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30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 논리적 일관성과 어휘 선택의 중요성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30번 지문은 “타인의 기대에 의해 형성된 삶”과 “타인의 삶과 비교하며 느끼는 박탈감”이라는 두 개념을 혼용하고 있습니다.
🔹 지문 구조 및 출제 의도
- 문장 1~5: 타인의 기대가 우리의 선택을 좌우하는 문제
- 문장 6: 갑자기 "타인의 삶과 비교"하는 문제로 전환 → 논리적 혼란 발생
- 문장 7: 중의적 표현(남의 삶과 비교 vs 타인의 개입)
- 문장 8 이후(문장 12 제외): 다시 "타인의 기대에서 벗어나는 방법"으로 복귀
- 문장 11: 주제가 "박애"가 아님에도 "나 자신을 사랑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없다고 결론 지음" - 변경 내용 참조
📌 따라서, 문장 6의 "ignoring(무시하는)"이 전체 맥락보다는 부분적 맥락에서 "comparing(비교하는)"으로 수정해야 논리적으로 타당합니다.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을 철저하게 해부하며, 어휘의 적절성 판단 문제를 푸는 핵심 전략을 제시합니다.
📌 어휘 문제 해결의 일반적인 TIP!
- 👉 문맥상 어색한 단어를 찾는 문제에서는 앞뒤 문장의 논리적 연결을 고려해야 합니다.
- 👉 특정 단어의 반대 개념(증가 vs 감소, 긍정 vs 부정 등)을 확인하는 것도 유용합니다.
- 👉 "내용을 읽고 자연스럽게 이해되는가?" 스스로 질문해 보세요!
- 👉 이 지문의 경우 부분적 맥락에서 답을 찾았어야 시간을 줄이기에 유리합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Do you sometimes feel like you don’t love your life? Like, deep inside, something is missing? That’s because we are living someone else’s life. We allow other people to ① influence our choices. We are trying to meet their expectations. Social pressure is deceiving ― we are all impacted without noticing it. Before we realize we are losing ownership of our lives, we end up ② ignoring how other people live. Then, we can only see the greener grass ―ours is never good enough. To regain that passion for the life you want, you must ③ recover control of your choices. No one but yourself can choose how you live. But, how? The first step to getting rid of expectations is to treat yourself ④ kindly. You can’t truly love other people if you don’t love yourself first. When we accept who we are, there’s no room for other’s ⑤ expectations.
문장별 분석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3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Do you sometimes feel like you don’t love your life? Like, deep inside, something is missing?
🔑 주요 단어 정리
- sometimes: 가끔, 때때로 (동의어: occasionally, at times / 반의어: always, never)
- feel like~: ~처럼 느끼다 (동의어: think, sense)
- love~: ~이 마음에 들다, 사랑하다, 좋아하다
- deep inside: 내면 깊숙이 (동의어: at the core, inwardly)
- be missing: 부족하다, 빠져 있다 (동의어: be absent, be lacking)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Do you sometimes feel/ [like (that) you don’t love/ your life]?
- 당신은 때때로 느끼나요/ [당신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것처럼/ 당신의 삶을]?
- [Like,/ deep inside,/ (that) something is missing]?
- [내면 깊숙이/ 무언가가 부족한 것처럼]?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like (that) you don’t love/~]"과 “[Like,/ deep inside,/ (that) something is~]”에서 생략된 "(that)"은 전치사 "lik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인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때때로 자신의 삶이 만족스럽지 않고, 내면 깊숙이 무언가가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다.
📌 문장 2
That’s because we are living someone else’s life.
🔑 주요 단어 정리
- that’s because: 그것은 ~하기 때문이다
- someone else’s life: 다른 누군가의 삶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at’s [because we are living/ someone else’s life].
- 그것은 [우리가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누군가의 삶을].
📖 어법 설명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we are living/~]”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우리가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우리의 삶이 아닌, 다른 누군가의 기대에 맞춰 살아가기 때문이다.
📌 문장 3
We allow other people to ① influence our choices.
🔑 주요 단어 정리
- allow A to 부정사: A가 ~하도록 허락하다
- influence: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affect, impact)
- choice: 선택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allow/ other people/ <to ① influence/ our choices>.
- 우리는 허락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도록/ 우리의 선택들에>.
📖 어법 설명
- ✅ 5형식 문형 "allow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allow/ other people/ <to ① influence/ our choices>“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allow”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 어휘의 적절성 검토 ①
- 문장 2의 진술로 볼 때, "① influence/ our choices(우리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다)"는 문맥상 적절함. ✅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기대와 의견이 우리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도록 허용한다.
📌 문장 4
We are trying to meet their expectations.
