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목차

서론

🚀 "취침 시간, 심장 건강의 열쇠가 될 수 있을까?"

📢 "우리는 매일 밤 잠을 자지만, 몇 시에 자는 것이 건강에 가장 좋을까요?"

📢 "영국 연구진은 최적의 취침 시간이 오후 10시~11시라고 주장합니다."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포함된 연구에서는 취침 시간과 심장 건강의 관계를 분석하였습니다."

💡 이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핵심 포인트

  • ✅ 심장 건강을 위한 최적의 취침 시간은?
  • ✅ 너무 이르거나 늦은 취침이 생체 시계에 미치는 영향
  • ✅ 취침 습관을 개선하면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의미 해석과 어법 설명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지문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자세한 내용을 문장별 분석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U.K. researchers say a bedtime of between 10 p.m. and 11 p.m. is best. They say people who go to sleep between these times have a (a) lower risk of heart disease. Six years ago,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on the sleep patterns of 80,000 volunteers. The volunteers had to wear a special watch for seven days so the researchers could collect data on their sleeping and waking times. The scientists then monitored the health of the volunteers. Around 3,000 volunteers later showed heart problems. They went to bed earlier or later than the (b) ideal 10 p.m.to 11 p.m. timeframe.

 One of the authors of the study, Dr. David Plans, commented on his research and the (c) effects of bedtimes on the health of our heart. He said the study could not give a certain cause for their results, but it suggests that early or late bedtimes may be more likely to disrupt the body clock, with (d) positive consequences for cardiovascular health. He said that it was important for our body to wake up to the morning light, and that the worst time to go to bed was after midnight because it may (e) reduce the likelihood of seeing morning light which resets the body clock. He added that we risk cardiovascular disease if our body clock is not reset properly.

* disrupt: 혼란케 하다 ** cardiovascular: 심장 혈관의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The Best Bedtime/ for Your Heart

② Late Bedtimes Are a Matter/ of Age

③ For Sound Sleep/: Turn Off/ the Light

④ Sleeping Patterns Reflect/ Personalities

⑤ Regular Exercise/: A Miracle/ for Good Sleep

42. 밑줄 친 (a) ~ (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 U.K. researchers say a bedtime of between 10 p.m. and 11 p.m. is best.

🔑 주요 단어 정리

  • researcher: 연구자 (동의어: scientist, scholar)
  • bedtime: 취침 시간 (동의어: sleeping time, lights-out time)
  • best: 가장 좋은, 최상의 (동의어: optimal, ideal / 반의어: worst)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U.K. researchers say/ [(that) [a bedtime/ <of between 10 p.m. and 11 p.m.>]/ is best].
  • 영국 연구자들은 말합니다/ [[취침 시간이/ <오후 10시에서 11시 사이의>]/ 가장 낫다고].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 "say[(that)~]"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say"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 “that 절”의 주어는 “a bedtime”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전치사의 중복 – 전치사 “of” 제거 필요
  • 👉 “[a bedtime/ <of between 10 p.m. and 11 p.m.>]”는 문맥상, “오후 10시에서 11시 사이의 취침 시간”의 의미
  • 👉 전치사 “of”와 전치사구 “between A and B”가 중복됩니다. 따라서, “of”는 제거해야 합니다. 어법적으로도 전치사의 목적어가 전치사구가 된 경우로 부적절.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 영국 연구자들은 오후 10시에서 11시 사이에 자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한다.

📌 문장 2

📝 They say people who go to sleep between these times have a (a) lower risk of heart disease.

