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19번: 심경 변화 분석을 통한 독해력 향상"

"감정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독해의 핵심입니다!"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은 불안에서 안도로 전환되는 감정 변화를 보여주는 글입니다. 주인공이 가족을 찾지 못해 불안해하다가, 마술 쇼를 보고 있는 남편과 딸을 발견한 후 안도하는 과정이 상세하게 묘사됩니다.

📌 주요 독해 포인트

  • (1) 첫 번째 심경 변화의 단서 찾기
  • (2) 보기 중 대조적 감정 변화 살펴보고 확인하기
  • (3) 표현의 숨겨진 의미 파악하기

📌 이러한 분석 방법을 통해, 학생들은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심경 변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이제 지문의 핵심 내용을 문장별로 분석하며 문제 풀이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빠르고 정확하게 정답을 추론하도록 독자분들을 도울 것이기에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19. 다음 글에 드러난 ‘I’의 심경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en I woke up in our hotel room, it was almost midnight. I didn’t see my husband nor daughter. I called them, but I heard their phones ringing in the room. Feeling worried, I went outside and walked down the street, but they were nowhere to be found. When I decided I should ask someone for help, a crowd nearby caught my attention. I approached, hoping to find my husband and daughter, and suddenly I saw two familiar faces. I smiled, feeling calm. Just then, my daughter saw me and called, “Mom!” They were watching the magic show. Finally, I felt all my worries disappear.

① anxious → relieved ② delighted → unhappy
③ indifferent → excited ④ relaxed → upset
⑤ embarrassed → proud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When I woke up in our hotel room, it was almost midnight.

🔑 주요 단어 정리

  • wake up: 깨어나다
  • hotel room: 호텔 객실
  • almost: 거의
  • midnight: 자정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I woke up/ in our hotel room],/
  • [제가 깨어났을 때/ 우리 호텔 객실에서],/
  • it was almost midnight.
  • 거의 자정이었습니다.

📖 어법 설명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I woke up/~]”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비인칭 주어 it
  • it was almost midnight”에서 사용된 어법. “it”는 “날씨, 날짜, 요일, 거리, 시간, 명암, 온도, 계절”등을 표현할 때 아무 의미 없이 사용되는 주어로, 해석하지 않습니다
  • 💡 🔍 첫 번째 감정 변화 추론 1
  • “자정에 깨어남”. 사실의 진술로 감정을 추론할 수 없으므로 감정을 포함한 문장까지 읽어야 합니다.

📌 문장 2

I didn’t see my husband nor daughter.

🔑 주요 단어 정리

  • see: 보다, 발견하다
  • not A nor B: A도 B도 아닌(neither A nor B의 변형 형태)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 didn’t see/ my husband/ nor daughter.
  • 저는 보지 못했습니다/ 제 남편도/ 딸도.

📖 어법 설명

  • ✅ not A nor B – 표준 표현인 neither A nor B로 변경 필요
  • not A nor B”는 “neither A nor B”의 변형 표현으로 현대 영어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공적 문서인 모의고사에서는 표준 표현인 “neither A nor B”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 첫 번째 감정 변화 추론 2
  • 역시 사실의 진술로 감정을 추론할 수 없으므로 감정을 포함한 문장까지 읽어야 합니다.

📌 문장 3

I called them, but I heard their phones ringing in the room.

🔑 주요 단어 정리

  • call: 전화하다
  • ring: 울리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 called/ them,/
  • 저는 전화했습니다/ 그들에게,/
  • but/ I heard/ their phones/ ringing/ in the room.
  • 하지만/ 저는 들었습니다/ 그들의 전화기들이/ 울리는 것을/ 방 안에서.

📖 어법 설명

  • ✅ 5형식 문형 "지각동사(hear)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ing)"
  • heard/ their phones/ ringing”에서 사용된 어법. 지각동사 “see / watch / hear / listen to / feel”은 “동사원형이나 동사+ing(현재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나 현재분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 🔍 첫 번째 감정 변화 추론 3
  • 시간은 자정이고 남편과 딸이 보이지 않아 전화를 했지만 방 안에서 벨이 울리고 있음. 명시적인 감정에 대한 표현은 없지만, 남편과 딸이 방에 없다는 확신이 들며 불안이 생길 것으로 보입니다. 한 문장만 더 독해하도록 합니다.