🔑 주요 단어 정리
- try to 부정사: ~하기 위해서 노력하다
- meet expectations: 기대치들을 충족시키다 (동의어: satisfy, fulfill)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are trying/ <to meet/ their expectations>.
- 우리는 노력하고 있습니다/ <충족시키기 위해서/ 그들의 기대치들을>.
📖 어법 설명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are trying/ <to meet/ their expectations>”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are trying”을 수식.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애쓰고 있다.
📌 문장 5
Social pressure is deceiving ― we are all impacted without noticing it.
🔑 주요 단어 정리
- social pressure: 사회적 압력
- deceive: 속이다 (동의어: mislead, trick)
- impact: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affect, influence)
- without noticing: 알아차리는 것 없이(알아차리지 못한 채)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cial pressure is deceiving/
- 사회적 압력이 속이고 있습니다/
- ―/ we are all impacted/ <without noticing/ it>.
- 다시 말해서/ 우리는 모두 영향을 받습니다/ <알아차리는 것 없이(알아차리지 못한 채)/ 그것을(사회적 압력을)>.
📖 어법 설명
- ✅ 수동태[be + pp]
- “are all impacted”에서 사용된 어법. "모두 영향을 받다"의 의미로 수동태.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without noticing/ it>“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without“의 목적어 역할. ”그것을 알아차리는 것 없이(알아차리지 못한 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사회적 압력은 교묘하여,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그 영향을 받는다.
📌 문장 6
Before we realize we are losing ownership of our lives, we end up ② ignoring how other people live.
🔑 주요 단어 정리
- realize: 깨닫다 (동의어: recognize, become aware of)
- ownership: 소유권
- end up ~ing: 결국 ~하게 되다 (동의어: wind up, result in)
- ignore: 무시하다 (동의어: disregard, overlook)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efore we realize/ [(that) we are losing/ <ownership/ of our lives>]],/
- [우리가 깨닫기 전에/ [우리는 잃어버리고 있다는 것을/ <소유권을/ 우리의 삶에 대한>]]/
- we end up ② ignoring(→comparing)/ [how/ other people live].
- 우리는 결국 ② 무시하게(→비교하게) 됩니다/ [어떻게/ 다른 사람들이 사는지를].
📖 어법 설명
- ✅ 시간의 부사절 “before + 주어 + 동사”
- “[Before we realize/~]”에서 사용된 어법. “~하기 전에”의 의미를 전달.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realize/ [(that)~]"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realiz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어휘의 적절성 검토 ②
- 📢 문장 3~문장 5의 진술로부터 “다른 사람의 기대치에 의해 우리의 삶이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가 진술되어 있어, “결국 다른 사람이 어떻게 사는지를 무시하게 된다”는 의미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 📢 따라서, “ignoring“은 ”comparing“으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②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6으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 다만, 지문의 전체적인 주제인 ”다른 사람의 기대치에 의한 우리 삶의 영향“에서 ”다른 사람의 삶과의 비교“로 변경된 듯한 인상을 주어, 주제의 일관성 측면에서는 다소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end up not knowing/ how others intervene/ in our lives“ 정도로 조정하면, 전체적인 맥락과 부합할 것입니다.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우리는 결국 다른 사람들의 삶을 자신과 비교하며, 자신의 삶이 부족하다고 느끼게 된다.
📌 문장 7
Then, we can only see the greener grass ― ours is never good enough.
🔑 주요 단어 정리
- then: 그러면, 그때 (동의어: at that moment, subsequently)
- only see: 오직 ~만 보다
- the greener grass: 더 푸른 풀밭 → 남들의 삶이 더 나아 보인다는 비유적 표현
- ours: 우리의 것 (소유 대명사)
- never good enough: 결코 충분히 좋지 않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n,/ we can only see/ the greener grass/
- 그러면,/ 우리는 오직 볼 수 있습니다/ 더 푸른 풀밭만(남의 더 좋아 보이는 삶만).
- ―/ ours is never good enough.
- 다시 말해서/ 우리의 것(풀밭)이 결코 충분히 좋지 않습니다.
📖 어법 설명
- ✅ 소유 대명사 "ours"
- "ours"는 "our grass"를 대신하는 소유 대명사로 사용됨.
-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문장 6 변경 전: 우리는 남들의 삶만 부러워하게 되고, 우리의 삶은 결코 충분하지 않다고 느낀다.
- 📢 문장 6을 수정하면, ”the greener grass“는 중의적 표현으로, ”others’ intervention in our lives“로, ”ours“는 ”our own lives“로 재해석될 수 있습니다.
📌 문장 8
To regain that passion for the life you want, you must ③ recover control of your choices.
