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 권위적인 부모의 역할: 자녀의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 스웨덴과 미국의 연구에 따르면, “권위적인 부모(authoritative parents)”는 자녀의 학업적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 자녀의 학업 성공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요?
- ✔자녀의 도전 과제에 대한 태도 변화
- ✔ 부모의 적극적인 학업 개입
- ✔ 성실함과 노력의 가치 강조
👉 이러한 요인이 결합될 때, 청소년들은 더 적극적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학업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이번 분석에서는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40번 문제를 통해, 부모의 양육 방식과 학업 성취의 관계를 철저히 분석하고, 빈칸 추론 문제를 푸는 논리적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직독 직해 식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제 풀이의 논리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고, 영어 독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According to a study of Swedish adolescents, an important factor of adolescents’ academic success is how they respond to challenges. The study reports that when facing difficulties, adolescents exposed to a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re less likely to be passive, helpless, and afraid to fail. Another study of nine high schools in Wisconsin and northern California indicates that children of authoritative parents do well in school, because these parents put a lot of effort into getting involved in their children’s school activities. That is, authoritative parents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elp their children with homework, to attend school programs, to watch their children in sports, and to help students select courses. Moreover, these parents are more aware of what their children do and how they perform in school. Finally, authoritative parents praise academic excellence and the importance of working hard more than other parents do.
The studies above show that the children of authoritative parents often succeed academically, since they are more (A) to deal with their difficulties and are affected by their parents’ (B) involvement.
① likely ………… random ② willing ……… minimal
③ willing ……… active ④ hesitant …… unwanted
⑤ hesitant …… constant
문장별 분석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요약문
📝 The studies above show that the children of authoritative parents often succeed academically, since they are more (A) to deal with their difficulties and are affected by their parents’ (B) involvement.
🔑 주요 단어 정리
- succeed academically: 학업적으로 성공하다 (동의어: excel in school, perform well / 반의어: fail academically, struggle in school)
- be (mor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더) 높다 (동의어: be prone to, be inclined to / 반의어: be unlikely to)
- be willing to 부정사: 기꺼이 ~하다
- deal with~: ~을 처리하다, 다루다 (동의어: handle, cope with / 반의어: ignore, avoid)
- difficulty: 어려움 (동의어: challenge, hardship / 반의어: ease, simplicity)
- be affected by~: ~에 의해 영향을 받다 (동의어: be influenced by, be impacted by / 반의어: be unaffected by)
- involvement: 관여, 개입 (동의어: participation, engagement / 반의어: detachment, neglec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studies above show/ [that <the children/ of authoritative parents>/ often succeed/ academically],/
- 위의 연구들은 보여줍니다/ [<아이들이/ 권위적인 부모들의>/ 종종 성공한다는 것을/ 학업적으로],/
- [since they [are more (A) / <to deal with/ their difficulties>]/ and/ [are affected/ by their parents’ (B) involvement]].
- [왜냐하면 그들이 [더 (A) 하기 때문에/ <다룰 정도로/ 그들의 어려움들을>]/ 그리고/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부모들의 (B) 한 개입에 의해서]].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 "show/ [that~]"에서 "that"은 동사, "show"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 “that 절”의 주어는 “the children”으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succeed”.
- ✅ 이유의 부사절 “since + 주어 + 동사”
- 👉 “[since they [are~]/ and/ [are affected/~]]”에서 사용된 어법.
-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하기에 / ~할 정도로 / ~할 만큼”
- 👉 “more (A) / <to deal with/ their difficulties>”에서 사용된 용법.
- 👉 앞에 나온 형용사구 “more (A) ”를 수식.
- ✅ 수동태[be + pp]
- 👉 “are affected”에서 사용된 어법.
- 👉 "영향을 받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병렬 구조 – “since 절” 내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 “[are more (A) /~]”와 “[are affected/~]”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핵심 내용
- ✔ 권위적인 부모를 둔 아이들은 학업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데,
- ✔ 그 이유가 since 절에 진술된 구조
- 🔍 빈칸의 추론 1
- 👉 요약문의 논리적 구조를 염두에 두고, 보기를 확인하면,
- 👉 빈칸 (A)에는 “hesitant (주저하는)”은 올 수 없고,
- 📢 빈칸 (B)에는 “random (무작위의)”나 “minimal (최소의)”는 부적절합니다.
- 📢 즉, (A)에는 “willing (기꺼이 하는)”과 (B)에는 “active (적극적인)”이 적절합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③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1
📝 According to a study of Swedish adolescents, an important factor of adolescents’ academic success is how they respond to challenges.