🔑 주요 단어 정리

  • go to sleep: 잠자리에 들다 (동의어: fall asleep, go to bed)
  • risk: 위험(성) (동의어: danger, hazard / 반의어: safety, security)
  • heart disease: 심장병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say/ [(that) [people/ who go to sleep/ between these times]/ have/ <a (a) lower risk/ of heart disease>].
  • 그들은 말합니다/ [[사람들이/ 잠자리에 드는/ 이 시간들 사이에]/ 가진다고/ <(a) 더 낮은 위험성을/ 심장병에 대한>].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 "say[(that)~]"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say"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 “[peoplewho go to sleepbetween these times]”에서 “who”는 선행사, “people”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 👉 “이 시간들 사이에 잠자리에 드는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 “go to sleep”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go”를 수식.
  • 👉 “잠자기 위해서 가다”의 의미가 “잠자리에 들다”의 의미로 의역된 것.
  •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 “that 절”의 주어는 “people”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have”.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 오후 10시에서 11시 사이에 자는 사람들은 심장병 위험이 더 낮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a)
  • 상식적으로는 적절하다고 판단되지만, 지문 내의 진술로만 어휘의 적절성이 판단되어야 하기에 “(a) lower”의 적절성은 잠시 보류하도록 합니다.

📌 문장 3

📝 Six years ago,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on the sleep patterns of 80,000 volunteers.

🔑 주요 단어 정리

  • collect: 수집하다 (동의어: gather, compile / 반의어: disperse, distribute)
  • data: 데이터, 자료
  • pattern: 패턴, 형태 (동의어: trend, routine)
  • volunteer: 자원자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ix years ago,/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on the sleep patterns/ of 80,000 volunteers>].
  • 6년 전,/ 연구자들은 수집했습니다/ [데이터를/ <수면 패턴에 대한/ 8만 명의 자원자들의>].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 연구자들은 6년 전 8만 명의 자원봉사자의 수면 패턴 데이터를 수집했다.
  • 🔍 제목 추론 1
  • 👉 문장 3까지의 전반적인 내용은 “최적의 수면 시간”이 심장별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패턴입니다.
  • 📢 이를 염두에 두고, 보기를 확인하면, “① The Best Bedtime for Your Heart(당신의 심장을 위한 최적의 취침 시간)”이 가장 적절합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어휘의 적절성 문제에 집중하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문장 4

📝 The volunteers had to wear a special watch for seven days so the researchers could collect data on their sleeping and waking times.

🔑 주요 단어 정리

  • wear: 착용하다 (동의어: put on, have on)
  • special: 특별한 (동의어: unique, distinctive / 반의어: ordinary, common)
  • so (that): ~하도록
  • sleeping and waking times: 수면과 기상 시간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volunteers had to wear/ a special watch/ for seven days/
  • 자원자들은 착용해야만 했습니다/ 특별한 시계를/ 7일 동안/
  • [so (+that) the researchers could collect/ [data/ <on their sleeping and waking times>]].
  • [연구자들이 수집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그들의 수면과 기상 시간에 대한>]].

📖 어법 설명

  • ✅ so that + 주어 + 동사“ 용법 - ”that“ 추가 필요
  • 👉 “[so (+that) the researchers could collect/~]”에서 사용된 어법. 
  • 👉 ”~하도록 (하기 위하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 영어에서 언제나 생략 가능한 것은 ”목적절의 접속사 that“, ”주격 관계대명사“ 및 ”목적격 관계대명사“뿐입니다.
  • 👉 현대 영어에서 위에 진술된 부분을 제외한 접속사 ”that“을 생략하는 것이 자주 발생하지만, 이는 어법적 파괴로 공적 문서인 모의고사에서는 that“을 추가하는 것이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 자원봉사자들은 연구자들이 수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7일간 특별한 시계를 착용했다.

📌 문장 5

📝 The scientists then monitored the health of the volunteers.

🔑 주요 단어 정리

  • then: 그런 다음
  • monitor: 관찰하다, 감시하다 (동의어: observe, track)
  • health: 건강 (동의어: well-being, fitness)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scientists then monitored/ <the health/ of the volunteers>.
  • 과학자들은 그런 다음 관찰했습니다/ <건강을/ 자원자들의>.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 과학자들은 이후 자원봉사자들의 건강을 모니터링했다.

