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0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 광고 전략의 진화: 변화하는 소비 시장에 대응하는 방법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0번 지문은 광고업자들이 소비자 행동 변화에 맞춰 마케팅 전략을 수정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 특히, Fleischmann’s 효모의 사례를 통해 소비자의 수요 변화에 따른 광고 전략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 이 지문은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단어를 찾는 문제이므로, 내용의 논리적 전개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어법 설명을 통해 지문을 철저하게 해부하며, 어휘의 적절성 판단 문제를 푸는 핵심 전략을 제시합니다.
📌 어휘 문제 해결 TIP!
- 👉 문맥상 어색한 단어를 찾는 문제에서는 앞뒤 문장의 논리적 연결을 고려해야 합니다.
- 👉 특정 단어의 반대 개념(증가 vs 감소, 긍정 vs 부정 등)을 확인하는 것도 유용합니다.
- 👉 "내용을 읽고 자연스럽게 이해되는가?" 스스로 질문해 보세요!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0.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Advertisers often displayed considerable facility in ① adapting their claims to the market status of the goods they promoted. Fleischmann’s yeast, for instance, was used as an ingredient for cooking homemade bread. Yet more and more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were buying their bread from stores or bakeries, so consumer demand for yeast ② increased. The producer of Fleischmann’s yeast hired the J. Walter Thompson advertising agency to come up with a different marketing strategy to ③ boost sales. No longer the “Soul of Bread,” the Thompson agency first turned yeast into an important source of vitamins with significant health ④ benefits. Shortly thereafter, the advertising agency transformed yeast into a natural laxative. ⑤ Repositioning yeast helped increase sales.
*laxative: 완하제(배변을 쉽게 하는 약·음식·음료)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1
Advertisers often displayed considerable facility in ① adapting their claims to the market status of the goods they promoted.
🔑 주요 단어 정리
- advertiser: 광고주 (동의어: marketer, promoter)
- display: 보여주다, 발휘하다 (동의어: show, exhibit / 반의어: hide, conceal)
- considerable: 상당한 (동의어: substantial, significant / 반의어: negligible, minor)
- facility: 능숙함, 솜씨 (동의어: skill, proficiency / 반의어: incompetence, inability)
- adapt: 적응시키다, 조정하다 (동의어: modify, adjust / 반의어: misapply, neglect)
- claim: 주장, 광고 문구 (동의어: assertion, statement)
- market status: 시장 상황
- promote: 홍보하다, 판촉하다 (동의어: advertise, endorse / 반의어: discourage, suppress)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Advertisers often displayed/ considerable facility/ [in ① adapting/ [their claims,/ to the market status,/ [of the goods/ (which or that) they promoted]]].
광고주들은 종종 보여줬습니다/ 상당한 능숙함을/ [조정하는 것에서(데에)/ ① [그들의 주장(광고 문구)들을,/ 시장 상황에 맞게,/ [상품들에 대한/ 그들이 홍보했던]]].
📖 어법 설명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in ① adapting/ [their claims,/ to the market status,/ [of the goods/ (which or that) they promoted]]]“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in“의 목적어 역할. ”시장 상황에 맞게 그들이 홍보했던 살품들에 대한 그들의 주장(들)을 적응시키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goods/ (which or that) they promoted”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good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그들이(광고주들이) 홍보했던 상품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 어색한 수식 구조 – 위치 변경이나 삽입 원칙에 따른 comma(,) 삽입 필요
- “their claims,/ to the market status,/ [of the goods/ (which or that) they promoted]”에서 “their claims”는 “ [of the goods/~]”에 의해 직접 수식되는 관계이나 “to the market status”가 그 사이에 삽입된 구조. 의미상 “[their claims/ [of the goods/ (which or that) they promoted]]/ to the market status”와 같이 “to the market status”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소한 comma(,)로 앞뒤를 분리하는 조치라도 필요합니다.
- 🔍 어휘의 적절성 검토 1
- "① adapting"은 "주장을 시장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문맥상 적절함.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광고주들은 상품의 시장 상황에 맞게 광고 문구를 조정하는 데 능숙했다.
📌 문장 2
Fleischmann’s yeast, for instance, was used as an ingredient for cooking homemade bread.
🔑 주요 단어 정리
- for instance: 예를 들어 (동의어: for example)
- yeast: 효모
- ingredient: 재료, 성분 (동의어: component, element)
- homemade: 집에서 만든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leischmann’s yeast,/ for instance,/ was used/ [as an ingredient/ <for cooking/ homemade bread>].
