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3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 논리적 접근을 통한 정답 도출

  • ✅ 빈칸이 포함된 문장을 먼저 읽고, 앞뒤 문장과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
  • ✅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이해해야 함
  • ✅ 이 글을 통해 빈칸 추론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해결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음

📌 이번 분석에서는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3번 문제를 통해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

📌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3.

Someone else’s body language affects our own body, which then creates an emotional echo that makes us feel accordingly. As Louis Armstrong sang, “When you’re smiling, the whole world smiles with you.” If copying another’s smile makes us feel happy, the emotion of the smiler has been transmitted via our body. Strange as it may sound, this theory states that _____________________. For example, our mood can be improved by simply lifting up the corners of our mouth. If people are asked to bite down on a pencil lengthwise, taking care not to let the pencil touch their lips (thus forcing the mouth into a smile­like shape), they judge cartoons funnier than if they have been asked to frown. The primacy of the body is sometimes summarized in the phrase “I must be afraid, because I’m running.” [3점]

*lengthwise: 길게  **frown: 얼굴을 찡그리다

① language guides our actions ② emotions arise from our bodies
③ body language hides our feelings         ④ what others say affects our mood
⑤ negative emotions easily disappear

문장별 분석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 문장 4

Strange as it may sound, this theory states that _____________________.

🔑 주요 단어 정리

  • strange as it may sound: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동의어: although it sounds strange, even if it seems odd)
  • theory: 이론 (동의어: hypothesis, concept)
  • state: 진술하다, 주장하다 (동의어: claim, declar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trange/ as it may sound],/
  • [이상하게/ 그것이 들릴지라도],/
  • this theory states/ [that _____________________].
  • 이 이론은 주장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라고].

📖 어법 설명

  • ✅ 양보의 부사절 “형용사 + as + 주어 + 동사”
  • [Strange/ as it may sound]”에서 사용된 어법. “-하게 ~일지라도”의 의미를 전달. 주로 형용사가 문두로 나간 형태에서 사용됩니다.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tates[that ~]"에서 "that"은 동사, "states"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자주 출제됩니다.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이론의 핵심 주장을 설명하는 문장으로, 빈칸에 들어갈 내용은 "이론이 무엇을 주장하는가"에 대한 요약이어야 함.
  • 🔍 빈칸 추론 1
  • 론의 핵심 개념을 파악하려면, “this theory”의 표현상 이 문장의 앞부분(문장 4)에서 단서를 찾아야 합니다. 따라서, 문장 4로 이동하여 "이론이 무엇을 주장하는지"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 문장 3

If copying another’s smile makes us feel happy, the emotion of the smiler has been transmitted via our body.

🔑 주요 단어 정리

  • copy: 따라 하다, 모방하다 (동의어: imitate, mimic)
  • transmit: 전달하다, 전파하다 (동의어: convey, pass on)
  • via~: ~을 통해 (동의어: through, by means of)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copying/ another’s smile>/ makes/ us/ <feel happy>],/
  • [만약 <따라 하는 것이/ 다른 사람의 미소를>/ 만든다면/ 우리를/ <행복하게 느끼도록>],/
  • <the emotion/ of the smiler>/ has been transmitted/ via our body.
  • <그 감정이/ 미소 짓는 사람의>/ 전달된 것입니다/ 우리의 몸을 통해.

