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부모의 말, 아이의 미래를 결정한다?"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부모의 칭찬과 아이의 자아 형성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 부모가 반복적으로 아이에게 하는 말이 “자부심(self-esteem)”과 행동 패턴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을 철저하게 해부하며, 어법 문제를 푸는 핵심 전략을 제시합니다.
📌 어법 문제 풀이 TIP
- ✅ 대명사의 수를 묻는 문제를 제외하고, 어법이 포함된 문장만 집중적으로 확인하세요.
- ✅ 어법 문제는 문장의 해석만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문제는 어법적 형태(문법적 구조)를 확인해야 해결 가능합니다.
- ✅ 유사한 문제의 해설을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훈련법입니다.
- ✅ 자주 출제되는 어법 포인트를 정리하고, 시험장에서 빠르게 검토할 수 있도록 패턴화하세요.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의 핵심 전략
- 🔹 동사의 시제와 수 일치 (주어와 동사의 관계 체크)
- 🔹 관계대명사/접속사의 문법적 역할 (선행사 유무, 절 구조 확인)
- 🔹 준동사(동명사, to 부정사)와 사역동사 (문맥에 맞는 형태 선택)
- 🔹 대명사의 지시 대상과 단·복수 일치 (특히 선행사 확인)
🎯 반복 학습과 패턴 인식을 통해 어법 문제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세요! 🚀
이제 문장별 분석을 통해 문제 해결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Although praise is one of the most powerful tools available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behavior, it is equally powerful for improving your child’s selfesteem. Preschoolers believe what their parents tell ① them in a very profound way. They do not yet have the cognitive sophistication to reason ② analytically and reject false information. If a preschool boy consistently hears from his mother ③ that he is smart and a good helper, he is likely to incorporate that information into his selfimage. Thinking of himself as a boy who is smart and knows how to do things ④ being likely to make him endure longer in problemsolving efforts and increase his confidence in trying new and difficult tasks. Similarly, thinking of himself as the kind of boy who is a good helper will make him more likely to volunteer ⑤ to help with tasks at home and at preschool.
*profound: 뜻 깊은 **sophistication: 정교화(함)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Although praise is one of the most powerful tools available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behavior, it is equally powerful for improving your child’s self-esteem.
🔑 주요 단어 정리
- praise: 칭찬 (동의어: compliment / 반의어: criticism)
- one of the 최상급+복수명사: 가장 ~한 북수 명사 중 하나
- powerful: 강력한 (동의어: strong, influential / 반의어: weak, ineffective)
- available: 이용 가능한 (동의어: accessible, obtainable / 반의어: unavailable, limited)
- improve: 개선하다, 향상시키다
- behavior: 행동
- equally: 똑같이, 동등하게
- self-esteem: 자부심 (동의어: self-respect, confidence / 반의어: self-doubt, insecurit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lthough praise is one/ [of the most powerful tools/ (that are) available/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behavior>]],/
- [비록 칭찬이 하나일지라도/ [가장 강력한 도구들 중/ 이용 가능한/ <개선하기 위해서/ 어린아이들의 행동을>]],/
- it is equally powerful/ <for improving/ your child’s self-esteem>.
- 그것은 똑같이 강력합니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당신 아이의 자부심을>.
📖 어법 설명
- ✅ 양보의 부사절 “although[ though / even if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Although praise is one/~]”에서 사용된 어법.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the most powerful tools/ (that are) available/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behavior>”에서 생략된, “(that are)”는 선행사, “the most powerful tools”를 수식하여, “어린아이들의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가장 강력한 도구들”의 의미를 전달.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선행사에 “최상급이나 서수를 포함한 경우”로, “which are”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하기”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behavior>“와 ”<for improving/ your child’s self-esteem>“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for“의 목적어 역할. 각각 ”어린아이들의 행동을 개선하기 위해서“ 및 ”당신 자녀의 자부심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칭찬은 어린아이들의 행동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자아 존중감을 높이는 데도 강력한 도구이다.
📌 문장 2
Preschoolers believe what their parents tell ① them in a very profound way.
🔑 주요 단어 정리
- preschooler: 유치원생 (동의어: young child, toddler)
- believe: 믿다 (동의어: trust, accept / 반의어: doubt, disbelieve)
- profound: 깊은, 심오한 (동의어: deep, meaningful / 반의어: superficial, shallow)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reschoolers believe/ [what their parents tell/ ① them]/ in a very profound way.
- 유치원생들은 믿습니다/ [그들의 부모들이 말하는 것을/ ① 그들에게]/ 매우 깊은 방식으로.
📖 어법 설명
-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their parents tell/ ① them]”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그들의 부모들이 그들에게 말한 것“의 의미.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1
- "them"은 문맥상 문장 2의 "preschoolers"를 가리키며, 지시 대상이 복수형으로 일치하기 때문에 어법적으로 적절함.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유치원생들은 부모가 말하는 것을 깊이 믿는다.
