경우, 연결이 어색합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은행은 거대한 알고리즘 네트워크이며, 사람들은 여기저기서 이를 조작한다.
  • 🔍 제목 추론 검증 2
  • 📢 문장 5 역시 알고리즘이 은행까지 적용되어 있음을 동해 문장 3의 내용을 뒷받침

📌 문장 6

Algorithms schedule flights and then fly the airplanes.

🔑 주요 단어 정리

  • schedule~: ~의 일정을 잡다 (동의어: arrange, plan)
  • flight: 항공편
  • fly: (비행기를) 조종하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lgorithms <schedule/ flights>/ and then/ <fly/ the airplanes>.
  • 알고리즘들은 <일정을 잡습니다/ 항공편들의>/ 그리고 나서/ <조종합니다/ 비행기들을>.

📖 어법 설명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 then으로 연결
  • “<schedule/ flights>”와 “<fly/ the airplanes>”를 and then으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알고리즘은 항공편 일정을 잡고, 비행기를 조종한다.
  • 🔍 제목 추론 검증 3
  • 📢 문장 6 역시 알고리즘이 항공업무까지 적용되어 있음을 동해 문장 3의 내용을 뒷받침

📌 문장 7

Algorithms run factories, trade goods, and keep records.

🔑 주요 단어 정리

  • run: 운영하다 (동의어: operate, manage)
  • trade: 거래하다 (동의어: exchange, deal)
  • keep records: 기록을 유지하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lgorithms <run/ factories>,/ <trade/ goods>,/ and/ <keep/ records>.
  • 알고리즘들은 <운영합니다/ 공장들을>,/ <거래합니다/ 상품들을>,/ 그리고/ <유지합니다/ 기록들을>.

📖 어법 설명

  • ✅ 병렬 구조 – 세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run/ factories>”, “<trade/ goods>” 및 “<keep/ record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문장 7의 핵심 내용
  • 알고리즘은 공장을 운영하고, 상품을 거래하며, 기록을 유지한다.
  • 🔍 제목 추론 검증 4
  • 📢 문장 7 역시 문장 3의 내용을 뒷받침

문장 8

If every algorithm suddenly stopped working, it would be the end of the world as we know it.

🔑 주요 단어 정리

  • suddenly: 갑자기
  • stop working: 작동을 멈추다
  • the end of the world: 세계의 종말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every algorithm suddenly stopped/ working],/
  • [만약 모든 알고리즘이 갑자기 멈춘다면/ 작동하던 것을],/
  • it would be/ <the end/ of the world>/ [as we know/ it].
  • 그것은 될 것입니다/ <종말이/ 세계의>/ [우리가 아는 것처럼/ 그것을].

📖 어법 설명

  • ✅ 가정법 과거
  • "[If every algorithm suddenly stopped/~],/ it would be/ ~"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현재 사실의 반대, 현재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을 표현합니다. 표준 문형은 “If+주어+과거형 동사(be 동사는 인칭에 무관 were)+~, 주어+would[should/could/might]+동사원형+~”입니다.
  •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we know/ it]”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8의 핵심 내용
  • 만약 모든 알고리즘이 갑자기 작동을 멈춘다면, 우리가 아는 세계는 종말을 맞이할 것이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요약

  • ✔ 한두 세대 전만 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알고리즘’이라는 단어를 이해하지 못했다.
  • ✔ 하지만 오늘날, 알고리즘은 문명의 모든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알고리즘은 휴대전화, 노트북뿐만 아니라 자동차, 집, 가전제품, 장난감에도 존재한다.
  • ✔ 금융 시스템, 항공기 운항, 공장 운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알고리즘이 활용된다.
  • ✔ 만약 모든 알고리즘이 갑자기 작동을 멈춘다면, 우리가 아는 세계는 종말을 맞이할 것이다.
  • 📢 즉, 알고리즘은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

📌 선택지 분석

  • ❌ ② Mysteries of Ancient Civilizations (고대 문명의 신비)
  • 지문은 **현대 기술(알고리즘)**에 대한 내용을 다루며, 고대 문명과는 전혀 관련 없음.
  • ❌ ③ Dangers of Online Banking Algorithms (온라인 뱅킹 알고리즘의 위험성)
  • 지문에서 알고리즘이 금융 분야에서 활용된다고 언급되지만, 알고리즘의 위험성에 대한 내용은 없음.
  • ❌ ④ How Algorithms Decrease Human Creativity (알고리즘이 인간의 창의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 창의성 감소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음.
  • ❌ ⑤ Transportation: A Driving Force of Industry (운송: 산업의 원동력)
  • 알고리즘이 항공편을 관리하고 비행기를 조종한다는 내용이 있지만, 운송 자체가 지문의 주제가 아님.

🎯 정답 제시

  • 따라서, "① We Live in an Age of Algorithms (우리는 알고리즘의 시대에 살고 있다)"가 가장 적절합니다.
  • ✅ 알고리즘이 현대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는 지문의 핵심 내용과 완벽하게 일치함. 

결론

🎯 "알고리즘 없이는 우리가 아는 세상도 존재할 수 없다!"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알고리즘이 현대 문명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 불과 한두 세대 전만 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몰랐던 알고리즘이, 이제는 금융, 운송, 공장 운영 등 사회 전반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우리가 아는 세상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습니다.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문법적 연결 고리를 기반으로 한 심층적인 해석과 유형별 문제 풀이 팁을 제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문장별 의미, 문법적 연결 구조, 논리적 전개 방식을 익히고, 제목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까지 습득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

📌 앞으로도 다양한 지문을 분석하며 영어 독해 실력과 문제 풀이 능력을 향상시켜 보세요! 🚀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