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 논리적 접근을 통한 정답 도출
- ✅ 문장별 분석을 통해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 ✅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활용하여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 ✅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
- 📝 "빈칸이 포함된 문장을 먼저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정답을 추론하라!"
📌 이번 분석에서는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2번 문제를 통해 빈칸 추론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하도록 도움을 제공합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2.
Think of the brain as a city. If you were to look out over a city and ask “where is the economy located?” you’d see there’s no good answer to the question. Instead, the economy emerges from the interaction of all the elements―from the stores and the banks to the merchants and the customers. And so it is with the brain’s operation: it doesn’t happen in one spot. Just as in a city, no neighborhood of the brain ____________________. In brains and in cities, everything emerge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residents, at all scales, locally and distantly. Just as trains bring materials and textiles into a city, which become processed into the economy, so the raw electrochemical signals from sensory organs are transported along superhighways of neurons. There the signals undergo processing and transformation into our conscious reality. [3점]
*electrochemical: 전기화학의
③ resembles economic elements ④ works in a systematic way
⑤ interacts with another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5
Just as in a city, no neighborhood of the brain ____________________.
🔑 주요 단어 정리
- just as~: 마치 ~처럼, 마찬가지로 (동의어: similarly, in the same way as)
- neighborhood: 지역, 구역 (동의어: district, area)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Just as in a city,/ <no neighborhood/ of the brain> ____________________.
- 마치 도시에서와 마찬가지로,/ <어느 구역도/ 뇌의> ____________________하지 않습니다.
📖 어법 설명
- ✅ 명사의 부정
- <no neighborhood/ of the brain>"에서와 같이 한국어는 명사를 부정하는 경우가 없으므로, 부정의 의미를 동사로 옮기고 명사에 any를 추가한, 즉, “<Any neighborhood/ of the brain>/ doesn’t ____________________.”로 바꾸어 이해해야 합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도시에서처럼, 뇌의 특정 부분도 ____________________ 않다는 내용
- 🔍 빈칸 추론 1
- 이 문장만으로는 빈칸에 대한 단서를 찾을 수 없고, 도시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아야 빈칸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Just as in a city”의 표현으로부터 도시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가 이미 앞서 진술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문장 5로 이동하여 단서를 찾도록 합니다.
📌 문장 4
And so it is with the brain’s operation: it doesn’t happen in one spot.
🔑 주요 단어 정리
- so it is with~: ~도 마찬가지이다
- operation: 작동, 기능 (동의어: function, process)
- happen: 발생하다 (동의어: occur, take place)
- spot: 장소, 위치 (동의어: location, plac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so it is/ with the brain’s operation/
- 그리고/ 그것이 그렇습니다(마찬가지입니다),/ 뇌의 작동도./
- :/ it doesn’t happen/ in one spot.
- 즉/ 그것은(뇌의 작동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한 지점에서만.
📖 어법 설명
- ✅ 비교 표현 "so it is with ~"
- "so it is/ with the brain’s operation"은 앞에서 설명한 개념을 뇌의 작용에 적용하는 표현으로 "뇌의 작동도 마찬가지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뇌의 작동은 특정한 한 지점에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 🔍 빈칸 추론 2
- 뇌의 작동이 한 곳에서만 일어나지 않는다는 내용은 특정 부분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님을 시사합니다. 문장 6에서 우리가 찾던 내용은 도시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였습니다. 따라서, 문장 4로 이동하여 다시 한 번 도시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단서를 찾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3
Instead, the economy emerges from the interaction of all the elements―from the stores and the banks to the merchants and the customers.
🔑 주요 단어 정리
- emerge from~: ~에서 발생하다, 나오다 (동의어: arise from, originate from)
- interaction: 상호 작용 (동의어: communication, exchange)
- element: 요소 (동의어: component, factor)
- from A to B: A에서 B까지
- merchant: 상인 (동의어: trader, retailer)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stead,/ the economy emerges/ <from the interaction/ of all the elements>/
- 대신에,/ 경제는 발생합니다/ <상호작용으로부터/ 모든 요소들의>/
- ―/ <from the stores and the banks>/ <to the merchants and the customers>.
- 다시 말해서/ <가게(들)과 은행(들)로부터>/ <상인(들)과 고객(들)에 이르기까지>.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3의 핵심 내용
- 경제는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된다.