🔑 주요 단어 정리
- to regain: 되찾기 위해 (동의어: to reclaim, to recover)
- passion for ~: ~에 대한 열정
- recover: 회복하다, 되찾다 (동의어: regain, restore)
- control of ~: ~에 대한 통제권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regain/ [that passion/ [for the life/ (which or that) you want]]],/
- [되찾기 위해서/ [그 열정을/ [삶에 대한/ 당신이 원하는]]],/
- you must ③ recover/ <control/ of your choices>.
- 당신은 반드시 ③ 회복해야 합니다/ <통제권을/ 당신의 선택에 대한>.
📖 어법 설명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regain/~]”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전체를 수식.
-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의 생략
- “the life/ (which or that) you want”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은 선행사, “the life”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당신이 원하는 삶”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목적격 관계 대명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 어휘의 적절성 검토 ③
- "③ recover"는 "회복하다/되찾다"의 의미로, "<control/ of your choices>"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문맥상 적절합니다.
- 💡 문장 8의 핵심 내용
- 원하는 삶에 대한 열정을 되찾기 위해서는, 자신의 선택에 대한 통제권을 회복해야 한다. 문장 8부터는 다른 사람의 개입이 없는 자신만의 삶을 되찾는다는 의미로 다시 전환됩니다.
📌 문장 9
No one but yourself can choose how you live. But, how?
🔑 주요 단어 정리
- but: (전치사) ~을 제외하고
- yourself: 당신 자신
- choose: 선택하다 (동의어: decide, determin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 one/ but yourself(→you)>/ can choose/ [how/ you live].
- <어느 누구도/ 당신 자신을(→당신을) 제외한>/ 선택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 당신이 살지를].
- But,/ how?
- 하지만,/ 어떻게요?
📖 어법 설명
- ✅ 명사의 부정
- 한국어에는 명사를 부정하는 경우가 없어, “<Anyone/ but yourself>/ can’t choose/~”로 변경하여 해석하도록 합니다.
- ✅ 재귀 대명사 ”yourself“의 오용
- ”<No one/ but yourself>“에서 사용된 어법. 재귀 대명사는 ”문장의 주어 =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의 관계인 경우.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는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문장의 경우, 주어가 ”No one“으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따라서, ”yourself“는 ”you“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you liv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의미상 동사구 “can’t choose”의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 문장 9의 핵심 내용
- 오직 자신만이 삶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 할까?
📌 문장 10
The first step to getting rid of expectations is to treat yourself ④ kindly.
🔑 주요 단어 정리
- the first step to ~: ~를 향한 첫 단계
- get rid of~: ~을 제거하다, 없애다 (동의어: eliminate, remove)
- expectation: 기대
- treat: 대하다 (동의어: behave toward, handle)
- kindly: 친절하게 (동의어: gently, compassionatel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first step/ <to getting rid of/ expectations>]/ is to treat/ yourself(→you)/ ④ kindly.
- [첫 번째 단계는/ <없애는 것에 대한/ 기대치들을>]/ 대하는 것입니다/ 당신 자신을(→당신을)/ ④ 친절하게.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first step”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is to treat“.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to getting rid of/ expectations>“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to“의 목적어 역할. ”기대치들을 없애는 것으로의(것에 대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be + (to) 부정사
- ”is to treat“에서 사용된 어법.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예정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be to 부정사와 같은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재귀 대명사 ”yourself“의 오용
- ”is to treat/ yourself(→you)“에서 사용된 어법. 재귀 대명사는 ”문장의 주어 =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의 관계인 경우.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는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문장의 경우도, 주어가 ”The first step“으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따라서, ”yourself“는 ”you“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 어휘의 적절성 검토 ④
- 오용된 재귀 대명사와는 무관하게 ”④ kindly“는 문맥상 적절합니다.
- "kindly"는 부사로, 동사 "treat"를 수식하며 "자신을 친절하게 대하다"라는 의미가 됨.
- 💡 문장 10의 핵심 내용
- 타인의 기대를 없애는 첫 번째 단계는 자기 자신을 친절하게 대하는 것이다.
📌 문장 11
You can’t truly love other people if you don’t love yourself first.
🔑 주요 단어 정리
- truly: 진정으로 (동의어: genuinely, sincerely)
- first: 먼저, 첫 번째로 (동의어: initially, primaril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can’t truly love/ other people/ [if you don’t love/ yourself/ first].
- 당신은 진정으로 사랑할 수 없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만약 당신이 사랑하지 않는다면/ 당신 자신을/ 먼저].
📖 어법 설명
-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you don’t love/~]”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 재귀 대명사 ”yourself“
- ”[if you don’t love/ yourself/ first]“에서 사용된 어법. ”문장의 주어 = 목적어(동사구 "don’t love"의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의 관계인 경우.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는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함.