🔑 주요 단어 정리
- according to~: ~에 따르면
- adolescent: 청소년 (동의어: teenager, youth / 반의어: adult)
- factor: 요인, 요소 (동의어: element, component / 반의어: result)
- academic: 학문의, 학업의 (동의어: educational, scholastic / 반의어: nonacademic, uneducated)
- respond to~: ~에 반응하다, 대응하다 (동의어: react to, reply to / 반의어: ignore)
- challenge: 도전, 어려움 (동의어: difficulty, hardship / 반의어: ease, advantag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ccording to a study/ of Swedish adolescents>,/
- <한 연구에 따르면/ 스웨덴 청소년들에 대한>,/
- <an important factor/ of adolescents’ academic success>/ is [how they respond/ to challenges].
- <하나의 중요한 요인이/ 청소년들의 학업적 성공의>/ [어떻게 그들이 대응하는가입니다/ 어려움(도전)들에].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 이 문장의 주어는 ”an important factor”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 “[how they respond/~]”에서 사용된 어법.
- 👉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 청소년의 학업적 성공의 중요한 요인은 그들이 도전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달려 있다.
📌 문장 2
📝 The study reports that when facing difficulties, adolescents exposed to a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re less likely to be passive, helpless, and afraid to fail.
🔑 주요 단어 정리
- report: 보고하다, 발표하다 (동의어: state, announce / 반의어: conceal, suppress)
- face difficulties: 어려움에 직면하다 (동의어: encounter problems, deal with challenges / 반의어: avoid problems)
- expose: 노출시키다
- authoritative: 권위 있는, 엄격한 (동의어: strict, firm / 반의어: permissive, lenient)
- parenting style: 양육 스타일
- be less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더 낮다
- passive: 수동적인 (동의어: inactive, submissive / 반의어: active, assertive)
- helpless: 무기력한 (동의어: powerless, weak / 반의어: capable, confident)
- afraid to fail: 실패하기를 두려워하는 (동의어: fear of failure, apprehensive / 반의어: confident, fearless)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study reports/ [that,/ [when facing/ difficulties],/ [adolescents/ (who or that are) exposed/ to a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re less likely to be <passive>, <helpless>, and <afraid/ to fail>]].
- 그 연구는 보고합니다/ [[직면할 때/ 어려움들에],/ [청소년들이/ 노출된/ 권위적인 양육 방식에]/ [<수동적이면서>, <무기력하고>, <두려워할/ 실패하기를> 가능성이 더 낮다고]].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 "reports/ [that,/~]"에서 "that"은 동사, "reports"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분사구문 & 삽입구조로 comma(,)를 추가하여 분리 필요
- 👉 “[when facing/~]”은 “[when they face/ ~]”의 종속절에서
- 👉 주어 “they(=adolescents)”가 생략되고 동사 “face”가 “fac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
- 👉 “직면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when facing/~]”이 “접속사 that”과 “that 절의 주어 [adolescents/~]” 사이에 삽입된 구조로, “접속사 that” 뒤에 comma(,)를 삽입하여 분리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
- ✅ “~된 / ~되는 / ~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 "[adolescents/ (who or that are) exposed/ to a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에서 사용된 어법.
- 👉 선행사, ”adolescents“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who or that are)“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 👉 ”권위적인 양육 스타일에 노출된 청소년들“의 의미를 전달.
- ✅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 “that 절”의 주어는 “adolescent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are”.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 권위적인 부모 밑에서 자란 청소년들은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더 능동적이고 실패를 덜 두려워한다.
- 🔍 빈칸 (A)의 추론 근거
- 👉 문장 2의 내용은 직접 진술에 해당하지는 않으나 빈칸 (A)가 “willing”이라는 것의 간접 근거가 됩니다.
📌 문장 3
📝 Another study of nine high schools in Wisconsin and northern California indicates that children of authoritative parents do well in school, because these parents put a lot of effort into getting involved in their children’s school activities.
🔑 주요 단어 정리
- indicate: 나타내다, 보여주다 (동의어: show, suggest / 반의어: hide, ignore)
- do well in school: 학교에서 잘하다(좋은 성적을 거두다) (동의어: succeed academically, perform well / 반의어: struggle, fail)
- put effort into~: ~에 노력을 기울이다 (동의어: devote effort to, work hard on / 반의어: neglect, ignore)
- get involved in~: ~에 참여하다 (동의어: participate in, engage in / 반의어: withdraw from, avoid)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other study/ [of nine high schools/ <in Wisconsin and northern California>]]/
- [또 다른 연구가/ [아홉 개의 고등학교(들)에 대한/ <위스콘신과 북부 캘리포니아에 있는>]]/
- indicates/ [that <children/ of authoritative parents>/ do well/ in school],/
- 나타냅니다/ [<아이들이/ 권위적인 부모들의>/ 잘한다는(좋은 성적은 거둔다는) 것을/ 학교에서],/
- [because these parents put/ a lot of effort/ <into getting involved/ in their children’s school activities>].
