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3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 문장 삽입 문제는 글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39번에서는 시각장애인이 어떻게 세상을 인식하고 꿈을 꾸는지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주어진 문장을 가장 적절한 위치에 삽입해야 합니다.
✅ 이 글에서는 문장별 분석을 통해 논리적 전개를 명확히 하고, 정답을 빠르게 도출하는 전략을 제시하며 동시에 삽입 문장의 적절한 위치를 추론하며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 이제 문장별 분석과 문제 풀이 과정을 통해 정답을 정확히 찾아봅시다! 🧐
원문 및 문제
39.
But, a blind person will associate the same friend with a unique combination of experiences from their nonvisual senses that act to represent that friend.
Humans born without sight are not able to collect visual experiences, so they understand the world entirely through their other senses. ( ① ) As a result, people with blindness at birth develop an amazing ability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the collection of experiences and memories that come from these nonvisual senses. ( ② ) The dreams of a person who has been without sight since birth can be just as vivid and imaginative as those of someone with normal vision. ( ③ ) They are unique, however, because their dreams are constructed from the nonvisual experiences and memories they have collected. ( ④ ) A person with normal vision will dream about a familiar friend using visual memories of shape, lighting, and colour. ( ⑤ ) In other words, people blind at birth have similar overall dreaming experiences even though they do not dream in pictures.
문장별 분석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3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제시문
📝 But, a blind person will associate the same friend with a unique combination of experiences from their non-visual senses that act to represent that friend.
🔑 주요 단어 정리
- blind person: 시각장애인
- associate A with B: A를 B와 연관 짓다 (동의어: connect A with B, link A to B)
- unique: 독특한 (동의어: distinctive, one-of-a-kind)
- non-visual sense: 비시각적 감각
- act: 역할을 하다, 기능하다
- represent: 나타내다, 표현하다 (동의어: symbolize, depic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a blind person will associate/ the same friend/ [with a unique combination/ of <experiences/ from their non-visual senses>/ that act/ <to represent/ that friend>].
- 그러나,/ 시각장애인은 연관 지을 것입니다/ 같은 친구를/ [독특한 조합과/ <경험들의/ 그들의 비시각적 감각으로부터의>/ 기능하는/ <표현하기 위하여/ 그 친구를>].
📖 어법 설명
- ✅ 반의 접속사 "But"
- 👉 앞 문장과 대비되는 내용을 도입하는 접속사
- 👉 앞 문장은 "시각장애인이 아닌 사람이 같은 친구를 연관짓는 내용"을 다뤄야 함.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 “<experiences/ from their non-visual senses>/ that act/ <to represent/ that friend>”에서 “that”은 선행사, “<experiences/ from their non-visual sense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 👉 “그 친구를 표현하기 위하여 기능하는 그들의 비시각적 감각들로부터의 경험들”의 의미를 전달.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 “act/ <to represent/ that friend>”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act”를 수식.
- 💡 제시문의 핵심 내용
- 👉 시각장애인은 시각이 아닌 다른 감각 경험을 통해 친구를 인식한다.
- 🔍 삽입 위치 추론 1
- 📢 "But"의 사용을 통해 앞 문장은 "시각장애인이 아닌 사람의 "친구에 대한 시각적 기억"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함.
- 📢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문 분석 진행.
📌 문장 1
📝 Humans born without sight are not able to collect visual experiences, so they understand the world entirely through their other senses.
🔑 주요 단어 정리
- be born: 태어나다
- without sight: 시력 없이 (반의어: with sight)
- be able to 부정사: ~할 수 있다 (동의어: can, be capable of / 반의어: be unable to, cannot)
- collect: 모으다, 수집하다 (동의어: gather, accumulate / 반의어: scatter, disperse)
- visual experience: 시각적 경험 (반의어: non-visual experience - 비시각적 경험)
- understand: 이해하다 (동의어: comprehend, grasp / 반의어: misunderstand, misinterpret)
- entirely: 완전히, 전적으로 (동의어: completely, fully / 반의어: partially, incompletely)
- sense: 감각 (동의어: perception, sensation)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umans/ (who or that were) born/ without sight]/ are not able to collect/ visual experiences,/
- [인간들은/ 태어났던/ 시력 없이]/ 수집할 수 없습니다/ 시각적 경험들을,/
- so/ they understand/ the world/ <entirely/ through their other senses>.
- 그래서/ 그들은 이해합니다/ 세상을/ <전적으로/ 그들의 다른 감각들을 통해서만>.
📖 어법 설명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 "[Humans/ (who or that were) born/ without sight]“에서 사용된 어법.
