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 "기술이 발전할수록 자원 소비가 줄어들까?"

📌 우리는 종종 기술 발전이 자원 소비를 줄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 데이터는 정반대를 보여줍니다.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첨단 기술과 자원 소비의 관계를 탐구하며, 기술 발전이 오히려 더 많은 자원 소비를 초래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문법 설명을 통해 지문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어법 문제를 해결하는 논리적 과정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 어법 문제 풀이 TIP

  • ✅ 대명사의 수를 묻는 문제를 제외하고, 어법이 포함된 문장만 집중적으로 확인하세요.
  • ✅ 어법 문제는 문장의 해석만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문제는 어법적 형태(문법적 구조)를 확인해야 해결이 가능합니다.
  • ✅ 유사한 문제의 해설을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훈련법입니다.
  • ✅ 자주 출제되는 어법 포인트를 정리하고, 시험장에서 빠르게 검토할 수 있도록 패턴화하세요.

🎯 반복 학습과 패턴 인식을 통해 어법 문제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세요! 🚀

📌 이제 문장별 분석을 통해 문제 해결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Despite all the high­-tech devices that seem to deny the need for paper, paper use in the United States ① has nearly doubled recently. We now consume more paper than ever: 400 million tons globally and growing. Paper is not the only resource ② that we are using more of. Technological advances often come with the promise of ③ using fewer material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y have historically caused more materials use, making us ④ dependently on more natural resources. The world now consumes far more “stuff” than it ever has. We use twenty ­seven times more industrial minerals, such as gold, copper, and rare metals, than we ⑤ did just over a century ago. We also each individually use more resources. Much of that is due to our high-­tech lifestyle. 

* copper: 구리.

문장별 분석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Despite all the high-tech devices that seem to deny the need for paper, paper use in the United States ① has nearly doubled recently.

🔑 주요 단어 정리

  • despite~: ~에도 불구하고 (동의어: in spite of)
  • high-tech: 첨단 기술의
  • device: 기기, 장치 (동의어: gadget, appliance)
  • deny: 부정하다, 거부하다 (동의어: reject, refute)
  • paper use: 종이 사용
  • nearly: 거의 (동의어: almost, approximately)
  • double: 두 배가 되다
  • recently: 최근에 (동의어: latel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Despite all the high-tech devices/ that seem to deny/ <the need/ for paper>],/
  • [모든 첨단 기술 기기들에도 불구하고/ 거부하는 것처럼 보이는/ <필요성을/ 종이에 대한>],/
  • <paper use/ in the United States>/ ① has nearly doubled/ recently.
  • <종이 사용은/ 미국에서의>/ ① 거의 두 배 증가했다/ 최근에.

📖 어법 설명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ll the high-tech devices/ that seem to deny/ <the need/ for paper>”에서 “that”은 선행사, “all the high-tech device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종이에 대한 필요성을 거부하는 것처럼 보이는 모든 첨단 기술 기기들”의 의미를 전달.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현재완료(have/has + pp)
  • 문장의 주어는 “paper use”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has nearly doubled”. 또한, "has nearly doubled"는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결과로 “거의 두배가 되었다”의 의미를 전달. “recently(최근에)”는 현재완료 시제와 자주 쓰이며, 문맥상 적절함.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①
  • "① has nearly doubled"에서 ① has“는 수의 일치를 묻는 것으로 어법상 적절합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첨단 기술 기기들이 종이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미국에서 종이 사용량은 최근 거의 두 배 증가했다.

📌 문장 2

We now consume more paper than ever: 400 million tons globally and growing.

🔑 주요 단어 정리

  • consume: 소비하다 (동의어: use, utilize)
  • than ever: 어느 때보다 더
  • globally: 전 세계적으로
  • grow: 증가하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now consume/ more paper/ than ever/
  • 우리는 지금 소비합니다/ 더 많은 종이를/ 어느 때보다 더/
  • :/ <400 million tons/ globally>/ and/ (+it’s) growing.
  • 즉/ <4억 톤을/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그것은(종이 사용량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어법 설명

  • 불완전한 문장 형태의 보완 필요성
  • "<400 million tons/ globally>/ and/ growing"에서 명사구인 ”<400 million tons/ globally>“와 품사적으로 형용사인 ”growing“이 and로 병렬 연결된 것처럼 보이나 등위 접속사는 ”명사구“와 ”명사구“ 또는 ”형용사“와 ”형용사“를 연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또한 앞 문장인 ”We now consume/ more paper/ than ever“에서 연결된 것으로 보아도 역시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it’s(종이 사용량이)“를 추가하는 것이 어법상 및 의미상 적절합니다. it“는 문장 1의 ”paper use“를 대신하는 대명사.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우리는 지금까지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종이를 소비하고 있으며, 그 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 문장 3

Paper is not the only resource ② that we are using more of.

🔑 주요 단어 정리

  • resource: 자원 (동의어: material, supply)
  • use more of~: ~을 더 많이 사용하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aper [is not the only resource/ ② that/ we are using/ more/ of].
  • 종이는 [유일한 자원이 아닙니다/ ② 그것을/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더 많이].