- 🔍 빈칸 추론 3
- 문장 3의 “the economy”는 도시에서 일어나는 일의 대표적인 것으로 추론할 수 있고 “the stores and the banks”와 “the merchants and the customers”는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도시에서 일어나는 일로 볼 수 있는 경제는 도시의 모든 구성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방생한다는 것이 이 지문의 주장에 해당합니다. 문장 6인 부정문이었음을 기억하고, 보기를 확인하면, “① operates in isolation”뿐입니다. 부정문이 아니라면, “⑤ interacts with another”가 의미를 조금 더 확장하면, “④ works in a systematic way”도 고려할 대상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로 이동하여 나머지 문장에 대해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문장 1
Think of the brain as a city.
🔑 주요 단어 정리
- think of A as B: A를 B라고 생각하다 (동의어: regard A as B, consider A to be B)
- city: 도시 (동의어: metropolis, urban area)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nk of/ the brain/ as a city.
- 생각해 보세요/ 뇌를/ 도시라고.
📖 어법 설명
-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Think of/~”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뇌를 도시와 같은 개념으로 생각해 보라는 비유적인 설명을 제시.
📌 문장 2
If you were to look out over a city and ask “where is the economy located?” you’d see there’s no good answer to the question.
🔑 주요 단어 정리
- look out over~: ~위를 내다보다 (동의어: observe, survey)
- economy: 경제 (동의어: financial system, market)
- locate: 위치하다, 자리 잡다 (동의어: situate, plac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you <were to look out/ over a city>/ and/ <(were to) ask/ "where/ is the economy located?">]/
- [만약 당신이 <내다보고/ 도시 위를>/ 그리고/ <질문할 것이라면/ "어디에/ 경제는 어디에 위치하는가?"라고>]/
- you’d see/ [(that) there’s no good answer/ to the question].
- 당신은 알게 될 것입니다/ [훌륭한 답이 없다는 것을/ 그 질문에 대한].
📖 어법 설명
- ✅ 가정법 과거
- [If you <were to look out/ ~],/you’d see/ ~"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현재 사실의 반대, 현재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을 표현합니다. 표준 문형은 “If+주어+과거형 동사(be 동사는 인칭에 무관 were)+~, 주어+would[should/could/might]+동사원형+~”입니다.
- ✅ be +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의 의미를 전달하나 여기서는 “~할 것이다(예정)”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이외에도, 문맥에 따라 “~할 것이다(예정)”, “~할 수 있다(가능)”, “~해야 한다(의무)”, “~할 의도이다(의도)”, “~할 운명이다”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현대 영어에서 (to)가 생략된 형태의 어법적 파괴가 일어나 이미 흔히 사용되는 상태이나 모의고사와 같은 공적 문서에서는 be to 부정사와 같은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도시에서 경제가 특정한 한 장소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
📌 문장 6
In brains and in cities, everything emerge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residents, at all scales, locally and distantly.
🔑 주요 단어 정리
- emerge: 나타나다, 발생하다 (동의어: arise, develop / 반의어: disappear, vanish)
- interaction: 상호 작용 (동의어: communication, exchange / 반의어: isolation, separation)
- resident: 거주자 (동의어: inhabitant, citizen)
- scale: 규모, 범위
- at all scales: 모든 규모로
- logically: 논리적으로
- distantly: 먼 거리에서, 멀리서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brains and in cities>,/ everything emerge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residents>,/ at all scales,/ <locally and distantly>.
- <뇌(들)와 도시(들)에서>,/ 모든 것은 나타납니다/ <상호작용으로부터/ 거주자들 사이의>,/ 모든 규모에서,/ <지역적으로 그리고 먼 거리에서도>.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7의 핵심 내용
- 도시와 마찬가지로, 뇌의 모든 작동은 상호작용에서 발생.
📌 문장 7
Just as trains bring materials and textiles into a city, which become processed into the economy, so the raw electrochemical signals from sensory organs are transported along superhighways of neurons.