- 👉 선행사, ”Human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o or that we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 👉 ”시력없이 태어난 인간들“의 의미를 전달.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 이 문장의 주어는 ”Humans”로 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복수 형태인, ”are not able to collect“.
- 💡 문장의 핵심 내용
- 👉 시각 장애인은 시각적 경험이 없으며, 다른 감각을 통해 세상을 인식한다.
- 🔍 삽입 위치 추론 2
- 📢 제시문에서 추론한, "시각장애인이 아닌 사람의 "친구에 대한 시각적 기억"에 대한 설명이 아니므로,
- 📢 문장 2로 이동하여 독해하도록 합니다.
📌 문장 2
📝 (①) As a result, people with blindness at birth develop an amazing ability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the collection of experiences and memories that come from these non-visual senses.
🔑 주요 단어 정리
- as a result: 그 결과 (동의어: therefore, consequently)
- blindness: 시각 장애 (반의어: sightedness)
- at birth: 출생 시에
- develop: 발달시키다, 발전하다 (동의어: cultivate, enhance / 반의어: weaken, deteriorate)
- ability: 능력 (동의어: capability, skill / 반의어: inability, incapacity)
- collection: 모음, 수집 (동의어: gathering, accumulation / 반의어: dispersion, scattering)
- memory: 기억 (동의어: recollection, remembrance)
- come from~: ~로부터 오다
- non-visual: 비시각적인
- sense: 감각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a result,/ <people/ with blindness/ at birth>/ develop/ [an amazing ability/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the collection/ [of <experiences and memories>/ that come/ from these non-visual senses]]].
- 그 결과,/ <사람들은/ 시각 장애를 가진/ 출생 시에>/ 발달시킵니다/ [놀라운 능력을/ <이해하는/ 세상을>/ [수집으로부터/ [<경험들과 기억들을> 통해서/ 오는/ 이러한 비시각적 감각들로부터]]].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구 "As a result"
- 👉 문장 내에서 "결과적으로/그 결과"의 의미로 사용되며
- 👉 내신: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 →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 이 문장의 주어는 ”people”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develop“.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 “an amazing ability/ <to understand/ the world>”에서 사용된 용법.
- 👉 앞에 나온 명사 “an amazing ability”를 수식.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 “<experiences and memories>/ that come/ from these non-visual senses”에서 “that”은 선행사, “<experiences and memorie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 👉 “이러한 비시각적 감각들로부터 오는 경험들과 기억들”의 의미를 전달.
- 💡 문장의 핵심 내용
- 👉 선천적으로 시각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비시각적 감각을 활용하여 세상을 이해하는 뛰어난 능력을 발전시킨다.
- 🔍 삽입 위치 추론 3
- 📢 제시문에서 추론한, "시각장애인이 아닌 사람의 "친구에 대한 시각적 기억"에 대한 설명이 아니므로,
- 📢 문장 3으로 이동하여 독해하도록 합니다.
📌 문장 3
📝 (②) The dreams of a person who has been without sight since birth can be just as vivid and imaginative as those of someone with normal vision.
🔑 주요 단어 정리
- dream: 꿈 (동의어: vision, fantasy), 꿈꾸다
- without sight: 시력 없이 (반의어: with sight - 시력이 있는)
- since birth: 출생 시 이래로 (동의어: from birth)
- vivid: 생생한 (동의어: lifelike, intense / 반의어: dull, faint)
- imaginative: 상상력이 풍부한 (동의어: creative, inventive / 반의어: uncreative, unimaginativ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dreams/ [of a person/ who has been/ without sight/ since birth]]/ can be <just as vivid and imaginative>/ [as those/ <of someone/ with normal vision>].
- [꿈들은/ [사람의/ 지내왔던/ 시력 없이/ 출생 시 이래로]]/ <단지 그만큼 생생하고 상상력이 풍부할> 수 있습니다/ [그것들(꿈들) 만큼/ <누군가의/ 정상 시력을 가진>].
📖 어법 설명
-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 “a person/ who has been/ without sight/ since birth”에서 “who”는 선행사, “a person”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 👉 “출생 시 이래로 시력 없이 지내왔던 사람”의 의미를 전달.
- 👉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현재완료 시제[have[has] + pp]
- 👉 ”has been“에서 사용된 어법
- 👉 과거부터 현재 사이의 계속을 나타내어, ”지내왔다“의 의미를 전달.
- ✅ 동등 비교 구문 “as +형용사/부사 + as + 비교 대상”
- 👉 “as vivid and imaginative>/ [as those/~]”에서 사용된 어법.
- 👉 “비교 대상만큼 그만큼 ~한/~하게”나 “비교 대상보다 그만큼 ~한/~하게”로 해석.