📖 어법 설명

  •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only resource/ ② thatwe are using/ more/ of”에서 ”that”은 선행사, “the only resource”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우리가 더 많이 사용하는 유일한 자원”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전치사를 관계대명사 앞으로 이동해서 표현할 수도 있으며, “the only resource/ ② of which/ we are using/ more”와 동일합니다.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②
  • 따라서, 목적격 관계대명사 “② that”은 전치사 “of“의 목적어로 어법상 적절합니다.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우리가 더 많이 사용하는 자원은 종이뿐만이 아니다.

📌 문장 4

Technological advances often come with the promise of ③ using fewer materials.

🔑 주요 단어 정리

  • technological advances: 기술 발전
  • come with~: ~와 함께 오다, ~을 수반하다
  • promise: 약속, 기대 (동의어: commitment, assurance)
  • fewer: 더 적은 (비교급)
  • material: 재료, 물질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echnological advances often come/ [with the promise/ <ofusing/ fewer materials>].
  • 기술 발전들은 종종 옵니다(수반합니다)/ [약속(기대)와 함께/ ③ <사용하는/ 더 적은 수의 자원들을>].

📖 어법 설명

  •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he promise/ <of ③ using/ fewer materials>”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는 “더 적은 수의 자원들을 사용한 것과 관련된 약속”“더 적은 수의 자원을 사용하는 약속”으로 의역이 되는 것입니다.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③
  • 따라서, “<of ③ using/ fewer materials>”에서 “③ using”은 전치사 "of"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로 어법상 적절합니다.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기술 발전은 자원을 더 적게 사용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이루어진다.

📌 문장 5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y have historically caused more materials use, making us ④ dependently on more natural resources.

🔑 주요 단어 정리

  • however: 그러나 (대조를 나타내는 접속부사)
  • the reality is that~: 현실은 ~라는 것이다
  • historically: 역사적으로
  • cause: 초래하다 (동의어: lead to, result in)
  • material use: 자원 사용
  • dependently: 의존적으로 (부사)
  • dependent on~: ~에 의존적인(의존하는)
  • natural resource: 천연자원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y have historically caused/ more materials use],/
  • 그러나,/ 현실은 [그것들이(기술 발전들이) 역사적으로 초래해 왔다는 것입니다/ 더 많은 자원 사용을],/
  • [making/ us/ ④ dependently(→dependent)/ on more natural resources].
  • [만들면서/ 우리를/ ④ 의존하도록/ 더 많은 천연자원에].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is [tha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현재완료(have/has + pp) 시제
  • "have historically caused"는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상태의 계속으로 “역사적으로 유발해 왔다”의 의미를 전달.
  • ✅ 분사구문
  • [making/~]”은 “[while they mak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technological advances)”가 생략되고 동사 “make”가 “mak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만들면서"의 의미를 전달.
  •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making/ us/ ④ dependently(→dependent)”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형용사가 와야 할 자리에 부사가 사용된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④
  • "dependently"는 부사로, 목적격 보어 자리에는 형용사 "dependent"가 와야 하므로 어법적으로 부적절합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6으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그러나 실제로는, 기술 발전이 오히려 더 많은 자원 사용을 초래하여, 우리가 더 많은 천연자원에 의존하게 만들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문장 6

The world now consumes far more “stuff” than it ever has.

🔑 주요 단어 정리

  • consume: 소비하다
  • far more: 훨씬 더 많이
  • stuff: 물건, 자원
  • ever: 이제껏, 지금껏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world now consumes/ far more “stuff”/ [than it ever has].
  • 세계는 이제 소비합니다/ 훨씬 더 많은 “것들”을/ [그것이(세계가) 이제껏 해왔던 것보다].

📖 어법 설명

  • ✅ 비교급 강조 부사
  • far more “stuff”“에서 사용한 어법.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훨씬”의 의미를 전달.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 ✅ 비교의 부사절 “than + 주어 + 동사”
  • [than it ever has]”에서 사용된 어법. “~하는 것보다”의 의미를 전달. 또한 “has (consumed ”stuff“)”의 생략 형태로 has” 또한 “be 동사”나 “do”로 대체할 수 없는 대조동사로 출제 point입니다.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세계는 과거 어느 때보다 훨씬 더 많은 자원을 소비하고 있다.

📌 문장 7

We use twenty-seven times more industrial minerals, such as gold, copper, and rare metals, than we ⑤ did just over a century ago.

🔑 주요 단어 정리

  • use: 사용하다, 소비하다 (동의어: consume, utilize)
  • twenty-seven times more: 27배의 더 많은
  • industrial mineral: 산업 광물
  • such as:~ (예를 들어) ~같은 (동의어: like, for example)
  • rare metal: 희귀 금속
  • than~: ~보다
  • just over: 단지 ~이상 
  • century: 세기 (100년)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use/ [twenty-seven times more industrial minerals,/ [such as <gold, copper, and rare metals>]],/
  • 우리는 사용합니다/ [27배의 더 많은 산업 광물들을,/ [예를 들어 <금, 구리, 및 희귀 금속들> 같은]],/
  • [than wedid/ just over a century ago].
  • [우리가 했던 것보다/ 단지 100년 이상(100여 년) 전에].