📌 문장 6

📝 Around 3,000 volunteers later showed heart problems.

🔑 주요 단어 정리

  • around: 약, 대략 (동의어: approximately, roughly)
  • show: 나타내다 (동의어: exhibit, indicate)
  • heart problems: 심장 질환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round 3,000 volunteers/ later/ showed/ heart problems.
  • 약 3,000명의 자원봉사자들이/ 나중에/ 나타냈다/ 심장 질환을.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 약 3,000명의 자원봉사자들이 후에 심장 질환을 보였다.

📌 문장 7

📝 They went to bed earlier or later than the (b) ideal 10 p.m. to 11 p.m. timeframe.

🔑 주요 단어 정리

  • go to bed: 잠자리에 들다 (동의어: fall asleep, sleep)
  • earlier or later than~: ~보다 더 일찍 혹은 더 늦게
  • ideal: 이상적인 (동의어: optimal, perfect / 반의어: imperfect, unsuitable)
  • timeframe: 기간, 시간 범위 (동의어: period, span)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went to bed/ <earlier or later>/ [than the (b) ideal <10 p.m. to 11 p.m.> timeframe].
  • 그들은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더 일찍 또는 더 늦게>/ [(b) 이상적인 <오후 10시에서 11시의> 시간 범위보다].

📖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7의 핵심 내용
  • ✔ 심장 문제를 보인 참가자들은 이상적인 시간(10~11시)보다 더 일찍 또는 늦게 잠자리에 들었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a), (b)
  • 👉 문장 1의 “영국 연구자들”의 진술로부터 "(b) ideal"은 "이상적인"이라는 뜻으로 문맥상 적절함. ✅
  • 👉 “수면을 위한 최적의 시간”인 ”오후 10시~오후 11시“보다 더 이르거나 혹은 더 늦은 자원자들에게 심장병의 발생이 있었다고 진술하고 있으므로, ”(a) lower“ 역시 적절함. ✅

📌 문장 8

📝 One of the authors of the study, Dr. David Plans, commented on his research and the (c) effects of bedtimes on the health of our heart.

🔑 주요 단어 정리

  • one of 복수명사: 복수명사 중 하나(한 명)
  • author: 저자 (동의어: writer, contributor)
  • comment on~: ~에 대해 논평하다 (동의어: remark on, discuss)
  • effect: 영향 (동의어: impact, consequence / 반의어: cause, source)
  • bedtime: 취침 시간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e/ <of the authors/ of the study>],/ [Dr. David Plans]],/ commented/ [on [his research]/ [<the (c) effects/ of bedtimes>/ <on the health/ of our heart>]].
  • [[한 사람인/ <저자들 중/ 그 연구의>],/ [데이비드 플랜스 박사는]],/ 논평했습니다/ [[그의 연구]에 대해서/ [(c)<영향이라는/ 취침 시간의>/ <건강에 대한/ 심장의>]].

📖 어법 설명

  • ✅ 동격 관계
  • 👉 "[One/ <of the authors/ of the study>]”와 “[Dr. David Plans]”는 동격 관계.
  • 👉 "[his research]”와 “[<the (c) effects/ of bedtimes>/ <on ~>]”도 동격 관계.
  • 💡 문장 8의 핵심 내용
  • ✔ 연구 저자 중 한 명인 데이비드 플랜스 박사는 취침 시간이 심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평했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c)
  • "(c) effects"는 취침 시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하므로 문맥상 적절함. ✅

📌 문장 9

📝 He said the study could not give a certain cause for their results, but it suggests that early or late bedtimes may be more likely to disrupt the body clock, with (d) positive consequences for cardiovascular health.