- 💡 문장 11의 핵심 내용
- 다른 사람을 진정으로 사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을 사랑해야 한다.
- 📢 문장 11도 지문의 주제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이 지문이 다루는 주제는 “박애”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자신만의 삶의 추구”로 봐야 하므로, “you can’t pursue/ your own life” 정도로 변경해야 문맥상 적절합니다.
📌 문장 12
When we accept who we are, there’s no room for other’s ⑤ expectations.
🔑 주요 단어 정리
- accept: 받아들이다 (동의어: embrace, acknowledge)
- who we are: 우리의 존재 자체
- there’s no room for ~: ~에 대한 여지가(공간이) 없다
- expectation: 기대(치)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we accept/ [who we are]],/
- [우리가 받아들일 때/ [우리가 누구인지를(현재의 우리를)]],/
- there’s no/ <room/ for other’s(→others’) ⑤ expectations>.
- 없게 됩니다/ <여기가(공간이)/ 다른 사람들의 ⑤ 기대치들을 위한>.
📖 어법 설명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we accept/~]”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o we ar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동사 “accept”의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 복수형 소유격의 오류
- “others”의 소유격은 “others’”로 문장 12에 사용된 “other’s”는 “others’”로 변경되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 🔍 어휘의 적절성 검토 ⑤
- 현재까지 주제가 일관성 있게 진술되지는 않았지만, “expectation” “기대치”의 의미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 💡 문장 12의 핵심 내용
- 우리가 우리 자신을 받아들이면, 다른 사람들의 기대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요약
- ✔ 우리가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는 타인의 기대에 맞춰 살아가기 때문이며, 이는 무의식적인 사회적 압력 때문임.
- ✔ 우리는 결국 타인의 삶과 비교하며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게 됨.
- ✔ 자기 자신의 삶을 되찾기 위해서는 자신의 선택을 통제하고, 타인의 기대에서 벗어나야 함.
🔍 문맥상 부적절한 표현 분석
- ✅ ① influence → 적절
- "influence our choices"(우리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다)는 타인의 기대가 우리의 결정을 좌우한다는 의미로 문맥상 적절함.
- 🚨 ② ignoring → 부적절 (정답)
- "We end up ignoring how other people live."(우리는 결국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사는지 무시하게 된다.)
- 문맥상 "ignoring"(무시하다)가 아니라 "comparing"(비교하다)로 수정해야 함.
- 앞 문장에서 "사회적 압력"과 "타인의 기대"를 강조했으므로,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삶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비교하게 된다는 의미가 더 적절함.
- 수정 필요 → ignoring → comparing
- ✅ ③ recover → 적절
- "recover control of your choices"(당신의 선택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다)는 논리적으로 적절함.
- ✅ ④ kindly → 적절
- "treat yourself kindly"(자신을 친절하게 대하다)는 자신의 삶을 존중해야 한다는 맥락에서 적절함.
- ✅ ⑤ expectations → 적절
- "expectations"(기대)는 문맥상 맞는 표현임.
- 단, 어법적으로 **"other’s expectations" → "others’ expectations"**으로 수정해야 하지만, 이는 단순한 소유격의 어법 오류이며 문맥적으로는 적절한 표현임.
🎯 정답 제시
- 따라서, “② ignoring → comparing”이 가장 적절합니다.
- 오답 근거: "ignoring"은 "다른 사람들의 삶을 무시한다"는 의미로, 문맥상 "비교한다(comparing)"로 수정해야 더 자연스러움.
- 수정 필요: "comparing how other people live"(다른 사람들의 삶과 비교하는 것)으로 변경해야 문맥상 적절함.
결론
📢 출제자의 의도를 간파하는 전략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30번 지문은 단순한 단어 뜻 문제가 아니라, 지문의 논리적 일관성을 분석하는 문제였습니다.
🔹 출제 포인트
- "타인의 기대"와 "타인의 삶과의 비교"가 혼재된 부분에서 정답을 찾는 문제
- 문장 6에서 논리적 일관성이 깨졌기 때문에, 적절한 단어를 찾아야 함
🔹 시험장에서 적용할 전략
- 주제가 갑자기 바뀌는 지점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라.
- 논리적 오류가 있는 부분에서 정답을 찾는다.
- 단순한 어휘 뜻이 아니라 문맥 속에서 적절성을 판단하라.
📌 문맥적 사고력을 키우면, 어휘 문제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다!
🚨 다만, 이 지문은 “타인의 기대치에 의한 삶의 영향”과 “타인의 삶에 대한 부러움과 비교”를 혼동하여 문맥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던 오류가 발견되었습니다.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이 지문 이해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