🔑 주요 단어 정리
- just: 바로
- bring A into B: A를 B로 가져오다
- material: 재료
- textile: 직물
- process: 가공하다
- electrochemical: 전기 화학적인
- signal: 신호
- sensory organ: 감각 기관
- transport: 운송하다
- superhighway: 초고속도로 (여기서는 신경 전달 경로를 비유적으로 사용)
- neuron: 뉴런, 신경세포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Just/ [as trains bring/ [<materials and textiles>/ into a city/, which become processed/ into the economy]](→<materials and textiles>/ into a city/ and/ they become processed/ into the goods),/
- 바로/ [기차가 가져오는 것처럼/ [<재료들과 직물들을>/ 도시 안으로/, 그리고 그것들이 가공되는 것처럼/ 경제로]](→<재료들과 직물들을>/ 도시 안으로/ 그리고 그것들이 가공되는 것처럼/ 상품들로),/
- so/ <the raw electrochemical signals/ from sensory organs>/ are transported/ <along superhighways/ of neurons>.
- 그렇게/ <가공되지 않은 전기화학 신호들도/ 감각 기관들로부터 온>/ 운송됩니다/ <초고속도로를 따라/ 뉴런들의>.
📖 어법 설명
-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trains bring/~]”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 ✅ 불명확한 수식 구조의 변경 필요성
- “[as trains bring/ [<materials and textiles>/ into a city/, which become processed/ into the economy]](→<materials and textiles>/ into a city/ and/ they become processed/ into the goods)”에서 “comma(,) which”는 “materials and textiles”를 선행사로 받는 주격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으로 “as 절” 내에서 쓰기에는 상당히 부자연스럽고, 문맥상 순차적인 내용인 “기차들이 재료들과 직물들을 도시 안으로 가져와서 그것들이 상품들로 가공되는 것처럼([as [trains bring/ <materials and textiles>/ into a city]/ and/ [they become processed/ into the goods]])”으로 표현해야 전달하려는 의미가 명확해 집니다.
- ✅ 수의 일치 & 수동태[be + pp]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raw electrochemical signals”로 복수이고, 동사구 역시 복수 형태인 “are transported”. 또한 “are transported”는 "운송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 문장 8의 핵심 내용
- 감각 기관에서 오는 신호들이 뉴런을 통해 전달되는 과정이, 도시로 물자가 들어오는 과정과 유사하다는 비유적 설명.
📌 문장 8
There the signals undergo processing and transformation into our conscious reality.
🔑 주요 단어 정리
- undergo: 경험하다, 겪다 (동의어: experience, go through)
- processing: 가공, 처리
- transformation: 변화, 변환 (동의어: conversion, chang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 the signals undergo/ <processing and transformation>/ into our conscious reality.
- 거기에서/ 그 신호들은 겪습니다/ <처리와 변환을>/ 우리의 의식적인 현실로.
📖 어법 설명
-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 문장 9의 핵심 내용
- 뉴런을 통해 전달된 신호가 처리되어 우리의 의식적 경험이 됨.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내용 요약
- 이 지문은 도시와 뇌의 작동 방식을 비교하면서, 두 시스템 모두 개별 요소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 속에서 기능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 도시의 경제 활동이 특정한 한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듯이, 뇌의 작용도 특정 구역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
- 뉴런이 감각 기관에서 오는 신호를 처리하고 전달하는 방식도 도시 경제와 유사함
🔍 빈칸 추론 과정
- ✅ 빈칸이 포함된 문장(문장 5) 분석 → 문장 4로 이동(원인 분석) → 문장 3로 이동(비유 확인)
- ✅ 도시에서 경제 활동이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상호작용에서 발생한다는 개념 확인(문장 3 분석)
- ✅ 문장 5의 빈칸이 포함된 문장을 부정문으로 이해해야 하므로, 뇌의 특정 구역도 독립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들어가야 함
- ✅ 보기를 확인하면, "① operates in isolation(고립된 상태에서 작동하다)"가 정답
💡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①번 "operates in isolation"입니다. 🚀
결론
뇌는 도시처럼 개별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뇌와 도시의 작동 원리를 비교하며, 개별 요소가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작동한다는 개념을 전달합니다.
🔎 문제 풀이 전략 & 핵심 정리
- ✅ 빈칸 추론 문제는 "빈칸 문장부터 분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 ✅ 앞뒤 문장과 논리적으로 연결하여 정답을 도출하는 과정이 중요
- ✅ 이번 문제에서는 "operates in isolation(고립된 상태에서 작동하다)"라는 개념이 핵심 단서
- ✅ 따라서 정답은 ①번!
📢 영어 모의고사 문제를 빠르고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훈련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지문의 구조를 분석하고 논리적 연결을 통해 정답을 도출하는 연습을 계속하세요. 🚀
📌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