📖 어법 설명

  •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copying/ another’s smile>/ makes/~]”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수의 일치
  • "<copying/ another’s smile>“에서 사용된 어법.if 절“의 주어 역할(단수 취급).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has been transmitted“. ”다른 사람의 미소를 따라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5형식 문형 "사역동사(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makes/ us/ <feel happy>”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 현재완료 수동태 "has been transmitted"
  • "has been transmitted"에서 사용된 어법. ”전달된 것이다“의 의미로 수동태의 의미와 과거부터 현재 사이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 💡 문장 4의 핵심 내용
  • 다른 사람의 미소를 따라 하면, 그 감정이 몸을 통해 전달되어 우리도 행복함을 느낀다.
  • 🔍 빈칸 추론 2
  • 📢 이론이 주장하는 핵심은 "감정이 몸을 통해 전달된다"는 점입니다.
  • 📢 즉, 감정이 몸의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는 개념이 들어가야 합니다.
  • 📢 보기를 확인하면, "② emotions arise from our bodies(감정은 우리 몸에서 발생한다)"가 가장 적절합니다.
  • 📢 따라서, 실전에서는 정답을 ②번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바로 바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 본 분석서는 지문 내 포함된 모든 문장을 분석하여 독자에게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문장 1로 이동하여 분석 후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문장 1

Someone else’s body language affects our own body, which then creates an emotional echo that makes us feel accordingly.

🔑 주요 단어 정리

  • body language: 몸짓 언어, 비언어적 표현
  • affect: 영향을 미치다 (동의어: influence, impact)
  • echo: 반향, 울림 (동의어: reverberation, reflection)
  • accordingly: 그에 따라, 따라서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meone else’s body language affects/ our own body/
  • 다른 사람의 바디 랭귀지가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 자신의 몸에,/
  • , which then creates/ [an emotional echo/ that makes/ us/ <feel accordingly>].
  • 그리고 그것이 그런 다음 만들어냅니다/ [감정의 반향을/ 만드는/ 우리를/ <그에 따라서 느끼도록>].

📖 어법 설명

  •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 which then creates/~”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이 문장)나 일부를 수식하여, “접속사 + 대명사(and it)”로 해석합니다. 이 때, “that”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n emotional echo/ that makes/ us/ <feel accordingly>]”에서 “that”은 선행사, “an emotional echo”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우리를 그에 따라서 느끼도록 만드는 감정의 반향”의 의미를 전달.
  • ✅ 5형식 문형 "사역동사(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makes/ us/ <feel accordingly>”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 문장 1의 핵심 내용
  • 다른 사람의 몸짓 언어가 우리의 몸에 영향을 미쳐 감정적 반응을 유발함. 결국 이미 답을 찾은 내용을 지문의 초반에 배치한 두괄식 지문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문장 2

As Louis Armstrong sang, “When you’re smiling, the whole world smiles with you.”

🔑 주요 단어 정리

  • smile with~: 함께 미소 짓다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Louis Armstrong sang],/
  • [루이 암스트롱이 노래했던 것처럼],/
  • [When you’re smiling],/ the whole world smiles/ with you.”
  • "[당신이 미소 짓고 있을 때],/ 온 세상이 미소짓습니다/ 당신과 함께.“

📖 어법 설명

  •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Louis Armstrong sang]”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 / ~같이 / ~만큼 / ~하듯이”의 의미를 전달.
  •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When you’re smiling]”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2의 핵심 내용
  • 미소는 전염성이 있다는 개념을 설명하는 인용구. 역시 선택한 보기가 정답임을 확인해 줍니다.

📌 문장 5

For example, our mood can be improved by simply lifting up the corners of our mouth.

🔑 주요 단어 정리

  • for example: 예를 들어 (동의어: for instance, as an illustration)
  • mood: 기분, 감정 상태 (동의어: emotion, feeling)
  • improve: 향상되다, 좋아지다 (동의어: enhance, boost / 반의어: worsen, decline)
  • lift up: 올리다, 들어 올리다 (동의어: raise, elevate)
  • corner of one’s mouth: 입꼬리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our mood can be improved/ [by simply lifting up/ <the corners/ of our mouth>].
  • 예를 들어,/ 우리의 기분은 게선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서(들어 올림으로써)/ <모서리들을/ 우리의 입의(우리의 입꼬리를)>].