📌 문장 4

Feeling worried, I went outside and walked down the street, but they were nowhere to be found.

🔑 주요 단어 정리

  • worried: 걱정하는 (동의어: anxious, concerned)
  • nowhere to be found: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eeling worried],/
  • [걱정되게 느끼면서(걱정하면서)],/
  • I <went/ outside>/ and/ <walked/ down the street>,/
  • 저는 <나갔습니다/ 밖으로>/ 그리고/ <걸어갔습니다/ 거리 아래로>,/
  • but/ they were nowhere to be found.
  • 그러나/ 그들은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어법 설명

  • ✅ 분사구문
  • [Feeling worried]”은 “[while I felt worried]”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가 생략되고 동사 “felt”가 “Feel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 첫 번째 감정 변화 추론 4 – 정답의 확정
  • 명시적인 감정의 표현인, “[Feeling worried]”가 진술되었감정의 대조적 관계를 염두에 두고, 보기를 확인하면, “① anxious → relieved”이 가장 적절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정답을 ①번으로 선택하고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5로 이동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문장 5

When I decided I should ask someone for help, a crowd nearby caught my attention.

🔑 주요 단어 정리

  • decide: 결정하다
  • ask A for help: A에게 도움을 요청하다
  • crowd: 군중
  • catch one’s attention: ~의 주의를 끌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I decided/ [(that) I should ask/ someone/ for help]],/
  • [내가 결정했을 때/ [나는 요청해야 한다고/ 누군가에게/ 도움을]],/
  • <a crowd/ nearby>/ caught/ my attention.
  • <군중이/ 근처의>/ 붙잡았습니다(끌었습니다)/ 제 주의를.

📖 어법 설명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I decided/~]”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decided[(that)~]"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decid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문장 6

I approached, hoping to find my husband and daughter, and suddenly I saw two familiar faces.

🔑 주요 단어 정리

  • approach: 다가가다
  • familiar: 익숙한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 approached,/ [hoping/ [to find/ <my husband and daughter>]],/
  • 저는 다가갔습니다,/ [바라면서/ [찾기를/ <내 남편과 딸을>]],/
  • and/ suddenly/ I saw/ two familiar faces.
  • 그리고/ 갑자기/ 저는 봤습니다/ 두 개의 익숙한 얼굴들을.

📖 어법 설명

  • ✅ 분사구문
  • [hoping/~]”은 “[while I hope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가 생략되고 동사 “hoped”가 “hop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hoping[to find/ <my husband and daughter>]”에서 사용된 용법. 현재 분사 “hoping”의 목적어 역할.
  • 💡 🔍 두 번째 감정 변화 추론 1
  • 익숙한 얼굴을 발견함. 직접적인 감정을 표현이 사용되지 않았더라도 여태껏 찾고 있던 두 얼굴(남편과 딸의 얼굴)을 봤다면, 안도감이 들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 문장 7

I smiled, feeling calm.

🔑 주요 단어 정리

  • smile: 미소 짓다 (동의어: grin, beam / 반의어: frown)
  • calm: 차분한, 평온한 (동의어: peaceful, relaxed / 반의어: anxious, nervous)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 smiled,/ [feeling calm].
  • 저는 미소를 지었습니다,/ [차분하게 느끼면서].

📖 어법 설명

  • ✅ 분사구문
  • [feeling calm]”은 “[while I felt/ calm]”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가 생략되고 동사 “felt”가 “feel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 두 번째 감정 변화 추론 2
  • 이 문장은 주인공이 불안했던 상태에서 명시적인 차분함을 느끼는 감정 변화의 순간을 나타냅니다. 앞 문장에서 "worried"한 상태였으므로, 여기서 나타나는 "calm"은 안도(relief)의 감정과 연결됩니다.