- 💡 문장의 핵심 내용
- 👉 선천적 시각장애가 있는 사람의 꿈도 정상 시력을 가진 사람의 꿈처럼 생생하고 창의적일 수 있다.
- 🔍 삽입 위치 추론 4
- 📢 제시문에서 추론한, "시각장애인이 아닌 사람의 "친구에 대한 시각적 기억"에 대한 설명이 아니므로,
- 📢 문장 4로 이동하여 독해하도록 합니다.
📌 문장 4
📝 (③) They are unique, however, because their dreams are constructed from the non-visual experiences and memories they have collected.
🔑 주요 단어 정리
- unique: 독특한 (동의어: distinctive, one-of-a-kind / 반의어: common, ordinary)
- however: 그러나 (동의어: nevertheless, but)
- construct: 구성하다, 만들어내다 (동의어: build, form / 반의어: destroy, dismantle)
- non-visual experience: 비시각적 경험 (반의어: visual experience)
- collect: 모으다, 수집하다 (동의어: gather, accumulate / 반의어: scatter, dispers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are unique,/ however,/
- 그것들은(그들의 꿈들은) 독특합니다,/ 그러나,/
- [because their dreams are constructed/ [from the non-visual <experiences and memories>/ (which or that) they have collected]].
- [왜냐하면 그들의 꿈들이 구성되기 때문에/ [그 비시각적 <경험들과 기억들>로부터/ 그들이 모아왔던]].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 "however"
-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 👉 내신: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 “[because their dreams are constructed/~]”에서 사용된 어법.
-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수동태[be + pp]
- 👉 “are constructed”에서 사용된 어법.
- 👉 "구성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 “the non-visual <experiences and memories>/ (which or that) they have collected”에서 사용된 어법.
- 👉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non-visual <experiences and memories>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 👉 “그들이 모아왔던 그 비시각적 경험들과 기억들”의 의미를 전달.
- 👉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
- ✅ 현재완료 시제[have[has] + pp]
- 👉 ”have collected“에서 사용된 어법
- 👉 과거부터 현재 사이의 계속 나타내어, ”모아왔다“의 의미를 전달.
- 💡 문장의 핵심 내용
- 👉 시각장애인의 꿈은 정상 시력을 가진 사람의 꿈처럼 생생하지만, 그 구성 요소는 비시각적 경험과 기억에서 비롯된다.
- 🔍 삽입 위치 추론 5
- 📢 제시문에서 추론한, "시각장애인이 아닌 사람의 "친구에 대한 시각적 기억"에 대한 설명이 아니므로,
- 📢 문장 5로 이동하여 독해하도록 합니다.
📌 문장 5
📝 (④) A person with normal vision will dream about a familiar friend using visual memories of shape, lighting, and colour.
🔑 주요 단어 정리
- normal vision: 정상적인 시력 (반의어: impaired vision - 시력이 손상된, blindness - 시각장애)
- familiar: 익숙한 (동의어: well-known, recognizable / 반의어: unfamiliar, unknown)
- visual memory: 시각적 기억 (반의어: non-visual memory - 비시각적 기억)
- shape: 형태 (동의어: form, figure / 반의어: formlessness, shapelessness)
- lighting: 조명, 빛 (동의어: illumination, brightness / 반의어: darkness, dimness)
- colour: 색깔 (동의어: hue, tint / 반의어: colorlessness, dullness)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person/ with normal vision>/ will dream/ about a familiar friend/
- <사람은/ 정상적인 시력을 가진>/ 꿈꿀 겁니다/ 익숙한 친구에 대해서/
- [using/ [visual memories/ <of shape, lighting, and colour>]].
- [사용하면서/ [시각적 기억들을/ <형태, 조명, 및 색깔이라는>]].
📖 어법 설명
- ✅ 분사구문
- 👉 “[using/~]”은 “[while he or she uses/ ~]”의 종속절에서
- 👉 접속사 “while”, 주어 “he or she(=a person)”가 생략되고 동사 “uses”가 “u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사용하면서”의 의미를 전달.
- 💡 문장의 핵심 내용
- 👉 정상적인 시력을 가진 사람은 친구의 모습을 형태, 조명, 색깔과 같은 시각적 기억을 이용하여 꿈속에서 떠올린다.
- 🔍 삽입 위치 추론 6
- 📢 제시문에서 추론한, "시각장애인이 아닌 사람의 "친구에 대한 시각적 기억"에 대한 설명이 진술되었으므로,
- 📢 제시문은 이 문장 다음인, ⑤에 위치해야 적절합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6으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6
📝 (⑤) In other words, people blind at birth have similar overall dreaming experiences even though they do not dream in pictures.