📌 문장 3
They do not yet have the cognitive sophistication to reason ② analytically and reject false information.
🔑 주요 단어 정리
- cognitive: 인지의, 정신적 작용의 (동의어: mental, intellectual)
- sophistication: 정교함, 세련됨 (동의어: complexity, refinement / 반의어: simplicity, naivety)
- reason: 추론하다 (동의어: think logically, analyze / 반의어: assume, guess)
- reject: 거부하다 (동의어: refuse, dismiss / 반의어: accept, embrac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do not yet have/ [the cognitive sophistication/ [<to reason/ ② analytically>/ and/ <(to) reject/ false information>]].
- 그들은 아직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인지적 정교함을/ [<추론할/ 분석적으로>/ 그리고/ <거부할/ 거짓 정보를>]].
📖 어법 설명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병렬 구조
- “[the cognitive sophistication/ [<to reason/ ② analytically>/ and/ <(to) reject/ false information>]]”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the cognitive sophistication”를 수식. 그러면서, “to 부정사”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2
- "to reason/ ② analytically"에서 "analytically"는 “to 부정사“ "to reason"을 수식하는 부사로, 문맥상 어법적으로 적절함.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유치원생들은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거짓 정보를 거부할 수 있는 인지적 정교함이 부족하다.
📌 문장 4
If a preschool boy consistently hears from his mother ③ that he is smart and a good helper, he is likely to incorporate that information into his self-image.
🔑 주요 단어 정리
- consistently: 지속적으로 (동의어: regularly, steadily / 반의어: irregularly, inconsistently)
- helper: 조력자
- b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높다
- incorporate: 포함하다, 통합하다 (동의어: integrate, include / 반의어: exclude, separate)
- self-image: 자아상 (동의어: self-concept, self-perception)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a preschool boy consistently hears/ from his mother/ [③ that he is <smart/ and/ a good helper>]],/
- [만약 유치원 남자아이가 지속적으로 듣는다면/ 그의 엄마로부터/ [③ 그가 <똑똑하고/ 그리고/ 훌륭한 조력자라고>]],/
- he is likely to incorporate/ that information/ into his self-image.
- 그는 아마도 통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정보를/ 그의 자아상에.
📖 어법 설명
-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a preschool boy consistently hears/~]”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hears/ from his mother/ [③ that~]"에서 "that"은 동사, "hears"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자주 출제됩니다.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3
- "that"은 목적절[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어법상 적절합니다.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유치원 남아는 엄마로부터 지속적으로 듣는 내용을 자기 자아상에 포함시킨다.
📌 문장 5
Thinking of himself as a boy who is smart and knows how to do things ④ being likely to make him endure longer in problem-solving efforts and increase his confidence in trying new and difficult tasks.
🔑 주요 단어 정리
- endure: 견디다 (동의어: persevere, tolerate / 반의어: give up, surrender)
- increase: 증가시키다 (동의어: boost, enhance / 반의어: decrease, reduc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nking/ of himself/ [as a boy/ who [is smart]/ and/ [knows/ [how to do/ things]]]]/ ④ being(→is) likely to make/ him/ [[endure/ longer/ in problem-solving efforts]/ and/ [increase/ his confidence/ [in trying/ <new and difficult> tasks]]].
- [생각한 것은/ 스스로에 대해서/ [소년으로서(이라고)/ [똑똑한]/ 그리고/ [아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일들을]]]]/ 만들 가능성이 높으면서/만들 가능성이 높은것(→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를/ [[견디도록/ 더 오래/ 문제 해결의 노력(들)에서]/ 그리고/ [높이도록/ 그의 자신감을/ [시도하는 것에서의/ <새롭고 어려운> 과제들을]]].
📖 어법 설명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Thinking/ of himself/~]“와 "[in trying/ <new and difficult> tasks]“에서 사용된 어법. 각각 주어 역할(단수 취급)과 전치사 ”in“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각각 ”스스로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과 ”새롭고 어려운 과제들을 시도하는 것에서(시도하는데 있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어법적 적절성 검토 4
- 이 문장의 주어는 ”Thinking”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가 와야 하나 동사가 아닌 현재분사 혹은 동명사로 볼 수 있는 ”being이 왔습니다. 따라서, 어법적으로 부적절합니다.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5의 나머지 내용을 설명 후 문장 6으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병렬 구조
- “a boy/ who [is smart]/ and/ [knows/ [how to do/ things]]”에서 “who”는 선행사, “a boy”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똑똑하고 일(들)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아는 소년”의 의미를 전달. 그러면서, 두 개의 동사구 “[is smart]”와 “[knows/ [how to do/ things]]”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 “의문사 + to 부정사“ 용법
- ”[how to do/ things]“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의미 + ~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렇게 해석하는 이유는 ”[how he should do/ things]“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문장에서는, ”어떻게 그가 일(들)을 해야 하는지“의 의미.