📌 문장 8

Just then, my daughter saw me and called, “Mom!” They were watching the magic show. Finally, I felt all my worries disappear.

🔑 주요 단어 정리

  • just then: 바로 그때
  • see: 보다 (동의어: notice, spot / 반의어: overlook, miss)
  • call: 부르다, 외치다 (동의어: shout, yell)
  • finally: 마침내, 결국 (동의어: at last, eventually)
  • worry: 걱정 (동의어: anxiety, concern / 반의어: relief, peace)
  • disappear: 사라지다 (동의어: vanish, fade away / 반의어: remain, appear)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Just then,/
  • 바로 그때,/
  • my daughter <saw/ me>/ and/ <called,/ “Mom!”>/
  • 제 딸이 <봤습니다/ 저를>/ 그리고/ <불렀습니다,/ “엄마!”라고>/
  • They were watching/ the magic show.
  • 그들은 보고 있었습니다/ 마술 공연을.
  • Finally,/ I felt/ all my worries/ disappear.
  • 마침내,/ 저는 느꼈습니다/ 저의 모든 걱정들이/ 사라지는 것을.

📖 어법 설명

  •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saw/ me>”와 “<called,/ “Mom!”>”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병렬 구조에서는 첫 번째 이후에 나오는 동사구를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을 묻는 문제로 주로 출제합니다.
  • ✅ 5형식 문형 "지각동사(feel)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ing)"
  • felt/ all my worries/ disappear”에서 사용된 어법. 지각동사 “see / watch / hear / listen to / feel”은 “동사원형이나 동사+ing(현재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나 현재분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1. 감정 변화 분석

  • 초기 감정
  • 문장 1~4: 불안과 걱정
  • 문장 4에 "Feeling worried"라는 직접적인 감정 표현 등장
  • 남편과 딸을 찾을 수 없는 상황에서 불안감 고조. 대조적 감정 관계로 정답 선택 가능
  • 후기 감정
  • 문장 7~8: 안도(relief)
  • "I smiled, feeling calm." → 차분함을 느낌
  • "Finally, I felt all my worries disappear." → 모든 걱정이 사라짐

2. 정답 선택 과정

  • ✅ 보기 분석
  • ① anxious → relieved (불안한 → 안도하는)
  • ② delighted → unhappy (기뻤다가 → 불행해진)
  • ③ indifferent → excited (무관심하다가 → 흥분한)
  • ④ relaxed → upset (여유롭다가 → 화난)
  • ⑤ embarrassed → proud (당황했다가 → 자랑스러워진)
  • ✅ 정답 근거
  • 초기 감정은 "anxious" (불안한) 상태에 해당
  • 후기 감정은 "relieved" (안도하는) 상태로 변화
  • 보기 중 "① anxious → relieved"가 가장 적절함

📝 정답: ① anxious → relieved

결론

"심경 변화 문제, 이렇게 해결하세요!"

"감정 변화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면 정답이 보입니다!"

📌 이번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19번 문제는 "불안(anxious) → 안도(relieved)"로 이어지는 감정 변화가 핵심이었습니다.

💡 핵심 정리

  • ✔ 첫 번째 감정: 불안 (worried, anxious)
  • ✔ 두 번째 감정: 안도 (calm, relieved)
  • ✔ 정답: ① anxious → relieved

📌 시험장에서 적용할 독해 전략

  • ✅ 첫 번째 감정을 빨리 찾아라!
  • ✅ 보기의 감정 변화의 "대조적 흐름"을 확인하라!
  • ✅ 감정이 직접 표현되지 않았을 경우 "맥락을 통해 추론하라!"

📌 이러한 분석법을 익히면, 감정 변화 문제가 더 이상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모의고사 문제를 분석하며 독해력을 향상시켜 보세요! 🚀

📌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동의어, 반의어를 포함한 주요 단어 정리, 어법적 고리이자 의미의 덩어리인 청크(chunk) 단위 분석과 한국어와 영어의 수식 구조, 어순 차이에 기반한 의미 해석, 및 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포함한 상세한 어법 설명은 정답을 도출하는 과정을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도움을 드렸을 것입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