📖 어법 설명

  •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 수동태[조동사 + be + pp]
  • can be improved”에서 사용된 어법. "개선될 수 있다"의 의미로 수동태.
  •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simply lifting up/ <the corners/ of our mouth>]“에서 사용된 어법. 전치사 ”by“의 목적어 역할. ”우리 입의 모서리들을(우리의 입꼬리를)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서(들어 올림으로써)“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5의 핵심 내용
  • 입꼬리를 올리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좋아질 수 있다.

📌 문장 6

If people are asked to bite down on a pencil lengthwise, taking care not to let the pencil touch their lips (thus forcing the mouth into a smile­like shape), they judge cartoons funnier than if they have been asked to frown.

🔑 주요 단어 정리

  • bite down on~: ~을 물다
  • lengthwise: 길게, 세로로
  • take care: 조심하다, 신경 쓰다 (동의어: be careful, be cautious)
  • thus: 따라서, 그러므로 (동의어: consequently, as a result)
  • force A into B: A를 B의 상태로 만들다, 강제로 A를 B로 바꾸다
  • smile-like: 미소와 같은, 웃는 것처럼 보이는
  • judge: 판단하다, 평가하다 (동의어: assess, evaluate)
  • cartoon: 만화, 애니메이션
  • frown: 얼굴을 찌푸리다 (동의어: scowl, grimace / 반의어: smile)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people are asked/ <to bite down/ on a pencil/ lengthwise>,/ [taking care/ [not to let/ the pencil/ <touch/ their lips>]/ (thus/ [forcing/ the mouth/ into a smile­like shape(in the shape/ of a smiling mouth)])]],/
  • [만약 사람들이 요청받는다면/ <물도록/ 연필을/ 세로로>,/ [조심하면서/ [<하게 하지 않도록/ 연필이/ <닿도록/ 입술에>(연필이 입술에 닿지 않도록)],/ (그렇게 하여/ [강제하면서/ 입을/ 미소와 같은 모양으로(→미소 짓고 있는 입의 모양으로)])]],/
  • they judge/ cartoons/ funnier/ [than if they have been asked/ to frown].
  • 그들은 판단합니다/ 만화들을/ 더 재미있다고/ [그들이 요청받은 경우보다/ 얼굴을 찌푸리도록].

📖 어법 설명

  •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수동태[be + pp]
  • [If people are asked/~]”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are asked”는 “요청받다”의 의미로 수동태.
  •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세 곳
  • “<to bite downon a pencil/ lengthwise>”, “[not to let/ the pencil/ <touch/ their lips>]” 및 “to frown”에서 사용된 용법. 동사구 각각 “are asked”, “taking care”, “have been asked”를 수식.
  • ✅ 분사구문 – 두 곳
  • [taking care/~]”와 “[forcing/~]”은 “[while they take care/ ~]”와 “[while they force/~]”의 종속절에서 각각 접속사 “while”, 주어 “they(=people)”가 생략되고 각각의 동사 “take”와 “force”가 각각 “taking”과 “forc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 5형식 문형 "사역동사(let)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not to) let/ the pencil/ <touch/ their lips>”에서 사용된 어법. 사역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떼 “과거분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불명확한 표현의 변경 필요성
  • into a smile­like shape”는 의미상 “미소 짓고 있는 입의 모양으로(in the shape/ of a smiling mouth)”으로 변경하는 것이 정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 5형식 기본 문형 "judg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judge/ cartoons/ funnier”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they have been asked”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 현재완료 수동태[have(has) been + pp]
  • "have been asked"에서 사용된 어법. (과거부터 현재 사이에) 얼굴을 찌푸리도록 “요청받았다”는 결과의 의미를 전달하여 수동태.
  • 💡 문장 6의 핵심 내용
  • 강제로 웃는 표정을 만들면, 실제로 기분이 더 좋아지고 만화도 더 재미있다고 판단하게 됨.

📌 문장 7

The primacy of the body is sometimes summarized in the phrase “I must be afraid, because I’m running.”