- ✅ 5형식 문형 "사역동사(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make/ him/ [[endure/~]/ and/ [increase/~]]”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자신을 똑똑하다고 생각하면 문제 해결에 더 오래 집중하고 자신감을 키울 가능성이 있다.
📌 문장 6
Similarly, thinking of himself as the kind of boy who is a good helper will make him more likely to volunteer ⑤ to help with tasks at home and at preschool.
🔑 주요 단어 정리
- similarly: 유사하게, 마찬가지로 (동의어: likewise, in the same way)
- the kind of ~: 그런 종류의 ~ (동의어: the type of, the category of)
- mor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높은
- volunteer: 자진해서 하다, 자원하다 (동의어: offer, step forward / 반의어: refuse, decline)
- help with~: ~을 돕다
- task: 과업, 일 (동의어: duty, assignment)
- preschool: 유치원 (동의어: kindergarten)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imilarly,/
- 마찬가지로,/
- [thinking/ of himself/ [as the kind of boy/ who is a good helper]]/
- [생각하는 것은/ 스스로에 대해서/ [그런 종류의 소년으로서(이라고)/ 좋은 조력자인]]/
- will make/ him/ more likely to volunteer/ ⑤ [to help/ with tasks/ <at home and at preschool>].
- 그를 더 자발적으로 만들 것입니다 / ⑤ 자원할 가능성이 높도록/ [도울 만큼/ 과제들을/ <집에서와 유치원에서].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 "Similarly"
- 문장 전체의 논리적 흐름을 연결하며, 앞 문장과 유사한 내용이 이어짐을 나타냄. 내신에서는 한 지문 세 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된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여전히 출제됩니다.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thinking/ of himself/~]“에서 사용된 어법. 주어 역할(단수 취급). ”스스로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make/ him/ more likely to volunteer”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하기에 / ~할 정도로 / ~할 만큼”
- “more likely to volunteer/ ⑤ [to help/~]”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형용사구 “more likely to volunteer”를 수식하여 “~할 만큼/~할 정도로”의 의미를 전달.
- 🔍 어법적 적절성 검토 5
- “⑤ to help”는 앞에 형용사구 "more likely to volunteer"를 수식하는 부사적 용법으로 “~할 만큼/~할 정도의”의 의미로 문맥상, 어법상 적절합니다.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아이가 자신을 "좋은 도우미"라고 생각하면, 집과 유치원에서 자발적으로 돕는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 이 글은 칭찬이 어린아이들의 행동과 자아 존중감(self-esteem)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설명합니다. 특히, 부모가 아이에게 반복적으로 하는 말이 아이의 자기 인식과 행동 패턴에 깊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어법적 적절성 검토
- ① them → 적절함
- ✅ "them"은 문장 2의 "preschoolers(유치원생들)"을 가리키며, 대명사의 수 일치가 적절합니다.
- ② analytically → 적절함
- ✅ "to reason analytically"에서 "analytically"는 "to 부정사(reason)"를 수식하는 부사로 올바르게 사용되었습니다.
- ③ that → 적절함
- ✅ "that"은 동사 "hears"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 접속사로서 올바르게 쓰였습니다.
- ④ being → 부적절함 (정답)
- 🚨 "being likely to make" → "is" likely to make으로 수정 필요
- ✅ 문장의 주어는 "Thinking of himself~"로 동명사(단수 취급)입니다.
- ✅ 따라서 동사는 단수형 "is"가 와야 하지만, 현재분사 "being"이 와서 어법상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⑤ to help → 적절함
- ✅ "more likely to volunteer"를 수식하는 "부사적 용법의 to 부정사"로서 적절하게 사용되었습니다.
🎯 정답 제시
- 따라서, “④ being → is”이 가장 적절합니다.
-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빠르게 선택한 후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것이 전략적으로 유리합니다.
결론
"칭찬 한마디가 아이의 미래를 바꾼다!"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부모의 말이 아이의 자아 존중감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 특히, 반복적인 긍정적 피드백이 아이의 정체성과 행동 패턴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설명합니다.
📌 이번 어법 문제에서는 **동사의 수 일치(④번 being → is)**가 핵심 포인트였으며, 이를 통해 어법 문제에서 자주 출제되는 동명사와 동사의 구별법을 익힐 수 있었습니다.
📌 어법 문제를 풀 때는 "문장 구조 분석"을 통해 정확한 문법적 오류를 찾아야 합니다.
"부모의 칭찬, 아이의 미래를 만든다."
📌 오늘도 영어 실력 UP을 위해 노력하는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이 지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립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