- [왜냐하면 이러한 부모들이 기울이기 때문에/ 많은 노력을/ <참여하는 것에(데에)/ 그들의 아이들의 학교 활동들에>].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 이 문장의 주어는 Another study”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ndicates“.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 "indicates/ [that~]"에서 "that"은 동사, "indicates"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 “that 절”의 주어는 “children”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do”.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 “[because these parents put/~]”에서 사용된 어법.
-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 "<into getting involved/ in their children’s school activities>“에서 사용된 어법.
- 👉 전치사 ”into“의 목적어 역할.
- 👉 ”그들의 아이들의 학교 활동들에 참여하는 것에(데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 권위적인 부모를 둔 아이들은 부모가 학교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학업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 🔍 빈칸 (B)의 추론 근거
- 👉 문장 3의 내용은 빈칸 (B)가 “active”라는 것의 근거가 됩니다.
📌 문장 4
📝 That is, authoritative parents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elp their children with homework, to attend school programs, to watch their children in sports, and to help students select courses.
🔑 주요 단어 정리
- significantly: 상당히, 현저하게 (동의어: considerably, greatly / 반의어: slightly, insignificantly)
- help A with B: B를 가지고 A를 돕다(A를 도와 B를 하다) (동의어: assist A in B, aid A with B)
- attend: 참석하다, 출석하다 (동의어: participate in, be present at / 반의어: miss, skip)
- watch: 지켜보다, 관람하다 (동의어: observe, monitor / 반의어: ignore, neglect)
- select: 선택하다, 고르다 (동의어: choose, pick / 반의어: reject, discard)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at is,/ authoritative parents are significantly(→much) more likely/ <to help/ their children/ with homework>,/ <to attend/ school programs>,/ <to watch/ their children/ in sports>,/ and/ <to help/ students/ select/ courses>.
- 즉,/ 권위적인 부모들은 훨씬 더 가능성이 높습니다/ <도와줄/ 그들의 자녀들을/ 숙제를 가지고>,/ <참여할/ 학교 행사들에>,/ <지켜볼/ 그들의 아이들을/ 스포츠 (경기)들에서>,/ 그리고/ <도와줄/ 학생들을/ 선택하도록/ 과정들을>.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구 "That is"
- 👉 문장 내에서 "즉 / 다시 말해서 / 말하자면"의 의미로 사용되며,
- 👉 내신: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
- ✅ 비교급 강조 부사 -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 중 하나로 변경 필요
- 👉 ”significantly(→much) more likely“에서 사용한 어법.
- 👉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 👉 “훨씬”의 의미를 전달.
- 👉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하므로 “significantly”는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 중 하나로 변경해야 어법상 적절.
- ✅ 병렬 구조 “be more likely to 부정사”의 “to 부정사구”의 병렬 구조
- 👉 "are significantly(→much) more likely/ <to help/~>,/ <to attend/~>,/ <to watch/~>,/ and/ <to help/~>"에서 "to 부정사구"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to 부정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5형식 문형 "사역동사(help)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to 부정사)"
- 👉 “help/ students/ select/ courses”에서 사용된 어법.
- 👉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 👉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 👉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 권위적인 부모들은 숙제 돕기, 학교 행사 참석, 스포츠 활동 관람, 과목 선택 지원 등의 방식으로 자녀의 학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 문장 5
📝 Moreover, these parents are more aware of what their children do and how they perform in school.
🔑 주요 단어 정리
- more aware of~: ~을 더 잘 알고 있는 (동의어: more conscious of, more informed about / 반의어: unaware, ignorant of)
- perform: 수행하다, 성과를 내다 (동의어: achieve, accomplish / 반의어: fail, underachiev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oreover,/ these parents are more aware of/ [what their children do]/ and/ [how they perform/ in school].
- 게다가,/ 이러한 부모들은 더 잘 알고 있습니다/ [무엇을 그들의 자녀들이 하는지를]/ 그리고/ [어떻게 그들이 수행하는지를/ 학교에서].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 "Moreover"
- 👉 문장 내에서 "게다가"의 의미로 사용되며,
- 👉 내신: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
-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 “[what their children do]”와 “[how they perform/~]”에서 사용된 어법.
- 👉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동사구 “are more aware of”의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 권위적인 부모들은 자녀의 활동과 학업 성취도를 더 잘 파악한다.
📌 문장 6
📝 Finally, authoritative parents praise academic excellence and the importance of working hard more than other parents do.