🔑 주요 단어 정리
- in other words: 다시 말해서, 즉 (동의어: that is, to put it differently)
- blind at birth: 태어날 때부터 앞을 못 보는 (반의어: sighted at birth)
- similar: 비슷한 (동의어: alike, comparable / 반의어: different, distinct)
- overall: 전반적인 (동의어: general, total / 반의어: specific, partial)
- experience: 경험 (동의어: encounter, knowledge / 반의어: ignorance, inexperience)
- even though~: 비록 ~일지라도 (동의어: although, despite the fact that)
- dream in pictures: 그림(시각적 이미지)으로 꿈을 꾸다 (반의어: dream in sensations)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other words,/ [people/ (who or that are) blind/ at birth]/ have/ similar overall dreaming experiences/
- 즉,/ [사람들은/ 앞을 못 보는/ 출생 시에]/ 가집니다/ 비슷한 전반적인 꿈의 경험들을/
- [even though they do not dream/ in pictures].
- [비록 그들이 꿈꾸지 않을지라도/ 그림(시각적 이미지)으로].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구 "In other words"
- 👉 문장 내에서 "즉, 다시 말해서"의 의미를 전달.
- 👉 내신: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
-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 “[people/ (who or that are) blind/ at birth]”에서 생략된, “(who or that are)”는 선행사, “people”를 수식하여,
- 👉 “출생 시에 앞을 못 보는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 문장의 주어는 “people”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have”.
- ✅ 양보의 부사절 “even though[ though / although / even if ] + 주어 + 동사”
- 👉 “[even though they do not dream/~]‘”에서 사용된 어법.
- 👉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 문장의 핵심 내용
- 👉 태어날 때부터 시각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전반적으로는 정상 시력을 가진 사람과 비슷한 꿈을 꾸지만, 시각적 이미지는 포함되지 않는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정리
- ✅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의 꿈
- 선천적 시각장애인은 시각적 경험 없이도 꿈을 꾸며, 이는 비시각적 감각과 기억에 의해 구성된다.
- 반면, 정상 시력을 가진 사람은 형태, 조명, 색깔 등의 시각적 기억을 활용하여 꿈을 형성한다.
- 하지만, 두 그룹 모두 전반적으로 유사한 꿈을 꾸며, 단지 꿈의 구성 요소가 다를 뿐이다.
- ✅ 제시문의 핵심 의미
- "But, a blind person will associate the same friend with a unique combination of experiences from their non-visual senses that act to represent that friend."
- 👉 즉, 시각장애인은 비시각적 감각을 통해 친구를 인식한다.
🔍 삽입 위치 추론 및 정답 결정
- ① 제시문과 가장 밀접한 문장 찾기
- 제시문의 핵심 내용은 "시각장애인은 친구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비시각적 감각으로 인식한다."
- 📌 따라서, 앞 문장에서 "시각을 가진 사람은 친구를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함.
- ② 문장 4 분석
- "A person with normal vision will dream about a familiar friend using visual memories of shape, lighting, and colour."
- 👉 정상적인 시력을 가진 사람은 친구를 형태, 조명, 색깔 등의 시각적 기억을 통해 꿈에서 떠올린다.
- 💡 제시문과의 연결 분석
- 문장 4에서 "시각을 가진 사람이 친구를 시각적으로 인식한다"는 내용이 설명됨.
- 제시문에서 "그러나, 시각장애인은 친구를 시각적 요소가 아닌 비시각적 감각으로 인식한다"고 설명함.
- 접속사 "But"이 앞의 내용을 반전시키면서 논리적 흐름을 연결함.
- 📢 따라서, 제시문은 문장 4 다음(⑤번) 위치에 삽입하는 것이 적절함.
🎯 정답 제시
- 따라서, ⑤번이 가장 적절합니다. ✅
결론
📢 문장 삽입 문제 풀이 핵심 전략 정리
- ✅ 주어진 문장의 핵심 주장 파악 → 앞뒤 문장과 논리적 연결성 분석 → 자연스러운 흐름이 유지되는 위치 선정
- ✅ 지시어(this, that), 접속 부사(However, Therefore), 시제 변화 등을 단서로 활용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39번에서는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의 꿈을 비교하며, 비시각적 경험이 꿈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문장 삽입의 핵심은 논리적 흐름을 이해하고, 접속사 "But"을 활용한 문장 전개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 이와 같은 체계적인 문장별 분석과 논리적 사고력 향상이 문장 삽입 문제 풀이의 핵심입니다.
📌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와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은 독해의 세부적 이해를 도왔고, 어법 설명은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했습니다. 이를 통해 지문의 논리적 흐름과 핵심 내용을 완벽히 파악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 더 많은 영어 독해 및 문제 풀이 전략은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