📖 어법 설명

  • ✅ 비교의 부사절 “than + 주어 + 동사”
  • [than we ⑤ did/~]”에서 사용된 어법. “~하는 것보다”의 의미를 전달.
  • ✅ 대동사 "did"
  • "[than we ⑤ did/~]"에서 "did"는 앞 문장에서 사용된 동사 "use"를 대신하는 대동사로 “be 동사”나 “조동사”로 대체될 수 없어 시험 point입니다. 문장 6의 “has”와 동일한 개념.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⑤
  • "⑤ did"는 대동사로 동사 “use”의 과거 시제 “used”를 대신하며, 어법적으로 적절함.
  • 💡 문장 7의 핵심 내용
  • 우리는 100여 년 전보다 27배 더 많은 산업 광물(금, 구리, 희귀 금속)을 사용하고 있다.

📌 문장 8

We also each individually use more resources.

🔑 주요 단어 정리

  • also: 또한, 역시 (동의어: too, as well)
  • each: 각자, 각각, 개개인
  • individually: 개별적으로 (동의어: separately, personally)
  • resource: 자원 (동의어: material, suppl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also each individually use/ more resources.
  • 우리는 또한 각자 개별적으로 사용합니다/ 더 많은 자원을.

📖 어법 설명

  • ✅ 부사 위치 ("also, each, individually")
  • "also"는 문장 초반에 배치되어 "우리 또한"이라는 의미를 강조.
  • "each"와 "individually"는 함께 사용되어 "각자 개별적으로"라는 의미를 강조.
  • 💡 문장 8의 핵심 내용
  • 우리는 개개인도 더 많은 자원을 사용하고 있다.

📌 문장 9

Much of that is due to our high-tech lifestyle.

🔑 주요 단어 정리

  • much of~: ~의 많은 부분
  • due to~: ~때문에 (동의어: because of, owing to)
  • high-tech lifestyle: 첨단 기술 생활 방식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uch/ of that>/ <is due to our high-tech lifestyle>.
  • <많은 부분이/ 그것의>/ <우리의 첨단 기술 생활 방식 때문입니다>.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부분/분수 뜻의 명사+단수 명사”는 단수 취급합니다. 이 문장의 주어는 ”Much”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 문장 9의 핵심 내용
  • 우리가 더 많은 자원을 사용하는 것은 첨단 기술 중심의 생활 방식 때문이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요약

  • 첨단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종이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 ✔ 기술 발전이 자원 소비를 줄일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오히려 자원 소비를 증가시켜 왔다.
  • ✔ 100년 전보다 훨씬 더 많은 자원과 광물이 소비되고 있으며, 이는 고도화된 기술 생활방식 때문이다.

📌 선택지 분석

  • ✅ ① has nearly doubled → 적절
  • "① has nearly doubled"는 수의 일치로 단수 주어인 ”paper use“와 사용되어 적절. 
  • ✅ ② that we are using more of → 적절
  • "that we are using more of"에서 "that"은 관계대명사로 "the only resource"를 수식.
  • 전치사 "of"는 관계대명사 절 내에서 후치 수식되므로 문법적으로 적절함.
  • ✅ ③ using fewer materials → 적절
  • "of using fewer materials"에서 "of"는 전치사이며, 동명사 "using"이 목적어 역할을 함.
  • 의미상 "더 적은 자원을 사용하는 약속"이므로 문법적으로 적절함.
  • 🚨 ④ dependently → dependent → 오답 (정답)
  • "making us dependently on more natural resources"에서
  •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구조이므로 "dependent"가 와야 함.
  • "dependently"는 부사로 사용되었으나, 의미상 "의존적인"이라는 형용사가 적절함.
  • ✅ ⑤ did → 적절
  • "than we did just over a century ago"에서 "did"는 대동사로 동사 "used"를 대신함.
  • 문법적으로 적절하며, 비교급 표현에도 맞음.

🎯 정답 제시

  • 따라서, “④ dependentlydependent”가 가장 적절합니다. 🚀
  •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빠르게 선택한 후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것이 전략적으로 유리합니다.

결론

🎯 "기술 발전이 항상 친환경적일까?"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기술 발전이 자원 소비를 줄일 것이라는 일반적인 믿음을 반박하며, 오히려 자원 소비가 증가했음을 강조합니다.

📌 특히, 과거보다 훨씬 더 많은 광물과 자원을 소비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의 첨단 기술 중심 생활방식 때문입니다.

📌 이번 분석을 통해 문장별 의미, 문법적 연결 구조, 논리적 전개 방식을 익히고, 어법 문제를 해결하는 전략까지 학습할 수 있었습니다.

📌 앞으로도 다양한 지문을 분석하며 영어 독해 실력과 문제 풀이 능력을 향상시켜 보세요! 🚀

📌 오늘도 영어 실력 UP을 위해 노력하는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이 지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립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