🔑 주요 단어 정리
- praise: 칭찬하다 (동의어: compliment, applaud / 반의어: criticize, scold)
- academic excellence: 학업적 우수성 (동의어: outstanding performance, scholarly achievement)
- importance: 중요성 (동의어: significance, value / 반의어: insignificance, triviality)
- work hard: 열심히 일하다 (동의어: strive, put in effort / 반의어: slack off, procrastinat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inally,/ authoritative parents praise/ [academic excellence]/ and/ [the importance/ <of working hard>]/
- 마지막으로,/ 권위적인 부모들은 칭찬합니다/ [학업적 우수성을]/ 그리고/ [중요성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의>]/
- more/ [than other parents do].
- 더 많이/ [다른 부모들이 하는 것보다].
📖 어법 설명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명사구를 and로 연결
- 👉 “[academic excellence]”와 “[the importance/ <of working hard>]”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 두 개의 명사구는 동사 “praise”의 목적어 역할.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 "<of working hard>“에서 사용된 어법.
- 👉 전치사 ”of“의 목적어 역할.
- 👉 ”열심히 공부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비교의 부사절 “than + 주어 + 동사”
- 👉 “[than other parents do]”에서 사용된 어법.
- 👉 “~하는 것보다”의 의미를 전달.
- ✅ 대동사 do
- 👉 “[than other parents do]”에서 “do”는 대동사로 “praise/ [academic excellence]/ and/ [the importance/ <of working hard>]”를 대신합니다.
- 👉 따라서, 의미상 be 동사나 조동사로 대체될 수 없기에 시험 출제.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 권위적인 부모들은 학업적 성취와 노력의 가치를 더 강조한다.
문제 풀이와 정답
🔍 빈칸 (A) 추론
- 💡 핵심 문장 분석
- "since they are more (A) to deal with their difficulties"
- "어려움을 다루는 데 있어 더 (A) 하다"
- 💡 문장 2의 분석
- "adolescents exposed to a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re less likely to be passive, helpless, and afraid to fail."
- "권위적인 부모 밑에서 자란 청소년들은 수동적이거나 무기력하거나 실패를 두려워할 가능성이 더 낮다."
- → 소극적이지 않다는 것은, 반대로 어려움을 더 능동적으로 받아들이고 극복하려 한다는 의미
- 🎯 정답 선택
- "hesitant(주저하는)"은 부정적인 의미라 적절하지 않음.
- "willing(기꺼이 하는)"이 의미적으로 가장 적합함.
🔍 빈칸 (B) 추론
- 💡 핵심 문장 분석
- "are affected by their parents’ (B) involvement."
- "그들은 부모의 (B) 개입에 영향을 받는다."
- 💡 문장 3, 4 분석
- "these parents put a lot of effort into getting involved in their children’s school activities."
- "authoritative parents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elp their children with homework, to attend school programs, to watch their children in sports, and to help students select courses."
- → 부모의 개입이 적극적이며, 학업과 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함
- 🎯 정답 선택
- "random(무작위의)"나 "minimal(최소의)"은 문맥상 적절하지 않음.
- "active(적극적인)"이 문맥상 가장 적합함.
🎯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③번 (willing ··· active)"가 가장 적절합니다. ✅
결론
🔍 논리적 독해의 핵심 전략: 빈칸 추론 문제 해결 방법
💡 빈칸 추론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는 방법은?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 분석을 통해, 우리는 빈칸 (A)와 (B) 추론 과정에서 논리적 흐름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했습니다.
- ✔ 핵심 문장에서 정답을 유추할 수 있는 근거를 찾기
- ✔ 문맥상 어울리지 않는 선택지를 배제하는 과정 거치기
- ✔ 지문 내 논리적 연결 관계(부모의 양육 방식 → 자녀의 태도 → 학업 성취)를 분석하기
👉 이러한 전략을 활용하면, 실제 시험에서 빈칸 추론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영어 독해는 단순한 해석이 아닌, 논리적 사고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 효과적인 문제 풀이 일반적 전략 정리
- ✅ 요약문을 먼저 분석하여 빈칸이 요구하는 의미를 예측
- ✅ 핵심 문장을 찾아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고 정답을 추론
📌 논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영어 독해 능력 향상하기!
📌 영어 독해에서 중요한 것은 단순한 해석이 아니라 논리적 흐름을 이해하고 정답을 추론하는 능력입니다.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효율적인 문제 풀이법을 익히고, 실전에서도 빠르고 정확하게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연습해야 합니다.
📌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이 지문을 정확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드렸기를 기대합니다.
👉 앞으로도 한국 모의고사 마스터에서 다양한 영어 문제 분석을 통해 논리적 독해 능력을 키워보세요! 🚀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