🔑 주요 단어 정리

  • primacy: 우선권, 우위 (동의어: priority, supremacy / 반의어: inferiority)
  • summarize: 요약하다 (동의어: condense, outline / 반의어: elaborate, expand)
  • phrase: 구, 표현 (동의어: expression, saying)
  • must be~: ~임에 틀림이 없다
  • afraid: 두려운, 무서운 (동의어: scared, fearful / 반의어: brave, fearless)
  • run: 달리다 (동의어: sprint, jog)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primacy/ of the body>/ is sometimes summarized/ [in the phrase/ “I must be afraid,/ [because I’m running].”라는]
  • <그 우위는/ 신체의>/ 때때로 요약됩니다/ [그 표현에서/ “나는 두려움에 틀림이 없어,/ [왜냐하면 내가 뛰고있기 때문에].”]

📖 어법 설명

  • ✅ 수동태[be + pp]
  • is sometimes summarized”에서 사용된 어법. "때때로 요약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because I’m running]”에서 사용된 어법.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 문장 7의 핵심 내용
  • 신체가 감정보다 먼저 반응하며, 감정은 신체 반응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는 개념을 설명하는 표현. "나는 두려워서 뛰는 것이 아니라, 뛰고 있기 때문에 두려운 것이다"는 개념을 전달.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 핵심 주장

  • ✅ 감정은 신체 반응에서 비롯된다.
  • ✅ 몸의 움직임이 감정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단순히 미소를 짓거나 특정한 자세를 취하는 것만으로도 감정이 변화할 수 있다.

🔍 빈칸 추론 과정

  • 📌 빈칸 포함 문장
  • "Strange as it may sound, this theory states that _____________________."
  •  이 문장은 "이 이론이 주장하는 바"를 설명하는 핵심 문장.
  • 📌 이론의 핵심을 찾기 위해 앞 문장(문장 4)을 분석
  • ✅ 문장 4
  • "If copying another’s smile makes us feel happy, the emotion of the smiler has been transmitted via our body."
  • (다른 사람의 미소를 따라 하면, 그 감정이 몸을 통해 전달되어 우리도 행복함을 느낀다.)
  •  이론의 핵심: 감정이 몸을 통해 전달되며, 신체 반응이 감정을 결정할 수 있다.

📌 선택지 분석

  • ① language guides our actions → 언어가 행동을 이끈다는 내용이 아님 ❌
  • ② emotions arise from our bodies → 감정이 신체에서 발생한다 ✔ (정답)
  • ③ body language hides our feelings → 몸짓 언어가 감정을 숨긴다는 내용 없음 ❌
  • ④ what others say affects our mood → 다른 사람의 말이 감정을 결정한다는 내용 없음 ❌
  • ⑤ negative emotions easily disappear → 부정적인 감정이 쉽게 사라진다는 내용 없음 ❌

🎯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②번 "emotions arise from our bodies(감정은 우리 몸에서 발생한다)"이 가장 적절합니다. 📢

결론

"감정은 신체에서 비롯된다."

📌 2023년 6월 고1 모의고사 33번 지문은 "신체 움직임이 감정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을 설명합니다.

🔎 문제 풀이 전략 & 핵심 정리

  • ✅ 빈칸 추론 문제는 "빈칸 문장부터 분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 ✅ 앞뒤 문장의 논리적 연결을 통해 정답을 도출하는 과정이 중요!
  • ✅ 이번 문제에서는 "감정이 신체 반응에서 비롯된다"는 개념이 핵심 단서!
  • ✅ 따라서 정답은 ②번 "Emotions arise from our bodies"

📢 영어 모의고사 문제를 빠르고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훈련이 중요합니다!

📢 앞으로도 지문의 구조를 분석하고 논리적 연결을 통해 정답을 도출하는 연습을 계속하세요. 🚀

📌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앞으로도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독해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