- Fleischmann’s 효모는,/ 예를 들어,/ 사용되었습니다/ [재료로써/ <요리하는 것을 위한/ 집에서 만든 빵을>].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구 "for instanc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수동태 [be + p.p.]
- "was used"에서 사용된 어법. "사용되었다"라는 의미의 수동태 구조.
- ✅ “~하기”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for cooking/ homemade bread>“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for“의 목적어 역할. ”집에서 만든 빵을 요리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Fleischmann’s 효모는 원래 집에서 빵을 만들 때 사용하는 재료였다.
📌 문장 3
Yet more and more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were buying their bread from stores or bakeries, so consumer demand for yeast ② increased.
🔑 주요 단어 정리
- yet: 그러나, 하지만 (동의어: however, but)
- more and more: 점점 더 많은
- consumer demand: 소비자 수요
- increase: 증가하다 (동의어: rise, grow / 반의어: decrease, declin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et/ more and more people/ in the early 20th century/ were buying/ their bread/ <from stores or bakeries>,/ so/ <consumer demand/ for yeast>/ ② increased(→decreased or declined).
- 그러나/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20세기 초반에/ 구매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의 빵을/ <가게들이나 빵집들로부터>,/ 그래서/ <소비자 수요는/ 효모에 대한>/ ② 증가했습니다(→감소했습니다).
📖 어법 설명
-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more and more people”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were buying“.
- 🔍 어휘의 적절성 검토 2
- 문장 1에서 ”Fleischmann’s yeast“는 집에서 만든 빵을 요리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되었다고 진술했고 문장 3에서 20세기 초에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빵을 가게나 빵집에서 사용하고 있었다고 진술하고 있으므로 집에서 만들던 빵의 수가 감소한 결과에 해당하므로 이스트의 수요는 ”감소했다(decreased or declined)“나 ”줄었다(reduced)“로 진술해야 적절합니다. 따라서,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이미 답이 나왔으므로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에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4로 이동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20세기 초반,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가게나 빵집에서 빵을 사면서 효모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감소했다.
📌 문장 4
The producer of Fleischmann’s yeast hired the J. Walter Thompson advertising agency to come up with a different marketing strategy to ③ boost sales.
🔑 주요 단어 정리
- producer: 제작자, 생산업체, 생산자
- hire: 고용하다 (동의어: employ, recruit)
- come up with~: ~을 생각해내다, 마련하다 (동의어: devise, invent)
- marketing strategy: 마케팅 전략
- boost: 증가시키다, 촉진하다 (동의어: increase, enhance / 반의어: reduce, decreas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producer/ of Fleischmann’s yeast./ hired/ the J. Walter Thompson advertising agency/ [to come up with/ [a different marketing strategy/ <to ③ boost/ sales>]].
- <생산업체는/ Fleischmann’s 효모의>/ 고용했습니다/ J. Walter Thompson 광고 회사를/ [생각해내기 위해서/ [다른 마케팅 전략을/ <③ 촉진하기(증가시키기) 위한/ 매출을>]].
📖 어법 설명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come up with/ [a different marketing strategy/ <to ③ boost/ sales>]]”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 “hired”를 수식.
-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 different marketing strategy/ <to ③ boost/ sales>]”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a different marketing strategy”를 수식.
- 🔍 어휘의 적절성 검토 3
- "매출을 증가시키다"는 의미에서 ③ boost는 문맥상 적절함.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Fleischmann’s 효모 제조업체는 J. Walter Thompson 광고 회사를 고용하여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마련했다.
📌 문장 5
No longer the “Soul of Bread,” the Thompson agency first turned yeast into an important source of vitamins with significant health ④ benefits.
🔑 주요 단어 정리
- no longer: 더 이상 ~이 아닌
- turn A into B: A를 B로 바꾸다
- source: 원천, 공급원
- significant: 중요한, 의미 있는 (동의어: meaningful, considerable)
- benefit: 이점, 혜택 (동의어: advantage, gain / 반의어: disadvantage, harm)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 longer the "Soul/ of Bread,"/ the Thompson agency first turned/ yeast/ [into an important source/ <of vitamins/ with significant health ④ benefits>].
- 더 이상 “영혼”이 아닌/ "빵의“,/ Thompson 광고사는 처음으로 바꿨습니다/ 효모를/ [중요한 공급원으로/ <비타민의/ 중요한 건강 ④ 이점들을 가진>].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어휘의 적절성 검토 4
- "건강상의 이점"이라는 의미에서 ④ benefits는 문맥상 적절함.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효모는 더 이상 "빵의 핵심"이 아니라 중요한 비타민 공급원으로 홍보되었다.