🔑 주요 단어 정리

  • certain: 확실한 (동의어: definite, clear / 반의어: uncertain, ambiguous)
  • cause: 원인 (동의어: reason, factor / 반의어: effect, consequence)
  • suggest: 제안하다, 시사하다 (동의어: indicate, imply)
  • disrupt: 방해하다, 혼란케 하다 (동의어: disturb, interfere with)
  • body clock: 생체 시계
  • consequence: 결과 (동의어: result, outcome)
  • positive: 긍정적인 (동의어: beneficial, favorable / 반의어: negative, harmful)
  • cardiovascular: 심혈관의 (심장과 혈관 관련)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e said/ [(that) the study could not give/ <a certain cause/ for their results>],/
  • 그는 말했습니다/ [그 연구가 제공할 수는 없었다고/ <확실한 원인을/ 그들의 연구 결과에 대한>],/
  • but/ it suggests/ [that [<early or late> bedtimes]/ may be more likely to disrupt/ the body clock/ <with (d) positive(→negative) consequences/ for cardiovascular health>].
  • 하지만/ 그것은(그 연구는) 시사합니다/ [[<이르거나 늦은> 취침 시간(들)이]/ 방해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도 있다는 것을/ 생체 시계를/ <(d) 긍정적인(→부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심혈관 건강에 대한>].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및 that의 생략
  • 👉 "said[(that)~]"과 “suggests[that~]”에서 생략된 “(that)”과 "that"은 각각의 동사, “said”와 "suggests"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각각 ”~라고“와 ”~라는 것을“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문장 9의 핵심 내용
  • ✔ 이 연구는 이른 혹은 늦은 취침 시간이 생체 시계를 방해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d)
  • 📢 "(d) positive"는 "긍정적인 결과"를 의미하므로 부적절.
  • 📢 🚨 "negative"로 수정해야 문맥에 맞음! 🚨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0으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을 원한다면,

📌 문장 10

📝 He said that it was important for our body to wake up to the morning light, and that the worst time to go to bed was after midnight because it may (e) reduce the likelihood of seeing morning light which resets the body clock.

🔑 주요 단어 정리

  • wake up to~: ~을 보고(듣고) 잠에서 깨다
  • worst: 최악의 (동의어: most undesirable, least favorable / 반의어: best, optimal)
  • reduce: 감소시키다 (동의어: decrease, lower / 반의어: increase, raise)
  • likelihood: 가능성 (동의어: probability, chanc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e said/ [that it was important/ [<for our body>/ <to wake up/ to the morning light>]],/ and/ [that <the worst time/ to go to bed>/ was after midnight]/
  • 그는 말했습니다/ [그것이 중요하다고/ [<우리 몸이>/ <깨는 것이/ 아침 햇빛을 보고>]],/ 그리고/ [<최악의 시간은/ 잠자리에 들기 위한>/ 자정 이후였다고]/
  • [because it may (e) reduce/ [the likelihood/ [of seeing/ [morning light/ which resets/ the body clock]]]].
  • [왜냐하면 그것이 (e)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능성을/ [볼/ [아침 햇빛을/ 재설정하는/ 신체(생체) 시계를]]]].