📌 문장 6
Shortly thereafter, the advertising agency transformed yeast into a natural laxative. ⑤ Repositioning yeast helped increase sales.
🔑 주요 단어 정리
- thereafter: 그 후에 (동의어: subsequently, after that)
- shortly thereafter: 얼마 지나지 않아서
- transform: 변화시키다
- laxative: 완하제(배변을 쉽게 하는 약·음식·음료)
- reposition: 재배치하다, (마케팅) (제품 따위)의 이미지를 바꾸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hortly thereafter,/ the advertising agency transformed/ yeast/ into a natural laxative./ ⑤ <Repositioning/ yeast>/ helped/ <increase/ sales>.
- 얼마 지나지 않아서/ 그 광고회사는 바꿨습니다/ 효모를/ 천연 완하제로./ <재배치하는 것은(이미지를 바꾸는 것은)/ 효모의>/ 도왔습니다/ <증가시키는 것을/ 매출을>.
📖 어법 설명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Repositioning/ yeast>“에서 사용된 어법. 주어 역할(단수 취급). ”효모의 이미지를 바꾸는 것은“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help + (to) 부정사
- “helped/ <increase/ sales>”에서 사용된 어법. “help”는 3형식 문형에서 목적어로 “to 부정사”나 “동사원형(원형 부정사)”을 목적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to 부정사”나 “동사원형(원형 부정사)”은 “~하는 것”으로 명사처럼 해석합니다.
- 🔍 어휘의 적절성 검토 5
- 문맥상 "(제품 따위)의 이미지를 바꾸다"의 의미로 사용된 “⑤ Repositioning”은 문맥상 적절함.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광고 회사는 효모를 천연 완하제로 마케팅했고 효모의 새로운 포지셔닝(이미지 전환)은 매출 증가에 도움이 되었다.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 이 글은 Fleischmann’s 효모의 마케팅 전략 변화를 중심으로, 광고의 적응력과 소비자 행동의 변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 특히, 시대적 변화에 따라 상품의 포지셔닝이 변경되며, 소비자 수요 변화에 대응하는 광고 전략의 유연성을 강조합니다.
🔍 문맥상 부적절한 표현 분석
- ① adapting → ✅ 적절
- "광고 문구를 시장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적절하게 사용됨.
- ② increased → ❌ 부적절 (decreased로 수정 필요)
- 지문에서는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가게에서 빵을 사게 되면서 효모의 소비자 수요가 감소했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increase(증가하다)"가 아니라 **"decrease(감소하다)"**가 와야 문맥상 올바름.
- ③ boost → ✅ 적절
- "매출을 증가시키다"라는 의미로 적절하게 사용됨.
- ④ benefits → ✅ 적절
- "비타민 공급원이 되면서 건강상의 이점을 가지게 되었다"라는 의미로 적절함.
- ⑤ Repositioning → ✅ 적절
- "효모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마케팅 전략을 바꾼 것"을 의미하며, 문맥상 적절함.
🎯 정답 제시
- 따라서, “② increased → decreased”가 가장 적절합니다.
- 오답 근거: 문맥상 효모에 대한 소비자 수요는 증가한 것이 아니라 감소했으므로 "increased"는 부적절함.
- 정답 수정: "increased"를 "decreased"로 수정해야 문맥이 자연스러움.
결론
📢 광고의 적응력: 변화하는 시장에서 살아남는 법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0번 지문은 광고 전략이 시장 변화에 따라 조정되는 과정을 보여주었습니다.
📌 특히, 효모의 활용 방식이 "빵의 필수 재료"에서 "건강 보조제"로 변화하는 마케팅 전략이 흥미롭습니다.
📌 또한, 문맥상 적절하지 않은 단어를 찾는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마무리 TIP!
- ✅ 어휘 문제를 풀 때는 단어의 뜻뿐만 아니라 문맥 속에서의 의미를 파악하세요!
- ✅ 문장의 흐름을 읽으며 "앞뒤 내용과 일관되는가?" 스스로 점검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 시험장에서 시간을 줄이는 핵심 전략: 부적절한 단어를 찾으면 바로 정답을 체크하고 다음 문제로 넘어가세요!
- 이러한 접근법을 통해 시험 점수뿐만 아니라 독해력까지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이 지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립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