📖 어법 설명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병렬 구조
  • 👉 "said[that~]and[that~]"에서 "that"은 동사, "sai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 또한, 두 개의 “that 절”이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 “it was important/ [<for our body>/ <to wake up/~>]”에서 ”it“는 가주어, ”to wake up~”은 진주어로, “for our body”는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 👉 "it(가주어)’와 ‘to 부정사(진주어)“ 구조는 주어 역할의 “to 부정사”를 문장 뒤로 배치해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 ✅ 두 번째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 두 번째 “that 절”의 주어는 “the worst time”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was”.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 “<the worst timeto go to bed>”에서 사용된 용법.
  • 👉 앞에 명사 “the worst time”을 수식.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 “[because it may (e) reduce/~]”에서 사용된 어법.
  •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of + ~ing, “~할 / ~하는”의 의미를 쓰이는 이유
  • 👉 “[the likelihood/ [of seeing[morning light~]]]”에서 사용된 어법.
  • 👉 전치사 “of“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겠으나 “~와 관련된”의 의미도 존재.
  • 👉 따라서, 본 문장의 직역된 의미인 “아침 햇빛을 보는 것과 관련된 가능성”이 “아침 햇빛을 볼 가능성”로 의역이 되는 것입니다.
  •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 👉 “[morning light/ which resets/ the body clock]”에서 “which"는 선행사, “morning light”를 수식하는 주격 관게대명사로,
  • 👉 “신체(생체) 시계를 재설정하는 아침 햇빛”의 의미를 전달.
  • 👉 관계절의 동사의 선행사에 대한 수의 일치도 주의하세요. 
  • 💡 문장 10의 핵심 내용
  • ✔ 자정 이후에 자면 아침 햇빛을 보지 못할 가능성이 줄어들고, 생체 시계가 제대로 조절되지 않을 수 있다.
  • 🔍 어휘 적절성 검토 (e)
  • "(e) reduce"는 "가능성을 낮춘다"는 의미로 문맥상 적절함. ✅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 41번 제목 선택 문제

  • ✔ 핵심 주장 정리
  • 최적의 취침 시간(10~11PM)이 심장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 너무 이르거나 늦은 취침 시간은 심장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음
  • 연구 데이터를 통해 취침 시간과 심장 건강의 관계를 분석
  • ✔ 선택지 검토
  • ① The Best Bedtime for Your Heart ✅
  • → 지문의 핵심 내용과 일치. "최적의 취침 시간"과 "심장 건강"의 관계를 다루므로 적절함.
  • ② Late Bedtimes Are a Matter of Age ❌
  • → 취침 시간이 연령에 따라 달라진다는 내용이 없음.
  • ③ For Sound Sleep: Turn Off the Light ❌
  • → 조명을 끄는 것이 숙면에 영향을 준다는 내용이 아님.
  • ④ Sleeping Patterns Reflect Personalities ❌
  • → 수면 패턴이 성격을 반영한다는 내용이 없음.
  • ⑤ Regular Exercise: A Miracle for Good Sleep ❌
  • → 운동과 수면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 아님.
  • 🎯 최종 정답: ① The Best Bedtime for Your Heart ✅

🌀💡 42번 어휘 적절성 판단 문제

  • ✔ 각 밑줄 친 단어의 문맥 검토
  • ① (a) lower ✅ → "더 낮은 심장병 위험"을 의미하며 적절함.
  • ② (b) ideal ✅ → "이상적인 취침 시간"을 의미하며 적절함.
  • ③ (c) effects ✅ → "취침 시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하며 적절함.
  • ④ (d) positive ❌ → "부정적인 결과(negative consequences)"로 수정해야 문맥상 적절.
  • ⑤ (e) reduce ✅ → "아침 햇빛을 볼 가능성을 낮춘다"는 의미로 적절함.
  • 🎯 최종 정답: ④ (d) positive → negative로 수정해야 함. ✅

결론

📌 "건강한 심장을 위해, 언제 자야 할까?"

📢 "2022년 6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의 연구를 통해 취침 시간이 심장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오후 10시~11시 사이에 자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너무 이르거나 늦으면 심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수면 습관을 개선하면 심장 건강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문제 풀이 전략 정리

  • ✅ 제목 선택 문제 → 핵심 주장을 빠르게 파악하여 적절한 제목 선택!
  • ✅ 어휘 적절성 문제 → 문맥에 맞는 단어인지 논리적으로 판단!
  • ✅ "positive consequences" vs. "negative consequences" 구분 필수!

📢 논리적인 독해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지문 분석을 통해 실력을 향상시켜 봅시다! 🚀

📌 문장별 분석 내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이 이 지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더 많은 영어 독해 및 문제 풀이 전략은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을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